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유희왕/OCG/11기 부스터 팩 홀로그래픽 레어 카드)] [목차] == 개요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엑시즈 몬스터 카드. == 설명 == [[파일:天霆號アーゼウ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엑시즈=, 효과=, 한글판명칭=네가로기어 아제우스, 일어판명칭=天霆號(ネガロギア)アーゼウス, 영어판명칭=Divine Arsenal AA-Zeus - Sky Thunder, 속성=빛, 종족=기계족, 레벨=12, 공격력=3000, 수비력=3000, 소재=레벨 12 몬스터 × 2, 효과외1="네가로기어 아제우스"는\, 엑시즈 몬스터가 전투를 실행한 턴에 1번\, 자신 필드의 엑시즈 몬스터 위에 겹쳐 엑시즈 소환할 수도 있다., 효과1=①: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2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 이외의 필드의 카드를 전부 묘지로 보낸다. 이 효과는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다., 효과2=②: 1턴에 1번\, 이 카드 이외의 자신 필드의 카드가 전투 또는 상대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패 / 덱 / 엑스트라 덱에서 카드 1장을 고르고\, 이 카드 아래에 겹쳐 엑시즈 소재로 한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OCG=제한 카드, 마스터듀얼=제한 카드)] >'''"인류 최대 최후의 궁극적 일격으로 재앙을 격멸하거라!! 《네가로기어 아제우스》"'''[* 밸류어블 북 EX에서의 문구를 그대로 인용했다.] >---- >[[유사 쇼마]], [[유희왕 OCG 스트럭처즈]] 中 [[팬텀 레이지]]에서 등장한 범용 랭크 12 엑시즈 몬스터다. [[https://img.yugioh-card.com/japan/event/rankingduel/images/prize_2020-2nd-area.jpg|랭킹 듀얼 플레이매트]][* 해당 플레이매트에 적혀 있던 영문 'Divine Arsenal AA-Zeus - Sky Thunder'는 영문판 정발명에 그대로 쓰였다.]로 일러스트가 선행 공개되었던 카드로 당시부터 멋있는 모습으로 화제를 모았고, 나중에 공개된 [[드라이트론]]과 마찬가지로 일러스트가 [[카드파이트!! 뱅가드|뱅가드]] 같다는 이야기도 많았다. 일본어 이름에서 네가로기어를 루비로 얹고 있는 천정호는 뜻을 풀면 "하늘의 벼락이 부르짖다"[* 단 이때 "[[號]]"자는 부르짖다는 뜻보다 "이름, 칭호"일 가능성이 높다. 전함에게 "XX호"라는 이름이 붙는 것이 일반적이기도 한다.] 정도로 해석할 수 있다. 랭크 12 몬스터지만, 아무 엑시즈 몬스터가 전투를 실행했다면 그 턴에 이 카드로 엑시즈 체인지할 수 있는 효과 외 텍스트를 가지고 있어, 소환 난이도가 엄청나게 쉽다. 반드시 전투를 실행한 몬스터 위에 겹쳐야 하는 것도 아니라, 자신 몬스터든 상대 몬스터든 엑시즈 몬스터가 전투를 실행한 턴이라면 그 몬스터가 아닌 다른 엑시즈 몬스터 위에 겹쳐 소환할 수도 있다. 예컨대, 엑시즈 몬스터 1이 전투를 실행한 뒤 메인 페이즈 2에 다른 엑시즈 몬스터 2를 특수 소환했다면, 그 엑시즈 몬스터 2에 이 카드를 겹칠 수도 있다는 것. 심지어 엑시즈 몬스터 이외의 자신의 몬스터가 상대 엑시즈 몬스터와 전투를 시행한 후, 그 상대 몬스터를 소생시키거나 컨트롤을 뺏은 경우라도 엑시즈 몬스터 위에 이 카드를 겹칠 수 있다. 턴 중 어느 페이즈인지 명시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 턴 전투만 했다면 배틀 페이즈 중에 [[원더 엑시즈]]로 소환해서 추가타를 날릴 수도 있다. ①의 효과는 엑시즈 소재를 2개 제거해서 '''이 카드 이외의 필드의 카드를 전부 묘지로 보내는''' [[유발 즉시 효과]]. 대상 지정 내성 및 파괴 내성을 '''모두 뚫고 들어가며''', 마찬가지로 대성 지정 시 발동이나 파괴 시 발동 효과도 죄다 밟아버린다.[* 아제우스의 효과로 못 치우는 몬스터는 [[디 어라이벌 사이버스@이그니스터]]등의 완전 내성 몬스터들 혹은 '''비대상 내성'''을 지닌 [[사로스=에레스 쿠르누기아스]] 정도 뿐이다.] 심지어 '''턴 제약도 체인 제약도 없이 상대 턴에도 '소재가 있는 한 몇 번이고' 발동 가능'''한 최상급 프리 체인 효과다. 이 때문에 필드에 아제우스가 존재하는 이상 제 아무리 열심히 전개와 세트를 하건 아제우스의 효과 한 번에 깨끗하게 사라진다. 사실상 유희왕 최강의 매스 디나이얼인 것. 발매 전에는 유사한 프리 체인 필드 클린 효과를 가졌음에도 동일 체인 복수 발동이 불가능한 [[여휘사 벨즈뷰트]]와, 10기에 나왔고 동일 체인에서 복수 발동이 불가능함에도 동일 체인 발동 불가 텍스트가 없었던 [[소명의 신궁-아폴로우사]]&[[사령왕 도하스라]]의 존재 때문에 이 카드도 동일 체인 복수 발동 불가가 될 것이라 보는 의견이 많았으나, 정작 발매 후에는 어떻게 된 일인지 이 카드는 가능하다는 재정이 나왔다.[* 정황상 11기 들어서 이 카드처럼 동일 체인 복수 발동이 가능한 카드들은 아무것도 기재하지 않고, 불가능한 카드들은 동일 체인 발동 불가를 명시하기로 규정을 만들었으나 이 카드가 그 첫 타자가 되다 보니 혼란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아폴로우사와 도하스라 모두 재록되면서 '''"동일한 체인 위에서는 1번밖에 발동할 수 없다."'''류의 텍스트가 추가된 것이 그 증거이다.]--[[크로노다이버 리단]]을 이용해 아제우스를 말 그대로 신으로 만들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효과를 막는 것 자체는 가능하지만, 체인으로 효과를 막은 효과에 '''다시 체인해 한 번 더 발동'''이 가능하다. 즉 4소재 아제우스를 막기 위해서는 '''몬스터 효과 퍼미션이 2번 필요하다.''' 만약 6 소재라면 무려 3 퍼미션이 필요하다.[* 똑같이 동일 체인 복수 발동 가능한 [[다크 레퀴엠 엑시즈 드래곤]]은 3소재로만 소환해도 6소재 아제우스의 효과까지 완전 방어가 가능하다.] ②의 효과는 자신 필드의 카드가 전투나 상대 효과로 파괴될 경우 패 / 덱 / 엑스트라 덱에서 카드 1장을 골라 엑시즈 소재로 하는 [[유발 효과]]. 패뿐만 아니라 덱과 엑스트라 덱에서까지 소재를 조달해 올 수 있기 때문에 사실상 덱 덤핑 / 엑스트라 덱 덤핑까지도 간접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서치가 아니라 바로 엑시즈 소재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하루 우라라(유희왕)|하루 우라라]]에 막힐 일도 없다. 다만 [[유령토끼]]를 맞을 경우 이 카드가 파괴될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 간단한 소환 조건과 파격적인 효과를 가진 [[홀로그래픽 레어]]라는 특징 덕분에 공개되자마자 상당한 주목을 받았다. 발매 후에도 엑시즈 테마들이 불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카드로 자주 채용하는 편. 특히 후공에서 [[증식의 G]]를 맞아 제대로 된 전개를 할 수 없게 되었을 때 이 카드를 꺼내면 상대에게 많은 드로우를 주지 않으면서도 돌파 / 견제가 가능하다. 엑시즈 소환 덱 입장에선 [[No.41 이수마수 바구스카]] 이후 또 하나의 증식의 G 케어 카드가 생긴 셈. 물론 12레벨 몬스터를 2장 사용하는 정규 소환으로 뽑으면 선턴에도 꺼낼 수 있긴 하다. 하지만 소환에 제약이 없는 몬스터는 [[서브테러#서브테러마리스 바레스애시|서브테러마리스 바레스애시]] 정도밖에 없어서 결국 레벨 조정, 엑스트라 덱 몬스터, [[RUM]] 등이 필요할 텐데 이렇게 해서 소환하느니 차라리 다른 몬스터들을 꺼내는 것이 더욱 강력하다.[* [[Earth Machine]] 덱은 [[무한기동#무한기동 하비스터|무한기동 하비스터]]와 10레벨 [[열차(유희왕)|열차]] 몬스터를 레벨 조정 효과로 12레벨로 만들어 정규 소환하기도 한다.] 만약의 얘기지만 상대가 [[터미널 월드]]나 [[파르티안샷]]을 가지고 나오기라도 하면 [[원더 엑시즈]]가 없이는 이 카드의 룰 효과로 이 카드를 꺼낼 수 없다. 그 밖에는 소환 조건이나 효과와 가장 잘 어울리는 [[SNo.39 유토피아 더 라이트닝]]을 소재로 할 수 없어[* 유토피아 더 라이트닝은 전투 돌파에 특화되어 있고 자체적인 견제 능력은 전혀 없어 이 카드와 잘 맞을 것 같아 보이지만, 하필이면 '이 카드는 엑시즈 소환의 소재로 할 수 없다'는 제약이 붙어 있어 이 카드의 소재로 쓸 수가 없다.] 아쉽다는 평이 있다. 하지만 라이트닝 이외의 유토피아는 그러한 제약이 없기 때문에 할 것 다 하고 아제우스로 바꿔먹으면 그만이다. 일반적으로 가장 이 카드를 잘 활용하는 덱은 [[십이수(유희왕)|십이수]] 덱. 엑시즈 몬스터를 줄줄이 겹치는 십이수 덱에서는 이 카드가 엑시즈 소재를 4~6개 갖고 있을 때도 많기 때문에, 전체 비파괴 제거를 1턴에 2~3번이나 날릴 수 있는 위력적인 견제 카드가 된다. 특히 십이수 와일드보우는 상대에게 직접 공격이 가능하기 때문에, 십이수 몬스터 한 장으로 상대 필드 위 몬스터를 무시하고 2소재 이상의 아제우스를 뽑을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이다. 또한 [[사이버 드래곤(유희왕/카드군)|사이버 드래곤]] 덱에서도 빛 속성 / 기계족인 것을 활용하여 키메라테크나 다른 융합 소재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요, 지거의 효과를 받을 수 있는 데다 [[리미터 해제(유희왕)|리미터 해제]]의 혜택을 받기 때문에 용병으로 채용할 수 있는 여지는 충분하다. [[사이버 드래곤 노바]]에서 이 카드가 튀어나오는 것도 가능하다. 범용 몬스터를 통해 소환할 경우, [[직접 공격 몬스터|직접 공격이 가능하거나]] 전투 파괴 내성이 갖춰진 엑시즈 몬스터를 통해 소환하는 경우가 많다. 여기에 더해 같이 엑시즈 몬스터 위에 겹쳐서 꺼낼 수 있는 엑시즈 몬스터들도 가볍게 엑시즈 소재를 1개 늘려주기 때문에 1장씩 같이 채용되며, 특히 [[다우너드 매지션]]은 1~3축에서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몸값이 급등하기도 했다.[* 기본적으로 몬스터 2장으로 소환한 엑시즈 몬스터에 바로 겹치면 소재 3개로 효과를 1번밖에 못 쓴다. ②의 효과로 엑시즈 소재를 보충할 기회는 그리 많지 않기 때문에 다우너드 같이 손쉽게 소재 4개를 만들어주는 카드는 효용성이 매우 높다.] 또한 엑시즈 소환 테마 덱 간의 듀얼에서 기존에도 강력하다는 평가를 받던 컨트롤 탈취 효과가 특히 더 강하게 작용하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 대표적으로 [[삼전의 재]], [[No.11 빅 아이]], [[마음의 변화]]가 있는데, 이 효과들로 뺏은 상대의 엑시즈 몬스터를 내 아제우스로 바꿔버리면서 컨트롤을 돌려주지 않고 압박하는 플레이가 가능하다. 특히 아제우스는 엑시즈 위주 덱이 아니더라도 범용성을 보고 깔개용 엑시즈 몬스터와 함께 넣는 경우도 많아 꽤 자주 볼 수 있는 플레이다. 이처럼 후공 돌파에 매우 강력하다는 메리트 덕분에 수많은 덱들이 채용했고, 엑덱에 여유가 좀 있는 덱은 대부분 아제우스와 아제우스의 소환을 위한 엑시즈 몬스터 하나둘 정도는 고정으로 넣을 정도. 그 강력함을 입증받아 [[리미트 레귤레이션/OCG/2021년 10월|2021년 10월 1일]]자로 '''제한 카드'''로 등극되었다. 다만 이 카드는 원래부터 후공 돌파용으로 한 장만 넣는 경우가 많아서 금제의 여파는 상대적으로 적은 편. 애당초 아제우스를 2장 이상 뽑아야 할 정도라면 이미 게임의 주도권이 상대에게 있는 상황일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그런 이 카드도 장점만 있는 카드인 건 아니다. 일부 유저들 사이에선 덱에 투입하고도 생각보다 잘 안 쓰게 된다는 평도 있는데, 이는 앞서 말했듯 이 카드가 '자신이 불리한 상황' 혹은 '첫 턴 빌드가 무너진 상황'일 때 비로소 의미가 있는 카드이기 때문. 실제로도 이 카드의 특수 엑시즈 소환은 엑시즈 몬스터가 전투를 실행한 턴에만 가능하다는 조건상 메인 페이즈 1이나 선공 첫 턴에는 할 수 없으며, 이 카드 자체도 그 효과 특성상 빌드의 일부로서 다른 몬스터와 함께 늘어놓는 게 무의미하다. 게다가 ①의 효과로 최대한 이득을 보기 위해서는 내 필드보다 상대 필드에 카드가 더 많아야 하는데, 상식적으로 이렇게까지 필드를 내줘버린 상황이라면 상대도 아제우스에게 체인 하나쯤은 충분히 걸 수 있다는 뜻이다. 게다가 아제우스 자체에는 퍼미션이나 내성이 없다 보니 생각보다 쉽게 제압당하는 것도 단점. 이렇다 보니 이 카드가 등판해서 온전히 효과로 이득을 볼 수준이면 이미 게임이 기울어졌다는 뜻이기에, 이 카드 없이도 충분히 게임을 끌어갈 수 있거나, 선공 전개에 특화된 덱 입장에선 자연히 이 카드를 꺼낼 타이밍이 나오지 않는 것이다. 결국 어지간히 패가 말려서 다른 선택지가 없거나 아니면 승기를 굳힐 때에나 소환할 만한 몬스터. 그래도 게임이 길어질 때 서로 탑드로만을 가지고 아드 싸움을 하게 되면 강력함을 통감할 수 있는 카드로, 많은 덱에서 이 카드를 넣기 위해 엑스트라 덱의 3장 정도를[* 보통 n축 엑시즈 + 특정 랭크의 엑시즈 몬스터 위에 겹쳐 소환이 가능한 소환 조건의 다우너드 매지션, 신뢰의 기사 가이아 드라군 등을 활용한다.] 할애하며, 일단 소환에 성공하면 게임을 역전하는 데도 유능한 카드다. 한글판 홀로그래픽 레어에서 유난히 오류가 많이 발생했다. 홀로그래픽 처리가 일러스트와 어긋나게 밀려있는 공정 하자 제품이 상당한 듯. 일명 [[유체이탈]] 홀로. [[유희왕 듀얼링크스]]의 스피드 듀얼엔 메인 페이즈2가 없어서 자체 특수 소환 관련 텍스트 삭제 없이는 출시는 힘들어 보이나, [[원더 엑시즈]]와 같은 프리 체인 엑시즈 실행 효과를 사용하면 '전투를 실행한 엑시즈 몬스터 위 겹쳐 소환'은 가능하기 때문에 문제는 없다. [[파일:유희왕 마듀 아제우스 라투디.gif|width=600]]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는 Live 2D 연출이 적용되었다. >{{{#8b00ff {{{+1 '''신조차도 죽이는 최종 병기'''}}}}}} >위협에 대항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은, 얄궂게도 [[제우스|신의 이름]]을 딴 마물이었다. 천정(天霆)의 이름으로 불리듯이, 그 번개는 하늘을 불태우고, 별을 부수며, 신을 죽인다. 『인류 최대 최후의 궁극적 일격으로 재앙을 격멸해야 한다――』『반공 병기 AA-[[제우스|ZEUS]]』는 몇 번이나 되는 멸망 끝에 인류가 도달한, 운명을 거스르고, 모든 것을 멸할 12번째 창이로다. >---- >'밸류어블 북 EX' 中 OCG에서의 강력한 위용처럼 설정 또한 압박적인데, 여러 번의 절멸 끝에 인류가 12번째로 만들어낸 신을 대적할 무기라고 한다. '제우스'의 이름 또한 신살자로서의 위치로서 의도한 것으로, 내뿜은 번개는 신조차 죽일 정도로 강력하다는 설정이 있다. [[유희왕 OCG 스트럭처즈]]에서는 [[유사 쇼마]]가 [[스트롱 쥬큐]]와의 2차전 듀얼 중 사용. 메인 페이즈 2에 [[스타링 나이트]]를 겹쳐 엑시즈 소환했다. 이후 쥬큐가 [[트라이브리게이드#트라이브리게이드 너벨|트라이브리게이드 너벨]]을 소환한 순간 ①의 효과를 발동하고, 여기에 체인하여 [[홀리나이츠#홀리나이츠 어드벤트|홀리나이츠 어드벤트]]를 발동하면서 필드를 날려버렸다. 하지만 바로 다음에 쥬큐는 대량 전개를 실시하면서 [[트라이브리게이드 흉조 슈라이그]]를 링크 소환하고, ①의 효과로 아제우스를 제외시켰다. ①의 효과명은 '네가로기어 카타스트로프([ruby(神滅の雷火, ruby=ネガロギア・カタストロフ)])'. [[맥스 팩토리]]에서 프라모델화가 결정되었다. 크기는 16cm로 일반적인 건프라 HG보다 약간 더 큰 편.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2020-11-1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PHRA-KR045 | '''[[팬텀 레이지]]'''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L)][include(틀:유희왕 레어도/H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SE)] || ||<(> 2020-08-0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PHRA-JP045 | '''[[팬텀 레이지|PHANTOM RAG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L)][include(틀:유희왕 레어도/H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SE)] || ||<(> 2022-12-2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UB1-JPS03 | '''[[시크릿 유틸리티 박스|SECRET UTILITY BOX]]'''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Blue)] || ||<(> 2020-11-06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PHRA-EN045 | '''[[팬텀 레이지|Phantom Rag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TAR)] || ||<(> 2021-10-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MP21-EN195 | '''2021 Tin of Ancient Battle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22-02-23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OP18-EN002 | '''OTS Tournament Pack 18'''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L)] || === 네타화 === 첫 공개 방송 당시에 [[메르피#두근두근 메르피즈|두근두근 메르피즈]]와 같이 공개되었는데, 두근두근 메르피즈로 직접 공격을 하고 이 카드를 소환하면 딱인지라 엮이기 시작했다. 그렇게 붙은 별명이 '''"두근두근 아제우스"'''. [[https://blog.naver.com/whwjdgnsqe/222043373836|메르피의 일원 취급을 받거나]], [[https://arca.live/b/yugioh/43558187?mode=best|아예 메르피가 아제우스로 변신해버린다.]] [[레인 패터슨|처음 겪어본 사람]]이라면 [[https://www.youtube.com/watch?v=UCsO_IzvSMY|꽤 놀란다.]]([[https://youtu.be/Pcv86_WUd3A?t=23|한글자막]]) 그 외에도 엑시즈 몬스터기만 하면 뭐든 올라타고 나올 수 있는 특성 상 [[군관(유희왕)|초밥]] 등에 한 대 툭 맞았더니 [[https://www.pixiv.net/artworks/97629679|뜬금없이 거대 로봇으로 변신해버리는]] 묘하게 아스트랄한 상황이 종종 농담거리로 쓰인다. [[엑소시스터]]나 [[이빌트윈]] 같은 소위 미소녀 덱에서도 아제우스를 많이 써서인지, 종종 최고의 미소녀라는 둥 드립의 희생이 되기도 한다. 또 단순 카드 일러로 소모되기엔 멋있는 디자인 덕에 다른 메카물 작품과 합성 소재가 되기도 한다. 한편 사실상 엑시즈 몬스터가 나왔다 하면 그 턴의 메인 페이즈 2에 엔간해서는 이 몬스터가 나오는지라 [[잠재적 가해자]]랑 엮어서 모든 엑시즈 몬스터는 잠재적 아제우스라고 하는 농담도 존재한다. 농담만은 아닌 것이, 이 카드 때문에 잡카에 불과했던 가이아 드라군이나 다우너드 매지션, 직접 공격/파괴 내성을 가진 모든 엑시즈 몬스터들이 재평가받았기 때문이다. 특히 이들이 거의 다 제알 시대에 슈퍼 레어로 나온 데다 재판도 안 되었기 때문에 '''아제우스 본체'''보다 비싸져 배보다 배꼽이 더 크게 되었으며, 이 카드가 아니면 절대로 안 쓸 카드인 [[다우너드 매지션]]이 레어리티 컬렉션에 재록되게 만들었다. 때문에 [[다우너드 매지션]]은 '''아제우스 파일럿'''이라는 별명이 붙으며, 다크 리벨리온 드래곤과 패왕흑룡 오드아이즈 리벨리온 드래곤-오버로드는 4축 아제우스 파일럿이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 === 같이 사용할 만할 몬스터 일람 === ● 직접 공격 * [[LL#LL-어셈블리 나이팅게일|LL-어셈블리 나이팅게일]](레벨 1 × 2장 이상) → [[다우너드 매지션]] * [[메르피#두근두근 메르피즈|두근두근 메르피즈]](야수족 레벨 2 × 2장 이상) * [[No.82 하트랜드라코]](레벨 4 × 2) * [[십이수]] 엑시즈 몬스터 → [[십이수#십이수 와일드보우|십이수 와일드보우]][* OCG 금제 기준 아무 십이수 몬스터 1장만으로 5소재 아제우스를 꺼낼 수 있으며 [[십이수 드란시아]]가 제한으로 살아있는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는 6소재 아제우스가 가능하다. 소환 조건이 레벨 4 × 2인 십이수 라이카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OCG에서도 6소재 아제우스가 가능하다.] * [[No.28 타이타닉 모스]](레벨 7 × 2) * [[No.23 명계의 영기사 란슬롯]](레벨 8 × 2) → [[No.84 페인 게이너]] → [[No.77 더 세븐 신즈]] ● 전투 파괴 내성/파괴 내성 * [[샤이니트 매지션]](레벨 1 × 2) → [[다우너드 매지션]] * [[흘려듣는 풍조]](레벨 1 × 2) * [[하늘의 기병 세인토레아]](레벨 2 × 2) → [[다우너드 매지션]] * [[전뇌계#전뇌계갑-쟈쟈|전뇌계갑-쟈쟈]](레벨 3 × 2) * [[DDD(유희왕/카드군)#DDD 반석왕 다리우스|DDD 반석왕 다리우스]](악마족 레벨 3 × 2) → [[DDD(유희왕/카드군)#DDD 사치왕 데스 마키나|DDD 사치왕 데스 마키나]] → [[No.77 더 세븐 신즈]] * [[No.101 사일런트 아너즈 아크 나이트]](레벨 4 × 2) * [[네필 어사일럼 헤트 나이트]][* 필드에 No. 몬스터가 있어야지만 전투로 파괴되지 않는다.](레벨 5 × 2) → [[CX-네필 어사일럼 카오스 나이트]] → [[CNo.101 사일런트 아너즈 다크 나이트]] → [[FA-크리스탈 제로 랜서]]/[[CX 기망황 바리언]] * [[데몬 초월]](레벨 6 × 2) * [[환상수기 드래고사크]](레벨 7 × 2) * [[시오르페골 딩기르수]](레벨 8 × 2) → [[No.84 페인 게이너]] → [[No.77 더 세븐 신즈]] ● 기타 * [[기간틱 스프라이트]](레벨 2×2)[* 주로 령사 링크 몬스터로 상대 묘지의 2레벨 몬스터를 퍼온 후 둘이 엑시즈 소환해 공격력 3200으로 만들어서 전투한다.] → [[다우너드 매지션]] * [[다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레벨 4 × 2) → [[패왕흑룡 오드아이즈 리벨리온 드래곤-오버로드]] * [[DDD(유희왕/카드군)#DDD 노도왕 시져|DDD 노도왕 시져]](악마족 레벨 4 × 2) → [[DDD(유희왕/카드군)#DDD 저격왕 텔|DDD 저격왕 텔]](레벨 5 × 2) → [[DDD(유희왕/카드군)#DDD 사치왕 데스 마키나|DDD 사치왕 데스 마키나]] → [[No.77 더 세븐 신즈]] * [[No.41 이수마수 바구스카]](레벨 4 × 2)[* 수비 표시로 소환해서 한 턴을 버틴 후 다음 턴에 2소재 아제우스로 바꿔먹는 플레이를 자주 한다.] * [[No.62 갤럭시아이즈 프라임 포톤 드래곤]](레벨 8 × 2) → [[CNo.62 네오 갤럭시아이즈 프라임 포톤 드래곤]] → [[갤럭시아이즈 FA 포톤 드래곤]] * [[초노급포탑열차 구스타프 맥스]] / [[No.81 초노급포탑열차 슈페리어 도라]] / [[초거대 공중궁전 강가리다이]](레벨 10 × 2) → [[초노급포탑열차 저거너트 리베]][* [[No.27 노급전함-드레드노이드]](레벨 4 × 2)와 겸용할 경우 드레드노이드의 1번 효과만 발동시킨다면 소재 5개짜리 아제우스를 한 턴에 뽑아낼 수 있으며, 구스타프 맥스나 강가리다이와 혼용할 경우 소재 하나를 소모해 2000 데미지 혹은 1000 데미지를 가할 수 있다. 또한 드레드노이드는 소재 갯수가 2개 이상이기만 하면 제한이 없기에 이론상으론 소재 5개 드레드노이드를 통해 소재 '''8개''' 아제우스를 한 턴에 뽑아낼 수 있다.] * [[크샤트리라 어라이즈하트]](레벨 7 × 3 또는 효과를 발동한 '''크샤트리라 샹그릴라''' 위에 겹쳐서 소환)[* 어라이즈하트는 묘지로 보내지는 카드를 제외하는 효과와, 카드가 제외될 때마다 제외되어 있는 카드를 엑시즈 소재로 아래에 겹치는 효과를 지니고 있는데, '''턴 당 사용 횟수 제약이 없다.''' 한 체인 당 한 번 뿐이긴 하지만, 체인이 이어지지 않게 끊어서 쓰면 되는지라 턴 제약 없이 소재를 계속 쌓을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소재를 쌓을 수 있을 대로 쌓은 다음에 아제우스를 겹쳐서 소환하면 아제우스의 엑시즈 소재가 상당히 풍부해진다.] * [[넘버즈 에버이유]](4소재 No.84 페인 게이너->5소재 No.77 더 세븐 신즈->'''6소재''' 네가로기어 아제우스) * [[크로노다이버 리단]](레벨 4 × 2)[* 매 턴마다 상대의 덱 맨 위의 카드를 소재로 삼는 효과 있어 이론적으로는 상당히 많은 소재를 쌓을 수 있다.] [[분류:유희왕/OCG/기계족]][[분류:유희왕/OCG/엑시즈 소환]][[분류:유희왕/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