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미연합국/인물]][[분류:1821년 출생]][[분류:1877년 사망]][[분류:남북전쟁/군인]][[분류:마셜 카운티(테네시) 출신 인물]][[분류:미국의 정치인]][[분류:당뇨병으로 죽은 인물]] ||<-2> '''{{{+1 네이선 베드포드 포레스트}}}[br]Nathan Bedford Forrest'''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athan_B._Forrest.jpg|width=100%]]}}} || ||<|2> '''출생''' ||[[1821년]] [[7월 13일]]|| ||미국 [[테네시]] 채플 힐[* Chapel Hill, Tennessee]|| ||<|2> '''사망''' ||[[1877년]] [[10월 29일]] (향년 56세)|| ||미국 [[테네시]] [[멤피스(미국)|멤피스]]||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파일:아메리카 연합국 국기(1865).svg|width=28]] [[아메리카 연합국]]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신체''' ||188cm, 82kg|| || '''직업''' ||군인, 노예상, 정치인|| || '''소속''' ||(前)아메리카 연합군 육군[br][[쿠 클럭스 클랜]]|| || '''별명''' ||안장의 마법사|| [목차] [clearfix] == 개요 == 네이선 베드퍼드 포레스트는 [[아메리카 연합국]] 중장으로, 기병을 이끌고 [[남북전쟁]]에서 활약했다. [[쿠 클럭스 클랜]]의 초대 회장이다. 말년에는 흑인 인권 운동에 동조하기도 했다. == 생애 == [[테네시주]]에서 1821년 탄생했다. 1841년 미시시피주에서 삼촌과 사업을 시작했으나 삼촌이 매틀록 형제들과 시비가 붙어 살해당하자 총으로 매틀록 형제 둘을 죽이고 둘을 칼로 부상을 입히기도 했다.[* 부상을 입고 살아남은 매틀록 형제 중 한 사람은 남북전쟁 당시 포레스트의 부대원이 되기도 했다.] 삼촌의 죽음에도 불구하고 포레스트는 사업을 키워나가 [[노예]] 매매, [[부동산]] 중개, 목화 농장 운영 등으로 [[미국 남부]] 최고의 부자 중 하나가 되기도 했다. [[남북전쟁]]이 발발하고 고향 테네시주가 연방을 탈퇴하자 막내 동생과 아들을 데리고 남군에 사병으로 입대한다. 테네시 주지사는 병역을 기피하던 대부분의 부자들과 달리 입대한 포레스트에 감명을 받았고, 마침 남군의 열악한 사정을 본 포레스트가 테네시 병사들을 위해 자비로 말과 무기를 사겠다는 제안을 하자 아예 자신의 부대를 만들 수 있도록 포레스트를 중령으로 진급시키고 기병 부대원들을 모집하고 훈련시킬 권한을 부여한다. 포레스트는 정규 군사 교육을 받은 적은 없었으나 천부적인 재능을 보여주며 남북전쟁의 가장 뛰어난 지휘관 중 하나로 꼽힐 정도로 대활약한다. 전투에서의 활약들은 물론이고 북군의 후방을 기습하여 북군 장군들을 포함해 많은 포로들을 잡거나 기반 시설을 파괴해 [[율리시스 그랜트]]의 작전에 많은 차질을 빚었다. 포레스트를 악마라고 불렀던 [[윌리엄 테쿰세 셔먼]]도 북군의 무어 장군과의 전투에서 포레스트가 전사했다는 잘못된 정보를 얻었을 때 무어 장군을 소장으로 진급시키고 자신의 후임으로 추천하겠다고 했을 정도로 포레스트의 기병대라면 아주 이를 갈았다. 기병을 지휘한 것을 감안할 때 신기하게도 잠깐이지만 북부 해군의 함선을 노획해 일종의 해군을 휘하에 두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항복한 북군 병사들(주로 흑인 병사들)이 학살당했다는 논란이 일어난 포트 필로우 전투가 일어나기도 했다. 그러나 남부의 패전을 막지는 못하고 [[로버트 리]] 장군의 항복 소식이 전해지자 포레스트도 항복했다. 이후 아칸소주 일대에서 철도를 부설하는 사업을 했고, 앨라바마주에서도 철도 사업을 했으나 말아먹고 테네시주로 돌아가 농장을 운영했다. 이후 1870년대 초 미국과 [[에스파냐]] 간 전운이 고조되자 자신과 남북전쟁 당시 싸웠던 셔먼에게 자신이 참전하여 셔먼을 돕겠다고 제안하기도 했다. 셔먼도 감사를 표하며 영광이라 답했으나, 전쟁이 나지 않아 불발되었다. 그렇게 지내던 도중 남군 출신들의 친목단체 [[쿠 클럭스 클랜]]의 초대 회장이 되었고, 이들을 이끌며 정치권에도 영향력을 행사하기도 했다. 그러나 쿠 클럭스 클랜이 점차 인종차별적으로 변질되며 흑인이나 공화당원들을 향한 린치로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자 이에 충격을 받은 포레스트가 쿠 클럭스 클랜 탈퇴나 해산을 시도했으나 뜻대로 되지 않았다. 포레스트는 이 때 흑인의 참정권이나 인권을 지지하는 연설[* 당시 이 연설이 [[뉴욕 타임즈]]에 보도되기도 했다.]을 하거나 흑인들의 행사에 참석하는 등 흑인 인권 운동에도 참여했다. 이후 1877년 [[당뇨]] 합병증으로 사망했으며, 수만 명의 남부인들과 흑인들의 애도 속에 장례식이 치러졌다. == 여담 == 포레스트의 증손자 미 공군 준장 네이선 베드퍼드 포레스트 3세는 [[세계 2차 대전]] 도중 [[제3제국|독일]]에서 전사했다. 이는 유럽 전선에서 미군 장군의 첫 전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