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다리(신체)]] [include(틀:근육)] ||
{{{#ffffff ''' ''femoral sheath'' '''}}}[br]{{{#ffffff ''' ''(넙다리혈관집, 하퇴근막)'' '''}}} || || [[파일:넙다리혈관집.gif|width=100%]] || || 오른쪽 넙다리혈관집과 주변 구조물들의 그림.[br]그림에서 하늘색으로 표시된 칸이 넙다리혈관집이 둘러싸는 구역이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넙다리혈관집(femoral sheath)은 넙다리혈관과 [[림프절]]을 싸고 있는 근막집으로, [[넙다리동맥]]과 [[넙다리정맥]]이 [[고샅인대]] 뒤에서 [[엉덩허리근]](iliopsoas muscle)과 [[두덩근]](pectineus muscle) 사이로 이어지는 구간을 주행할 때 넙다리혈관집이 나타난다. 즉, 넙다리혈관집이 나타나는 구간은 [[넙다리삼각]]이 나타나는 구간과 거의 일치한다.[* [[넙다리삼각]]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넙다리삼각의 바닥(base)이자 위쪽 경계는 고샅인대이고, 엉덩허리근과 두덩근은 넙다리삼각의 바닥면(floor)을 이루는 근육들이다.] 개정 이전 용어는 하퇴근막([[下]][[腿]][[筋]][[膜]][* [[아래 하]], [[넓적다리 퇴]], [[힘줄 근]], [[막 막]].]). == 구조 == 넙다리혈관집이 유래되는 구조는 겉쪽에 존재하는 배가로근막(transversalis fascia; transverse fascia)과 그보다 깊은 쪽에 존재하는 엉덩허리근막(iliopsoas fascia)이 넓적다리가 시작하는 부분, 즉 고샅인대의 밑에서 쭉 늘어나서 형성된 것이다. 이후 넙다리혈관집은 아래로 내려가면 넙다리혈관들의 혈관바깥막(tunica adventitia; tunica externa)[* [[조직학]]의 용어로, 혈관과 같은 장기를 둘러싸는 결합조직들의 가장 바깥층을 adventitia라고 부른다. 그 중에서도 혈관의 가장 바깥막은 특별히 tunica adventitia라고 지칭한다.]으로 변화한다. [[파일:넙다리혈관집모식도.png|width=100%]] 넙다리혈관집은 크게 가쪽(lateral), 중간(intermediate), 안쪽(medial), 세 개의 구획으로 나눌 수 있다. 각각의 구획을 나누는 기준이 되는 것은 세로 방향(vertical)으로 세워진 사이막들(septum)이다. 이 사이막들은 배에서부터 내려온 복막 바깥의 결합 조직들에서 유래한다. === 안의 구조물들 === 가장 위의 그림에서도 알 수 있듯, 넙다리신경은 이 혈관집 안에 들어있지 '''않다.''' 각각의 구획들이 포함하는 구조물들로는: (가쪽->안쪽 순서로 작성) * 가쪽 구획(lateral compartment) - 음부넙다리신경의 넙다리가지(femoral brannchof genitofemoral nerve), 넙다리동맥(femoral rtery). * 중간 구획(intermediate compartment) - 넙다리정맥(femoral vein). * 안쪽 구획(medial compartment) - 여러 림프절들(lymph nodes). 이때, 안쪽 구획을 따로 [[넙다리관]](femoral canal)이라고 이름 붙이고, 이 넙다리관의 위쪽 입구를 넙다리관구멍(femoral ring)이라고 부른다.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 참조. == 기능 == 넙다리혈관집은 넙다리혈관들이 자기 위치에서 고정되지 않고, 미끄러지듯 움직일 수 있게 한다. 이것은 혈관집 안에 있는 결합조직과 지방조직 등으로 인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