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M.C The Max의 앨범)] [목차] == 개요 == ||<-6>{{{#!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ircular.jpg|width=60%&align=center]]}}} || ||<-6> '''[[CIRCULAR|{{{#ffffff CIRCULAR}}}]]''' || || {{{#ffffff 트랙}}} || {{{#ffffff 곡명}}} || {{{#ffffff 러닝타임}}} || {{{#ffffff 작사}}} || {{{#ffffff 작곡}}} || {{{#ffffff 편곡}}} || || 2 || '''넘쳐흘러'''^^{{{#red TITLE}}}^^ ||<|2> 4:06 || [[이수(가수)|이수]] ||<|2> 김창락, 최한솔, 한경수 ||<|2> 최한솔, 한경수 || || 12 || '''넘쳐흘러 (Inst.)''' || - || == 뮤직비디오 및 음원 및 라이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27XtqR7B0c,width=100%,align=center)]}}}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eH6oY4pCQ8,width=100%,align=center)]}}} || || '''▲ 뮤직비디오''' || '''▲ 공식 음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dHUQb9tFWI,start=250,width=100%,align=center)]}}} || |||| '''▲ [[1theK|원더케이]] 스페셜 클립 라이브 영상''' || == 가사 및 옥타브 == ||
<:> {{{#white '''{{{+3 넘쳐흘러}}}'''}}}|| || 나는 그대를 뒤로 한 채로 우리 사랑을 놓아요 차오르는 추억을 헝클어트려 모두 일어나지 않았던 일처럼 고갤 저어 모르는 꿈이라 말하고 있네요 남았는지 모를 마음이 나를 향해 힘껏 달려도 어느 끝 멈춰질 그 거리에 '''{{{#yellowgreen 그}}}'''대 다 '''{{{#yellowgreen 찢}}}{{{#orange 겨}}}{{{#purple,#mediumpurple 져}}} {{{#yellowgreen 버}}}'''린[* [[이중 피동 표현]]이다.] '''{{{#purple,#mediumpurple 사}}}'''이 더 기'''{{{#yellowgreen 워}}}''' 봐'''{{{#yellowgreen 도}}}'''[* 이 '기워 봐도' 하는 가사가 이수 특유의 발음에 ㅎ을 섞는 버릇 때문에 ''''키'''워 봐도'로 착각을 하는 경우가 많아서 '깁다'라는 표현이 발라드에 잘 안 쓰여서 헷갈린 사람이 있는데 앞에 ' 찢겨진'과 연관지어 생각해보면 '옷을 꿰매는 것처럼 고쳐보려' 로 해석하는 것이 맞는다.]다시 그때로 우리 되돌려 놓을 수 없'''{{{#yellowgreen 는}}} {{{#purple,#mediumpurple 그}}}{{{#yellowgreen ㅡ}}} {{{#orange 얘}}}'''ㅡ기 '''{{{#orange 날}}}{{{#purple,#mediumpurple 카}}}{{{#yellowgreen 롭}}}'''게 '''{{{#purple,#mediumpurple 패}}}'''인 이 상'''{{{#yellowgreen 처가}}}''' 깊'''{{{#yellowgreen 어}}}''' 나을 수 없으니 떠나가요 떨궈진 눈물은 가슴에 담아지고 이제 더는 채울 자리 없이 넘쳐흐르네요 그대인지 모를 얼굴이 나를 향해 웃음 지어도 손 내밀 수도 없는 거리에 '''{{{#yellowgreen 그대}}}{{{#purple,#mediumpurple ㅡ}}}''' 또 '''{{{#yellowgreen 주}}}{{{#orange 저}}}{{{#purple,#mediumpurple 앉}}}{{{#yellowgreen 을}}}''' 수'''{{{#purple,#mediumpurple 밖}}}'''에 무너'''{{{#yellowgreen 진}}}''' 이 '''{{{#yellowgreen 사}}}'''랑과 그대의 모든 흔적을 그리워하'''{{{#yellowgreen 는}}} {{{#purple,#mediumpurple 일}}}{{{#yellowgreen ㅡ}}}{{{#orange 만}}}'''ㅡ이 '''{{{#orange 더}}} {{{#purple,#mediumpurple 할}}} {{{#yellowgreen 게}}}''' 없'''{{{#purple,#mediumpurple 어}}}'''서 무력'''{{{#yellowgreen 해져}}}''' 가'''{{{#yellowgreen 는}}}''' '''{{{#yellowgreen 내}}}'''가 '''{{{#yellowgreen 싫어}}}''' [* '''전조 : A → C'''] 그대를 보내기 '''{{{#yellowgreen 싫}}}{{{#green 지만}}}{{{#blue,#dodgerblue ㅡ}}}''' [* '''전조 : C → B♭'''] 다 {{{#green 찢}}}{{{#red 겨}}}{{{#blue,#dodgerblue 져}}} {{{#green 버}}}{{{#yellowgreen 린}}} {{{#blue,#dodgerblue 사}}}이 더 '''{{{#yellowgreen 기}}}{{{#green 워}}} {{{#yellowgreen 봐}}}{{{#green 도}}}''' 다시 그때로 우리 되돌려 놓'''{{{#yellowgreen 을}}} {{{#yellowgreen 수}}} {{{#yellowgreen 없}}}{{{#green 는}}} {{{#blue,#dodgerblue 그}}}{{{#green ㅡ}}} {{{#red 얘}}}'''ㅡ기 '''{{{#red 날}}}{{{#blue,#dodgerblue 카}}}{{{#green 롭}}}{{{#yellowgreen 게}}} {{{#blue,#dodgerblue 패}}}'''인 이 상'''{{{#green 처가}}} {{{#yellowgreen 깊}}}{{{#green 어}}}''' 나을 수 없으니 떠나가요 || ||2옥타브 라(A4) 구간은 '''{{{#yellowgreen 연두색}}}''', 2옥타브 라♯(A♯4) 구간은 '''{{{#green 초록색}}}''', 2옥타브 시(B4) 구간은 '''{{{#purple,#mediumpurple 보라색}}}''', 3옥타브 도(C5) 구간은 '''{{{#blue,#dodgerblue 파란색}}}''', 3옥타브 도♯(C♯5) 구간은 '''{{{#orange 주황색}}}''', 3옥타브 레(D5) 구간은 '''{{{#red 빨간색}}}''' '''볼드체가 아닌 색깔 텍스트는 가성 파트이다.''' || ### 음 높이 순서는 연두색 - 초록색 - 보라색 - 파란색 - 주황색 - 빨간색(최고음) == 곡 분석 == * 조성 : 가장조(A) → 다장조(C) → 내림나장조(B♭) * 최고음 : '''3옥타브 레(D5)''' [[어디에도]]와 비교하자면 최고음은 어디에도와 일치하지만 어디에도는 후렴구 길이가 넘쳐흘러의 2배인 데다가 중고음을 계속 유지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넘쳐흘러는 후렴구는 비교적 짧은 대신 어디에도보다 높은 고음이 여러 번 나오며[* 어디에도는 ''''기'억에 남아''' 부분에서 3옥타브가 나오긴 해도 거의 끝부분이라서 조금은 낫지만, 넘쳐흘러는 비교적 초입인 '''다 찢'겨'져 버린 사이''' 부분부터 쑥 올라간다.] [[그대가 분다]]처럼 쉬는 구간이 적고 음역 변동폭이 커서 삑사리 내기가 쉽다. 즉, 어디에도는 목이 지쳐서 완창이 힘들고, 넘쳐흘러는 실수하기가 쉬워서 완창이 힘들다. 그래도 7집 이후의 타이틀곡 중에서는 호흡 관리가 수월한 편이라 그대가 분다나 어디에도에 비하면 그나마 부르기 편하다.[* 같은 앨범의 수록곡 ~~겸 사실상 더블타이틀~~인 사계보다도 확실히 쉽다. 사계는 벌스부터 파사지오 파티에 호흡관리가 고문 수준이라…] 본인이 음역대는 충분한데 지구력과 호흡관리가 약점이라면 도전해 볼 만한 곡. 당연한 이야기지만 [[어디에도]], [[그대가 분다]], [[어김없이]], [[처음처럼(M.C The Max)|처음처럼]]같은 헬곡 때문에 난이도가 묻힌거지 [[행복하지 말아요]], [[입술의 말]], [[야생화(노래)|야생화]]같은 어렵기로 유명한 곡보다 좀 더 어려운 곡임을 잊지 말자. 기억의 빈자리, [[가슴 시린 날]], [[사랑이 식었다고 말해도 돼]]와 동급이라고 보면 될 듯하다. == 음원 성적 == ||<-3> [[멜론(음원 서비스)|[[파일:멜론 로고.svg|width=100]]]] [br] '''{{{#white 멜론 월간 차트 1위}}}''' || || {{{#white '''2018년 12월'''}}} || {{{#white '''2019년 1월'''}}} || {{{#white '''2019년 2월'''}}} || || [[파일:MINO_XX.jpg|width=70]][br]'''[[송민호|{{{#gray MINO}}}]]'''[br]'''[[XX(송민호)|{{{#gray 아낙네}}}]]''' || [[파일:Circular.jpg|height=70]][br]'''[[M.C The Max|{{{#white M.C The Max}}}]]'''[br]'''[[넘쳐흘러|{{{#white 넘쳐흘러}}}]]''' || [[파일:Woody1st.jpg|height=70]][br]'''[[우디(가수)|{{{#gray 우디}}}]]'''[br]'''[[우디(가수)#s-2.1|{{{#gray 이 노래가 클럽에서 나온다면}}}]]''' || ||<-5>
[[가온차트|[[파일:external/image.chosun.com/2015010800997_1.jpg|width=100]]]][br] '''{{{#blue 가온 디지털 차트 월간 1위}}}''' || || '''2018년 12월''' || '''2019년 1월''' || '''2019년 2월''' || || [[파일:MINO_XX.jpg|width=70]][br] || [[파일:Circular.jpg|width=70]][br] || [[파일:Woody1st.jpg|height=70]] [br] || || '''[[송민호|{{{#black MINO}}}]][br][[XX(송민호)|{{{#black 아낙네}}}]]''' || '''[[M.C The Max|{{{#black M.C The Max}}}]][br][[넘쳐흘러|{{{#black 넘쳐흘러}}}]]''' || '''[[우디(가수)|{{{#000000 우디}}}]][br][[우디(가수)#s-2.1|{{{#black 이 노래가 클럽에서 나온다면}}}]]''' || ||<-5>
[[가온차트|[[파일:external/image.chosun.com/2015010800997_1.jpg|width=100]]]][br] '''{{{#blue 가온 스트리밍 차트 월간 1위}}}''' || || '''2018년 12월''' || '''2019년 1월''' || '''2019년 2월''' || || [[파일:MINO_XX.jpg|width=70]][br] || [[파일:Circular.jpg|width=70]][br] || [[파일:Woody1st.jpg|height=70]] [br] || || '''[[송민호|{{{#black MINO}}}]][br][[XX(송민호)|{{{#black 아낙네}}}]]''' || '''[[M.C The Max|{{{#black M.C The Max}}}]][br][[넘쳐흘러|{{{#black 넘쳐흘러}}}]]''' || '''[[우디(가수)|{{{#000000 우디}}}]][br][[우디(가수)#s-2.1|{{{#black 이 노래가 클럽에서 나온다면}}}]]''' || * 2019년 1월 2일, 9집이 발매된 당시 [[멜론(음원 서비스)|멜론]] 실시간 차트 19시에 6위로 차트인, 20시에 3위, 21시에 '''1위'''로 올라오며 [[넘쳐흘러]]로 통해 [[M.C The Max]]가 음원강자임을 입증했다. * 넘쳐흘러는 1월 1주차, 2주차, 3주차에서 '''1위'''를 달성하며 2019년 1월 월간 차트 '''1위'''로 올라섰다. 이후 2월 월간 차트에서는 [[우디(가수)|우디]]의 [[우디(가수)#s-2.1|이 노래가 클럽에서 나온다면]]에 밀려 아쉽게 2등으로 마무리했다. 참고로 가수 [[우디(가수)|우디]]는 음원 사재기 의혹의 중심 인물이었는데, 증거들이 너무 명확하여 사실상 음원 사재기임이 다 드러났었다. [[우디(가수)|우디]]의 음원 사재기 행위만 이루어지지 않았더라면 2019년 1월과 2월 모두 1위로 마무리될 수 있었다. (자세한 내용은 [[우디(가수)#s-3|우디]] 문서 참고) * [[멜론(음원 서비스)/1위 목록/연간차트#s-2.2.10|2019년 멜론 연간차트]]에서 국내종합 '''4위'''[* 해외종합 차트 포함 시 5위]를 달성했다. == 라이브 기록 == ||<:><-4>
<#3db7cc> {{{#ffffff '''곡 발매일 : 2019/01/02'''}}} || ||<:> {{{#ffffff '''날짜'''}}} || {{{#ffffff '''지역'''}}} || {{{#ffffff '''행사명'''}}} || {{{#ffffff '''비고'''}}} || || 190105 || 부산 || 2018-19 엠씨더맥스 CIRCULAR Tour 콘서트 || [* 첫 라이브] || || 190112 || 대구 || 2018-19 엠씨더맥스 CIRCULAR Tour 콘서트 || || || 190119 || 광주 || 2018-19 엠씨더맥스 CIRCULAR Tour 콘서트 || || || 190126 || 전주 || 2018-19 엠씨더맥스 CIRCULAR Tour 콘서트 || || || 190209 || 울산 || 2018-19 엠씨더맥스 CIRCULAR Tour 콘서트 || || || 190216 || 성남 || 2018-19 엠씨더맥스 CIRCULAR Tour 콘서트 || || || 190223 || 수원 || 2018-19 엠씨더맥스 CIRCULAR Tour 콘서트 || || || 190302 || 창원 || 2018-19 엠씨더맥스 CIRCULAR Tour 콘서트 || || || 190309 || 고양 || 2018-19 엠씨더맥스 CIRCULAR Tour 콘서트 || || || 190316 || 제주 || 2018-19 엠씨더맥스 CIRCULAR Tour 콘서트 || || || 221210 || 광주 || 2022-23 엠씨더맥스 이수 콘서트 ‘겨울나기’ || || || 221224 || 부산 || 2022-23 엠씨더맥스 이수 콘서트 ‘겨울나기’ || || || 221230 || 서울 || 2022-23 엠씨더맥스 이수 콘서트 ‘겨울나기’ || || || 221231 || 서울 || 2022-23 엠씨더맥스 이수 콘서트 ‘겨울나기’ || || || 230114 || 대구 || 2022-23 엠씨더맥스 이수 콘서트 ‘겨울나기’ || || || 230128 || 대전 || 2022-23 엠씨더맥스 이수 콘서트 ‘겨울나기’ || || || 230204 || 인천 || 2022-23 엠씨더맥스 이수 콘서트 ‘겨울나기’ || || == 여담 == * [[TJ미디어]]에서 99781 (일반 반주), 62638 (원음 MR)[* TJ 60시리즈 이상의 반주기에서 선곡 가능.]로 선곡이 가능하고, [[금영엔터테인먼트]]에서 92717로 선곡이 가능하다. * 이 노래의 제목을 모르더라도 [[다 찢겨져버린 사이]]라는 구절은 제법 아는 사람들이 많다. == 커버 버전 == === [[장성규]] & [[이해리]] === [youtube(IqUJHmfcGAA)] === [[임한별]] === [youtube(vZqjIkZlvIM)] === [[이해리]] === [youtube(tfqJ668WzUA)] === [[유회승]] === [youtube(DokuYe8TQaQ)] === [[권인하]] === [youtube(bmQ_gA_MgNo)] === [[김길중]] === [youtube(_8A9fwC2yWk)] === [[이보람]] === [youtube(kRHM1rP4gmk)] == 관련 문서 == * [[M.C The Max]] * [[이수(가수)]] * [[고음/노래 목록]] * [[CIRCULAR]] [[분류:M.C The Max/노래]][[분류:록 발라드]][[분류:2019년 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