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
[[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tTdQqRWdnA)]}}} || ||<-2> {{{-1 '''Full Ver.'''}}} ||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Anj7ORJYjI)]}}} || ||<-2> {{{-1 '''BGA'''}}} || || {{{-1 '''수록 정보'''}}} ||{{{-1 [[DJMAX Portable Clazziquai Edition]]}}} {{{-3 (2008)}}} || || {{{-1 '''장르'''}}} ||{{{-1 80's Pop}}} || || {{{-1 '''BPM'''}}} ||{{{-1 133}}} || || {{{-1 '''작사/작곡'''}}} ||{{{-1 [[Sweetune]]}}} || || {{{-1 '''보컬'''}}} ||{{{-1 [[Miya]]}}} || || {{{-1 '''BGA'''}}} ||{{{-1 [[Mandrill]](원화) / 79c(모션)}}} || ||<-2> {{{#!folding [ 가사 보기 ] {{{-2 풀버전에만 등장하는 가사는 ''이탤릭체'' 처리.}}} 너에게 난 노래해 저 파란 하늘 닮은 너에게 오늘은 나 고백해 내 마음 속에 늘 니가 있다고 (Just come to me) 늘 같이 있고 싶어 (Just come to me) 너만 바라보고 싶어 (Just come to me) 천번을 사랑한단 말해도 모자란 내 마음이야 Oh my pretty lady 내 손 꼭 잡아 놓치지 마 baby Oh my beautiful lady 날 믿어봐 더 가까이와 baby 사실 널 안다면 알아 너무 예쁘고 내 품에 안아 줄 수 있을만큼 아주 작아 그런 널 안고 할 말이 너무 많아 내 맘은 이제 나도 잘 몰라 널 향한 내맘을 좀 봐봐 넌 내게 너무나 상큼한 콜라같아 난 이제 너 밖에 몰라 ''너에게 난 노래해'' ''저 파란 하늘 닮은 너에게'' ''오늘은 나 고백해'' ''내 마음 속에 늘 니가 있다고'' (Just come to me) 늘 같이 있고 싶어 (Just come to me) 너만 바라보고 싶어 (Just come to me) 천번을 사랑한단 말해도 모자란 내 마음이야 ''Love love 오 내 사랑 오 난 그대안의 사랑'' ''너밖에 모르는 사람 오직 너뿐인 사람 그게 내가 됐어'' ''상큼한 입술을 닮은 네 미소는 내 가슴을 설레게 했어'' '''됐어' 라며 날 떠밀며 웃어주면 난 너무 행복했어'' ''미안하다 널 사랑한다 에라 이제 나도 모르겠다고'' ''내 사랑 시작한다고 널 향해 달리겠다고'' ''L to the O th the V E'' ''L to the O th the V E'' ''넌 내 삶의 의미 오 내 인생이 즐거워''}}} || == 개요 == >새로 참여한 Sweetune의 곡. 단순한 멜로디와 앳돼 보이게 부른 Miya의 보컬이 만나 80년도 팝의 느낌을 표현했다. >---- >공식 설명 [[메트로 프로젝트|DJMAX Metro Project]] 수록곡으로 [[DJMAX CE|DJMAX Portable Clazziquai Edition]]에 최초 수록되었다. 곡의 설명대로 복고풍[* 복고풍이라고 할 수 있는 대표적인 예로, Extended Version의 0:20에 나오는 남자 목소리 샘플 사운드가 1997년에 발매된 가수 [[김현정]]의 "혼자한 사랑"에 사용된 샘플이랑 같은 것이다. 이렇듯 다른 샘플들에도 90년대에 많이 사용되던 것들을 활용했다는 제작 의도가 있어 이러한 설명이 붙은 것으로 보인다.]의 댄스 팝 곡이다. 동요를 듣는 듯한 순수하고 가벼운 느낌의 곡으로, 가볍게 들을 수 있는 귀여운 팝 음악이라는 평이 다수. --그리고 [[Sweetune|이 작곡가는]] 카라의 대표곡을 작곡하면서 히트 작곡가 반열에 오른다.-- BGA는 한 시골에 실수로 떨어진 외계인과 그를 본 소녀의 우정을 담고 있다. [[E.T.]] 패러디 장면도 나온다. == [[DJMAX CE|DJMAX Clazziquai Edition]] == [youtube(3JR0dReIBZQ)] 6B MX DMP CE에서는 [[First Kiss]]와 [[Love Mode]]와 더불어 최저 난이도를 지키고 있다. 단, BS>CE 링크 디스크로 MX 패턴이 플레이가 가능한데, 이쪽은 꽤나 높은 난이도를 보여주니 주의. == [[DJMAX TECHNIKA 시리즈]] == |||||||||||| [[DJMAX TECHNIKA 3]] || || 패턴 || 랭크 || 가격 || 난이도 || 설명 || 비고 || ||<#FFB0B0> Star || D || 50 Max || 4 || 8박 스크롤 || || ||<#FFFF00> Normal || D || 100 Max || 4 || 8박 스크롤 || [[Sweet Sound Set]] 셀렉곡 || ||<#0000FF> {{{#white Hard}}} || C || 150 Max || 5 || 8박 스크롤 || [[Cotton Candy(DJMAX)|Cotton Candy Set]] 셀렉곡 || ||<#FF0000> Maximum || B || 200 Max || 7 || 4박 스크롤 || [[New Beginning|미션 - 신의 손길]] 수록 || [youtube(_NiAff0LIbo)] MX 패턴(테크니카 1 기준 SP) DJMAX TECHNIKA에서의 난이도는 LP 2, PP 2, TP 3. LP가 4라인이던 당시에는 LP와 PP가 같은 취급을 받아 PP가 없었지만, LP가 3라인이 되면서 4라인짜리가 PP가 되었다. 2스테이지에서 플레이할 수 있고, 플래티넘 크루 미션의 2번 미션 '팝 스타일'에서도 플레이할 수 있다. LP와 PP는 매우 쉽고, TP는 LP와 PP보다 상당히 어려워진 편이지만 어렵지는 않으므로 초보자도 클리어가 가능하다. TP는 플래티넘 크루의 2번 미션에서 해금하거나, [[Cotton Candy(DJMAX)|Cotton Candy]] 세트에서 선택곡으로 플레이가 가능하다. 스페셜 패턴 15로 SP도 등장하였는데, 스크롤이 4박 스크롤로 바뀌고 연타 노트의 대폭 추가 등 많이 어려워졌다. [[DJMAX TECHNIKA 2]]에서는 레벨표기가 상향되면서 NM과 HD 모두 '''동급 최약체''' 취급을 받고 있다. 다만, PP에 있었던 보라노트의 연타가 NM으로 오면서 조금 많아졌다. [[DJMAX TECHNIKA 3]]에서는 전작 그대로 이식되었다. == [[TAP SONIC]] == [[TAP SONIC]]에서는 역시 중저 난이도의 곡.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CE)]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너에게_1.png|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4deg, #c1903d 0%, #c1903d 1.8%, #f2bb04 1.8%, #f2bb04 3.5%, #ffe520 3.5%, #ffe520 5.2%, #fff075 5.2%, #fff075 8.2%, #fff4b1 8.2%, #fff4b1 10.2%, #fff9db 10.2%, #fff9db 34%, #ffffff 34%, #ffffff 58%, #fffbea 58%, #fffbea 62.5%, #f7ecbf 62.5%, #f7ecbf 66.5%, #f6dd91 66.5%, #f6dd91 68.5%, #edc95b 68.5%, #edc95b 72%, #dcb335 72%, #dcb335 73.7%, #e6bc3a 73%, #e6bc3a 74.7%, #dcaf13 74.7%, #dcaf13 77%, #d59c00 77%, #d59c00 78.5%, #ba8b0a 78.5%, #ba8b0a 83%, #ac7b22 83%, #ac7b22 86%, #906b33 86%, #906b33 87.5%, #a97d1f 87.5%, #a97d1f 88%, #c48f1f 88%, #c48f1f 89.5%, #daa742 89.5%, #daa742 91%, #f3da8c 91%, #f3da8c 92.5%, #daa742 92.5%, #daa742 94%, #d59c00 94%, #d59c00 97.2%, #af9043 97.2%, #af9043 98.7%, #d9c256 98.7%, #d9c256 100%)" '''{{{#737373 CLAZZIQUAI}}}'''}}} || ||<-4>'''{{{+5 너에게}}}''' || || 모드 || NM || HD || MX || '''SC''' || ||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3 [br] {{{-5 243}}}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06}}} || - || [[파일:djmaxsc10.png|width=16]] {{{#purple,#f21cc7 '''8'''}}} [br] {{{-5 816}}}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2 [br] {{{-5 222}}} || -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526}}} || [[파일:djmaxsc10.png|width=16]] {{{#purple,#f21cc7 '''8'''}}} [br] {{{-5 949}}}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2 [br] {{{-5 216}}}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353}}}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1.22 패치에서 8 → 9로 상향.] [br] {{{-5 519}}} || -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2 [br] {{{-5 243}}}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405}}} || - ||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9db,#ffffff,#f7ecbf)"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12월 21일 [[DJMAX CE]] DLC로 등장했다. 저렙곡 포지션이었으나 이후 RESPECT V에서 4B와 5B에 8레벨의 SC 패턴이 추가되었다. === 4B TUNES === || {{{#737373 NM}}} || {{{#737373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2yPVwkYtA0)]}}}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plyOJV27kA)]}}} || || {{{#737373 '''S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X28BDAZkZY)]}}} || || === 5B TUNES === || {{{#737373 NM}}} || {{{#737373 M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iqldTy_ft4)]}}}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9ZPj2uY3twc)]}}} || || {{{#737373 '''S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oFk91u_WIU)]}}} || || 5B SC는 중간의 쉬는 구간을 제외하면 겹따닥이나 일반 따닥이를 동반한 짧은 폭타가 쉴새없이 나오며 초반부에는 [[Xeus|55 44 33 55 44 33 / 11 22 33 11 22 33 재봉틀 패턴]]까지 등장하기 때문에 따닥이 처리력이 좋지 않은 유저는 당황하기 쉽다. 원핸드가 강제되는 패턴은 아니라서 2개/1개 연타로 좌우분할해서 치면 좀 더 쉬워지고, 이후의 다른 패턴은 그다지 어렵지 않기 때문에 14레벨 안에서는 다소 저평가된다. 이후 SC 8레벨로 조정되었다. === 6B TUNES === || {{{#737373 NM}}} || {{{#737373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7mkPM0LcYCM)]}}}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jHfKgcZYRY)]}}} || || {{{#737373 M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5LogD_klqs)]}}} || || === 8B TUNES === || {{{#737373 NM}}} || {{{#737373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l_8HDSPtJY)]}}}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oyV0fOGvfQ)]}}} ||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너에게, version=41)] [[분류:DJMAX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