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SFIO.svg|width=200&height=200px]] || ||<-2> '''Section française de l'Internationale ouvrière (SFIO)''' || ||<-2> '''슬로건''' || || '''영문 명칭''' ||French Section of the Workers' International|| || '''한국어 명칭''' ||노동자 인터내셔널 프랑스 지부|| || '''창당일''' ||[[1905년]] [[4월 25일]] || || '''해산일''' ||[[1969년]] [[5월 4일]] || || '''전신''' ||프랑스 사회당[* 이 정당은 1902년에 출범한 정당으로 오늘날 프랑스 사회당과 다른 정당으로 약칭은 PSF이다.][br]프랑스 사회주의자당 || || '''후신''' ||[[사회당(프랑스)|사회당]] || || '''대표''' ||XX || || '''이념''' ||[[사회주의]] || || '''정치적 스펙트럼''' ||[[좌익]]|| || '''당 색'''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ff0000; border-radius: 3px; padding: 3px 4px" {{{#fff 적색{{{-2 (#FF0000)}}}}}}}}}|| || '''당원 수''' ||XXXX명|| || '''[[의회|{{{#ff0000 의회}}}]]'''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0000 11.7%, #aaa 0%)" {{{#fff '''57석 / 487석'''}}}}}} ,,(1968년),, || || '''당가''' ||[[https://namu.wiki|한국어 이름 (원어 이름)]] || || '''국제조직''' || || || '''국내조직''' || || || '''청년조직''' ||한국어 이름 (원어 이름) || || '''기타 조직''' ||한국어 이름 (원어 이름) || || '''기관지''' ||인민 (Le Populaire)[br][[뤼마니테|뤼마니테 (L'Humanitè)]] || || '''당기'''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50]] || [목차] [clearfix] == 개요 == 오늘날 [[사회당(프랑스)|사회당]]의 전신이 되는 정당으로 1905년부터 1969년까지 이어진 정당이다. == 역사 == 1905년 프랑스 사회당과 프랑스 사회주의자당을 중심으로 노동자 인터내셔널 프랑스 지부가 결성되었다. 또한 창당할 때만 하더라도 [[뤼마니테]]가 SFIO의 기관지 역할을 했다. 이때 당 내의 계파는 혁명파와 개량파로 나뉘었는데, 제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혁명을 거쳐 개량주의 노선에 반대한 당원들이 탈당하여 공산주의 인터내셔널 프랑스 지부(SFIC)를 창당했고 이 정당은 [[프랑스 공산당]]으로 이어진다. SFIO는 당세를 서서히 회복하여 1936년 [[급진당(프랑스)|급진당]], 공산당과 함께 정당연합 인민전선을 결성하고 연정에 참여했으며, [[레옹 블룸]]이 총리가 되었다. 그러나 [[스페인 내전]] 개입을 놓고 급진당과 공산당이 대립하면서 연정은 붕괴했고 이합집산을 반복하던 사이 [[제2차 세계 대전]]으로 프랑스 제3공화국이 붕괴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 공화국 임시정부]]에서는 3당 체제(tripartisme)라고 하여 프랑스 공산당, 대중공화운동과 함께 정국을 주도했지만 정국의 주도권은 프랑스 공산당이 쥐고 있었다. [[프랑스 제4공화국]]에서는 공산당이 배제되고 드골파가 정권에서 이탈하면서 급진공화당, 대중공화운동과 함께 연정을 통한 집권을 도모했다. 하지만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제2차 중동전쟁]], [[알제리 전쟁]]에서 발목이 잡히면서 연정은 위기를 맞이했고, 제5공화국이 세워진 뒤에는 오락가락하는 행보로 인해 선거에서 연달아 패배했다. 그럼에도 [[1965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에서는 [[프랑수아 미테랑]]이 좌파의 단일 후보로 출마하면서 결선까지 진출했고 [[1967년 프랑스 국민의회 선거]]에서는 어느정도 지지를 회복했다. 하지만 [[1968년 프랑스 국민의회 선거]]에서는 우파의 결집으로 참패해버렸고 [[1969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에서는 가스통 드페르가 출마하였으나 역시 참패하였다. 결국 [[기 몰레]]의 퇴진을 기점으로 SFIO는 좌파 혁신을 위한 연대, 사회주의 연대와 함께 사회당으로 통합되었다. 프랑수아 미테랑의 공화헌법회의는 1971년 사회당에 합류했다. [[분류:프랑스의 없어진 정당]][[분류:1905년 정당]][[분류:1969년 해체]][[분류:사회당(프랑스)]][[분류:사회주의 정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