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include(틀:하스스톤/모험모드 최종보스)] ||<-6>
|| || '''한글명''' || 네파리안 ||<-4><|8> [[파일:external/img4.wikia.nocookie.net/300px-Nefarian.png|width=200]] || || '''영문명''' || Nefarian || || '''카드 세트''' || 검은바위 산 || || '''카드 종류''' || 하수인 || || '''등급''' || {{{#ffa500 전설}}} || || '''직업 제한''' || {{{#black 공용}}} || || '''종족''' || 용족 || || '''[[http://img1.wikia.nocookie.net/__cb20150331185831/hearthstone/images/3/30/Nefarian.gif|황금 카드]]''' || 제작 || || '''비용''' || 9 || '''공격력''' || 8 || '''생명력''' || 8 || || '''효과''' ||<-5>'''전투의 함성''' : ''상대편 직업''의 무작위 주문 둘을 내 손으로 가져옵니다. || || '''플레이버 텍스트''' ||<-5>왠지 '''[[사제(하스스톤)/덱 일람/사적|사제가 애용]]'''할 것 같은 카드입니다.[br]''(They call him "Blackwing" because he's a black dragon...... and he's got wings.)''[* 그들은 네파리안을 "검은날개"라고 부릅니다. 왜냐하면 그는 검은용이고... 날개를 가졌기 때문이죠.][* 워크래프트에서는 별명이 이름 앞에(영어는 이름 뒤에) 붙여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파괴자''' 데스윙(Deathwing '''the Destroyer''')이라고 불리듯이, 네파리안은 '''검은날개''' 네파리안(Nefarian '''the Blackwing''')이라고 불린다.] || 상대의 직업에 따라 소환대사가 모두 다르다. 이 대사는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오리지널 시절, [[네파리안|네파리안이 보스로 등장한 검은날개 둥지]]에서 특정 직업군을 지목하면서 그 능력을 활용하던 패턴을 옮긴 것.[* 네파리안은 무작위 아군을 대상으로 직업에 따라 다른 디버프를 거는 기술을 가지고 있었다. 마법사, 흑마법사, 도적의 대사는 와우와 완전히 같고 나머지는 원판과 좀 다른데, 예를 들어 전사를 강제로 피해를 더 받는 광폭 태세로 전환시키거나, 원거리 딜러인 사냥꾼의 원거리 무기를 깨뜨리는 짓을 저질렀기 때문. 이런 것들은 레이드 보스로서 들고 나온 스킬이라 하스스톤에 이식되지는 않았다.] > '''소환''' > - [[전사(하스스톤)|전사]]: 전사여, 네 힘이 곧 네 약점이 되리라! ''(Warrior, your strength becomes your weakness!)'' > - [[주술사(하스스톤)|주술사]]: 정령들은 이제 내게 복종한다, 주술사여. ''(Shaman, the elements obey me now.)'' > - [[도적(하스스톤)|도적]]: 도적이라고? 숨어 다니지만 말고 나와서 내게 맞서라! ''(Rogue, stop hiding and face me!)'' > - [[성기사(하스스톤)|성기사]]: 성기사라, 빛의 힘 없이도 싸울 수 있겠느냐? ''(Paladin, does the Light forsake you?)'' > - [[사냥꾼(하스스톤)|사냥꾼]]: 사냥꾼이라… 사냥감이 더 낫겠군! ''(The hunter becomes the hunted!)'' > - [[드루이드(하스스톤)|드루이드]]: 자연의 힘을 부리는 건 나다, 드루이드여. ''(Druid, the wild is mine to control.)'' > - [[흑마법사(하스스톤)|흑마법사]][* 흑마법사 전설카드인 자락서스가 있을 시 이 대사를 사용한다.]: 흑마법사여, 네가 이해하지도 못하는 마법을 가지고 장난을 쳐서야 쓰나. ''(Warlock, you play magic beyond your understanding.)'' > - [[마법사(하스스톤)|마법사]]: 마법사인가? 마법을 가지고 장난칠 상대를 고를 때는 좀 더 신중했어야지. ''(Mage, you should be more careful when you play with magic.)'' > - [[사제(하스스톤)|사제]]: 사제여, 빛은 이제 날 섬긴다! ''(Priest, the light serves me now!)'' > - 특수 영웅[* [[청지기 이그젝큐투스]]의 죽메로 소환되는 라그나로스, 악마사냥꾼, 죽음의 기사, 이중 직업, 기타 정해진 직업이 없는 영웅.]: 네 능력은 이제 내 것이다. ''(Your magic is mine.)'' >'''공격''': 게임을 시작하자. ''(Let the games begin.)'' 최종 보상이자 숨겨진 연구실 지구의 보상 카드. 성우는 [[최한]]. 소환 시 음악은 [[대격변]] 시네마틱 트레일러 배경음악이다. [[https://youtu.be/jLw5MX7bZqI?t=54|54초부터]]. 원본과는 달리 합창이 없다. === 꼬리 휩쓸기 === ||<-3>
|| || '''한글명''' || 꼬리 휩쓸기 ||<|9> [[파일:external/media-hearth.cursecdn.com/14658.png|width=200]] || || '''영문명''' || Tail Swipe || || '''카드 세트''' || 검은바위 산 || || '''카드 종류''' || 주문(토큰) || || '''등급''' || {{{#black 기본}}} || || '''직업 제한''' || {{{#black 공용}}} || || '''속성''' || - || || '''[[https://media-hearth.cursecdn.com/avatars/328/363/14658.gif|황금 카드]]''' || 황금 네파리안의 전투의 함성 || || '''비용''' || 4 || || '''효과''' ||<-2>피해를 4 줍니다. || 상대가 청지기에 의해서 라그나로스로 변신한 상태와 같이 직업 제한이 중립인 우두머리에 한해서 네파리안을 내보내면, 이 카드를 2장 가지고 온다. 비용 4에 4피해라니 무슨 쓰레기 같은 카드를 주냐고 할 수 있겠지만 다음 턴에 이거 두장을 그대로 명치에 꽂으면 라그가 죽는 적절한 피해량을 가지고 있다. 물론 상대가 얼음 방패를 걸어놓았다면… 모험 모드 [[검은바위 산]]에서 군주 빅터 네파리우스, 네파리안이 사용한다. 4코스트 피해 4라는, 화염구나 필사의 일격보다도 구린 굉장히 이례적인 주문 카드인 덕분에 네파리안은 생명력이 높은 하수인이 뜨면 굉장히 난감해한다. == 평가 == 검은바위 산 공용 전설 카드. [[검은날개 둥지]]의 최종보스이자, [[데스윙]]의 아들인 '''검은날개 [[네파리안]]'''이다. 9코스트의 용의 위상, 남매 [[오닉시아]]와 같이 공체합 16의 준수한 용족 스탯을 가졌고, 소환 시 전함으로 상대 '''직업'''의 주문 카드를 두 장 가져온다. 이는 상대 덱에 들어있는 주문과는 전혀 상관없이 상대 직업 내의 모든 주문 중 무작위로 둘을 가져오는 것이다. 이 효과가 상당히 골때려서, 드루이드에게서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hearthstone&no=798541|자군야포를 가져오는가 하면]],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hearthstone&no=789618|무기도 없는 영웅이 맹독, 폭칼을 얻기도 한다]]. [ 이건 정말,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hearthstone&no=732918&page=1&exception_mode=recommend|정말 뜬금없이 일어나서]] 이것만 모아둔 클립 영상도 있을 정도다. 상대 영웅이 군주 자락서스나 라그나로스로 교체됐을 때 소환하면 [[https://youtu.be/2bI3aX2TWcg?t=20s|각각 흑마법사의 주문카드와, 네파리안이 모험모드에서 사용한 꼬리 휩쓸기(4마나, 4의 피해를 줍니다.)가 들어온다.]] [[https://youtu.be/ZAKVPtYzVvk|한국 유저의 실험영상]] 어떤 카드를 복제해 오느냐에 따라 키 카드가 될 수도 있고 예능 카드가 될 수도 있지만, 기본적인 깡 능력치를 생각하면 한 번쯤은 도박을 시도해 볼 만하다. 용족덱이라면 시너지를 위해 손에 한 장쯤 무거운 용족 카드를 들고 진행할 필요가 있으므로 네파리안이 그 자리를 차지한다고 나쁠 것은 없다. 사제의 경우 생각 훔치기를 사용하면 저렴하게 상대의 덱에서 2장을 카피해 오기 때문에 메리트가 적어 보이지만, 네파리안의 경우 상대방 덱에 없을 수도 있는 그 직업 주문카드를 랜덤으로 골라오기 때문에 보다 그와 차별된다. [[검은바위 산]]까지는 생성 카드가 한정적이라서 네파리안의 기용 여부를 논의할 수 있었지만, 지금의 하스스톤은 값싼 비용의 생성 카드가 넘쳐나기에 이젠 무작위 용족 당첨 카드일 뿐, 덱에 기용되진 않는다. === [[이세라(하스스톤)|이세라]]와의 비교 === 이세라와 네파리안은 9코스트 용족이자 변수 창조용으로 같은 위치를 공유한다. 만약 방밀같은 빅덱이나 용덱에서 다른 카드는 다 있지만 이세라가 없다면 부분적으로 대체가 가능한데, 둘 다 후반에 높은 공체합을 가진 하수인을 내면서 덱과 핸드를 보충하는 용도라는 점에서 비슷한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물론 이세라가 나이사도 안 맞고 카드들도 더 안정적이지만, 네파 특유의 변수창조가 빛을 발할 때도 있고, 저격기를 맞지않고 하수인 교환을 한다면 공격력이 더 높은 네파가 유리하다. 더군다나 턴 종료시에 카드를 가져오는 이세라와는 달리 네파리안은 소환 즉시 2장을 가져오기 때문에 소환한 턴에 가져갈 수 있는 이득이 있을 확률이 더 높다. 다만, 중복되는 용도의 고코스트 하수인을 넣기는 어렵기 때문에, 이세라가 만들어지면 극단적인 덱이거나 유저 취향이 아닌 이상 도박성이 높고, 스텟도 이래저래 안정성이 떨어지는 네파가 보통 버려진다. 그렇지만 나이사 및 침묵 너프 이후에 네파리안의 생존력이 예전보다는 올라간 상황. 소환한 다음 턴 바로 사술이나 변이 등을 맞는다고 가정했을 경우 결론적으로 무작위 주문 2장이 1장의 꿈 카드보다 효율이 더 좋다고 판단되는 사람은 충분히 고려해볼만한 상황.[* 예전엔 나이사 때문에 네파리안은 쉽게 정리되었지만 너프 이후엔 그리 제압이 간단하진 않다. 옛날에는 나이사 사정권 안의 하수인이면 생존이 힘들다고 여겼는 데 요즘은 그것이 크게 작용하지 않아 현재는 이세라든 네파리안이든 둘 다 까다롭다. 단, 템포가 극히 중요해진 고신속 부터는 즉발 이득이 있는 네파리안이 크게 선호되는 편.] 가져온 카드 중 무기강화에 관련된 카드가 가장 함정으로 평가 받지만 용방밀이 쓴다면 이 단점도 완벽 해결. 용족덱에서도 무기를 채용하는 방밀이나 성기사 정도 밖에 안쓰는 카드가 되었다. === 기타 === 대부분의 전설 카드처럼 특수한 연출이 존재하는데, 소환할 때 화면을 가로지르며 거대한 용의 그림자가 지나간다. [[데스윙|아버지]]의 리메이크판인 [[데스윙(하스스톤)#s-2|용족의 군주 데스윙]]의 죽음의 메아리 발동 애니메이션과 상당히 유사한 편.[* 이쪽은 용 군단의 그림자가 지나간다.] 불모의 땅 이후로 찐따 취급을 받는 경우가 잦아졌는데, 본인은 [[대군주 룬탁]]한테 머리가 따였다고 언급만 된 반면, [[파괴자 데스윙|아버지]]와 [[무리어미 오닉시아|여동생]]이 정규전에서 리메이크로 돌아오는 것도 모자라서, 심지어 기존에 데스윙만 있던 영웅 스킨이 오닉시아에게도 주어지면서 본인만 영웅 스킨이 없고, 한술 더 떠서 라이벌인 [[라그나로스]] 까지 주술사 스킨으로 등장하면서 버린 자식, 찐따라는 평가가 생겨나고 있다. == 관련 문서 == * [[네파리안]]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하스스톤/카드일람/검은바위 산/전설 등급, version=38)] [[분류:하스스톤/카드/용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