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유희왕 OCG]]의 최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네프티스(유희왕))] [목차] == 설명 == [include(틀:유희왕/OCG/4기 부스터 팩 커버 카드)] [[파일:ネフティスの鳳凰神.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네프티스의 봉황신, 일어판 명칭=ネフティスの鳳凰神(ほうおうしん), 영어판 명칭=Sacred Phoenix of Nephthys, 레벨=8, 속성=화염, 종족=비행야수족, 공격력=2400, 수비력=1600, 효과1=①: 이 카드가 효과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다음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한다. 이 카드를 묘지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의 ①의 효과로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를 전부 파괴한다.)]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 다음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에 다시 돌아오며 덤으로 필드의 마법 / 함정을 전부 파괴하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유발 효과|유발 효과]], 자신의 효과로 특수 소환되면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를 파괴하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유발 효과|유발 효과]]를 가진 최상급 효과 몬스터. 부활 효과는 묘지에서 발동하기 때문에 효과로 파괴되어도 제외된 경우 부활할 수 없다. [[초마신 이도]]와는 달리 효과 사용에 별다른 페널티가 없는 것이 장점. 처음 나왔을때는 효과는 강력하지만 높은 레벨에 비해 낮은 타점을 보유해 운용하기가 힘든 몬스터 정도의 평가였다. 그렇지만 강력한 효과는 어디 가는 것은 아닌지라 전용덱을 구축하는 법이 연구되면서 한때 맹위를 떨쳤다. 똑같이 효과 파괴 후 부활하는 [[뱀파이어 로드(유희왕)|뱀파이어 로드]]와 필드에서는 별다른 효과가 없는 특성상 [[스킬 드레인]]을 병용하는 [[네프로드]]라는 덱이 대활약 하였고, 능동적으로 자신의 몬스터를 파괴하는 [[유벨|유벨-다스 압쇼이리히 리터]]까지 병행한 네프리터라는 덱도 한때 우승덱 리스트에 오르기도 하였다. [[리즈시절]] 당시는 제한카드까지 올라가기도 했다. 그러나 점점 늘어나는 고성능 특수소환 몬스터로 인해 최상급 몬스터로써는 부족한 공격력이[* 레벨 8 몬스터들 중 발매 당시 뒤에서 3위였다. 2위는 2300인 [[창세신]], 1위는 2200인 [[다크 네크로피어]].] 발목을 잡고, 묘지메타로 제외를 해버리는 차원계 덱이나 [[네오 스페이시언 그랜드 몰]], [[빙결계의 용 브류나크]]와 같은 강력한 바운스 카드들의 등장, [[스타라이트 로드]] 같은 파괴무효 카드까지 나오면서 운용이 굉장히 힘들어지면서 자연스레 도태되었다. 그래도 이후 셀프 파괴 테마인 [[염왕]]의 등장으로 다시 활로를 찾은 게 다행. 한때는 [[사우전드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등의 효과에 의해서 장착 마법 카드 취급된 이 카드가 카드의 효과에 의해서 파괴되었을 경우 특수 소환하는 효과를 사용할 수 없었다. 당시 텍스트가 '이 몬스터가~'로 시작했기 때문. 텍스트가 '이 카드가~'여서 같은 상황에서도 부활의 여지가 있는 뱀파이어 로드와는 달랐다. 현재는 '이 카드가~'로 에라타된 상황. [[해룡-다이달로스]], [[암드 드래곤]], [[호루스의 흑염룡]]들과 나란히 코나미에서 상당히 좋아하는 카드들중 하나로 저 카드들처럼 다양한 바리에이션으로 출시되는 카드다.[* 사실 암드 드래곤을 제외한 저 카드들은 전부 DM 말~GX 초 강덱의 에이스 카드들이었다. 올드 플레이어들에 대한 팬 서비스인 것.] [[다크화]]도 되었고, [[다크 네프티스]]가 발매된지 10년만에 [[메타파이즈]]화도 되었다. 게다가 2018년에 출시되는 덱 빌드 팩으로 뜬금없이 [[네프티스(유희왕)|네프티스]] 몬스터군 소속으로 승격되었고 이걸로 기똥도 차지 않았는지 카오스화도 나왔다. 앞서 팩커버를 차지한 [[호루스의 흑염룡]]과 [[창세신]]은 문서를 보면 알 수 있듯 [[삼환신]]을 의식한 것으로 여겨지는데 이 카드도 마찬가지로 '(이집트 신)의 (세글자 한자명)'이라는 이름 형식이나 디자인 등 [[삼환신]]을 의식한 듯한 요소가 있다. 일러스트의 배경은 호루스의 흑염룡과 같다. 기간만 따지면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의 첫 번째 부스터 팩을 장식한 카드지만 애초에 GX와의 연계를 상정한 게 아니기 때문에 관련은 없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영원한 화염|FLAMING ETERNITY]] || FET-JP005 || [[울트라 레어]][br][[얼티미트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하이 그레이드 팩|EXPERT EDITION Volume.3]] || EE3-JP125 || [[울트라 레어]] || 일본 ||||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 -オメガの裁き!!-]] || DT11-JP009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레어]] || 일본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염왕의 급습(스트럭처 덱)|炎王の急襲]]- || SD24-JP004 || [[노멀]] || 일본 || || || [[영원한 화염|Flaming Eternity]] || FET-EN005 || [[울트라 레어]][br][[얼티미트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하이 그레이드 팩|Dark Revelation Volume.3]] || DR3-EN125 || [[울트라 레어]] || 미국 |||| || [[절대원소의 힘|Elemental Energy]] 스페셜 에디션 || EEN-ENSE3 || [[시크릿 레어]] || 미국 ||||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Duel Termnal 6]] || DT06-EN009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레어]] || 미국 |||| || Legendary Collection 3: Yugi's World || LCYW-EN259 || [[슈퍼 레어]] || 미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염왕의 급습(스트럭처 덱)|Onslaught of the Fire Kings]] || SDOK-EN004 || [[노멀]] || 미국 || || || [[영원한 화염]] || FET-KR005 || [[울트라 레어]][br][[얼티미트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하이 그레이드 팩|하이 그레이드 팩 Volume.3]] || HGP3-KR125 || [[울트라 레어]] || 한국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염왕의 급습(스트럭처 덱)|염왕의 급습]]- || SD24-KR004 || [[노멀]] || 한국 || || == 관련 카드 == === [[네프티스(유희왕)#네프티스의 인도하는 손|네프티스의 인도하는 손]] === 네프티스의 봉황신 전용 특수 소환 카드. === [[봉황신의 깃털]] === === [[봉황날개의 폭풍]] === === [[다크 네프티스]] === === [[메타파이즈#메타파이즈 네프티스|메타파이즈 네프티스]] === === [[카오스 네프티스]] === [[분류:유희왕/OCG/비행야수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