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가시발새우과]][[분류:수산물]] ||<-2> '''{{{#fff {{{+1 노르웨이가시발새우}}}[br]Norway lobster}}}'''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ephrops_norvegicus.webp |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Nephrops norvegicus'' '''[br]([[Linnaeus]], 1758)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 ^^Animalia^^||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절지동물문]] ^^Arthropoda^^||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연갑강]] ^^Malacostrac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십각목]] ^^Decapoda^^||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가시발새우과]] ^^Nephropidae^^||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노르웨이가시발새우속 ^^''Nephrops''^^||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노르웨이가시발새우 ^^''N. norvegicus''^^ '''|| ||<-2> '''{{{#fff 언어별 명칭}}}''' || || '''[[한국어]]''' ||노르웨이가시발새우, 랑고스틴, 스캄피 || || '''[[영어]]''' ||Norway lobster[* "노르웨이[[바닷가재]]".], langoustine[* 노르웨이가시발새우를 포함한 여러 갑각류를 의미하는 [[프랑스어]]에서 유래.], scampi[* [[가시발새우]]를 비롯한 가시발새우속의 종들 혹은 큰징거미새우를 의미하기도 한다. [[이탈리아어]] scampo에서 유래.] || || '''[[노르웨이어]]''' ||Sjøkreps[* "바다가재".] || [youtube(1L0OSfLCcC4, width=480px, height=270px)] [목차][clearfix] ## == 개요 == 집게다리를 비롯해 전체적으로 날씬한 외모가 특징인 [[가시발새우과]]의 [[가재]]. 노르웨이가시발새우속의 현생 유일종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네점발빨간새우라고 표기했다. 같은 가시발새우상과의 다른 속은 가시발새우과이며, 여기에 속하는 종 중 문서명이 존재하는 생물은 [[가시발새우]]이다. 속명은 [[콩팥]]의 눈(Nephro + ops), 종명은 [[노르웨이]]를 의미한다. == 상세 == 갑각길이 60 mm, 몸길이 180 - 200 mm. 갑각 색상은 주황색 혹은 붉은색이다. 이마뿔은 짧고 평행하며 2 - 3쌍의 가시가 2열로 위를 향해 나있다. 눈은 병안이며 [[콩팥]] 모양이다. 집게다리는 세 쌍이다. 제1집게다리는 길이가 몸길이에 가깝고, 가시가 열을 지어 잘 발달해있으며, 발목마디가 선명하게 붉다. 은신처로 사용할 굴을 파는데, 굴은 보통 깊이 20 - 30 cm에 U자 모양으로 큰 입구 하나와 작은 입구 하나가 있는 구조지만, 간혹 입구가 하나 뿐이거나 수직 통로가 있거나 복잡한 내부 구조를 가진 등 다양한 형태일 수도 있다. 매일 짧은 시간 은신처를 나와 사냥과 청소부 활동을 하는데, 서식 깊이에 따라 이런 외출 시간대와 횟수가 달라진다. 주로 [[연체동물]], [[극피동물]], [[갑각류]], 다모류를 사냥한다. [[해파리]] 사체의 주요 청소부이기도 하다. 수심 20 - 800 m의 [[대륙붕]]과 [[대륙사면]]에서 서식하며, 미사와 점토가 풍부한 진흙질 바닥에서만 생활하므로 이들의 서식지는 30개 이상으로 흩어져 있다. [[아이슬랜드]], [[브리튼]] 제도, [[이베리아 반도]]의 근해, [[노르웨이 해]]와 [[북해]]를 포함한 [[대서양]], [[아드리아 해]], [[에게 해]]를 포함한 [[지중해]]에 분포한다. 이 종의 구기로부터 공생체인 ''Symbion pandora''이 처음으로 발견되었는데, 기존의 동물과 구분되는 점이 많아 구륜동물이라는 독립된 문으로 분류되었다. == 식재료 == [[파일:langoustines.webp|width=480px]] [youtube(v6I9XIzhqSE)] * 빠르게 요리를 보여주는 [[쇼츠]]. [youtube(4Qgm-fkyGSQ)] * [[제이미 올리버]]의 랑구스틴 요리. [[유럽]] 수산업에 있어 중요한 위치에 있는 갑각류이다. [[아이슬란드]]나 [[프랑스]]에서는 주로 랑고스틴이라 하며, [[이탈리아]]에서는 주로 스캄피라고 한다. 다양한 요리법이 존재하는데, 머리와 꼬리를 분리해 머리로는 비스크를 만들고 꼬리는 구이를 할 수도 있고, 통째로 반으로 갈라 버터를 올리고 구울 수도 있다. 풍미가 섬세하고 부드러운 식감을 가졌지만 일반적인 아메리카바다가재 등에 비하면 먹을 것이 25% 정도 뿐이다. [[유럽]]에서라면 비교적 싼 값에 살 수 있지만, [[한국]]에서는 최고급 새우와 비슷한 가격에 구매해야 하며, 주로 냉동으로 유통되는데 해동하면 단맛이 사라지므로 추천되지 않는다. 요리로서 스캄피라고 하면 이 노르웨이가시발새우를 비롯하여 여러 갑각류를 사용한 음식을 의미한다. [[미국]]에서 스캄피는 보통 조리 형태를 의미하며, 슈림프 스캄피나 치킨 스캄피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 [[영국]]에서는 스캄피가 식품표시법에 의해 노르웨이가시발새우를 의미하지만,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새우 요리를 대접 받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