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노동]] [include(틀:노동 시간)] [목차] == 개요 == 노동 시간은 말그대로 출근시각과 퇴근시각 사이의 시간을 말한다. 기준은 다양해서 연간 노동 시수, 한달 간 노동 시수, 일주일 중 노동을 하는 일수 또는 하루 중 노동을 하는 시수 등으로 다양한 통계가 사용된다. == 법정 노동 시간 == 나라마다 노동권, 휴식권, 산업여건, 정부의 정책, 국민의 정서에 따라 각기 다른 방식으로 노동시간을 정해놓았다. [[산업혁명]]이 시작된 [[19세기]] 무렵 [[로버트 오언]]에 의해 고안된 [[8시간 노동제]]에서부터 그 개념이 시작되어, 다양한 수치의 법정 노동 시간이 제안되고 있다. [[산업혁명]]을 매우 빠른 시기에 경험하고 이후 노동 시간에 대한 의식이 견고하게 다져진 서방 선진국 또는 [[공산주의]]의 물살로 [[프롤레타리아 독재|노동자 기반의 정부]]를 수립했거나 수립한 적이 있는 국가들을 중심으로 노동 시간은 지속적으로 단축되어 휴식 보장면에서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반대로 [[산업화]]가 진행 중이거나 산업화를 탈피한지 얼마되지 않은 나라들, 대체로 [[동아시아]]와 [[개발도상국]]일 수록 노동 시간이 많은 경향을 보인다. 특히 정부의 통제가 느슨하고 [[노동자]]를 일개 소모품으로 보는 국가일 수록 법정 노동 시간이 있더라도 막상 현장에서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공무원]], [[선원]], [[항공 승무원]], 운수원, 간부경영진 등 일부 직종이나 소규모 사업체는 특수성을 고려하여 법정 근무제에서 예외되기도 한다. == 법정 노동 시간별 국가 == === 시수 기준 === ==== [[주 69시간 근무제]] ==== 기본 노동 시간 40시간 + 주 평균 추가 노동 시간은 12시간으로 동일하나 연장 근로 시간 사용 시간을 유연화해 주 6일 근무 기준 최대 추가 노동 시간 29시간. 윤석열 정부가 추진하려 시도했으나 반발이 심해 시행되지 않고 철회되었다. ==== 주 68시간 근무제 ==== 기본 노동 시간 40시간 + 추가 노동 시간 28시간. 과거 대한민국에서 규정하던 제도이다. ==== [[주 52시간 근무제]] ==== 기본 노동 시간 40시간 + 추가 노동 시간 12시간. 현재 [[대한민국]], [[일본]]이 적용 중이다. 일본의 경우 기본 노동시간 40시간 + 추가 노동시간 월45시간(대략 주11.2 시간)이다. [[https://www.jetro.go.jp/kr/invest/setting_up/section4/page5.html|#]]노사가 합의할 경우 년간 추가로 100시간 더 근무 가능하지만 [[저출산]] 장기화로 구인난이 심해 거의 실행하는 곳은 없다. 이 때문에 23년 기준 한국의 평균 근로시간은 1915시간인데 반해 일본은 무려 300시간이상 짧은 1607시간이다.[[https://m.mk.co.kr/news/society/10686879|#]] ==== 주 49시간 근무제 ==== 기본 노동 시간 40시간 + 추가 노동 시간 9시간. 현재 [[홍콩]]이 적용 중이다. ==== 주 48시간 근무제 ==== 기본 노동 시간 40시간 + 추가 노동 시간 8시간. 현재 [[멕시코]], [[콜롬비아]]가 적용 중이다. 기본 노동 시간 45시간 + 추가 노동 시간 3시간. 현재 [[싱가포르]]가 적용 중이다. ==== 주 45시간 근무제 ==== [[말레이시아]]가 적용 중이며 기본 노동시간 40시간 + 연장근로 5시간으로 23년에 개정되었다. 하루 12시간이상 근무하지 못하며, 한달은 104시간 이하로 제한되어 있다.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SITE_NO=3&MENU_ID=100&CONTENTS_NO=1&bbsGbn=322&bbsSn=322&pNttSn=203655|#]] ==== 주 44시간 근무제 ==== [[브라질]]에선 기본 노동 시간 40시간 + 추가 노동 시간 4시간 시행 중이며 월~금은 하루 8시간, 토요일에 하루 4시간을 일한다고 [[중국]]은 법정 근로시간이 44시간으로 정해졌으나 996문화라 하여 9시출근, 21시 퇴근, 주6일 근무가 만연해있다.[[https://www.google.com/amp/s/www.bbc.com/korean/international-58366172.amp|#]] ==== 주 40시간 근무제 ==== 기본 노동 시간 40시간. 또는 기본 노동 시간 35시간 + 추가 노동시간 5시간. 현재 [[캐나다]] [[스페인]], [[칠레]]에서 적용 중이다.[[https://world.moleg.go.kr/web/dta/lgslTrendReadPage.do?CTS_SEQ=48285&AST_SEQ=3891&ETC=|#]] 하루에 8시간을 일한다. ==== 주 38시간 근무제 ==== 기본 노동 시간 35시간 + 추가 노동 시간 3시간. 현재 [[호주]]에서 적용 중이다. ==== 주 35시간 근무제 ==== 기본 노동 시간 35시간. 현재 [[프랑스]]에서 적용 중이다. 하루 7시간을 일한다. === 일수 기준 === ==== [[주 7일 근무 제도]] ====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휴식없이 근로하는 형태이다. 휴식이라는 개념이 없었던 [[산업시대]] 초기와 그 이전에는 주 7일 근무제가 보편적이었다. [[조선시대]] 관직 역시 주 7일 근로가 기본이었고 며칠마다 휴가를 주는 식이었다. ==== [[주 6일 근무 제도]] ====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근무하거나 주 1회를 비정기적으로 휴무하는 방식이다. 교대근무의 경우 4조 3교대가 주 6일 근무가 된다. ==== [[주 5일 근무 제도]] ====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근로하는 형태이며 가장 표준적인 근무형태이다. 혹은 일주일에 비정기적으로 이틀을 쉬는 방식으로 주5일을 맞추기도 한다. 교대근무의 경우 5조 3교대, 3조 2교대가 주로 주 5일 근무를 하게 된다. ==== [[주 4일 근무 제도]] ==== 보통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또는 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근로하는 형태이다. 혹은 4조 2교대 근무를 하는경우에도 보통 주 4일 근무가 된다. ==== 주 3일 근무 제도 ==== 일주일에 3일만 일하는 경우. 여기부터 풀타임과 파트타임이 나뉜다. 풀타임의 경우 보통 24시간 마다 [[교대근무]]를 하는 [[버스 기사]], [[생산직]], 일부 영업직군, 경비업등이 이런 근무형태를 취한다. 종일근무-종일휴식-종일근무-종일휴식 혹은 종일근무-휴무-휴무[* 이 경우는 날짜에 따라 아래나온 주 2회 근무가 될수도 있다.] 같은 방식으로 주 3일 근로하는 형태를 보인다. 파트타임의 경우 식당, 상가, 카페, 놀이공원 등지에서 손님이 늘어나는 피크 요일인 금요일, 토요일, 일요일만 근무하는 형태가 많다. ==== 주 2일 근무 제도 ==== 보통 토요일, 일요일만 근무하는 파트타임 근로가 이에 속한다. 혹은 당-비-비 형태의 3조 1교대 근무일 경우에도 날짜에 따라 여기 속한다. ==== 주 1일 근무 제도 ==== 역시 파트타임의 비중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