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너에게 닿기를(만화))] [목차] == 개요 == 일본의 만화 [[너에게 닿기를(만화)|너에게 닿기를]]을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시리즈. == [[너에게 닿기를(만화)/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너에게 닿기를(만화)/등장인물)] == TVA 1기: 너에게 닿기를 == ||<-2>
{{{#000000,#000000 '''{{{+1 너에게 닿기를}}}''' (2010)[br]君に届け}}}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VPBY-13401.jpg|width=100%]]}}} || ||<-2> {{{#000000,#000000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
'''{{{#000000,#000000 원작}}}''' ||시이나 카루호(椎名軽穂) || || '''{{{#000000,#000000 감독}}}''' ||[[카부라기 히로]] || || '''{{{#000000,#000000 조감독}}}''' ||[[나가누마 노리히로]] || || '''{{{#000000,#000000 시리즈 구성}}}''' ||콘파루 토모코(金春智子) || || '''{{{#000000,#000000 캐릭터 디자인}}}''' ||<|2>[[시바타 유카]] || || '''{{{#000000,#000000 총 작화감독}}}''' || || '''{{{#000000,#000000 소품 설정}}}''' ||사토 히토미(佐藤仁実) || || '''{{{#000000,#000000 미술 감독}}}''' ||[[타케다 유스케]] || || '''{{{#000000,#000000 색채 설계}}}''' ||히로세 이즈미(広瀬いづみ) || || '''{{{#000000,#000000 촬영 감독}}}''' ||타나카 코지(田中宏侍) || || '''{{{#000000,#000000 편집}}}''' ||이마이 다이스케(今井大介) || || '''{{{#000000,#000000 음향 감독}}}''' ||야마다 치아키(山田知明) || || '''{{{#000000,#000000 음악}}}''' ||S.E.N.S. Project || || '''{{{#000000,#000000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나카타케 테츠야]] || || '''{{{#000000,#000000 애니메이션 제작}}}''' ||[[Production I.G|[[파일:Production I.G 로고.svg|width=90]]]] || || '''{{{#000000,#000000 제작}}}''' ||너에게 닿기를 [[제작위원회]] || || '''{{{#000000,#000000 방영 기간}}}'''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애니메이션/2009년 10월|2009. 10. 07.]] ~ 2010. 03. 31.[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애니메이션/2010년 7월|2010. 09. 27.]] ~ 2010. 11. 02.[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애니메이션/2023년 4월|2023. 06. 10.]] ~ 방영 중 || || '''{{{#000000,#000000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닛폰 테레비]] / (수) 00:59[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투니버스|[[파일:투니버스 로고.svg|width=80]]]][br](월~화) 22:00^^2010년 본방송^^[br](토) 22:00^^2023년 재방송^^ || || '''{{{#000000,#000000 국내 스트리밍 서비스}}}''' ||[[Laftel|[[파일:라프텔 로고.svg|width=60]]]] [[https://laftel.net/item/41184|▶]]^^자막, 리마스터^^[br][[TVING|[[파일:TVING 로고.svg|width=60]]]] [[https://www.tving.com/contents/P001682579|▶]]^^더빙^^ || || '''{{{#000000,#000000 편당 러닝타임}}}''' ||24분 || || '''{{{#000000,#000000 화수}}}''' ||25화 || || '''{{{#000000,#000000 국내 심의 등급}}}'''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12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ffffff 12세 이상 시청가}}}]] || || '''{{{#000000,#000000 관련 사이트}}}''' ||[[http://www.ntv.co.jp/kiminitodoke/1st/|[[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https://twitter.com/kimitodo_anime|[[파일:트위터 아이콘.svg|width=25]]]] || }}}}}}}}} || === PV === === 주제가 === * 오프닝 테마 '''きみにとどけ(너에게 닿기를)''' * 원곡 * 작사: 타니자와 토모후미 * 작곡: 타니자와 토모후미 * 편곡: 요코야마 히로아키 * 노래: 타니자와 토모후미 * 투니버스판 * 개사: 고희안 * 노래: [[10CM]][* 권정열이 V앱 심란한밤 코너에서 이 곡에 대한 비하인드 스토리를 이야기했다. 당시에는 10cm가 인지도를 쌓기 시작한 때인데 젬베 살 돈을 준다고 덥석 받았던 노래였다고.....[[https://www.youtube.com/watch?v=vo-_MY4yikw|링크]]] * 엔딩 테마 '''片思い(짝사랑)''' * 원곡 * 작사: CHARA * 작곡: CHARA * 편곡: 츠타야 코이치 * 노래: [[CHARA(가수)|CHARA]] * 투니버스판 * 개사: 고희안 * 노래: [[오지은(가수)|오지은]] === 회차 목록 === ||
'''회차''' || '''제목'''[* 국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투니버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방영일''' || || {{{-1 episode.1}}} || {{{-1 プロローグ[br]첫 이야기}}} || {{{-1 콘파루 토모코[br](金春智子)}}} ||<-2> {{{-1 [[카부라기 히로]]}}} || {{{-1 [[시바타 유카]]}}} || {{{-1 日: 2009.10.07.[br]韓: 2010.09.27.}}} || || {{{-1 episode.2}}} || {{{-1 席替え[br]자리 바꾸기}}} || {{{-1 이케다 마미코[br](池田眞美子)}}} ||<-2> {{{-1 [[나가누마 노리히로]]}}} || {{{-1 사토 히토미[br](佐藤仁実)}}} || {{{-1 日: 2009.10.14.[br]韓: }}} || || {{{-1 episode.3}}} || {{{-1 放課後[br]방과후}}} ||<|4> {{{-1 콘파루 토모코}}} || {{{-1 [[나카무라 료스케]]}}} || {{{-1 소~토메 코이치로[br](そ〜とめこういちろう)}}} || {{{-1 요시다 카나코[br](吉田咲子)}}} || {{{-1 日: 2009.10.21.[br]韓: }}} || || {{{-1 episode.4}}} || {{{-1 噂[br]소문}}} || {{{-1 카부라기 히로}}} || {{{-1 [[야노 유이치로]]}}} || {{{-1 스에나가 코이치[br](末永宏一)}}} || {{{-1 日: 2009.10.28.[br]韓: }}} || || {{{-1 episode.5}}} || {{{-1 決意[br]결의}}} ||<-2> {{{-1 [[나카무라 쇼코]]}}} || {{{-1 [[니시이 테루미]]}}} || {{{-1 日: 2009.11.04.[br]韓: }}} || || {{{-1 episode.6}}} || {{{-1 友達[br]친구}}} || {{{-1 [[후루하시 카즈히로]]}}} || {{{-1 [[데아이 코토미]]}}} || {{{-1 이가와 레이나[br](井川麗奈)}}} || {{{-1 日: 2009.11.11.[br]韓: }}} || || {{{-1 episode.7}}} || {{{-1 土曜の夜[br]토요일 밤}}} || {{{-1 이케다 마미코}}} || {{{-1 사토 유스케[br](佐藤雄助)}}} || {{{-1 [[후지와라 요시유키|타카야나기 요시유키]][br](高柳佳幸)}}} || {{{-1 하세가와 히토미[br](長谷川ひとみ)}}} || {{{-1 日: 2009.11.18.[br]韓: }}} || || {{{-1 episode.8}}} || {{{-1 自主練[br]자율연습}}} ||<|2> {{{-1 콘파루 토모코}}} || {{{-1 야하기 토시유키[br](矢萩利幸)}}} || {{{-1 [[에자키 신페이]]}}} || {{{-1 야하기 토시유키}}} || {{{-1 日: 2009.11.25.[br]韓: }}} || || {{{-1 episode.9}}} || {{{-1 新しい友達[br]새로운 친구}}} ||<-2> {{{-1 소~토메 코이치로}}} || {{{-1 요시다 카나코[br]모리타 후미[br](森田 史)[br]하세가와 히토미[br][*원화][br][[쿠로야나기 토시마사]][br][*원화]}}} || {{{-1 日: 2009.12.02.[br]韓: }}} || || {{{-1 epsode.10}}} || {{{-1 協力[br]협력}}} || {{{-1 이케다 마미코}}} ||<-2> {{{-1 야노 유이치로}}} || {{{-1 스에나가 코이치}}} || {{{-1 日: 2009.12.09.[br]韓: }}} || || {{{-1 episode.11}}} || {{{-1 とくべつ?[br]특별한 사람}}} ||<|5> {{{-1 콘파루 토모코}}} || {{{-1 [[타가시라 시노부]]}}} || {{{-1 하기와라 히로미츠[br](萩原弘光)}}} || {{{-1 하기와라 히로미츠[br]이시카와 마리코[br][*원화][br](石川真理子)}}} || {{{-1 日: 2009.12.16.[br]韓: }}} || || {{{-1 episode.12}}} || {{{-1 恋愛感情[br]연애감정}}} || {{{-1 [[시오타니 나오요시]]}}} || {{{-1 [[하츠미 코이치]]}}} || {{{-1 사토 히토미}}} || {{{-1 日: 2009.12.23.[br]韓: }}} || || {{{-1 episode.13}}} || {{{-1 恋[br]사랑}}} || {{{-1 야하기 토시유키}}} ||<-2> {{{-1 [[호리 타카후미]]}}} || {{{-1 日: 2010.01.06.[br]韓: }}} || || {{{-1 episode.14}}} || {{{-1 くるみ[br]쿠루미}}} || {{{-1 카부라기 히로}}} || {{{-1 니고리카와 아츠시[br](濁川 敦)}}} || {{{-1 이가와 레이나}}} || {{{-1 日: 2010.01.13.[br]韓: }}} || || {{{-1 episode.15}}} || {{{-1 ライバル[br]라이벌}}} ||<-2> {{{-1 나카무라 쇼코}}} || {{{-1 니시이 테루미}}} || {{{-1 日: 2010.01.20.[br]韓: }}} || || {{{-1 episode.16}}} || {{{-1 夜噺[br]밤 이야기[br]([[총집편]])}}} || {{{-1 콘파루 토모코[br]이케다 마미코[br]카부라기 히로}}} ||<-2> {{{-1 카부라기 히로}}} || {{{-1 [[치바 타카아키]]}}} || {{{-1 日: 2010.01.27.[br]韓: }}} || || {{{-1 episode.17}}} || {{{-1 休日[br]휴일}}} || {{{-1 이케다 마미코}}} ||<-2> {{{-1 야노 유이치로}}} || {{{-1 스에나가 코이치}}} || {{{-1 日: 2010.02.03.[br]韓: }}} || || {{{-1 episode.18}}} || {{{-1 千鶴の恋[br]치즈의 사랑}}} ||<|8> {{{-1 콘파루 토모코}}} || {{{-1 사토 유스케}}} || {{{-1 에자키 신페이}}} || {{{-1 야하기 토시유키}}} || {{{-1 日: 2010.02.10.[br]韓: }}} || || {{{-1 episode.19}}} || {{{-1 夢[br]꿈}}} || {{{-1 [[코마츠다 다이젠]]}}} || {{{-1 타카야나기 요시유키}}} || {{{-1 쿠로야나기 토시마사}}} || {{{-1 日: 2010.02.17.[br]韓: }}} || || {{{-1 episode.20}}} || {{{-1 プレゼント[br]선물}}} ||<-2> {{{-1 나가누마 노리히로}}} || {{{-1 [[아사노 쿄지]]}}} || {{{-1 日: 2010.02.24.[br]韓: }}} || || {{{-1 episode.21}}} || {{{-1 初雪[br]첫눈}}} ||<-2> {{{-1 데아이 코토미}}} || {{{-1 이가와 레이나}}} || {{{-1 日: 2010.03.03.[br]韓: }}} || || {{{-1 episode.22}}} || {{{-1 クリスマス[br]크리스마스}}} || {{{-1 [[나가하마 히로시]]}}} || {{{-1 쿠로야나기 토시마사}}} || {{{-1 사토 히토미[br]하세가와 히토미}}} || {{{-1 日: 2010.03.10.[br]韓: }}} || || {{{-1 episode.23}}} || {{{-1 ふたり[br]두사람}}} ||<-2> {{{-1 야노 유이치로}}} || {{{-1 스에나가 코이치}}} || {{{-1 日: 2010.03.17.[br]韓: }}} || || {{{-1 episode.24}}} || {{{-1 誕生日[br]생일}}} || {{{-1 나카무라 쇼코}}} || {{{-1 에자키 신페이[br]나가누마 노리히로}}} || {{{-1 야하기 토시유키[br]아사노 쿄지}}} || {{{-1 日: 2010.03.24.[br]韓: }}} || || {{{-1 episode.25}}} || {{{-1 新年[br]새해}}} ||<-2> {{{-1 카부라기 히로}}} || {{{-1 시바타 유카}}} || {{{-1 日: 2010.03.31.[br]韓: }}} || === 평가 === [include(틀:평가/IMDb, code=tt1745240, user=7.8)] [include(틀:평가/MyAnimeList, code=6045, user=8.00)] [include(틀:평가/왓챠, code=tEg8yVR, user=4.0)] [include(틀:평가/라프텔, code=15980, user=4.3)] 여세를 몰아 [[애니메이션/2009년 10월|2009년 10월]]부터 애니메이션이 방송되어 2010년 3월 31일로 종영했다. 원작이 그대로 움직이는 듯한 수려한 작화와 연출을 선보여 초반부터 인기몰이. 원작보다도 일반인들에게 접근하기 쉬운 작화와 재미있고 다양한 연출로 순정만화팬층이나 모에계열 오타쿠들만이 아니라 일반적인 시청자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작품이 되었다. 애니 한정으로 [[염장]]물로 보일 수 있다. DVD로만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누계 판매량이 1만장을 넘는 등 꽤나 흥행했다. 원작의 인기와 일반인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훈훈한 내용, 그걸 잘 실린 고퀄리티의 연출이 높은 매상의 이유인듯 싶다. 이렇게 된다면 완결까진 문제 없을듯. 캐릭터 디자이너인 [[시바타 유카]]가 [[가이낙스]] 출신이기도 해서 [[나카무라 쇼코]], [[스시오(애니메이터)|스시오]] 같은 [[가이낙스]] 애니메이터도 도우미로 많이 참여하였다. [[카부라기 히로]] 감독은 여러 연출 인맥을 불러 작품의 완성도를 높였다. 반대로 I.G의 고정 스태프는 생각보다 별로 참여하지 않았다. == TVA 2기: 너에게 닿기를 2ND SEASON == ||<-2>
{{{#000000,#000000 '''{{{+1 너에게 닿기를 세컨드 시즌}}}''' (2011)[br]君に届け 2ND SEASO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너에게닿기를_2기.jpg|width=100%]]}}} || ||<-2> {{{#000000,#000000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
'''{{{#000000,#000000 원작}}}''' ||시이나 카루호(椎名軽穂) || || '''{{{#000000,#000000 감독}}}''' ||[[카부라기 히로]] || || '''{{{#000000,#000000 조감독}}}''' ||[[나가누마 노리히로]] || || '''{{{#000000,#000000 시리즈 구성}}}''' ||콘파루 토모코(金春智子) || || '''{{{#000000,#000000 캐릭터 디자인}}}''' ||<|2>[[시바타 유카]] || || '''{{{#000000,#000000 총 작화감독}}}''' || || '''{{{#000000,#000000 소품 설정}}}''' ||하세가와 히토미(長谷川ひとみ)[br]사토 히토미(佐藤仁実) || || '''{{{#000000,#000000 미술 감독}}}''' ||[[타케다 유스케]][br]오카모토 하루미(岡本春美) || || '''{{{#000000,#000000 색채 설계}}}''' ||사토 마유미(佐藤真由美)[br]히로세 이즈미(広瀬いづみ) || || '''{{{#000000,#000000 촬영 감독}}}''' ||타나카 코지(田中宏侍) || || '''{{{#000000,#000000 편집}}}''' ||이마이 다이스케(今井大介) || || '''{{{#000000,#000000 음향 감독}}}''' ||야마다 치아키(山田知明) || || '''{{{#000000,#000000 음악}}}''' ||S.E.N.S. Project || || '''{{{#000000,#000000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나카타케 테츠야]] || || '''{{{#000000,#000000 애니메이션 제작}}}''' ||[[Production I.G|[[파일:Production I.G 로고.svg|width=90]]]] || || '''{{{#000000,#000000 제작}}}''' ||너에게 닿기를 2ND SEASON [[제작위원회]] || || '''{{{#000000,#000000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11년 1월|2011. 01. 05.]] ~ 2011. 03. 30. || || '''{{{#000000,#000000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닛폰 테레비]] / (수) 00:59[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투니버스|[[파일:투니버스 로고.svg|width=80]]]] / (목) 22:00 || || '''{{{#000000,#000000 국내 스트리밍 서비스}}}''' ||[[Laftel|[[파일:라프텔 로고.svg|width=60]]]] [[https://laftel.net/item/41185|▶]]^^자막, 리마스터^^[br][[TVING|[[파일:TVING 로고.svg|height=16]]]] [[https://www.tving.com/contents/P001685742|▶]]^^더빙^^ || || '''{{{#000000,#000000 편당 러닝타임}}}''' ||24분 || || '''{{{#000000,#000000 화수}}}''' ||12화 || || '''{{{#000000,#000000 국내 심의 등급}}}'''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12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ffffff 12세 이상 시청가}}}]] || || '''{{{#000000,#000000 관련 사이트}}}''' ||[[http://www.ntv.co.jp/kiminitodoke/|[[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https://twitter.com/kimitodo_anime|[[파일:트위터 아이콘.svg|width=25]]]] || }}}}}}}}} || [[애니메이션/2011년 1월|2011년 1월 5일]]부터 3개월간, 2번째 시즌이 일본에서 방영되었다. 총 12+1화. 그러나 첫방송된 내용은 1화가 아닌 0화. 쿠루미의 시점에서 재구성한 1기 내용의 총집편이었다. 1화인 [[발렌타인 데이]] 에피소드부터 제대로 된 시작이라고 할 수 있겠다. 결국 원작 11권 부분까지 다루면서 2기도 마무리를 지었다. 핵심 스태프는 거의 그대로고 전작 수준 그대로 애니화가 되었다. 2011년 9월 1, 2기 합본 BD-BOX가 발매되었다. === PV === === 주제가 === * 오프닝 테마 '''爽風(상쾌한 바람)''' [youtube(y2W8aUPYzFQ, width=400)] * 원곡 * 작사: 타니자와 토모후미 * 작곡: 타니자와 토모후미 * 노래: 타니자와 토모후미 * 투니버스판 * 프로듀싱: 고희안 * 노래: [[루빈]] * 엔딩 테마 '''君に届け...(너에게 닿기를)''' [[https://serviceapi.nmv.naver.com/flash/convertIframeTag.nhn?vid=8B67D8CC2038A1D69382C44C41E54AF55C17&outKey=V121072ec9d958a22c61fb9822d7ae024021c196cd7c311b050a7b9822d7ae024021c|더빙판]] * 원곡 * 작사: 기리 마이코 * 작곡 · 편곡: NAUGHTY BO-Z * 노래: MAY'S * 투니버스판 * 프로듀싱: 고희안 * 노래: 김현아([[랄라스윗]]) 김현아는 후에 공연에서 엔딩을 2절까지 전부 공개해 노래한 바 있다. === 회차 목록 === ||
'''회차''' || '''제목'''[* 국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투니버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방영일''' || || episode.0 || 片想い[br]짝사랑[br](1기 [[총집편]]) || 콘파루 토모코[br](金春智子)[br][[카부라기 히로]][br][[나가누마 노리히로]] ||<-2> 나가누마 노리히로 || [[아사노 쿄지]] || 日: 2011.01.05.[br]韓: 2011.09.08. || || episode.1 || バレンタイン[br]밸런타인 || 콘파루 토모코 ||<-2> 카부라기 히로 || [[시바타 유카]] || 日: 2011.01.12.[br]韓: 2011.09.08. || || episode.2 || 2年生[br]2학년 || 카부라기 히로 || [[야마모토 히데요]] || [[에자키 신페이]] || 하세가와 히토미[br](長谷川ひとみ) || 日: 2011.01.19.[br]韓: 2011.09.15. || || episode.3 || 忘れて[br]잊어버려 ||<|10> 콘파루 토모코 || [[데아이 코토미]] || 우치야마 마나[br](内山まな) || 우스타니 히데유키[br](薄谷栄之) || 日: 2011.01.26.[br]韓: 2011.09.15. || || episode.4 || わかってない[br]넌 몰라 || [[나가사키 켄지]] || 우이 요시카즈[br](宇井良和) || 이가와 레이나[br](井川麗奈) || 日: 2011.02.02.[br]韓: 2011.09.22. || || episode.5 || すきな人[br]좋아하는 사람 ||<-2> 나가누마 노리히로 || 아사노 쿄지 || 日: 2011.02.09.[br]韓: 2011.09.22. || || episode.6 || 好意と迷惑[br]호의와 민폐 || 후지모리 카즈마[br](藤森カズマ) || 요네바야시 타쿠[br](米林 拓) || 하기와라 히로미츠[br](萩原弘光) || 日: 2011.02.16.[br]韓: 2011.09.29. || || episode.7 || あきらめちまえよ[br]포기해 || 사카모토 사오리[br](坂本沙織) || 이마이 카즈아키[br](今井一暁) || 우스타니 히데유키 || 日: 2011.02.23.[br]韓: 2011.09.29. || || episode.8 || 届け[br]닿기를 || [[후루하시 카즈히로]] || 에자키 신페이 || [[쿄고쿠 요시아키]][br][[이시노 사토시]][br]모리타 후미[br](森田 史) || 日: 2011.03.02.[br]韓: 2011.10.06. || || episode.9 || 告白[br]고백 ||<-2> 데아이 코토미 || 이가와 레이나 || 日: 2011.03.09.[br]韓: 2011.10.06. || || episode.10 || ここから[br]지금부터 || [[마츠모토 리에|마츠모토 쇼지]][br](松本正二) || 야하기 토시유키[br](矢萩利幸) || 하세가와 히토미 || 日: 2011.03.16.[br]韓: 2011.10.13. || || episode.11 || 祭りのあと[br]축제가 끝나고 ||<-2> 나가누마 노리히로 || 하기와라 히로미츠[br]코다 나오코[br](幸田直子)[br]아사노 쿄지 || 日: 2011.03.23.[br]韓: 2011.10.13. || || episode.12 || 大事な人[br]소중한 사람 ||<-2> 카부라기 히로 || 시바타 유카 || 日: 2011.03.30.[br]韓: 2011.10.13. || === 평가 === [include(틀:평가/IMDb, code=tt1745240, user=7.8)] [include(틀:평가/MyAnimeList, code=9656, user=7.99)] [include(틀:평가/왓챠, code=tPJXWKE, user=4.0)] [include(틀:평가/라프텔, code=13224, user=4.3)] == 한국 방영 == [include(틀:투니버스 신작)] 2010년 9월 27일 밤 10시부터 11시까지 [[투니버스]]에서, [[최우석]]이 연출을 맡고 윤경아가 번역을 맡아서 무려 '''[[더빙]]'''으로 방영되었다. 당시 이런 현대물 장르의 애니메이션은 국내방영을 할 때 언어는 물론이고 등장인물의 이름과 지역까지 모두 한국식으로 현지화하는 것이 당연한 관념이었지만 이 애니는 언어만 한국어로 할 뿐 다른 설정은 모두 원판 그대로 가져오는 파격적인 선택을 하며 그런 고정관념을 말끔히 깨버렸다. 정식 방영 전, 추석연휴인 9월 20일에 시험삼아 밤 6시에 1, 2화를 선행 방송했는데 이게 제대로 먹혀들었는지 바로 네이버 검색어에 랭크되기도 했다. 주역 캐스팅은 [[CJ ENM 성우극회|자사 성우들]]과 [[MBC 성우극회|MBC]] 16기 성우들[* [[정재헌]], [[박신희]], [[조현정(성우)|조현정]].]로만 이루어졌다. 번역은 상당히 좋은 편. 간단한 예를 들자면 일본판에서는 '쿠로누마와 말하고 싶을 때 말할 거고'를 '너랑 얘길 나누고 싶음 할 거고'라고 번역한 것. 되게 묘한 차이인데 우리나라에서는 단 둘이서 이야기를 하면 웬만하면 상대방 이름을 언급하지 않는 것을 반영한 걸로 보인다. 애니메이션에서 보면 전혀 어색하지 않다. 이러한 번역 덕분에 일본 문화에 익숙하지 않은 시청자들도 무리 없이 시청할 수 있었다. 또한 15화 방영분(2010년 10월 20일)에선 노래방씬이 있었는데 거기서 [[DJ DOC]]의 '''나 이런 사람이야'''와 [[카라]]의 '''루팡'''이 나오는 위엄을 보여주었다.[* 나 이런 사람이야는 [[홍범기]], 루팡은 [[박신희]]와 [[안영미(성우)|안영미]]가 불렀다.] 일본판 16화는 2기 0화와 비슷한 느낌의 [[아라이 카즈이치|블랙]]이 보았던 난쟁이 귀신들의 내레이션이 첨부된 1~15화 총집편이었는데 투니버스에서는 쿨하게 16화를 스킵했다. 즉 일본판의 17화가 한국판에선 16화가 된 셈이다. 그래서 주마다 4회씩 6주로 방영종료. 그러나 재방송을 정말 드럽게 안 해줬다. 첫 방송 때는 월, 화 오후 10시 본방송에 수, 목 오후 9시 재방송이 잡혀있었는데 첫방하자마자 [[아따맘마]]로 편성표가 바뀌었다. 그리고 첫방은 재방송도 안 해줬다. ~~추석연휴 때 선행 방송한 것이 있으니 그걸로 만족하라는 건가?~~ 두 번째 주부터는 토요일 오후 10시 30분에 재방송을 해주는 걸로 쭉 이어가고 있는데, 그 사이에 방송을 시작한 [[꿈빛 파티시엘]]은 수, 목 본방송에 금, 토, 일 재방송을 해주는걸 보면 엄청난 차별. 심지어 연출을 맡은 [[최우석(PD)|최우석]] PD도 본방 마지막 방영 전날 자신의 트위터로 편성부를 은근히 깠다. [[https://twitter.com/vincentchoiPD/status/29371283177|#]] 그래도 마지막화 방영 후에는 실시간 검색 순위 8위까지 올라와줬으니 시청률이 완전 망한 거까진 아닌 듯. 마지막 방영 이틀 후, 남자 주인공 카제하야 역의 [[정재헌]]이 [[성우 갤러리]]에 인증글을 남겼다. 이후 댓글로 여자 주인공 사와코 역의 [[이소은(성우)|이소은]]과 요시다 치즈루역의 [[조현정(성우)|조현정]]까지도 인증하였다. 성우 관련 이벤트/행사 프로모션용으로 성우들이 내방한 적은 있었지만, 이렇게 특정 작품에 관해 글 남기는 경우는 굉장히 이례적인 일이다. [[http://gall.dcinside.com/list.php?id=radio_actor&no=38576&page=1&bbs=|#]] ~~그리고 성갤러들은 기쁨의 눈물을 흘린다.~~ 2010년 11월달 뉴타입에선 완결 차주에 1주 내내 4화*6일로 한번 재방해 줄 계획이 있었다 '''카더라.''' 그리고 11월 2주차 편성표가 나왔는데 월~토 오후 11시 ~ 새벽 30분 방송이다. [[파일:attachment/title_1.jpg]] 또한 재방송 자막을 1~26 전편 방송이라고 써놓는 만행을 저질렀다.[* 일본판은 25화完이고 투니버스는 1화분을 미방영해서 24화 完이다. 착각해도 심하게 착각하셨다.] 2011년 4월, 심야 삼방에 돌입하였고 여름방학을 맞아 또 한번 재탕했다. 2010년 이후 투니버스의 행보를 보았을 때 시청률이 상당히 잘 나온 듯.[* 청소년 이상 타겟 프로그램은 보통 1시간 정도 편성되는 편이다.] 2011년 9월에 2기가 방영되었다. 번역 윤경아, 연출 [[최우석]]. 1기 총집편과는 다르게 2기 0화부터 더빙되어 총 13화가 방영되었다. 즉, 일본에서의 0화는 한국에서의 1화가 되는 셈. 시간대는 본방은 목요일 10시, 재방은 없었다가 첫방 2주 후부터 수요일 10시에 전주분 재방이 추가되었다. 다행히 그 이후 1화부터의 재방이 화요일 11시에 추가되었다. 방송 자체는 10월 13일, 3회 연속 방영을 시전하면서 끝이 났다. [include(틀:라프텔 ONLY 애니메이션)] [[파일:너에게 닿기를 라프텔 예고.jpg]] 2월 1일 라프텔 ONLY 애니메이션으로 공개하였다. [[https://twitter.com/laftel_net/status/1220311594887872514?s=21|라프텔 공식 계정 트윗]] 예고편 영상을 보았을 때 더빙판으로 보였고, 이후 정식 공개를 통해 더빙판임이 확정되었다. 2기까지 더빙판으로 서비스를 개시하였으나, 약 2년 뒤인 2022년 11월 30일 판권만료로 라프텔의 더빙판 서비스가 중지되었다. 이후 자막판이 2022년 12월과 2023년 1월 사이 순차적으로 업데이트되었다. VOD 서비스를 위해 '채널 숨'을 통한 우회 방영을 거쳤다. 그렇게 더빙판 정식 시청 루트가 사라진 듯 했는데, 국내 방영 후 13년 만인 2023년 6월 10일 (토) '22:00 PM'에 투니버스에서 재방 편성이 잡혔다. 주 1회 편성에 2편 연속 방영되며, 투니버스 방영분 그대로를 송출하는 관계로 2010년 본방 시절과 동일한 SD급 화질로 송출되었다. 그나마 당시 [[아나모픽]] 방식으로 제작된 관계로 화질 열화가 상대적으로 덜한 편. == 캐릭터 송 == 2011년 3월에 짧은 드라마를 포함한 캐릭터송 앨범이 발매되었다. 앨범명은 '君に届け Secret Party ~北幌高等学校祭アナザーサイド'. 앨범 컨셉이 축제 끝난 뒤 등장인물들이 노래방에 놀러가서 부른 노래를 수록했다는 설정이라[* 상황은 학교 축제를 성공적으로 끝마친 2-D의 학생들이 단체로 노래방으로 뒷풀이를 가서 노래를 불렀는데 사실 쿠루미네 반도 그 노래방에 와서 놀고 있더라는 것. 쿠루미의 반과 사와코일행은 서로 다른 방에서 노래를 부르고 있다. 참고로 [[미우라 켄토]]는 사와코의 동급생이긴 하지만 노래방에서 다른 반 여자아이들에게 포착되어 사와코일행의 방이 아닌 다른 방으로 가서 노래를 불렀다.] , 실제로 존재하는 가요를 리메이크해 부른 앨범이다. 캐릭터 설정을 그대로 살려(…) 사와코가 부른 노래는 분위기가 낮게 깔린 [[엔카]]였고 듣고있던 다른 인물들은 사와코의 노래가 무섭다는 분위기였다. [[http://www.youtube.com/watch?v=VOECz_nH3sk|#]]--역시 사다코-- 이 앨범에 수록된 곡들 목록. * 圭子の夢は夜開く([[후지 케이코]])/ [[쿠로누마 사와코]](CV:[[노토 마미코]]) * 空にまいあがれ([[진심 브라더즈]])/[[카제하야 쇼타]](CV:[[나미카와 다이스케]]) * 渚のシンドバット([[핑크 레이디]])/[[야노 아야네]](CV:[[사와시로 미유키]]) & [[요시다 치즈루]](CV:[[산페이 유코]]) * 桜([[FUNKY MONKEY BABYS]])/[[사나다 류]](CV:[[나카무라 유이치]]) * 愛唄([[GReeeeN]])/[[미우라 켄토]] (CV: [[미야노 마모루]]) * ナツラブ([[Juliet]])/[[쿠루미자와 우메]](CV:[[히라노 아야]]) * きみにとどけ (타니자와 토모후미) / 위의 인물들 전부 [* 너에게 닿기를 1기 오프닝곡이다. 다만 이 캐릭터송 앨범의 내용은 2기때의 학원제 이후의 뒷풀이인데 왜 2기 노래가 아니라 1기오프닝을 수록했는지는 불명. 1기 오프닝이 워낙에 유명하고 너에게 닿기를 애니를 상징하는 노래인지라 그런 것일 수도 있다. 사와코, 카제하야, 아야네, 치즈루, 류, 켄토, 우메가 함께 부른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너에게 닿기를(만화), version=537)] [[분류:너에게 닿기를(만화)]][[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09년 4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2010년 1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2011년 1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일본의 로맨스 애니메이션]][[분류:일본 만화 원작 애니메이션]][[분류:Production I.G]][[분류:투니버스 방영 애니메이션]][[분류:일본의 청춘 애니메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