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광주광역시의 자연지리)] [목차] [clearfix] == 개요 == [[광주광역시]] [[동구(광주광역시)|동구]]와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의 경계가 되는 고개이다. 광주와 화순을 잇는 통로이며, 더 넓게는 광주 구도심과 전남 동남부 지역을 잇는다. == 지명 유래 == * 넓은재, 너른재[廣峴]: 고갯마루가 널찍하고 평평하다는 뜻에서 넓은재, 너른재로 부르다가 너릿재로 바뀌었다는 설. * 널재[板峙]: 널재가 변해서 너릿재가 됐다는 설. * 도적에게 죽은 사람이 널[板]에 실려 내려온다고 해서 널재라고 했다는 설. 지나다니는 사람이 많다 보니 도적들도 많았는데, 옛날에 행실이 고약한 사람을 여기에 빗대어 "칼 들고 너릿재나 갈 놈"이라 불렀다고 한다. * 1894년 동학 농민운동 때 처형된 농민군들의 널을 끌고 내려온 것에서 유래했다는 설. 그러나 동학 농민운동 이전부터 板峙라고 부른 것을 보면(여지도서, [[대동여지도]] 등) 신뢰성이 떨어진다. == 도로 == === 너릿재 옛길 === 전통적으로 광주와 화순을 잇는 교통로였다. 주막도 있었다고 한다. 일제강점기에 포장도로가 건설되었다. 고갯길이 하도 좁고 구불구불해서 위험했기 때문에 터널을 건설해야 한다는 여론이 생겼다. 1967년 신문[* (1967. 06. 03.). 空約에 그칠 建設公約. 조선일보, 2면.]의 언급을 보면 이 무렵부터 터널 건설 여론이 있었던 듯하다. 너릿재터널 건설 후 공원화되기까지 고갯길은 오랫동안 방치되어 있었다. 오프로드 드라이빙을 즐기는 사람들이나, 봄에 벚꽃구경을 하는 정도로 이용되었다. 사고로 너릿재터널이 막히면 이용하는 경우도 있었다. 현재는 공원화되어 자전거·도보로 이용할 수 있다. 일반차량은 출입이 불가능하다. === 너릿재터널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너릿재터널/너릿재하행.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너릿재터널/너릿재상행.jpg|width=100%]]}}}|| || 소아르갤러리 방면에서 바라본 너릿재터널 하행구간 출구. || 너릿재터널 상행구간 출구. 사진 속 황색등은 현재 백색등으로 교체된 상태.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너릿재터널/너릿재공사.jpg|width=100%]]}}}|| || 1970년, 터널 공사 모습(하행) || 1971년 길이 400m, 왕복2차로의 터널이 완공되었다. 1992년에는 바로 옆에 길이 620m의 터널(상행)이 추가로 건설되어 왕복 4차로가 되었다. 신너릿재터널 건설 전까지는 [[22번 국도]], [[29번 국도]] 구간이었다. 하행구간이 상행구간보다 더 높은 곳에 있다. 1970년대 시공방식으로는 터널을 길게 뚫기가 어렵다 보니 터널 자체가 위치한 고도를 최대한 높여서 어떻게든 터널 구간을 짧게 해보려는 일종의 잔머리다. 이 때문에 진입·진출시 도로 경사가 급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비슷한 경우로 경기도 [[성남시]]와 [[광주시]] 경계에 위치한 갈마터널이 있는데, 성남 방향 터널이 먼저 지어졌고 광주 방향 터널이 나중에 지어지는 바람에 광주 방향 터널보다 성남 방향 터널이 더 높은 곳에 있다. 이 쪽은 그 악명높던 [[경충대로]] 선상에 있어서 우회도로가 개통되기 이전에 답이 없었던 건 마찬가지.] [[광주광역시]] [[광주 버스 228|시내]] [[광주 버스 지원152|버스]] 노선들 중 너릿재터널을 넘어 [[화순군]] [[화순읍]]으로 빠지는 노선들은 너릿재터널에 진입하면서 카드기계를 시외 모드로 변경한다. '소아르갤러리'라는 공원을 포함한 카페가 하나 있다. 꽤 평이 좋은 듯. 구 너릿재터널 하행차로에서 터널 나오자마자 우측에 있다. 바로 지나칠 수 있으니 주의하자. [clearfix] === 신너릿재터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너릿재로)] 2014년에 상행(광주 방향) 760m, 하행(보성 방향) 770m, 왕복 4차로로 개통되었다.[* 여담이지만, [[선개통 후완공|개통일은 '''11월 21일'''인데, 완공일은 '''11월 28일''']]이다.] [[http://www.youtube.com/watch?v=K5QLkGtvaa4|마무리작업 중일 때의 뉴스]] 이로 인해서 화순 - 광주 이동시간이 10분에서 5분으로 줄어들었다. 너릿재터널의 우회도로나 대체도로라기보다는, 남문로의 평면교차로들을 고가도로로 넘어가는 것에 가깝다. 터널 공사에 맞추어 8차로로 확장된 [[남문로(광주)|남문로]]에서 각각 4차로씩 분기되어 나가는 형태로 되어 있다. 개통일에 [[시내버스]]와 일부 차량을 제외하고는 아무도 구 너릿재터널로 안 가는 바람에 신너릿재터널에 [[헬게이트]]가 열리는 일이 있었다. 그 덕분에 구 너릿재터널 구간은 졸지에 [[간선급행버스체계|버스전용차로]]처럼 변해버렸다. 이후 시간이 지나면서 교통 흐름이 안정되었다. == 중요성과 통행량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너릿재터널/너릿재터널정체_1.jpg|width=100%]]}}}|| || 신너릿재터널 개통 이전[br]너릿재터널 상행구간(광주 방향)의 교통정체 || 화순과 광주를 잇는 가장 가깝고 '''유일한 고개'''였기에 예전부터 통행량이 많은 걸로 유명했었다.[* 아주 옛날 [[29번 국도]] 능주 - 보성 구간이 2차선이었을 때는 정체구간이 이양면까지 밀려있는 광경을 볼 수 있었다고 한다.] 괜히 중앙정부에서 1970년대의 호남에 터널을 뚫어 준게 아니다. 지형적으로 보자면 너릿재의 동쪽은 '''[[무등산]]'''이다. 서쪽으로도 산이 연달아 있기에 화순과 남평 사이에 있는 칠구재가 우회로일 정도로 길이 없다. 이렇다보니 사실상 너릿재가 광주 - 화순 간 유일한 길이다. 이는 너릿재터널이 막히는 근본적인 이유이기도 하다. 1971년 터널이 뚫리고 나서 광주와 화순 사이의 교통이 편해진 판국에, [[국토교통부|건설부]]의 선견지명이 있었는지 일찌감치 1992년에 터널 한 개를 더 뚫어서 왕복 4차로로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줬다. 그렇게 되자 화순이 땅값도 싸고 공기도 좋고 해서 [[광주광역시]]의 인구가 [[화순군]]으로 유입되었고, 결국 화순읍은 광주의 위성도시가 되었다. 또한 2004년 [[화순전남대학교병원]]이 화순에 세워지면서 광주에서 화순으로 치료받으러 다니는 교통량도 생겼다. 게다가 전통적으로 [[화순군]] 뿐만 아니라 더 남쪽의 [[보성군]], [[장흥군]], [[고흥군]]으로 가는 길목 역할도 하던 구간이다.[* 이 문제도 조만간 풀릴 예정이다. [[장흥군|장흥]] 같은 경우는 장동, 장평 일대지역은 제외하고 [[강진광주고속도로]]가 개통이 되면 대부분 고속도로로 이용될 확률이 높고 [[고흥군|고흥]]과 [[벌교읍|벌교]]는 물론 [[남해고속도로]] - [[29번 국도]] 경로가 빠르지만 너릿재터널 구간이 자꾸 '''[[헬게이트]]'''가 열리기 때문에 [[27번 국도]] 벌교 - 주암 3공구 구간이 개통이 되면 [[주암IC|주암 나들목]]으로 통해서 [[호남고속도로]]로 광주로 갈 수 있다. 그렇지만 여기도 동광주부터 헬게이트가 열리기는 하지만 여기는 [[대덕JC|대덕 분기점]]에서 빠진다음 [[고창담양고속도로]]로 이용해서 [[북광주IC|북광주 나들목]]으로 진출해서 광주로 진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너릿재터널 정체되는 것도 어느 정도 풀릴 예정이다.] 전남 군 지역에 직장을 두고 근무하는데 집을 두고 살기에는 생활 인프라가 더욱 훌륭하고 각 지역으로 가는 교통이 편리한[* [[광주광역시|광주]]는 [[전라남도|전남]] 전 지역으로 가는 대중교통편이 마련되어있으며, 자가용으로 출근한다고 해도 도로망이 전남의 가운데에 있는 광주에서 전남 각지로 방사형으로 퍼지는 형상이라 광주에 살면 전남 어디로 발령이 나도 출근길 걱정을 안 해도 된다. 만에 하나 집이 여수인데 발령이 영광으로 났다던가 집이 목포인데 발령이 구례로 났다는 등의 사례가 나오면 도저히 [[답이 없다|답이 떠오르지 않는다.]]] 광주에 거주하는 사람도 많다.(주로 공무원, 교사) 광주는 광역시 중 역외출근 비율이 1 ~ 2위 수준이었다는 통계도 있다. 일반적인 도시지리학적 모델에서는 교외에 사는 사람들이 도시 중심부로 출퇴근하지만, [[러시아식 유머|광주에서는 도시 사람들이 시골로 출퇴근하는 경우가 많다]].[* 사실 이건 의외로 많이 볼 수 있는 유형으로, [[전주시|전주]], [[삿포로시|삿포로]] 등이 비슷한 유형에 속한다.] 즉 광주와 주변 지역의 관계가 평범한 중심도시와 [[베드타운]] 관계였다면 여느 위성도시와 마찬가지로 출근 시간에 상행선, 퇴근 시간에 하행선에 통행량 집중이 일어나겠지만, 여긴 두 쪽 다 통행량이 많다. == 관련 문서 == * [[칠구재터널]]: 너릿재터널의 고질적 교통체증 때문에 우회로인 칠구재터널이 1999년 건설되었다. * [[너릿재로]] == 참고 문헌 == * [[http://www.grandculture.net/gwangju/index/GC60000018|디지털광주문화대전]] * [[http://hwasun.grandculture.net/hwasun/toc/GC05600330|디지털화순문화대전]] * [[http://kjdaily.com/1631193321555834223|광주매일신문]] * [[http://m.xn--z92b19j2qa92f8vg73x.kr/article.php?aid=470878238|화순중앙신문]] * [[http://gjstory.or.kr/sub.html?pid=11&formtype=view&code=31|광주역사문화자원스토리텔링]] [[분류:광주광역시의 지리]][[분류:광주광역시의 터널]][[분류:전라남도의 터널]][[분류:22번 국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