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네팔 총리]] [include(틀:역대 네팔 총리)]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52A2A 0%, #DC143C 30%, #DC143C 70%, #A52A2A)" [[파일:네팔 국장.svg|width=30]][br]{{{+1 {{{#fff '''네팔 연방 민주 공화국 총리'''}}}}}}[br]{{{#fff '''नेपालको प्रधानमन्त्री'''}}}[br]{{{#fff '''Prime Minister of the Nepal'''}}}}}}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Prachanda-Nepalese.webp|width=100%]]}}} || || {{{#fff '''현직'''}}} ||[[푸슈파 카말 다할]] ,,/ 제33대,, || || {{{#fff '''취임일'''}}} ||[[2022년]] [[12월 26일]] || || {{{#fff '''정당'''}}}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E2910; font-size: .9em" [[네팔 공산당(마오주의 센터)|{{{#fff '''네팔 공산당(마오주의 센터)'''}}}]]}}} || || {{{#fff '''관저'''}}} ||[[카트만두|카트만두 발루와타르]] || [목차] [clearfix] == 개요 == [[네팔]] [[총리]]는 네팔의 [[정부수반]]이다. 현직 총리는 [[네팔 공산당(마오주의 센터)]]의 [[푸슈파 카말 다할]]이 맡고 있다. == 역대 총리 == === 네팔 왕국 === ==== 초기 ==== 이 당시 네팔은 [[전제군주제]]였고, 아직 [[정당]]이 없어서 모든 총리가 [[무소속]]이었다. * 초대: 다모다르 판데 1803년~1804년 * 대행: 라나 바하두르 샤[* ~~[[태상황|상왕]]~~전임 [[국왕]]이자 당시 국왕 기르반 유다 비크람 샤의 아버지] 1804년~1806년 * 2대: 빔센 타파 1806년~1837년 * 3대: 라나 장 판데 1837년 * 4대: 랑가 나트 포우댤 1837년~1838년 * 5대: 초타리야 푸슈카르 샤 1838년~1839년 * (3대): 라나 장 판데 1839년~1840년 * (4대): 랑가 나트 포우댤 1840년 * 6대: 파테 중 샤 1840년~1843년 * 7대: 마타바르 싱 타파 1843년~1845년 * (6대): 파테 중 샤 1845년~1846년 ==== 라나 시대 ==== [[1846년]] [[쿠데타]]로 집권한 라나 가문은 현직 총리가 사망하면 가문의 남자 구성원 중에서 연장자가 자동으로 총리직을 승계하는 법을 제정하여 권력 공백을 원천봉쇄함으로써 '''100년 이상 장기집권'''했고, 국왕은 라나 가문의 허수아비에 불과했다. 라나 가문 출신 총리들 역시 초기 총리들과 마찬가지로 전원 [[무소속]]이었다. * 8대: 중 바하두르 라나 1846년~1856년 * 9대: 밤 바하두르 쿤와르 1856년~1857년 * 대행: 크리슈나 바하두르 쿤와르 라나 1857년 * (8대): 중 바하두르 라나 1857년~1877년 * 10대: 라노딥 싱 쿤와르[* 임기 중에 [[암살]]당했다.] 1877년~1885년 * 11대: 비르 슘셰르 중 바하두르 라나 1885년~1991년 * 12대: 데브 슘셰르 중 바하두르 라나 1901년 * 13대: 찬드라 슘셰르 중 바하두르 라나 1901년~1929년 * 14대: 빔 슘셰르 중 바하두르 라나 1929년~1932년 * 15대: 주다 슘셰르 중 바하두르 라나 1932년~1945년 * 16대: 파드마 슘셰르 중 바하두르 라나 1945년~1948년 * 17대: 모한 슘셰르 중 바하두르 라나 1948년~1951년 ==== 과도기 ==== [[1951년]] 라나 가문이 실각하면서 [[트리부반]] 왕이 [[왕권]]을 회복했고, 이때부터 [[정당]] [[내각]]이 등장했다. * 18대: 마트리카 프라사드 코이랄라[* 네팔 최초로 정당 내각을 구성한 총리] 1951년~1952년 ([[네팔 회의]]) * [[트리부반]] 왕의 직접 통치: 1952년~1953년 * (18대): 마트리카 프라사드 코이랄라 1953년~1955년 (라슈트리야 프라자당[* Rashtriya Praja Party]) * 대행: 수르야 바하두르 타파 1955년 * [[마헨드라(네팔)|마헨드라]] 왕의 직접 통치: 1955년~1956년 * 19대: 탄카 프라사드 아차리아 1956년~1957년 (네팔 프라자 파리샤드[* Nepal Praja Parishad]) * 20대: 쿤와르 인데르지트 싱 1957년~1958년 (네팔 연합민주당[* United Democratic Party Nepal]) * 21대: 수바르나 샴셰르 라나 1958년~1959년 (네팔 회의) * 22대: 비슈웨슈와르 프라사드 코이랄라[* [[1959년]]에 실시된 네팔 최초의 [[총선]]에서 승리함으로써 네팔 최초의 [[의원내각제]] 총리가 되었으나, [[1960년]]에 마헨드라 왕이 [[친위 쿠데타]]를 일으켜 [[의회 해산|의회를 해산]]하고 [[전제군주제]]로 회귀하는 바람에 실각했다.] 1959년~1960년 (네팔 회의) ==== 무정당 판차야트 시대 ==== [[1960년]] [[마헨드라(네팔)|마헨드라]] 왕은 [[친위 쿠데타]]를 일으켜 네팔의 [[의회민주주의]] 체제를 붕괴시키고 [[전제군주제]]로 회귀했는데, 이 당시 총리들은 정당 [[공천]]이 금지되고 왕의 자문회의에 불과한 권한을 가진 판차야트에서 선출되었기에 전원 [[무소속]]이었다. * [[마헨드라(네팔)|마헨드라]] 왕의 직접 통치: 1960년~1963년 * 23대: 툴시 기리 1963년 * 24대: 수르야 바하두르 타파 1963년~1964년 * (23대): 툴시 기리 1964년~1965년 * (24대): 수르야 바하두르 타파 1965년~1969년 * 25대: 키르티 니디 비스타 1969년~1970년 * 대행: 게헨드라 바하두르 라즈반다리 1970년~1971년 * (25대): 키르티 니디 비스타 1971년~1973년 * 26대: 나겐드라 프라사드 리잘 1973년~1975년 * (23대): 툴시 기리 1975년~1977년 * (25대): 키르티 니디 비스타 1977년~1979년 * (24대): 수르야 바하두르 타파 1979년~1983년 * 27대: 로켄드라 바하두르 찬드 1983년~1986년 * (26대): 나겐드라 프라사드 리잘 1986년 * 28대: 마리치 만 싱 슈레스타 1986년~1990년 * (27대): 로켄드라 바하두르 찬드 1990년 ==== 입헌군주제 시대 ==== [[1990년]] [[비렌드라]] 왕이 [[민주화]] 세력과 타협하여 [[헌법]]을 제정하면서 [[입헌군주제]]가 실시되었다. * 29대: 크리슈나 프라사드 바타라이 1990년~1991년 ([[네팔 회의]]) * 30대: 기리자 프라사드 코이랄라[* [[1959년]] [[총선]] 이후 최초로 실시된 자유선거인 [[1991년]] 총선에서 승리하여 집권했다.] 1991년~1994년 (네팔 회의) * 31대: [[만 모한 아디카리]] 1994년~1995년 ([[네팔 공산당(통합 마르크스-레닌주의)|CPN-UML]][* '''[[공산당]]으로서는 세계 최초로 [[입헌군주국]]에서 실시된 민주적인 총선에서 승리하여 집권'''하는 기록을 세웠다. [[1920년대]] [[복드 칸국|몽골]]과 [[2차 대전]] 직후 [[발칸 반도]] 입헌군주국에서 공산당들이 집권한 사례가 있긴 했지만, 그 사례들은 모두 폭력 혁명 또는 [[소련군|소련이 파병한 점령군]]의 지원을 받아 집권하여 [[사회주의/국가 목록|사회주의 공화국]]으로 체제를 전환하기 이전의 과도기에만 입헌군주제를 유지한 반면, CPN-UML은 민주적인 선거를 통해 권력을 획득했다.]) * 32대: [[셰르 바하두르 데우바]] 1995년~1997년 (네팔 회의) * (27대): 로켄드라 바하두르 찬드 1997년 (국민민주당-찬드) * (24대): 수르야 바하두르 타파 1997년~1998년 ([[국민민주당(네팔)|국민민주당]][* 국민민주당-찬드와는 별개의 정당이다.]) * (30대): 기리자 프라사드 코이랄라 1998년~1999년 (네팔 회의) * (29대): 크리슈나 프라사드 바타라이 1999년~2000년 (네팔 회의) * (30대): 기리자 프라사드 코이랄라 2000년~2001년 (네팔 회의) * (32대): [[셰르 바하두르 데우바]] 2001년~2002년 (네팔 회의) * [[갸넨드라]] 왕의 직접 통치: 2002년 * (27대): 로켄드라 바하두르 찬드 2002년~2003년 (국민민주당) * (24대): 수르야 바하두르 타파 2003년~2004년 (국민민주당) * (32대): [[셰르 바하두르 데우바]][* [[2005년]] [[갸넨드라]] 왕의 [[친위 쿠데타]]로 인해 실각했다.] 2004년~2005년 (NC-D[* 네팔 회의(민주). [[영어|영문]] 명칭은 Nepali Congress (Democratic).][* [[2002년]]에 [[네팔 회의]] 탈당파가 창당한 당으로, [[2007년]]에 네팔 회의에 다시 흡수되었다.]) * [[갸넨드라]] 왕의 직접 통치[* 총리를 해임하고 의회를 해산한 후, 헌법까지 정지시키며 전제군주제로 회귀하려 했으나, [[네팔 공산당(마오주의 센터)|마오이스트 반군]]이 수도 [[카트만두]]까지 위협할 정도로 급성장하고 합법적으로 활동하던 정당들마저 왕정 폐지를 외치는 결과를 초래했다.]: 2005년~2006년 * (30대): 기리자 프라사드 코이랄라[* 마오이스트 반군과 민주화 세력의 협공으로 인해 궁지에 몰린 갸넨드라 왕이 항복을 선언한 후, 왕정 존속 여부에 관한 [[국민투표]]가 실시될 때까지 과도내각을 이끌었다.] 2006년~2008년 (네팔 회의) === 네팔 연방민주공화국 === [[2008년]] [[국민투표]]에서 왕정 폐지가 확정되면서, [[네팔]]은 [[공화국]]이 되었다. * (30대): 기리자 프라사드 코이랄라[* 왕정 폐지가 확정된 후, 새로운 내각이 구성되기 전까지 과도내각을 이끌었다.] 2008년 ([[네팔 회의]]) * 33대: [[푸슈파 카말 다할]][* 마오이스트 반군 지도자였으나, 스스로 무장해제를 선언하고 [[2008년]] 총선에 참가하여 승리함으로써, '''세계 최초로 민주적인 선거를 통해 [[마오주의]] 정권을 수립했다.'''] 2008년~2009년 ([[네팔 공산당(마오주의 센터)|UCPN-M]][* 네팔 통합공산당(마오주의). [[영어|영문]] 명칭은 Unified Communist Party of Nepal (Maoist).]) * 34대: 마다브 쿠마르 네팔 2009년~2011년 ([[네팔 공산당(통합 마르크스-레닌주의)|CPN-UML]]) * 35대: 잘라 나트 카날 2011년 (CPN-UML) * 36대: 바부람 바타라이 2011년~2013년 (UCPN-M) * 대행: 킬 라즈 레그미 2013년~2014년 ([[무소속]]) * 37대: 수실 코이랄라 2014년~2015년 (네팔 회의) * 38대: [[카드가 프라사드 올리]] 2015년~2016년 (CPN-UML) * (33대): [[푸슈파 카말 다할]] 2016년~2017년 ([[네팔 공산당(마오주의 센터)|CPN-MC]]) * (32대): [[셰르 바하두르 데우바]][* [[2005년]] [[갸넨드라]] 왕의 [[친위 쿠데타]]로 인해 실각한 후 '''12년'''만에 총리직에 복귀했다.] 2017년~2018년 (네팔 회의) * (38대): [[카드가 프라사드 올리]] 2018년~2021년 ([[네팔 공산당(2018년)|네팔 공산당]][* [[2021년]]에 해산되었고, 올리 총리는 [[네팔 공산당(통합 마르크스-레닌주의)|CPN-UML]]을 재창당하여, 해당 정당 소속으로 [[소수정부]]를 이끌었다.]) * (32대): [[셰르 바하두르 데우바]] 2021년~2022년 (네팔 회의) * (33대): [[푸슈파 카말 다할]] 2022년~현재 (CPN-MC) == 둘러보기 == [include(틀:총리 및 수상 일람)] == 관련 문서 == * [[네팔 대통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