[include(틀:노르웨이의 대외관계)] [include(틀:중국의 대외관계)]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100%]] || [[파일:중국 국기.svg|width=100%]] || || [[노르웨이|{{{#fff '''노르웨이'''}}}]] || [[중국|{{{#ffff00 '''중국'''}}}]] || [목차] [clearfix] == 개요 == [[노르웨이]]와 [[중국]]의 관계에 대한 문서다. 노르웨이와 중국은 [[류사오보]]와 관련된 일로 인해 갈등이 존재했다. == 역사적 관계 == === 21세기 === 2008년 6월 4일 노르웨이의 언론 볼덴스 강이 노르웨이가 중국과 [[달라이 라마 14세]] 간의 비밀창구 역할을 했다고 보도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03&aid=0002125527|#]] ==== 2010년대 ==== 2010년에 노르웨이와 중국은 [[류사오보]]의 노벨상 수상과 관련해서 갈등이 생겨났다. 노르웨이가 류사오보에게 노벨상을 수상하자 중국이 노르웨이 대사를 초치해 항의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03&aid=0003474872|#]] 10월 26일에 노르웨이는 중국과 FTA를 체결할 계획이 있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4730598|#]] 하지만 11월 30일에 노르웨이는 중국과의 FTA 체결을 무기한 연기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03&aid=0003565137|#1]][[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19&aid=0002144447|#2]] 12월 9일에 양국간의 경제교류에는 큰 변화가 없다고 파이낸셜타임스가 보도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14&aid=0002369680|#]] 류사오보가 노벨상을 수상한 이후, 중국에서 연어 수입을 하지 않으면서 노르웨이산 연어가 중국으로 수출하는 양이 급격히 줄어들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32&aid=0002371612|#1]][[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05&aid=0000577264|#2]] 2014년 2월 11일에 노르웨이의 한 박물관이 [[원명원]]에서 약탈된 유물들을 중국으로 반환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03&aid=0005668260|#]] 4월 28일에 달라이 라마가 노르웨이를 방문하자 중국 정부가 항의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6883323|#]] 5월 7일에 달라이 라마가 노르웨이를 방문했지만, 노르웨이 정부가 중국의 눈치를 보면서 만남을 미루자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기 시작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6896362|#]] 5월 23일에 노르웨이 정부는 중국 재벌이 노르웨이의 섬을 사들이려고 했던 시도를 막았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6923042|#]] 2015년 2월 4일에 노르웨이와 중국 양국은 중국인 연구자 추방을 두고 갈등이 생겨났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7393514|#]] 2016년 12월 19일에 왕이 외교부장이 노르웨이를 방문해 양국간 관계 개선을 하기로 합의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03&aid=0007662284|#]] 그리고 나서 양국은 FTA협상도 재개하기로 했다.[[https://www.ajunews.com/view/20170409142635141|#]] 2017년 3월 31일에 노르웨이 총리가 관계개선 이후, 중국을 방문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9153676|#]] 2018년에는 노르웨이산 연어 수입 금지가 해체돼 중국으로의 수출이 크게 증가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9995154|#]] 2019년 2월 5일에 노르웨이 정보 당국은 국가 위험 평가 보고서를 발표하면서 화웨이와 중국 정부가 긴밀하게 연계돼 있으므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10619155|#]] ==== 2020년대 ==== 2020년 2월 27일에 노르웨이 보건부는 중국을 방문하고 돌아온 노르웨이인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21&aid=0002418847|#]] 게다가 중국 정부가 노르웨이산 연어에서 코로나19가 검출됐다고 밝히자 중국에서 노르웨이산 연어 수입을 중단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11&aid=0003754400|#]] 양국은 베이징 집단감염의 원인으로 지목된 연어에 대해서 회담 끝에 연어가 원인이 아니라는 결론을 내렸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52&aid=0001454009|#]] 6월 11일에 노르웨이 법원은 중국인 입양아를 살해하고 모스크에서 총격을 가한 20대 노르웨인 남성에게 실형을 선고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421&aid=0004691226|#]] 8월 28일에 노르웨이를 방문한 왕이 외교부장은 홍콩 시위대에게 노벨상 수여는 해서는 안 되고 노르웨이 정부는 중국과의 관계를 중요시해야 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03&aid=0010045720|#]] 9월 23일에 중국 해관총서는 노르웨이산 볼락에서 코로나19가 검출됐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21&aid=0002443622|#]] 12월 4일에 노르웨이 중앙은행 부행장이 중국인 아내 때문에 사임한다고 밝히자 논란이 일어났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05&aid=0001387936|#]] 2021년에 노르웨이는 사이버 공격의 배후로 중국을 지목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12535785|#]] 그러나 중국에서 개최된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 양국은 갈등이 생겨났다. 2022년 2월 7일 스키점프 혼성 단체전에서 심판진들이 노르웨이 선수 안나 스트룀과 실비에 옵세스를 포함한 독일, 일본, 오스트리아 선수들을 무더기로 실격 처리한 일이 발생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23&aid=0003671409|#]] 2022년 3월에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인권 문제와 관련한 우려를 이유로 중국 스포츠의류 업체 리닝을 투자 대상에서 제외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13120293|#]] == 경제 교류 == 양국간의 경제 교류가 존재한다. 전술했다시피 노르웨이와 중국은 류사오보의 노벨상 수상과 관련해 갈등이 존재했고 노르웨이산 연어 수입을 중국이 막은 적이 있었다. 이에 노르웨이산 연어의 전세계 점유율이 하락한 적이 있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03&aid=0007666586|#]] 2013년 12월 11일에 노르웨이 석유펀드가 중국 투자를 늘린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1&oid=008&aid=0003167193|#]] 2015년에도 중국 투자를 늘린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004&oid=018&aid=0003205635|#]] 2016년에 중국 컨소시엄이 노르웨이의 인터넷브라우저 업체를 인수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1&oid=009&aid=0003679870|#]] 그리고 이수한 뒤에 화제가 됐다.[[https://www.ajunews.com/view/20160211090059788|#]] 2017년 5월 23일에 양국은 회담을 하고 양국간 검역 관련 의정서에 서명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9291340|#]] 양국은 [[AIIB]] 회원국이기도 하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7529876|#]] 중국과 노르웨이 양국이 협력해 세운 다리가 존재한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11523125|#]] 중국 기업 비야디가 노르웨이에 전기차를 수출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3&oid=092&aid=0002230131|#]] == 문화 교류 == 양국간의 문화 교류가 일부 이뤄지고 있다. [[중국어]] 교육은 노르웨이에서 자주 이뤄지고 있다. === 스포츠 === 2007년 9월 23일에 2007 FIFA 여자월드컵 8강전에서 중국 여자축구 국가대표팀이 노르웨이와의 경기에서 패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03&aid=0000575648|#]] 2018년 2월 11일에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노르웨이 컬링팀이 중국팀과의 경기에서 승리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01&aid=0009881944|#]] == 대사관 == 오슬로시에 주 노르웨이 중국 대사관, 베이징시에 주 중국 노르웨이 대사관이 존재한다. == 관련 문서 == * [[노르웨이/외교]] * [[중국/외교]] / [[중국/외교/비판]] * [[노르웨이/경제]] * [[중국/경제]] * [[노르웨이인]] / [[중국인]] * [[노르웨이어]] / [[중국어]] * [[대국관계일람/유럽 국가/북유럽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동아시아 국가]] [[분류:노르웨이의 대국관계]][[분류:중국의 대국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