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たぬき(ウマ娘) [[심볼리 루돌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우마무스메의 심볼리 루돌프]]의 파생 캐릭터를 가지고, [[트위터]]를 거쳐 [[후타바 채널]]을 중심으로 확산된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의 2차 창작물. == 연원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yonbori.jpg|height=400]]}}}|| || [[https://twitter.com/deon_Jetaime/status/1394789901392957443|시무룩 루돌프(ションボリルドルフ)]] ||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게임판 우마무스메]] 출시 초기에 우마무스메들의 이름을 약간 비틀어서 따로 뜻을 가진 이름으로 바꿔버리는 밈이 있었다. 가령 '[[토카이 테이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토카이 테이오]](トウカイテイオー)'는 '코우카이(후회) 테이오(コウカイテイオー)'나 '토우토이(고귀한) 테이오(トウトイテイオー)'로 바꿔버리는 식으로 말이다. 그 대상 중에는 심볼리 루돌프도 있었고, 컨디션 난조를 겪는 심볼리 루돌프(혹은 이를 표현한 일러스트)를 ''''시무룩 루돌프(숀보리 루돌프;ションボリルドルフ)''''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해당 밈이 반짝 유행을 타던 와중에, [[https://twitter.com/deon_Jetaime|데온(デオン)]]이라는 작가가 [[명탐정 피카츄(영화)|명탐정 피카츄]]의 축 쳐진 피카츄 같이 그린 루돌프의 일러스트가 흥하는 바람에, 다른 이름장난 밈이 묻히는 도중 시무룩 루돌프는 혼자서 살아남았다. 특히 [[후타바 채널]]에서 크게 흥해서, 채널의 주민들은 해당 일러스트를 본격적으로 가지고 놀기에 들어간다. '훈장이 없으니까 루돌프가 아니다', '꼬리가 우마무스메의 그것이 아닌 것 같은데', '귀가 딱 너구리다' 등의 의견에 힘입어 ''''너구리(たぬき)''''라는 이름을 새로이 받게 된 것도 이 때 쯤이다. ||[[파일:rudolf_tanuki.gif|height=250]]|| || 너구리(たぬき) || 그러다가 2021년 6월 10일경, 후타바 채널에 [[https://twitter.com/rotasqqfv/status/1535225090484637698?t=wltUDWFdlqC87HVV9A1rQQ&s=19|위 이미지]]가 만들어져 투고되었다. 이 뭐라 말할 수 없는 치명적인 몸짓에 매료된 후타바 주민들은 해당 이미지가 올라온 것을 기점으로 본격적으로 다른 우마무스메들의 '너구리' 이미지들도 만들어내기 시작했고, 이 '너구리'들을 사용한 영상까지 제작하기도 했다. 극초기에는 고작 버둥대거나 달리는 몸짓 정도의 이미지만 올라왔지만, 비슷한 시기에 유행을 타기 시작한 ''''잡곡(雑穀)'''' 밈[* 넓은 의미로는 인성을 나쁘게 묘사한 [[라이스 샤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라이스 샤워]]의 2차 창작을 의미하지만, 좁은 의미로는 [[https://www.pixiv.net/artworks/89116154|키무라 마츠리(木村まつり)]]라는 작가가 그린 인성이 나쁜 라이스(또는 그것에서 파생된 2차 창작)을 뜻한다.]을 흡수해서 너구리 이미지에 쓰이는 모션의 가짓수가 점차 늘어나기 시작했다.[* 정확히는 [[건어물 여동생! 우마루짱/애니메이션]]의 오프닝에서 나오는 우마루 댄스를 추는 ~~라이스~~잡곡 이미지가 시발점이 되었다.] 후타바에서 만들어진 영상의 [[https://www.nicovideo.jp/watch/sm39113621|모음집]]이 [[니코니코 동화]], [[유튜브]]에 투고된 것을 기점으로 다른 커뮤니티에까지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본격적으로 '너구리' 밈은 우마무스메 팬덤 내에 유행을 떨치게 되었다. 본작의 설정이 너구리 밈에 영향을 끼치기도 하는데, [[골드 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골드 쉽]]은 막나가는 성격을 상기된 데온 작가가 [[https://twitter.com/deon_jetaime/status/1385156425123450880|그려낸것처럼]] [[https://seiga.nicovideo.jp/seiga/im10907426|항상 빡쳐있는 표정]]을 짓거나, [[마루젠스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마루젠스키]]는 한세대 전의 선배로서 지 혼자만 [[셀 애니메이션]] 풍으로 [[https://twitter.com/nanaya_veronica/status/1458401341114486786|그려졌다]]. 다만 니코니코 동화, 유튜브에 업로드된 모음집은 대부분 불펌 영상이고, 후타바에서도 이를 탐탁치 않게 여기는 여론이 많지만, 반대로 니코동이나 유튜브, [[픽시브]], [[트위터]] 등지에서 자작 너구리 이미지나 영상들을 만드는 창작자들도 제법 늘어나고 있는 데다가 막고 싶다고 불펌이 막아지는 것도 아니기에 후타바 주민들은 이 상황을 복잡미묘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오히려 이 기세로 니코동, 유튜브에 직접 작품을 올리는 유저들도 생기는 중. 인기 상승과 함께 학대물 같은 혐오성 작품을 만드는 악성 유저들이 늘어나자, 작자들이 힘을 합쳐 너구리 소재 창고였던 위키를 비공개로 전환해 사태의 악화를 방지했다. 이후 불편하긴 하지만 소재들을 서로 조용히 공유하거나 여러군데로 분산시켜 배포하는 한편, 자체적으로 공식의 가이드라인을 준수하면서 퀄리티 관리에 힘쓰고 있다. 덕분에 너구리 작품의 팬아트도 속속 나오는 추세고, 너구리로 알아보는 명마의 인생이나 퀴즈방송 헤이세이교육위원회(平成教育委員会)의 패러디 시리즈 같은 교양적이고 정통파인 작품들도 나오고 있다. 그리고 말딸들의 원본마들이 세상을 떠날 때 그 원본마들을 추모하는 영상들도 나오고 있다. 그 외에도 온갖 고전 애니, 광고, 영화, 게임을 타누키로 재현하기도 한다. 의외로 일본 내 유명 게임뿐만이 아닌 서양의 게임들도 종종 보인다. 이런 장르를 가리지 않는 넓은 패러디의 폭과 표현력 덕에 서양의 오타쿠들에게도 알려지고 있어서 서양권 유튜버가 후타바 등지에서 퍼온 영상을 영어로 올리거나 너구리 영상에 영어 댓글이 달리는 빈도가 점점 느는 중이다. == 너구리 세계관의 우마무스메들 == 실제로 본편에 실장돼 환각에서 졸업한 사례도 있다.(★) === 심볼리 家 === 너구리 자체가 심볼리 루돌프에서 파생되었다 보니 심볼리 루돌프와 그 주변 우마무스메들을 베이스로 한 너구리들이 창작물 대부분을 차지한다. * [[심볼리 루돌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심볼리 루돌프]] 너구리 시리즈의 시작을 연 주인공답게 매우 다양한 모습으로 그려진다. 시리우스 심볼리와 함께 테이오와 츠요시의 자상한 보호자로 나오거나, 카메라 셔터를 연사하거나, 물을 뿜는 부채를 양손에 들고 춤을 추거나, [[어묵|치쿠와]]가 통통 뛰는 드럼을 치거나, 아재개그를 치고 주위를 썰렁하게 만들고 도야가오를 지으며 웃거나, 얼굴 양쪽의 볼을 눌러 화염을 내뿜거나, 꼬리를 사용해 헬리콥터나 마리오 시리즈의 너구리 변신처럼 날아다니거나, [[新宝島|신 보물섬]]의 댄스를 추거나, [[https://youtu.be/LjpTy6E9kFk|쿠시모토부시(串本節)]][* [[쿠시모토역]]이 위치한 지역의 전통노래. 이 시리즈에선 [[타카쿠라 켄]]의 전처였던 에리 치에미가 부른 버전이 쓰여진다.][* 의외로 다른 매체에서 먼저 삽입곡으로 쓰였던 노래인데 다름 아닌 [[기동전사 건담 썬더볼트]]에서 삽입곡으로 쓰인 노래이다. 때문에 일본쪽에선 건담 삽입곡으로 쓰였다는 부분을 은근 강조하기도 한다.]가 흘러나올때 움츠린 상태로 팽이처럼 빙글빙글 돌아가거나, [[고대말딸]] 시절을 반영해 [[오구리 캡(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오구리 캡]]에게 피겨 스케이트 듀엣을 강요하거나, 섬뜩한 미소를 지으며 변태 같이 집착하거나, 이상한 행동을 하다가 경찰로 분한 에어 그루브한테 잡혀가는 등, 온갖 희노애락을 표현중이다. 아재개그를 좋아하는 면모는 여기서도 여전하여, 시무룩해 있다가도 테이오가 아재개그를 해 주자 기분을 풀고 웃기도 한다. 하도 모션 바리에이션이 많아지다 보니, 스스로를 분신해 증식하여 지구를 정복하기도 한다. 루돌프가 증식할 때에는 [[동키콩 리턴즈]]의 7스테이지 보스 BGM인 [[https://youtu.be/PehJpkjvJ2I|Feather Fiend]]가 배경음악으로 흘러나온다. [[Full House]] 패러디물에서 담당하는 배역은 대니 태너. [[007 시리즈]] 패러디물에선 [[로저 무어]]의 제임스 본드를 담당. * [[토카이 테이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토카이 테이오]] 앞서 [[시무룩 루돌프]] 짤을 그린 [[https://twitter.com/deon_jetaime/status/1516457538807508994|동일 작가가 묘사한 표정으로]] 자주 울고, 시도때도 없이 하찌미 드링크를 마셔대는 꼬맹이로 그려진다. 부모관계인 심볼리 루돌프는 기본이고, 시리우스 심볼리가 삼촌, 에어 그루브가 이모, 츠루마루 츠요시가 동생으로 나오는 가족 일상물의 주인공으로 나온다. 가족 일상물에선 초기엔 순수하고 마음이 약한 영락없는 아이였지만, 츠루마루가 동생으로 추가된 이후로는 잘 챙기고 의젓한 언니가 되는 묘사가 상당히 많아지게 되었다. [[Full House]] 패러디물에서 담당하는 배역은 D.J. 태너. [[007 시리즈]] 패러디물에선 [[조지 라젠비]]의 제임스 본드를 담당. [[토마스와 친구들]] 패러디물에선 주인공 [[토마스(토마스와 친구들)|토마스]]를 담당. 이런 가족 관계를 배제한 작품에선 게임 사복을 입은 채로 햇빛에 그을려 [[갈색 피부]]가 되거나, 어둠의 테이오 설정을 가져와서 원래 모습과 상반되게 사악한 미소를 짓는 [[하라구로]]로 나오기도 한다. [[에어 샤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어 샤커]]가 실장됐을 때 테이오의 [[Machico|안의 사람]]이 기뻐한 나머지 [[https://mobile.twitter.com/MachicoOfficial/status/1545966664604610561|'해냈다(やった)'로 가득 채운 트윗]]을 올리며 폭주한 것에 착안해, 하라구로 테이오가 무지개색으로 빛나며 [[YATTA!]]를 외치며 변태로 돌변해 샤커를 덮치려는 모습도 그려진다. 이땐 테이오가 아닌 Machico로 불려지며, 나중엔 회전하면서 탱탱볼 같이 튀어가거나 수직으로 몸이 늘었다 줄었다 하는 등 괴상함이 극대화됐다. [[https://www.nicovideo.jp/watch/sm40903112|모음집]] 비욘드 더 호라이즌 승부복을 입고 슈퍼맨처럼 공중비행을 하며 돌격하기도 한다. * [[츠루마루 츠요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츠루마루 츠요시]] 특이하게도 가족물에서는 원래 모습보다 갓난아기 모습으로 더 많이 그려지고 있다. 극중에선 심볼리 가족의 새로운 막내 포지션으로 테이오는 아기 츠요시가 나온 이후부턴 기존의 잼민이 캐릭터에서 동생을 잘 챙기는 의젓한 언니 포지션으로 캐릭터 성격이 많이 바뀌었다. 보호자인 루돌프와 시리우스는 자식바보 혹은 조카바보 기질이 강해졌다. 우마유루 4화 방영 이후에는 신체 강화 바디 슈트를 입고 몸통만 갈색 피부 근육질로 변한 모습도 그려졌는데, 하필이면 같은 갈색 피부 근육질의 [[게이 포르노]] 배우 [[타쿠야(AV 배우)|타쿠야]]와 엮여져서, 시리즈 작품에 등장할때마다 타쿠야의 테마곡 취급받는 [[https://www.nash.jp/nml/search/detail/NSF-346-04|BGM]]이 높은 빈도로 흘러나온다. 이럴 땐 [[한여름 밤의 음몽/KBTIT의 괴문서|타쿠야가 만들어낸 괴문서들]]의 단문이나 타쿠야의 평판 등을 패러디한 문장이 댓글로 뒤덮여진다. * [[시리우스 심볼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시리우스 심볼리]] 심볼리 루돌프의 형제인 걸 반영해 심볼리 가족의 삼촌으로 묘사하고 있으며[* 실제 시리우스는 루돌프의 이복누나인 스위트 엡섬의 자마로 엄밀히 말하면 루돌프의 (나이 차 적은) 조카이다. 마찬가지로 토카이 테이오에게는 외사촌형. 번외로 루돌프의 이복누나 중에 메지로 목장의 메지로 뷰티가 있었는데, 이 뷰티의 딸이 [[메지로 도베르]]이다.], 이웃집 꼬마 오구리 캡의 아빠 포지션이 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딸바보]]나 조카바보로 나오는 경우가 많으며, 프로필 사진의 포즈로 무언가를 꺼내서 건내는데, 예를들어 쿠시모토부시를 라디오로 틀어 루돌프한테 무한의 회전을 걸기도 한다.[[https://www.nicovideo.jp/watch/sm40673458|#]] 손재주가 매우 뛰어나서 다양한 요리들을 만들어내거나, 테이오와 츠요시의 숙제를 도와주다 평범한 어른도 상상하지 못할 결과물을 내놓기도 한다. 공작 과제로 로봇청소기를 완성한다던지, 독후감으로 [[인간실격]]의 논문을 편찬한다는 등. 가끔 조카들을 비롯한 아이들에게 멋진 모습을 보이려다가 잘 안풀리거나 미움받는다고 착각하면 정신이 나가 기절해 버리기도 한다. 또한 연타를 맞으면 흐릿해지거나 심지어 사라지기까지한다. [[파이루즈 아이|안의 사람]] 네타로 [[쿠죠 죠린]]과 [[파워(체인소 맨)|체인소 맨의 파워]]가 함께 출연하기도 한다. [[Full House]] 패러디물에서 담당하는 배역은 제시 캇소폴리스. [[007 시리즈]] 패러디물에선 [[티모시 달튼]]의 제임스 본드를 담당. * [[심볼리 크리스 에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심볼리 크리스 에스]]★ 우마유루에서 보여준 매섭고 순진한 성격으로 자주 나온다. 어째서인지 몸의 길이가 고양이마냥 마구 쭉쭉 늘어나기도 하는데, 때문에 [[쿠네쿠네]]랑 엮이거나 수직으로 늘어났다 줄어드는 물체의 코스튬을 입고 나오는 경우까지 있다. 변칙으로 그냥 등 스트레칭만 하고 몸이 늘어나지 않는 패턴도 있다. SSR 서포트 카드에서 장갑을 입에 문채로 경주를 준비하는 모습이 나왔는데, 이걸 가지고 장갑을 입안에 넣고 우물우물 해대거나 먹어버리기도 한다. 너구리 밈의 근원지가 된 시무룩한 [[심볼리 루돌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심볼리 루돌프]]를 그린 이가 만든 [[https://twitter.com/deon_jetaime/status/1595250786962808834|시무룩 크리스에스(ションボリクリスエス)]]에 기반한 너구리 캐릭터도 나왔다. 심볼리 가족 작품에서는 리액션을 받아주는게 서툴지만 잘 챙겨주는 이모 역할로 굳혀지고 있다. * [[에어 그루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어 그루브]] 승부복이나 [[블루머]], 상어 인형 등의 다양한 복장의 모습으로 등장하고 있다. 코스튬 수로 따지면 시리즈의 캐릭터들 중 가장 많은데, 아예 머리와 팔다리 부분만 떼서 사진이나 물체 이미지에다 붙이는 극단적으로 단순한 패턴도 있다. 시리즈 작품에서 등장할 때마다 시청자들은 "타와케❤️"라는 코멘트를 날리며 반겨주는데, 코스튬을 입고 나오거나 상태가 바뀌면 그 코스튬이나 상태에 맞춰 "〇〇〇❤️" 형식으로 바뀐다. 우마뾰이 경찰이 되어 대놓고 수상한 짓을 벌이려는 우마무스메나 트레이너를 체포해가는 역할을 소화하기도 한다. 한편 [[스윕 토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스윕 토쇼]]나 [[나리타 브라이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나리타 브라이언]], 잡곡 [[라이스 샤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라이스 샤워]]같이 채소, 그 중에서도 브로콜리를 싫어하는 말딸들에게 어떻게든 브로콜리를 먹이려고 부르마를 입은 채로 초사이어인이 되는 경우가 많다.[* 이때 [[뒤떨어진 후르츠 타르트]]의 주연 세키노 로코가 브로콜리 홍보 모델 시절에 부른 [[https://youtu.be/AYXAq7_igWU|브로코의 노래]]가 자주 흘러나온다.] 한편 루돌프의 다자레 개그에 자주 당하는 일상을 반영해 붙어있기만 해도 기분이 나빠지는 형태로도 많이 그려진다. 이 외에도 원본마가 애교가 많아서 구무원을 자주 핥아댔다는 사실을 반영해, 트레이너와 함께 다닐 때 혀를 내밀며 기뻐하거나, 드러누운 상태로 혀를 핥짝대기도 한다. 정적인 [[피우수트스키]]의 너구리가 나온 이후로는 피우수트스키의 발정 돌격에 시달리는 신세가 되었다. 이 외에도 가족 시리즈에선 심볼리 가족의 집안일을 도맡아 하거나 테이오&츠요시 자매를 돌봐주는 자상한 엄마&이모 포지션으로 등장한다. === ㄱ행 === * [[골드 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골드 쉽]] 게임에서 찾아볼 수 있는 유쾌한 표정 그대로 그리는 경우도 있지만, 골드 쉽의 기행을 최대한 반영하기 위해 대부분 빡친 표정의 또라이로 묘사되고 있다.[* 지랄마 혈통으로 악명높은 [[스테이 골드]] 일족으로서, 스테이 골드를 모티브로 한 [[킨이로 료테이]], 스테이 골드의 자마인 [[나카야마 페스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나카야마 페스타]], [[오르페브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오르페브르]]는 물론, 자마들중 실장된 적도 없는 환각 캐릭터인 [[오쥬 쵸산]], [[페노메노(말)|페노메노]], [[드림 저니]], 마이네르 판롱([[위버레번]]의 반형제)도 이 습성을 지닌 채로 나온다. 스테이 골드 자마 답지않게 순진한 [[윈 브라이트]], 하나같이 온순한 스테이 골드의 손자 세대인 [[멜로디 레인]]이나 위버레번도 종종 빡친 표정을 짓는다.] 당연히 사고뭉치로 표현되고 있으며 어떨 때는 얼굴을 크게 확대해서 다리만 움직이는 일명 고루시벌레로 만드는 일도 많다. 이 상태에서는 폭탄 취급을 받으며 터지기도 하고, 빡친 고루시가 등장했을 때 [[울트라맨 가이아]]의 괴수 출연 브금이 깔리는 것이 클리셰이다. 다만 이 클리셰가 쓰인 영상들은 유튜브 한정으로 츠부라야의 저작권 신고로 잘리고 있는 편이다. [[Full House]] 패러디물에서 담당하는 배역은 조이 글래드스톤. 가끔씩 [[https://seiga.nicovideo.jp/seiga/im10999295|갈색 머리의 어린 모습]]으로도 등장하고 있다. * [[골드 시티(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골드 시티]] [[갸루]] 캐릭터인 우마무스메들과 유키노 비진과 자주 어울리고 있으며, 머리를 꾸며주는 헤어 디자이너를 지향하는 만큼 양손에 가위를 들고 나온다. 기분이 상하거나 우울해질땐 금발이 쭈뼛쭈뼛 세워지며 멍한 표정을 짓는다. * [[그래스 원더(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그래스 원더]] 실제 원본마가 민들레를 먹으면서 살이 지나치게 찐 근황을 그대로 반영해 꽃먹는 돼지(...)로 취급하고 있다. [[메지로 맥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메지로 맥퀸]]만큼은 아니지만 갑작스런 폭식으로 살이 쪄서 난처해지기도 하며, 이럴때 시청자들은 암묵적으로 그래스를 돼지라고 부르는 코멘트를 날린다. 이따금씩 [[나기나타]]를 [[https://www.pixiv.net/tags/%E3%82%A8%E3%83%AB%E3%83%BB%E5%8D%B3%E3%83%BB%E6%96%AC/artworks|--칼춤마냥 휘두르면서-- 들고 나타날 때도 있는데,]] 이때는 물론 십중팔구 [[엘 콘도르 파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엘]] 때문이다.[* 엘 콘도르 파사의 [[엘 콘도르 파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s-3.4.2|1칸 만화]]를 참고해보자.] 가끔 나기나타도 내던지고 엘한테 '''역으로 [[서브미션|관절기]]를 걸어''' 엘을 응징하기도 한다.[* 전술한 1칸 만화의 [[핫소스]] 이외에도 그래스의 [[엉덩이]] 수치를 갖고 놀려대다 보복을 당하는 경우도 많다. 참고로 그래스 원더의 신체 치수는 키 152㎝에 엉덩이 둘레 84㎝로 신장 대비 둔부가 큰 편이며, [[미호노 부르봉(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미호노 부르봉]]과 더불어 자주 두드러지곤 한다.] --환각의 아이돌-- [[저스터웨이(말)|저스터웨이]]의 표준 너구리 캐릭터가 그래스와 많이 닮았기 때문에, 저스터웨이를 처음 보는 사람은 그래스와 헷갈릴 수 있다. 나중엔 무투파 설정이 강화되면서 [[관우(진삼국무쌍)|진삼국무쌍의 관우]]가 언월도를 휘두르듯 [[https://twitter.com/nisiki_aNoNym/status/1575465099690913793|나기나타를 휘두르거나]], [[클라우드 스트라이프]] 처럼 [[https://twitter.com/nisiki_aNoNym/status/1578794333251448837|흉(凶)자로 베거나]], [[아이크(파이어 엠블렘 시리즈)|파이어 엠블렘의 아이크]]의 [[https://twitter.com/nisiki_aNoNym/status/1577322790621155329|천공 기술을 구사하거나]], [[파일 벙커]]로 [[https://twitter.com/nisiki_aNoNym/status/1604113378892734465|나기나타를 날리거나]], [[몬스터 헌터 시리즈]]의 [[https://twitter.com/nisiki_aNoNym/status/1610311357047668743|천상천하천지무쌍도를 휘두르는 등,]] [[https://twitter.com/zzhao121/status/1585944929146007552|웬만한 액션게임이 만들어 질 정도]]로 무술 모션이 풍부해졌다. === ㄴ행 === * [[나리타 브라이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나리타 브라이언]] [[스윕 토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스윕 토쇼]]와 함께 등장하는 경우가 잦다. 때때로 포크로 찍은 [[브로콜리]]를 편식하곤 하는데, 그럴 때마다 십자가에 매달려 강제로 채소를 먹임을 당하는 고문을 당하곤 한다. 이럴 때 강제로 채소를 먹이는 고문관으로 저스티웨이와 에어 그루브 등 다른 우마무스메들이 자처하는 식으로 등장하고 있다. * [[나리타 타이신(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나리타 타이신]] 타이신 특유의 표정은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안의 사람이 같은 [[스오 모모코]]의 네타를 가져오기도 하며, 이런 작품의 코멘트도 블룸마스의 캐릭터 붕괴 대사를 비롯한 모모코 관련 네타 댓글이 가득하다. 아니면 본작에서 말하지 않은 [[https://umamusu.gamestlike.com/87606|낳을거니까(産むから)!]]가 흘러가기도. * [[나리타 탑 로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나리타 탑 로드]] 영문명이 Narita Top Road다 보니 아예 '''[[네토라레|NTR]](...)'''로 줄여 부르자고 멋대로 정해버린 음해에서 착안해, 자신의 트레이너를 다른 우마무스메가 빼앗는 상황이 벌어질 때마다, 말풍선 안에 나리타 탑 로드가 나오는 형식으로 빠짐없이 출연한다. 물론 원작 게임이 직접적인 연애 관계가 드러나지 않는 게임인지라, 나리타 탑 로드를 이용한 NTR 드립의 코멘트들이 지나가면 [[https://alu.jp/series/%E3%82%B9%E3%83%8A%E3%83%83%E3%82%AF%E3%83%90%E3%82%B9%E6%B1%9F/crop/t9e2f7iOpuX6RReXrECV|'자고나서 말해(寝てから言え)']] 라는 츳코미 코멘트로 뒤덮인다. * [[나이스 네이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나이스 네이처]] 카노푸스 밴드에서 일렉 기타나 베이스를 치는 식으로 정상적인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최근에는 공식 일러스트에서 선보인 치어걸 복장으로도 등장하고 있다. 거기다 한 그림쟁이가 만든 [[https://www.pixiv.net/artworks/92687918|2차 창작 일러스트]]에서 영감을 얻은 트윈 네이처 너구리로 묘사되곤 한다. 이 상태에서는 기묘한 미소를 지은채 여러명으로 분신하기도 하며, 꼭 트윈 터보가 잡히는 것이 클리셰이다. 이 그림이 게시글에 올라올 때 댓글로 "읏❤️꽉껴❤️(うっ❤️キツっ❤️)"라는 대사를 날리는 게 불문율이 되었다고 한다. 최근에는 얀데레 설정을 가져와, 다른 인물들이 트레이너와 만나는걸 질투하고, 방안에 혼자서 쭈그리고 앉아 심오한 표정으로 좌절하는 모습으로도 그려지고 있다. 나중엔 이 모습을 가면을 잃어버린 엘이나 상심한 맥퀸이 시전하기도 한다. 네이처의 원본마랑 같은 은퇴마 목장에서 친하게 지내는걸로 유명한 [[https://db.netkeiba.com/horse/1995100690/|메테오 샤워]][* 1997년 데뷔. 38전 3승. 총상금 8992만 엔. 최고 성적은 1999년 무츠만특별(500만 이하) 우승.]와 [[https://db.netkeiba.com/horse/1990107253/|세인트 미사일]][* 1992년 데뷔. 40전 6승. 총상금 1억 840만 엔 (중앙), 136만 엔 (지방). 1993년 크리스탈컵(G3)(2005년 폐지된 이후 [[오션 스테이크스]]로 대체) 우승, [[스프린터즈 스테이크스]] 12착. 2018년 6월 21일 사망.]도, [[https://twitter.com/kanzaki_ryuto|神咲竜兎@どらもどき]]에 의해 오리지널 너구리들이 만들어졌다. [[https://seiga.nicovideo.jp/seiga/im11064291|메테오 샤워의 너구리]] [[https://seiga.nicovideo.jp/seiga/im11064286|세인트 미사일의 너구리]] * [[나카야마 페스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나카야마 페스타]] 초기엔 된장국을 흡입하거나, [[촌마게]] 가발을 쓴채로 [[스테이 골드]] 일족의 다른 우마무스메들 처럼 빡친 얼굴로 나오는 등 독특한 캐릭터가 부실했지만, 실장되고 나선 [[마작]]은 물론 [[카드 놀이]]에도 능력이 있어 [[플레잉 카드]]를 셔플링 하는 도박꾼으로 이미지를 굳히게 된다. 고유 스킬도 그렇지만 [[https://ウマ娘攻略まとめ速報.com/post-110401|개인 스토리가 어딜봐도]] [[아카기 ~어둠에 춤추듯 내려온 천재~]]에서 볼법한 전개라, 아예 최강의 마작 도박꾼 [[아카기 시게루]] 처럼 그려지기도 한다. 이 영향으로 괴상한 성격의 도박꾼 [[골드 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골드 쉽]]은 [[와시즈 이와오]], 도박에 약해서 매번 돈을 날려먹는 설정이 박혀버린 [[스페셜 위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스페셜 위크]]는 [[이토 카이지]]로 묘사되는 식으로 어울리고 있다. 이런 작품에선 항상 나카야마가 스페짱--부에나--의 돈--3천엔--을 털어먹으며 절망을 안겨준다. [[007 시리즈]] 패러디물에선 [[대니얼 크레이그]]의 제임스 본드를 담당. * [[네오 유니버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네오 유니버스]] 하기 된 애스턴 마짱 같이 처음 만들어진 너구리 모델이 바둥대는 모션이 아니고, 승부복을 입은 상태로 반쯤 감은 눈으로 멍하니 정면을 바라보는 모션이 처음 만들어졌다. 이를 반영하듯 원작처럼 성격도 전파계에 매우 자유분방한 편이며, 우주를 평온하게 떠다니기도 한다. 주전 기수가 에이신 플래시랑 같은 [[미르코 데무로]]라 데무로 점프를 시전하고 낫토를 좋아한다. [[시라이시 하루카|안의 사람]] [[성우 개그|드립]]으로 [[골든 카무이]]의 [[아시리파]]와 엮여져서, [[카레라이스]]를 극도로 혐오하거나 아시리파가 시전한 [[얼굴개그]]를 그대로 하기도 한다. 일각에서 유니버스의 헤어스타일이 [[우무문어]]를 닮았다고 머리 부분만 떼서 [[텅비드]] 같이 생긴 크리쳐로 만들었는데, 역시 다른 크리쳐들과 다름없이 보드카를 공포에 떨게 하거나 추격하기도 한다. 아니면 별명인 유니를 [[성게|우니]]로 바꿔서 성게 크리처가 되기도 한다. 출연할때 높은 확률료 [[케무리쿠사]]의 엔딩곡 [[INDETERMINATE UNIVERSE]]가 흘러나오기도. * [[니시노 플라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니시노 플라워]] 특이점으로 플라워보다 플라워를 담당하는 트레이너에 초점을 두는 작품이 상당하다.[* 이런 동인 설정은, 니시노 플라워 스토리의 트레이너가 다른 선배 트레이너들에게 도움을 받기도 하는 등, 플라워의 트레이너가 너무 미숙하면서도 어떤 면에선 앳된 모습을 보인 것에서 괴문서 작가들이 상상의 나래를 펼친 게 유래가 된 걸로 보인다.] 그러다보니, 아예 베일 속에 숨겨진 트레이너를 환각화한 오리지널 캐릭터를 만들기까지 했는데, 이렇게 환각화한 트레이너도 공식 일러스트의 세이운 스카이처럼 화관을 쓴 채로 등장하는 경우가 자주 나타나고 있다. [[키노시타 히데요시]] 마냥 성별이 구별되지 않거나 [[오토코노코]] 취급을 받는게 허다하다.[* 일부 팬들은 여기서 더 나아가 트레이너 전담 성우로 [[아사쿠라 아즈미]]를 성우로 붙여버리는 가상 놀이를 즐기고 있다.] 이렇게 같이 등장하는 작품들에서 플라워는 트레이너를 [[아그네스 디지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데지땅]]급으로 좋아해, 트레이너의 귀여운 행동을 볼 때마다 열광하거나 승천하는 광기를 보이고 있다. [[https://www.nicovideo.jp/watch/sm40540561|예시]] === ㄷ, ㄹ행 === * [[다이와 스칼렛(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다이와 스칼렛]] 라이벌인 보드카와 함께 그려지는 경우가 많고, 1착 깃발을 들고 다니기도 한다. 평범하게 그려지는 경우도 많지만 특이하게도 대왕오징어 코스튬을 입은 모습으로 나오는 작품도 종종 확인되고 있다. 초기에는 안구 부분의 풍만한 가슴에다 눈동자를 그려넣어 유륜처럼 보이게 하는 음흉한 의상이었지만, 공식 가이드라인에 찔렸는지 현재 모델은 눈동자가 없어졌다. 대왕오징어로 출연할때 친구인 보드카는 물고기가 되는데 스칼렛이 천적이 되는 일이 많다. 종종 자신만만한 표정으로 허당끼를 보이는 바보 모드로 변하거나, 일렉트릭 기타를 연주하거나, 다른 우마무스메가 자기보다 빼어난 몸매나 미모를 보이는걸 질투해 분한 표정을 짓고 발을 구르는 모션도 추가됐다. 본작에서 말하지 않은 "바보구나... 보드카! (バカね... ウオッカ!)"를 말하는 스칼렛 시리즈가 너구리 시리즈의 본진인 후타바 채널에서 인기를 얻었는데, 이를 응용해 드넓은 초원 위에서 보드카의 행동이나 변신을 본 바보 모드 스칼렛이 [[https://www.nicovideo.jp/watch/sm42037656|"XX구나... 보드카! (〇〇ね... ウオッカ!)"라고 말하는 시리즈]]가 흥하는 중이다. [[https://twitter.com/nisiki_aNoNym/status/1595945667280900097|손수레를 끌거나]] [[https://twitter.com/nisiki_aNoNym/status/1599778826112094215|스케이트보드 마냥 올라타고 질주하기도 한다.]] 이 손수레는 후에 [[https://twitter.com/nisiki_aNoNym/status/1647208125416759296|로켓을 장착한 비행기로 개조되기도 한다.]] 꼬리 버그가 커뮤니티를 한창 달구었을때 위의 보드카랑 서로의 꼬리가 엉켜진 상태로 서로 부끄러워 하는 모습도 보인다. * [[다이이치 루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다이이치 루비]] 시도 때도 없이 소금을 뿌려대는 인물로 묘사되고 있는데, 이는 상대를 향한 애정없고 냉담한 태도를 뜻하는 일본어 신조어 '소금대응(塩対応)'에서 따왔기 때문이다. 아가씨라는 설정 답게 고급 식자재인 [[트러플]] 소금을 뿌리기도 하며, 바이올린을 연주하기도 한다. 반대로 라이벌인 다이타쿠 헬리오스는 소금에 약한 민달팽이로 그려지곤 하는데, 당연히 루비가 민달팽이 헬리오스를 쫓아가는 상황이 자주 벌어진다. [[골베자 4천왕#s-5|루비칸트]]로 변신해서 화염류(火'''塩'''流, 불꽃과 소금의 일본어 훈음이 '엔'으로 같은점에서 착안한 말장난)를 시전하거나, 요리사 [[누스레트 괵체]]처럼 선글라스를 끼고 소금을 팔꿈치에 흘러내려 흩뿌리기도 한다. 본작의 스토리 도중 [[https://youtu.be/cGwIP2Texaw|말을 건낸 헬리오스를 옆으로 째려보는 모습]]을 가지고, 후타바 채널 스레에서 [[http://umapch.blog.jp/archives/16055928.html|헬리오스를 냉대하는 루비 시리즈]]가 유행한 이후 해당 모습이 기본 모션이 되었고, 어떤 상황에 처해졌을때 '''"~하는 나...(~する私...)"'''로 속마음을 표현하거나, 상대방을 서민으로 칭하며 내려보는게 말버릇으로 굳어졌다. 하도 특이한 말버릇이라 그런지, 타누키 버전이 아님에도 루비와 관련된 모든 괴문서에서 절찬리에 차용되고 있다. 이 외에도 [[대일여래]]가 되거나, [[롤빵머리]] 장식이 드릴이 되어 앞쪽으로 발사되거나, [[니케(푸른 뇌정 건볼트)|아래로 길게]] [[EX 웨폰|늘어뜨리곤]] 한다. 별개의 부품이 되어 거대해진 롤빵머리 장식을 [[근두운]] 처럼 타고 다니기도. * [[다이타쿠 헬리오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다이타쿠 헬리오스]] 절친인 매지로 파머와 함께 어울리고 있으며, 이때 버블티나 셀카봉을 들고 다니곤 한다. 다이이치 루비가 실장된 이후부턴 루비에게 소금을 맞고 다니는 봉변을 당해 펑펑 우는 신세가 되었다. 아예 소금을 맞으면 녹아내리는 걸로 유명한 [[민달팽이]]가 되어 루비에게서 도망다니는 작품이 나오고도 있다. 반대로 루비와 마음을 열고 친해지는 작품도 적지않게 나오는 편. * [[데어링 택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데어링 택트]]★ 2021년 8월 원본마가 입욕하는 [[https://www.youtube.com/watch?v=YgSD_BxENao&t=230s|JRA 공식 영상]]에서 착안해 온천욕을 매우 즐겨하는 모습으로 자주 나온다. 가끔 해당 영상에서 원본마가 눈을 번뜩이며 앞니만 드러내는 카오게이를 그대로 시전하기도 한다. 평소에는 [[황금의 바람|죠죠의 기묘한 모험 5부]]에서 등장하는 스탠드 [[오아시스(죠죠의 기묘한 모험)|오아시스]]같은 모습으로 다니고 있지만, 증조 할머니(?) 스페셜 위크에게 상금을 계속 뜯기는 제2의 호구로 지내고 있다. * [[라이스 샤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라이스 샤워]] 너구리 시리즈와 함께 같이 흥했던 2차 창작인 '''잡곡''' 형태로 자주 그려진다. 정상적인 모습으로도 나오곤 하지만 이조차도 결국 잡곡으로 변질되곤 한다. 아예 잡곡과 정상적인 라이스가 둘다 나오는 경우도 있다. 아기 너구리 버전도 만들어져 타누키 시리즈 가족물에서 마루젠스키네 아기로 나온다. 자매로는 [[사쿠라 치요노 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사쿠라 치요노 오]]와 어린 시절의 [[스페셜 위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스페셜 위크]]가 언니로 나온다.[[https://youtu.be/2uXkTzwVGXM|#]] === ㅁ행 === * [[마루젠스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마루젠스키]] 독보적으로 이질적인 실제 나이와 전성기를 감안해 특별히 셀 그림체 풍으로 그려진다. 그림체는 90년도를 대표하는 애니메이션 작품들 중 하나인 [[슬레이어즈/애니메이션|만화 슬레이어즈를 원작으로 한 애니메이션]]에서 가져왔다. 시대에 어울리는 [[줄리아나 도쿄]]의 트레이드 마크인 부채춤을 추기도 한다.[* 이는 우마유루 9화에서 재현된다.] 그래서인지는 몰라도, 다른 너구리 캐릭터들에 비해 표정과 움직임이 더욱 생동감 있는게 포인트. 타누키 시리즈 가족물에선 사쿠라 치요노 오, 꼬마 스페셜 위크, 아기 라이스 샤워의 보호자로 출연한다. * [[마블러스 선데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마블러스 선데이]] 히시 아케보노와 함께 거인이 되어 등장하곤 한다. 그게 아니면 창문 같은 곳에서 자주 갑툭튀 한다던가, 아님 [[위닝 티켓(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위닝 티켓]]과 함께 작품 내내 시끄럽게 만드는 역할로 나온다. [[야마다 아오이]] 처럼 [[탬버린]]을 두들기는 모션도 있다. 얼굴 표정이 다른 우마무스메들에 비해 너무 이질적이라 한때는 다른 너구리 캐릭터들과 비교해 표정이 극대화 되었고 테두리 선이 얇게 그려졌었다. 테두리 선을 고친 자연스러운 디자인을 가지게 된 지금도 특유의 십자 별 모양의 눈동자는 다른 너구리들에선 볼 수 없는 유일무이한 아이덴티티로 남아았다. * [[마야노 탑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마야노 탑건]] 날아다니거나 양손을 쭉 뻗은채로 달리기도 한다. 그나마 귀를 펄럭거리기도 하는 --개딸-- 사쿠라 치요노 오와는 다르게 비행기 마냥 완전히 날아다니는 능력을 보여주고 있다. [[탑건(영화)|영화 탑건]]에서 따온 원본마의 이름 때문에 주인공 배역을 맡은 [[톰 크루즈]]와 엮여지기도 한다. [[https://twitter.com/Lieutenant_96/status/1605259122265686017|프린터를 가리키며 아이 카피☆]]를 시전하기도. * [[마치카네 탄호이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마치카네 탄호이저]] 카노푸스 밴드에서 키보드를 담당. 피아노 솔로 곡을 연주하기도 한다. 특유의 말버릇인 에이에이뭉을 외치면서 주먹을 날리기도 하는데, 나중엔 화려한 복싱 실력을 자랑하는 모션까지 추가됐다. [[우마유루]] 2화에서 [[심볼리 크리스 에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심볼리 크리스 에스]]에게 하찌미 드링크를 쏟아 허둥지둥 손수건을 찾는 모습이 [[도라에몽]]에서 볼 법한 그림체로 나와, [[아그네스 타키온(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타키에몽]]을 잇는 마치에몽 버전이 나왔다.[* 본래 시리즈 제작자는 귀를 갉아 먹히기 전의 노랑색 도라에몽을 염두에 두고 마치에몽(マチえもん)으로 그려내지만, 시청자들은 도라에몽의 대타 혹은 조수라는 의미로 [[도라미|마치미(マチミ)]]라고 부른다. 원작에선 도라미가 도라에몽보다 성능이 좋은데 비해, 타키에몽은 도구에 관한 거의 모든 해프닝이 타인의 악용이나 실수로 벌어지는 반면, 마치미는 종종 도구를 흘리거나 도구의 오작동을 일으키는 등 자신의 실수로 인한 해프닝이 자주 일어난다.] [[마치카네 탄호이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s-2.2|운동회 승부복 버전]]의 스킬 모션에서 장애물로 쓰인 그물에 발이 걸린 탄호이저가 굴러가다 공이 된 장면을 재현한 모션 때문에 [[괴혼 시리즈]]의 덩어리는 기본이요 다른 우마무스메들도 추가해 [[로맨싱 사가 2]]의 [[칠영웅(로맨싱 사가 2)|칠영웅]]으로 취급되고 있다. * [[마치카네 후쿠키타루(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마치카네 후쿠키타루]] 디자인이 좀 대충 그린 티엠 오페라 오의 너구리 버전과 비슷하다 보니, 구분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렇지만 수정구슬을 쓰다듬는 개성적인 모습은 여전하기에 이걸로 구분할 수 있다. 기분이 저조할때는 수정구슬에 대흉이 나타난다. 우마욘에서 나온 가짜 후쿠키타루(귀신) 버전도 너구리가 만들어졌다. 종종 무녀복을 입고 시라오키 신앙을 전도하기도 한다. [[마치카네 탄호이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s-2.2|탄호이저의 운동회 승부복 버전]]의 스킬 모션에서 장애물로 쓰인 그물에 발이 걸린 탄호이저가 굴러가다가 후쿠키타루도 휘말린 장면을 재현한 모션이 나오고, 탄호이저 공에 박힌 후쿠키타루의 상반신만 가져와 아무 물체에 붙이거나 스즈카 일족 마냥 마치카네 관명을 가진 우마무스메들의 환각 모델들을 대충 표현하는 사례도 나왔다. * [[맨하탄 카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맨하탄 카페]] 친구인 타키온과 자주 어울리곤 한다. 타키온이 등장하면 거의 도매금으로 등장하는 편. '친구'는 카페의 이면을 표현하거나, [[선데이 사일런스]]로 그려진다. 정작 카페 본인에 대한 네타는 많이 없는데, 아주 가끔씩 [[우유|하얀색 자신]]과 합체해 [[카페라떼|갈색의 맨하탄 카페]]가 되거나, 아예 세 명의 카페가 한 세트로 등장하기도 한다. 유령인 친구와 함께 [[트레센 학원]]의 초자연적 현상을 풀어 나가는 영능력자로 활약하기도 한다. 이름의 맨하탄(マンハッタン)에서 몇글자를 빼면 [[대왕쥐가오리|만타(マンタ)]]가 되는점에 착안해 대왕쥐가오리 형태로 바다 속을 헤엄치기도. 나중엔 이름에 걸맞게 스스로 카페를 열고 점장으로 열심히 일하는 모습도 추가되었다.[* 맨하탄의 카페의 점원들은 [[유키노 비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유키노 비진]], [[메이쇼 도토(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메이쇼 도토]], [[보드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보드카]], [[다이와 스칼렛(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다이와 스칼렛]]으로, 이 넷 모두 카페 점원 복장 버전이 나왔다.] * [[메이쇼 도토(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메이쇼 도토]] 실제 원본마의 마방에 야생 너구리가 들어와 동거했던 일을 반영해, 도토의 곁에 너구리가 있는 경우가 많으며, 아예 도토가 너구리 슈트를 입거나 너구리 그 자체가 되기도 한다. 너구리 네타가 사용되지 않을 때는 같은 목장에 사는 타이키 셔틀과, 머리위에 앉은 고양이 메토하고 같이 등장한다.[* 그러다보니 타이키 셔틀의 원본마가 세상을 떠났을 때, 한동안 타이키 셔틀과 같이 지냈던 시절을 그리는 추모 영상이 올라왔었다.] [[팀 카노푸스|카노푸스 밴드]]에서 게스트 멤버로 나타나 [[첼로]]를 연주하는 작품도 있다. 원본마가 셔틀과 함께했던 은퇴마 시절, [[https://www.youtube.com/watch?v=nD-qhW06AhY|간식시간이 끝나고 옆방의 셔틀이 유유히 제자리로 돌아갔는데도 간식을 더 달라고 조르는 모습]]이 화제가 되었는데, 이 영향으로 게임 오버 장면에 간식타임(おやつタイム)이 뜨는 [[고에몽 시리즈]]의 [[https://youtu.be/IEnewGe2Z5c|게임 오버 장면 패러디]]가 인기를 얻으며 다른 패러디 작품들도 우후죽순 늘어났다. 이 영향으로 상기된 영상에서 구무원이 도토를 돌려보내기 위해 말한 '끝났어요~(おしまいでーす)', '도토야 이제 끝(ドトウおしまい)', '셔틀은 돌아갔다고?(シャトル帰ったよ?)'는, 이후 너구리 작품들에 도토랑 셔틀이 나올때마다 시청자들이 코멘트로 자주 사용하는 일종의 유행어가 되었다. 보통 그냥 도토는 원본처럼 순둥순둥하게 나오는 경우가 많은 반면, [[https://www.pixiv.net/artworks/102425516|할로윈 도토의 경우 그 삿대질 모션]] 때문에 잡곡 라이스 샤워처럼 악질 빌런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 [[메지로 도베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메지로 도베르]] 도베르의 주요 2차 창작 설정인 '도보메 지로' 배경을 반영해, 자주 캔버스에 유채화를 그리곤 하는데, 이 그림이 동인지에 들어갈 법한 불순한 그림이 되기도 하니, 그리던 중에 습격을 받는 게 일상이다. 아닐 때는 모델 포즈를 하거나 그림을 교차해서 보여주는 무난한 모션을 보이고 있다. 한편 현실 동인 작가들이 과로에 시달리며 시간에 쫓기다 동인지를 완성하는 상황이 흔하다 보니, [[이퀴녹스]]의 오리지널 너구리에 [[사축]] 속성이 붙은 이후 자연스럽게 도베르에게도 사축 속성이 붙어버렸다. 주로 연주하는 악기는 [[플룻]]. * [[메지로 라모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메지로 라모누]] 원본마가 여러 네임드 말들과 자식을 둔 복잡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보니, 라모누와 관계가 있던 심볼리 루돌프, 선데이 사일런스, 메지로 라이언, 엘 콘도르 파사, 타니노 김렛이 헤벌레하며 라모누를 쫓아다니고 있다. * [[메지로 라이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메지로 라이언]] 우마이봉을 늘 들고 다니며 먹고 다닌다. [[숏컷]] 헤어스타일 때문에 호불호가 갈렸던 시절 초기 너구리 디자인도 의도치 않게 머리와 얼굴의 비율이 어색하게 그려진 미완성 캐릭이었지만 차후 약간의 수정을 거치면서 자연스러운 디자인을 가지게 되었다. 여기서의 라이언도 헬창답게 양손에 덤벨을 들고 운동을 하거나, 우락부락한 근육질의 몸매를 뽐내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마가렛 라떼 승부복과 스토리 이벤트가 나온 이후로는 소녀같이 수줍어 하는 모습을 드러내기도 한다. 게임 본작에서 야구를 좋아하는 설정과 서포트 카드에서 뛰어난 피칭 폼을 보여준걸 반영해, [[https://twitter.com/Lieutenant_96/status/1553695709299617792|피칭 모션]]이 만들어지며 야구 관련 작품에 투수로 출연하기도 한다. 원본마 이름의 원본인 [[놀란 라이언]]과 유사한 투구폼으로 화제를 얻은 [[오가와 야스히로]]를 참조해 만들어졌다. 주로 연주하는 악기는 [[팀파니]]. * [[메지로 맥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메지로 맥퀸]] 의외로 정상인으로 그려지는 경우도 적지 않게 나오지만 달콤한 디저트에 미친 건 여전한 지라 너무 먹어서 엄청나게 몸집이 커진 일명 [[빅맘|빅맥]]이 되는 굴욕 묘사도 많이 나오고 있다. 이런 상태일 땐 뱃살이 튀어나온 상태에서 운동하느라 뛰어다니기도 하고, 엽기적인 미소를 지으면서 저울과 함께 날아다니고 있다. 반대로 원본마의 우락부락한 체질을 그대로 고증해 엄청난 몸집과 근육질을 지닌 체형으로도 그려지는 경우도 있다. 그 외에도 [[스트롱 제로]]와 닭꼬치를 들고 다니면서 취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고, 여름 복장을 하고 빙수를 우걱우걱 먹어대고, 그림 인공지능의 초창기 피해자라 라멘을 손으로 집어서 먹고, 유니폼을 입고 양손에 노란 깔때기를 들고 한신 타이거스를 응원하는 등 정말 다양한 모습으로 그려진다. 고대말딸 시절의 무감정하고 쌀쌀한 악역영애 같은 모습을 반영하는 작품이 등장하고 있다. * [[메지로 브라이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메지로 브라이트]] 느긋한 성격에 어울리게 움직임이 느릿느릿 하지만, 타마모 크로스와 대면할땐 티격태격한다. 연주하는 악기는 [[트롬본]]과 [[첼로]]. * [[메지로 아르당(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메지로 아르당]] 블리치의 [[천본앵(블리치)|천본앵]]을 시전하거나 [[하프]]를 연주하는 모션이 있다. 신데렐라 그레이의 작가가 [[https://twitter.com/KUZUMI777/status/1369845536019386374|트위터 축전으로 그린 그림]] 때문에 고루시에 이어 [[세그웨이]]를 타는 모션이 추가됐다. 개인 스토리에서 트레이너와의 연애 속성이 매우 짙은것으로 유명해, 니시노 플라워의 트레이너 처럼 [[https://www.nicovideo.jp/watch/sm42035769|메지로 아르당의 트레이너도 오리지널 트레이너 캐릭터가 만들어졌다.]] 성별이 불분명한 니시노 트레이너와 다르게 남성 캐릭터로 설정되었고, 지정된 성우는 [[스기야마 노리아키]]. * [[메지로 파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메지로 파머]] 공식 설정 그대로 다이타쿠 헬리오스 등 갸루 우마무스메들과 자주 어울린다. 같이 만날 때마다 셀카봉을 늘 들고 있거나 셀카 포즈를 취하기도 한다. 이 외에 골프를 치는 특수 모션도 가지고 있다. [[https://twitter.com/Lieutenant_96/status/1638094609745313792|할로윈 이벤트 때 서큐버스 분장을 한 이후로]] 메지로 가문의 독보적인 색기 담당으로 올라섰다. 같은 서큐버스 캐릭터인 [[릴리스(캡콤)|릴리스]]나 [[모리건 앤슬랜드|모리건]]과 엮여지기도. * [[미스터 시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미스터 시비]] 성악 작품에선 티엠 오페라 오와 후지 키세키와 함께 보컬을 담당한다. [[T-SQUARE|Tanuki-SQUARE]] 작품에선 조그마한 미스터 치비로 나오기도 한다. [[007 시리즈]] 패러디물에선 [[숀 코너리]]의 제임스 본드를 담당. * [[미호노 부르봉(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미호노 부르봉]] 그냥 사이보그 컨셉이라는 공식보다 한술 더 떠, 건담의 빔 사벨과 실드를 들고 다니는 괴이한 인물로 묘사되고 있다. 이 때의 미호노는 건담의 광팬이며, 구사하는 기술도 건담에서 가져오곤 한다. [[https://www.pixiv.net/artworks/101612539|과한 운동 이후 숨을 거칠게 쉬면서 땀에 흠뻑 젖어있는 모습]]도 보인다. 한편 바보 부르봉 설정을 가지고 멍한 얼굴을 짓거나, [[천재 바카본]]의 진주인공 [[반쪽이 아빠]]로 나오기도 한다. === ㅂ행 === * [[뱀부 메모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뱀부 메모리]] [[죽도]]를 들고 교칙을 어기려는 우마무스메를 패고 다니는 엄격한 선도부장으로 나온다. 같은 열혈 스포츠 근성파로 유명한 전 테니스 선수 [[마츠오카 슈조]]를 따라하는 경우도 종종 보인다. * [[보드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보드카]] 다이와 스칼렛과 같이 출연하는 빈도가 높으며, 아버지인 타니노 김렛과 같이 등장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친구인 스칼렛이 오징어와 엮일 때는 보드카는 물고기가 되기도 하는데, 이럴 때는 스칼렛이 천적이 되거나 세이운 스카이한테 낚여서 요리 재료가 되어버릴 때도 있다. 그 외에도 오토바이 핸들을 들고 오토바이 흉내를 내기도 한다. 최근 매우 놀란 얼굴 표정과 우마유루에서 선보였던 데레데레한 표정도 반영한 작품들이 출현하고 있다. 놀랄때는 [[윳쿠리]] 마냥 머리만 나오는게 흔하다. 원본마의 라이벌 다이와 스칼렛의 증손이자 원본마 보드카의 손자가 된 마메짱(まめちゃん)도 태어난지 사흘만에 아기 너구리 캐릭터가 만들어졌다. 마메짱의 너구리가 나올 때 같이 등장하는 보드카와 다이와 스칼렛은 할머니인 걸 반영해 머리카락이 새하얗게 되고 돋보기 안경을 쓴 게 포인트. * [[비와 하야히데(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비와 하야히데]] 풍성한 머리때문에 털뭉치 크리처로 묘사되거나 바나나를 먹고 다닌다. 머리가 크다는걸 표현 할때마다 빠짐없이 출연하고 있다. 아예 한술 더 떠 [[동키콩]]으로 그려지기도 한다. * [[비코 페가수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비코 페가수스]] [[특촬물]] 매니아여서 변신 벨트를 착용하고 [[가면라이더 1호]]의 변신 포즈를 따라한다. === ㅅ행 === * [[사일런스 스즈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사일런스 스즈카]] 애니 1기에서 스페셜 위크의 꿈에서 나온 모습처럼 [[참새]]가 되기도 하며[* 참새 작([[雀]]) 자는 일본어로 '''스즈'''메 라고 [[언어유희|읽는다.]]] 이로 인해 다른 캐릭터들도 새가 되기도 한다. [[beatmania IIDX 20 tricoro]]의 수록곡인 [[VEGA]]의 [[BGA]]에서 나온 [[글리코]] 포즈로 괴상하게 달리기도 한다.[* 이 포즈를 취할 때 팔다리와 몸통이 따로 놀고 있다.] 정상적인 모습으로 그려질 때도 선두에 대한 집착 때문에 민페를 끼치기도 한다. 너구리 판 스즈카는 다른 캐릭들과 비교했을 때 유일하게 달리는 중에 [[나루토 러닝|두 팔을 뒤로 뻗으면서]] [[소닉 더 헤지혹|다리는 소용돌이가 치는 특수 모션]]을 가지고 있다. 빈유라서 타마모 크로스와 함께 거유 우마무스메를 볼때마다 기겁해하며 째려보는 표정을 짓기도. 마주 나가이 케이지의 스즈카 관명을 가진 경주마들의 환각 너구리는 하나같이 사일런스 스즈카가 코스프레 한 모습인데, 자세한 내용은 스즈카 일족 문단에 하술한다. * [[사쿠라 로렐(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사쿠라 로렐]] 트레이너와 오순도순한 나날을 보내는 한편, 라이벌인 나리타 브라이언을 뒤틀린 애정으로 가지고 노는 모습으로 그려진다. * [[사쿠라 바쿠신 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사쿠라 바쿠신 오]] 힘이 장사지만 바보인 [[근육뇌]]로 그려진다. 사쿠라 치요노 오와 함께 사쿠라모찌를 흡입하기도 한다. 가끔 평범한 괴문서들처럼 트레이너와의 연애 작품이 나오곤 하는데, 여기서는 트레이너에게 [[메가데레]]하며 닥돌하거나, 아예 애정이 비뚤어져 [[얀데레]]가 되버리곤 한다. 트레이너가 어떻게든 회피하려고 변명한다 해도 전부 '거짓말쟁이♡(嘘つき♡)' 라고 받아치면서 깡그리 무시하기도 한다. 이때 [[신 고질라]]에도 배경음악으로 쓰여진 적이 있는 이후쿠베 아키라의 [[https://youtu.be/HA82PCmTZ2s|우주대전쟁 마치(宇宙大戦争マーチ)]]가 흘러나온다. * [[사쿠라 치요노 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사쿠라 치요노 오]] 동명의 캐릭터인 [[미하마 치요]]가 양쪽의 묶은 머리를 날개로 삼아 날아다니듯, 특유의 귀로 날아다닌다. 때때로 사쿠라 바쿠신 오와 함께 사쿠라모찌를 흡입하기도 한다. 여기서도 마루젠스키를 동경하다보니, 늘 따라다니며 조언과 행동을 공책에 받아적는 모습도 나타나고 있으며, 어떤 작품은 아예 강아지--개딸--가 되곤 한다. * [[사토노 다이아몬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사토노 다이아몬드]] 친구인 키타산 블랙과 같이 출연하는 경우가 많다. 마주가 [[세가]]의 회장인걸 반영해 [[세가타 산시로]]와 같이 나오기도 하고, 아예 [[세가 새턴]] 등 세가의 콘솔 게임기가 타누키화 되어 같이 출연하거나, 세가의 게임이나 게임기들을 팔거나 홍보하기도 한다. 개인 스토리에서 주인공을 첫눈에 보고 트레이너로 임명한 모습 때문에, 비슷하게 처음 본 사람하고 인연을 맺어버리는 [[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의 주인공 [[모모이 타로]]와 [[https://www.pixiv.net/artworks/101999725|엮여져서]], [[돈 모모타로]]의 가면을 쓰고 초면의 상대방을 환대하거나 잔치를 벌이기도 한다. 우마무스메가 세가의 경마 게임 스타호스4와 콜라보 기획으로 진행한 육성 이벤트인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육성 시나리오/그랜드 마스터즈 -이어가는 자들에게-|그랜드 마스터즈]]를 계기로, 사토노 가문이 개발한 VR 체험 기기 '메가 드림 서포터'에 AI로 내장된 세 여신인 [[달리 아라비안(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달리 아라비안]], [[고돌핀 바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고돌핀 바브]], [[바이얼리 터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바이얼리 터크]]의 관리자 및 상담 역으로 등장한다. 종종 주제가나 [[크리스토프 르메르|트레이너]] 한정 발광 BGM으로 [[Janne Da Arc]]의 DIAMOND VIRGIN이 흘러나온다. * [[사토노 크라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사토노 크라운]] 대체적으로 위의 사토노 다이아몬드와 캐릭터가 겹쳐지다 보니 다이아의 파트너로 나오는 편. * [[세이운 스카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세이운 스카이]] 이름에 걸맞게 하늘을 날아다니는 인물로 묘사되고 있다. 단짝인 니시노 플라워와 자주 출연하며, 너구리 시리즈와 별개의 2차 창작에서 추측되고 있는 니시노 플라워의 트레이너와도 종종 엮인다. 낚시를 좋아하는 성격도 그대로이긴 한데, 가끔 물고기가 되어버린 보드카(?)를 낚아서 먹기도 한다. 관상이 고양이를 닮았고 거기다 비밀들중 뜨거운걸 못먹는 특성도 있고, 좋아하기 때문에 아예 고양이로 변신하기도 한다. 고양이 형태일때는 물고기 보드카를 겁먹게 한다. 어느 날 [[青空のラプソディ|푸른 하늘의 랩소디]]에 맞춰 [[https://www.nicovideo.jp/watch/sm40161640|춤을 추는 작품]]이 나왔는데, 이 춤 동작이 [[어느 음악에나 어울리는 마법의 짤방]]으로 주목받으며 파생작이 쏟아지고 있다. 이 영향으로 춤꾼 속성이 붙어서, 나중에는 [[https://www.nicovideo.jp/watch/sm40703112|브레이크 댄스]]까지 여유롭게 소화하는 모습으로 그려진다. * [[슈발 그랑(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슈발 그랑]] 원본마의 마주가 [[사사키 가즈히로]]라는 점을 반영해, 사사키의 피칭 스타일로 야구공을 던지거나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의 유니폼을 입고 응원하기도 한다. * [[슈퍼 크릭(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슈퍼 크릭]] 다른 우마무스메들을 돌보려고 딸랑이와 젖병을 들고 다니는 --괴문서 최적화-- 광기 성향을 그대로 차용했으며, 주로 라이벌인 오구리, 타마모, 이나리를 노리고 있다. 모성애 공격에 당한 말딸들은 공갈 젖꼭지를 물은 유치원생이나 아기가 되버리고, 트레이너도 예외는 아니다. 그리고 오구리가 [[고지라]], 타마모가 [[킹 기도라]], 이나리가 [[라돈]]으로 묘사되는 것처럼 크릭은 [[모스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 [[스마트 팔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스마트 팔콘]] [[https://twitter.com/shinkansenVsOld/status/1423287746068504589/photo/4|한 그림쟁이가 기묘하게 만든 작품]]에서 파생돼, 살기를 띠는 미소를 지으며 상대를 제압하는 세계관 최강자로 군림했다. 초기엔 [[커비]]였지만, 나중엔 괴력과 등신대를 늘리고 [[브로리]]나 [[스티븐 암스트롱]]으로 그려지기도 한다. 간혹 애칭과 이름이 같은 [[파르코(북두의 권)|이 파르코]]와 엮이는 경우도 있다. 브로리와 연관된것 때문에 [[초사이어인|초'''샤이'''어인]]으로 변신하고, [[파라가스]]가 팔콘의 트레이너로 나오는 [[브로리/MAD|브로리 상황극 매드무비]]를 연상케하는 작품 시리즈도 나왔다. 커비로 그려질 경우 비슷하게 커비로 그려지는 어드마이어 베가와 함께 출연하고, 에이신 플래시는 [[메타 나이트]]로 그려진다. 한편 팔콘이 연애를 잘 못할 거 같다는 뒤틀린 괴문서들이 등장했을 때, 너구리 작품에서도 쭈그려 앉고 양손으로 얼굴을 가리며 쑥스러워해 트레이너에게 고백을 못 하다가, 다른 우마무스메에게 빼앗기는 상황이 나타나기도 했다. 이런 상황에 처할 경우, [[얀데레]]로 돌변하거나 절망하는 표정도 추가되었다. 동인 작가 [[https://www.pixiv.net/users/658410|明日葉トモロウ]]가 그린 [[https://www.pixiv.net/artworks/99501865 |팬아트]]의 영향으로, 양쪽을 묶은 머리 장식을 [[사슴벌레]] 처럼 곤두세워 물체를 집는 [[https://dic.pixiv.net/a/クワガタファルコン(ウマ娘)|사슴벌레 팔콘]]으로 번하기도 한다.--샤이!-- * [[스윕 토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스윕 토쇼]] [[슈퍼 마리오 시리즈]]의 마귀와 엮이기도 하며, 브로콜리를 어떻게든 먹이려는 에어 그루브와 어울리기도 한다.[* 이럴 때는 높은 확률로 나리타 브라이언과 함께, 포크로 찍은 브로콜리를 들고 주저하다 힘겹게 먹는 모습을 보인다.] 사역마인 트레이너에게 마법을 부리기도 하는데, 한번은 부작용으로 트레이너가 [[스티븐 암스트롱]]으로 변한 작품이 나온 이후, '스윕 토쇼의 트레이너 = 스티븐 암스트롱'이 시리즈만의 설정으로 고정되었다. * [[스페셜 위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스페셜 위크]] 실제 딸인 [[부에나 비스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부에나 비스타]]의 상금으로 도박하다 탕진해버리는 막장 부모가 되었다.(...) 이렇게 된 원인으로 애니 1기~2기 사이의 공백기에 떡밥이 줄어들어 심심해진 5ch과 후타바 채널의 우마무스메 팬덤이, 스페셜 위크의 애칭인 '스페짱'을 변형해 도박에서 돈을 날려먹는 '''슷펭펭(スッペンペン)'''[* 한국에선 '''스페페페'''--페페페페페--로 통용되고 있음]으로 비꼬아버린 게 유래라고 전해지고 있다. 대놓고 한 인물을 [[도박 중독]]자로 만드는 음해를 한 것이기에, 처음엔 팬덤들 사이에서 가이드라인 위반인가에 대한 논쟁이 있었지만, 애니 1기 9화에서 승부를 걸었다가 허당스럽게 실수하는 모습을 공식으로 박아버린 게 결정적인 명분이 되버려 이미지가 굳어버렸다. 이 세계관 속의 스페는 항상 3천엔을 손에 쥐고 경마장이나 파칭코로 갔다가 3천엔을 날려버려 절망하더니만, 다시 되찾겠다고 다짐하며 또 부에나와 다른 지인들에게 돈을 간구하는 악순환을 반복한다. 이런 모습을 포착하고 발끈한 스페짱의 양모한테 쫓기기도 한다. 도박꾼 설정이 붙은 [[나카야마 페스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나카야마 페스타]]와 도박을 했다 참패해 절망하는 모습도 보인다. 그 외에는 [[초밥]]을 만들고 자기가 먹어대거나, [[메카자와 신이치]] 형태로 변신하기도 한다. 그 외에도 가족 시리즈에선 마루젠스키네 집안의 둘째로 나오기도 한다. 여기선 후술할 하츠라츠(오구리 캡)와 비슷한 또래의 어린아이로 나온다. 어릴때부터 욕심 많은 성격이 싹텄다는 이유로 [[+틱 언니]]의 작중에서 나왔던 엽기적인 표정으로 당근을 먹거나, 막과자 가게의 사행성 오락기를 즐기려고 어른들한테 3백엔을 달라고 조르기도 한다. 도박중독 성격을 빼고 나나마이노 나마하무와 출연하거나 훈훈한 작품에 출연할때는 [[https://twitter.com/Buronkos_person/status/1470002562472738821|로그인 캠페인]]으로 불려진다. 스페셜 위크와의 차이점은 꼬리 색이 밤색이 아니라 연분홍색이라 구별이 가능하다. * [[시킹 더 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시킹 더 펄]] 노안 캐릭터 때문에 선글라스를 끼고 마루젠스키와 함께 부채춤을 추거나, 지구를 양손에 들정도로 거대해진다. * [[신코 윈디(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신코 윈디]] 날카로운 이를 자주 드러내지만, 은근히 놀란눈으로 멍하니 바라보는 모습을 자주 보인다. 이 놀란 표정은 우마루 댄스 처럼 너구리 시리즈 캐릭터의 기본 소재로 정착했다. 같은 어조를 가진 [[라쿤(케모노 프렌즈)|케모노 프렌즈의 라쿤]]과도 이어지기도 하는데, 라쿤의 대표적인 영상 합성물인 우동을 반죽하는 아라이씨 시리즈(うどんをうつアライさんシリーズ)처럼 밀대로 우동을 반죽하고 다닌다. 원본마가 게이트 안에서 발굽으로 땅을 파내는 버릇이 있어서 그런지 맨땅에 삽질을 하는 특수 모션을 가지고 있다. 가끔 윈디의 머리에 [[윈디(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의 윈디]]의 몸통으로 반려견으로 출연하기도 한다.[[https://www.youtube.com/watch?v=2uXkTzwVGXM|링크]] [[요미우리 테레비]]의 심야 코미디 방송 [[https://ja.wikipedia.org/wiki/ムイミダス|무이미다스(ムイミダス)]]에서 어린이를 위한 짧은 교양 영상을 병맛 넘치게 비튼 단편 코너 [[https://youtu.be/SApfHbIH8qQ|알고 가자(知っておこう)]]의 패러디 물의 주요 피해자로 나오기도 한다. === ㅇ행 === * [[아그네스 디지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아그네스 디지털]] 공식 오타쿠 캐릭터답게 너구리 세계관에서도 눈물과 침을 콸콸 쏟아내는 황홀한 표정으로 무지개색으로 발광하며 양손에 응원 라이트를 들고 기뻐하며 날뛰다 [[존엄사|영혼이 빠져나가는 모습]]이 자주 연출된다. 너무 감격한 나머지 가만히 서있다가 '100억점' 이라고 써진 팻말을 들고 눈물을 글썽이기도. 이 상태에서 한 술 더 떠서, 등장할 때부터 영혼이 나가있거나 영혼이 나간 다른 우마무스메를 위해 트레이너가 여러 말딸들의 사진을 보여줘 모에사 시킨 후에 영혼을 다시 데려오기도 한다. 너무 흥분한 나머지 [[브리트니 스피어스]]의 [[Till the World Ends]]가 흘러나오며 영혼이 거대해져서 은하와 맞먹는 크기가 되거나, 끊임없는 존엄사에 대비하려고 [[슈퍼 마리오브라더스/스테이지#s-4.1|계단에서 거북이 껍질을 밟아대며 목숨을 늘려댄다.]] 할로윈 기념 강시 스킨이 출시되었을 때 웃긴 표정을 지으며 성불하는 네타 표정도 역시 반영되었는데, 5ch의 인기 아스키 아트 캐릭터 [[5ch/아스키 아트/캐릭터#s-1.2.10|아라마키 스칼치노프(荒巻スカルチノフ)]]로 그려지기도 한다. 특이한 점으론 이미 죽은 게 컨셉인 강시인데도 흥분하다 또 존엄사해서 영혼이 빠져나곤 한다. 원본마의 별명이 용사라서 그런지 [[엇갈림 Mii 광장#s-3.2|시무룩 전설(ションボリ伝説)]] 같은 RPG 패러디 작품들에선 주인공으로 자주 출연한다. [[드래곤 퀘스트 시리즈]]의 [[https://twitter.com/Lieutenant_96/status/1598288685057073152|용사 복장을 하고 나오기도.]] * [[아그네스 타키온(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아그네스 타키온]] 친구인 [[맨하탄 카페]]하고 모르모트라 불려지는 트레이너와 자주 등장한다. 트레이너와 같이 등장할 때에는 형형색색의 액체가 든 플라스크를 들고 나타나 트레이너에게 온갖 실험을 하곤 하고, 실험을 당하는 트레이너는 게이밍 RGB LED처럼 발광하며 감정표현을 하는 경우도 많다. 실험의 역효과로 우마무스메 형태로 변해버린 이후, 발광하는 우마무스메 형태의 트레이너 캐릭터가 타키온 트레이너의 이미지로 굳어졌다. 헌데 트레이너가 없거나 조금이라도 무시하면 정신이 나가버리는 타키온을 그려낸 [[https://www.nicovideo.jp/watch/sm40620679|'TACHYON' 시리즈]][* [[https://youtu.be/AjxLN6_ac-U|유튜브판]]]가 히트를 친 나머지 타키온이 원래부터 트레이너가 없으면 안되는 [[http://www.chemical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983|관계중독]] 성향을 가지고 있다는 인식이 박혀버렸다.--타키온 관련 모든 괴문서들이 이런 상태다-- 이 시리즈가 크게 입소문을 탄 나머지 타키온의 테마송으로 나오는 카탈루냐의 민요 [[https://www.youtube.com/watch?v=r4yyvnU0Pr4|'El Testament d'Amelia (아멜리아의 유서)']]를 구글에 검색하면 추천 검색어로 타키온이 따라 나오고, 미미하지만 나름 [[역주행(노래 용어)|역주행]] 해버린 효과도 나타났기에 [[https://www.inside-games.jp/article/2022/07/24/139393.html|이를 주목하는 뉴스 기사]]까지 나와버렸다. 한편 미래의 도구들을 가져오거나 만드는 [[도라에몽(도라에몽)|타키에몽(タキえもん)]]이 되는 경우도 많다. [[https://www.nicovideo.jp/series/325903|타키에몽 시리즈]]에선 [[하루 우라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하루 우라라]]가 주로 [[노진구]] 포지션으로 나오지만, 대체적으로 타키에몽이 도구를 시험 하거나, 우마무스메들의 고충을 듣고 도구를 솔루션으로 빌려주거나 만들어주는 전개다. 우마무스메들이 도구로 혜택을 보는 전개가 있는가 하면 되려 안 좋은 결과를 초래하거나, 시험이 잘못돼 트레센 학원은 물론 지구 전체가 아수라장이 되는 스토리도 있다. [[로드 카날로아]]가 고통받는 스키야 시리즈나, 방학 과제로 비상이 걸린 심볼리 가족 시리즈나, 호러 너구리 작품 시리즈 같이 전개가 암울한 시리즈에서 특별출연해, 위기나 갈등을 미래 도구로 해결해주는 [[플래그 분쇄기]]로도 활약하기도 한다. 이때 자주 흘러나오는 BGM은 [[도라에몽(애니메이션)|도라에몽]]의 OST [[https://youtu.be/TdgoGWf81tQ|꿈을 들려줘(夢をきかせて)]]. [[스이요 도데쇼]] 패러디로 해당 방송의 제작사 [[홋카이도 TV 방송]]의 마스코트 on짱을 연기하는 ~~[[야스다 켄|야스다]] [[야스다 기념|키넨]]~~ 타키on짱이 되기도 한다. * [[아이네스 후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아이네스 후진]] * [[애스턴 마짱(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애스턴 마짱]] 다른 너구리 캐릭터들은 기본적으로 바둥대는 모션이 먼저 나오는데, 마짱은 [[제4의 벽]] 설정의 영향으로 특이하게도 얼굴을 들이밀고 정면을 바라보는 모션이 먼저 나왔다. 거기다 화면 밖의 시청자를 바라보며 [[따봉]]을 날리는 모습을 보이기까지 한다. 마짱이 동기인 [[다이와 스칼렛(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다이와 스칼렛]] 못지 않게 흉부가 큰편으로 나오는데다 언제나 마성의 미소를 짓고있어, 이에 매혹된 시청자들이 마짱의 가슴과 눈빛에 미쳐버릴것 같다고 코멘트로 고백하는 광경이 흔하다. 개인 스토리가 추가된 후 세상에서의 존재감이 희미해지면서, 눈물을 글썽이며 몸이 반투명이 되거나 완전히 사라지기도 한다. 이럴때 마짱의 트레이너는 마짱을 위해 함께 세상에서 잊혀지고 살아가거나, 마짱의 인형이나 동상을 양산하거나, 마짱의 인형 옷을 입거나 마짱 분장을 하고 학원을 돌아다니며 마짱을 모두가 기억할수 있게 최선을 다하기도 한다. 이런 집념이 지나쳐서 학원에 폐를 끼치다가 체포되는 최후를 맞이하는게 다반사다. * [[야마닌 제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야마닌 제퍼]] 거센 바람을 일으키며 앞으로 비행하고 다닌다. 역으로 거센 바람에 땋은 머리가 눈앞을 가리는 모션도 있다. [[팀 카노푸스|카노푸스 밴드]]의 객원 멤버로 동참하는 경우 [[트럼펫]]이나 [[아코디언]]을 연주한다. * [[야에노 무테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야에노 무테키]] * [[어드마이어 베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어드마이어 베가]] 아야베의 취향인 폭신폭신 소믈리에 속성이 강화되어서 등장한다. 딱 보아도 푹신해 보이는 [[비와 하야히데(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비와 하야히데]]에게 달라붙기도 하며, 아예 이불, 이불 건조기, 망원경을 합체시킨 메카를 타고 등장하기도 한다. 거기다 [[요기보]] 소파에 글러먹게 누운것으로 유명한 [[어드마이어 재팬]]의 너구리가 나온 이후, 완벽한 폭신함을 충족해주는 재팬에게 거꾸로 공중부양을 한 채 발광하며 대쉬하는 설정이 추가됐다. 이런 상황에서 흘러나오는 BGM은 アラジン(알라딘)[* [[후지 테레비]]의 퀴즈 예능 '퀴즈 헥사곤' 에서 파생된 남성그룹 [[https://ja.wikipedia.org/wiki/羞恥心_(ユニット)|수치심(羞恥心)]]과 여성그룹 [[https://ko.wikipedia.org/wiki/Pabo|Pabo]]의 합동유닛. [[츠루노 타케시]]가 수치심, [[키노시타 유키나]]가 Pabo에 소속되어있다.]의 [[https://www.youtube.com/watch?v=4K5K4-hkWRU|陽はまた昇る(태양은 다시 뜬다)]]의 2배속. 종종 격한 운동으로 땀 범벅이 되거나 트레이너를 향한 애정이 비뚤어져 [[얀데레]]로 돌변해 습기가 찬 우마무스메들을 건조기 메카로 회복시키기도 한다. 귀가 긴 특유의 모습 때문에 ~~트레이너로 전직한 박사에게 쉬지 말라면서 눈으로 협박하는~~ [[명일방주]]의 [[아미야]]하고 같이 그려지기도 한다. [[체인소 맨]]의 애니메이션이 인기를 끈 이후, 베가가 이불 건조기와 합체해 건조기의 악마인 칸소맨(カンソーマン)[* 칸소는 일본어로 건조(乾燥)를 뜻한다]으로 각성하기도 한다. 입고 걸어 다닐수 있는 [[침낭]]을 입고 다리로만 걸어다니기도. * [[에어 샤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어 샤커]] DJ 역할을 담당하고, [[타케 유타카|같은 주전 기수]]가 몰았던 파인 모션과 룸메인 메이쇼 도토와 자주 어울리는 편이다. Machico로 빙의한 [[토카이 테이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테이오]]의 발광 돌격에는 울면서 도망간다. 스트레스가 쌓일때엔 민트를 통째로 입에 넣어대기도 한다. * [[에이신 플래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이신 플래시]] 독일 출신인 걸 반영해 [[독일인]]의 상징인 맥주를 들고 등장하는 경우가 많으며, 1착 승리 포즈도 너구리화되어 가슴골 강조를 하는 쪽으로 그려진다.[* 이 포즈는 자연스럽게 거유 너구리들이라면 반드시 시전해야 할 기본 동작으로 자리잡았다. 이를 본 빈유 우마무스메들은 저런 가슴 포즈를 보고 질투하기도. 가슴골에서 [[스티븐 암스트롱]]이나 스마트 팔콘(?)이 튀어나와 죽빵을 날리기도 한다.] 뒷모습 버전도 나왔는데 여기엔 [[승모근]]이 강조된다. 펜싱을 하는 모습으로도 자주 출연하는데, 이때 엄격한 눈매에 송곳니가 살짝 튀어나오는 쪽으로 그려진다. --독일 출신이라는 게 제대로 드러난다.-- 가끔 [[미르코 데무로|데무로 점프]]를 스스로 시전하는 기행을 벌이기도 한다. 원본마의 자마인 [[벨라 아줄]]과 [[오냥코퐁(말)|오냥코퐁]]과의 가족물에서 부모 역할로 출연하기도. * [[엘 콘도르 파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엘 콘도르 파사]] 프로레슬링 기술을 구사하거나, 승부복을 입은 채로 양손에 핫소스를 뿌리며 다니거나, 고의든 아니든 그래스 원더의 심기를 건드려서 역으로 제압당하고 벽에 박히거나, [[관절기]]에 당해 한쪽 팔이 늘어난 고무줄마냥 늘어져버리는 험한 꼴을 자주 당하고 있다. 보통 그래스에게 된통 당하고 이후에 시무룩한 표정으로 버둥거리는게 거의 클리셰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시간이 지나고 이렇게 늘어난 팔을 제어하면서 [[죠나단 죠스타]]의 기술인 줌 펀치 같이 팔이 늘어났다 줄어들기도 한다.[[https://twitter.com/Tsutanai_hito/status/1606137651911725057|#]] [[록맨]]이 되어서 록맨의 무브셋을 구사하거나 무기를 다루기도. 어째서인지 목줄을 당겨도 반항하는 [[시바견]]으로 그려지는 경우도 많다. [[사일런트 힐 2]]의 개 엔딩을 재현한 [[https://www.nicovideo.jp/watch/sm40236493|예시]]. * [[오구리 캡(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오구리 캡]] 맹한 얼굴로 춤을 추거나 달리기도 하지만, 별명인 '지방에서 온 괴물'의 영향인지 괴수물과 많이 엮인다. 신데렐라 그레이의 작가가 트위터에 고지라 인형 슈트를 입은 오구리를 그린 이후로, 고지라 인형 슈트를 입은 괴수 오구리(怪獣オグリ)로 출연하거나 아예 괴수와 한 몸이 되기도 한다. 이 모습이어도 라면을 그릇째로 몇 그릇씩 먹는 대식가 속성이 강조된다. 괴수로 출연할 경우 라이벌인 [[타마모 크로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타마모 크로스]]는 킹 기도라와 엮인다. [[신데렐라 그레이]]에 나오는 오구리 특유의 볼빵빵 SD 모습과 진지한 모습도 자주 나온다. 너구리 시리즈의 본진인 [[후타바 채널]]에서, 신데렐라 그레이에 나온 오구리를 두고 의논하는 '정말로 프리티 합니다만(本当にプリティなんだが)?'이라는 독특한 어미의 스레드가 세워진 이후, '~합니다만(なんだが)?'이 오구리의 말버릇으로 고정되었다. 이후 맹한 얼굴로 아슬아슬한 비키니를 입은 데포르메화 된 오구리 그림과 함께 '너희들의 오늘 밤 [[딸감|반찬]]은 이 몸입니다만?'이라는 제목의 꾸준글이 올라가게 되었는데, 그때마다 유저들이 하나같이 'SEXY합니다만?'으로 답하는게 고착화된 나머지, 맹한 오구리의 너구리가 비키니를 입은 채로 상술한 대사를 외치는 이른바 SEXY 모드가 나타나게 되었다. 파생으로 상자위의 빈 그릇을 젓가락으로 두드리거나, 하와이안 셔츠를 입고 우쿨레레를 연주하는 버전도 나왔다. 그 외에도 가족 시리즈에선 어린아이 모습으로 그려지는데, 이 모습의 오구리는 원본 경주마의 실제 아명이었던 '하츠라츠(ハツラツ)'라고 따로 구분해서 부른다. 극중에선 심볼리 가족의 이웃사촌으로 거의 친가족이나 다름없을 정도로 절친한 사이로 묘사되며, 응애 츠요시가 추가되기 전까진 심볼리 가족의 실질적인 막내 포지션이었다. [[Full House]] 패러디물에서 담당하는 배역은 미셸 태너. [[고대말딸]] 시절 PV에서 심볼리 루돌프와 함께 피겨 스케이팅을 하다가 키스하는 근본없는 장면 때문에, 오구리에게 집착하는 변태로 돌변한 루돌프를 보고 정색하거나 전력으로 도망치는 모습도 보인다. [[파이널 판타지 10]]의 [[와카(파이널 판타지 10)|와카]] 밈이 2022년 오토와카 합작의 대히트로 파이널 판타지 팬덤 밖에서도 인기가 급상승한 이후, 고전 와카 밈들중 하나인 [[https://www.nicovideo.jp/watch/sm29961788|수면 위의 와카를 백허그 하는 티다의 합성물]]의 BGM [[얼마나 좋을까]]가, 변태 루돌프에게 당하는 오구리의 테마송이 되버렸다. 이럴 때 시청자들은 하나같이 '참으로 좋구나(素敵だな)'라는 댓글을 날려주는게 전통이 되어버렸다. * [[원더 어큐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원더 어큐트]] 앞치마를 두르고 집 앞을 [[빗자루]]로 쓸거나, 툇마루 위에 [[정좌]] 자세로 차를 마시거나, 다른 우마무스메에게 사탕이나 용돈을 주는 등 마음씨 좋은 할머니로 그려진다. 할머니 캐릭이라 그런지 치마폭이 좁은 탓에, 발걸음도 엄청 느려져서 나가는 데 엄청 오래 걸린다.~~그치만 나쁜 아이에겐 얄짤없다[[https://youtu.be/vRw6OAXbA6g|#]]~~ 권투 속성의 영향으로 현란한 섀도 복싱을 선보이기도 한다. 리키와 타루마에와 함께 더트마 트리오로 등장하는 작품이 꽤 있다. * [[위닝 티켓(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위닝 티켓]] 울보 캐릭인만큼 자주 울고 다닌다. 거기다 바보라서 그런지 뒤늦게 상황을 파악하거나 말을 이해하면서 [[5ch]]의 [[아스키 아트]] 캐릭터 [[시이(5ch)|시이]]가 해맑게 웃는 표정을 짓는다. 한편 수다쟁이 특성도 있다보니, [[마블러스 선데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마블러스 선데이]]와 함께 시끄러운 소리를 내는 역할로 나온다. 마블러스와의 차이점은, 티켓이 말할때마다 유저들이 글자마다 탁점이 붙은 코멘트를 날리는 점. 원본마가 2023년 세상을 뜨기 전 살아있던 당시 일본의 G1 우승마 중에서 최고령으로 장수한 영향으로 중년 같은 성격으로 그려진다. * [[유키노 비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유키노 비진]] 다른 갸루 우마무스메들과 함께 다니며 버블티나 파르페를 먹어댄다. 앳된 미소를 짓는 빛의 비진과 사악한 미소를 짓는 어둠의 비진이 공존하며, 이 둘이 유키노의 [[어깨 위의 천사와 악마]]로 나와 심리 갈등을 조장하기도 한다. 종종 어둠의 비진 모드가 발동해 짖궂은 장난을 치기도 한다. 유키노의 원본마가 시리즈에서 초특급 변태로 그려지는 [[피우수트스키]]와 자마를 둔 사실 때문에, [[에어 그루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어 그루브]]에 이어 피우수트스키의 발정 돌격의 피해자가 되기도 한다. [[도호쿠|출신지]]가 세계적으로 눈이 많이 오는 지역이라 제설삽으로 눈을 치우는 모션도 있다. * [[이나리 원(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이나리 원]] 신데그레에서 나온 특정 장면이 공개된 걸 전후해 평소의 여우같은 웃음을 보여주기도 하지만 성깔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작품이 늘어나고 있다.--과거 회상에 나왔던 어릴 때 모습도 아주 가끔 쓰인다.-- 광기의 슈퍼 크릭한테 노려지고 있는 우마무스메 중 하나. 여기서 이나리 원은 다른 우마무스메들보다 일본색이 짙어서 그런지 [[고에몽 시리즈]]의 고에몽으로 그려지기도 한다. 한편 괴수로 그려질 경우에는 신데렐라 그레이처럼 [[라돈(고지라 시리즈)|라돈]]으로 그려진다. [[여우의 악마]]를 소환하기도. * [[이쿠노 딕터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이쿠노 딕터스]] 카노푸스 밴드에서 드럼을 담당하고 있다. 선생님 역할이나 박학다식한 지식인 포지션으로 자주 등장한다. 야구 관련 작품에선 [[포수]]를 [[https://twitter.com/Lieutenant_96/status/1562876414398894081|담당하기도.]] 드물지만 스누피에서 볼법한 그림체로도 그려지고 있다. === ㅈ, ㅊ, ㅋ행 === * [[젠노 롭 로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젠노 롭 로이]] 원본마의 보스 기질을 살려, [[VA-11 HALL-A: Cyberpunk Bartender Action|Ta-I\I Hall-A]] [[https://www.nicovideo.jp/series/328978|시리즈]]에서 선글라스를 끼고 파이프를 피고, 칼과 총을 능숙하게 다루는 지배인으로 등장했다. 이 영향으로 무술가 설정이 붙었다. * [[카렌짱(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카렌짱]] 용으로 그려진 [[로드 카날로아]]를 타고 등장하기도 하며, 인스타그램 액자를 들고 다니기도 한다. 어째서인지 [[스키야]]에서 [[규동]]을 사고 나온 우마무스메들[* 주로 [[오쥬 쵸산]]과 [[업 투 데이트]]를 시작으로 [[골드 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골드 쉽]]이나 [[나카야마 페스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나카야마 페스타]] 등을 비롯한 [[스테이 골드]] 일족.]과 부딪혀 로드 카날로아가 샌드백이 되는 시리즈로 영원히 고통받고 있다. 언어유희로 [[가자미|카레이(カレイ)]]짱, 혹은 카렌[[고양이|냥(ニャン)]]으로 변신하기도 한다. 취미가 피아노 연주라서 피아노를 치는 모션이 추가돼, [[마치카네 탄호이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마치카네 탄호이저]]랑 피아노 협주를 하기도 한다. * [[카와카미 프린세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카와카미 프린세스]] 무투파 성격 덕분에 정권을 날리거나 무다무다 러시를 날리는 등 무력을 행사하는 일이 잦다. 아니면 평소대로 학교 기물을 파손하거나 장수풍뎅이를 잡으려다 나무를 쓰러트리기도 한다.--사실 카와카미 관련 모든 2차 창작이 이렇게 묘사되고 있다.-- * [[카츠라기 에이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카츠라기 에이스]]★ 공식으로 실장되기 전에 중국 팬덤 출신인 [[https://space.bilibili.com/34119426|槐石imagine]]에 의해 [[https://www.bilibili.com/read/cv18978875|오리지널 너구리]]가 만들어져 있었다. 라이벌이자 친구인 [[미스터 시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미스터 시비]]와 함께 다닌다. 공식 디자인이 공개 되었을때 [[킬라킬]]의 [[마토이 류코]]가 떠오른다는 의견이 많아 [[https://www.nicovideo.jp/watch/sm41902212|이를 반영한 모션도 나왔다.]] * [[케이에스 미라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케이에스 미라클]] SSR 서포트 카드 To You에 그려진것 처럼 아이들 우마무스메들과 함께 피아노를 치는 모습으로 나온다. [[사토 히나타|안의 사람]]이 [[https://i0.wp.com/umamusume.net/wp-content/uploads/2022/10/ab4162fd.jpg|말로 형언할수 없게 그려낸 미라클]]로도 종종 나온다. * [[코파노 리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코파노 리키]] 풍수지리 능력으로 마법을 쓰거나 피자를 만들어 배달하고 다닌다. 슬레이어즈 작화가의 팬아트에 기반한 버전도 나왔는데, 이 작품 시리즈에선 슬레이어즈 풍의 셀 그림체로 그려진 [[마루젠스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마루젠스키]]가 함께 출연한다. 그 외에도 화나거나 절부조 상태가 될 경우 [[별의 커비 시리즈]]의 잡몹인 록키가 되기도 한다. * [[키타산 블랙(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키타산 블랙]] 공식 설정에 따라 엔카를 직접 부르고 다니며, 절친 사토노 다이아몬드와 같이 자주 등장한다. 다이아가 보여주는 세가 새턴 등 세가의 고전 게임기들을 보면서 최신 게임기들을 떠올리기도 한다. 키타산의 초딩 사복 디자인의 모티브로 추정되는 가면라이더 블랙 RX의 즉살 무기인 리볼케인을 진짜로 들고 나타와 위협하는 경우도 있다. 한편 처음 너구리 세계관에 등장했을 때 나왔던 키타산 0티어 카드 때문에, '0枚天井(0장 천장)'이라 써진 북을 치고 있는 벙찐 표정을 짓거나 매우 느리게 북을 치고 있는 모습으로도 나타나기도 했다. * [[킹 헤일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킹 헤일로]] 상어 입의 다혈질로도 그려지기도 하며 특유의 고개를 떨구며 경악하는 표정도 자주 쓰인다. 최근에는 응원단장 옷을 입기도 한다. === ㅌ, ㅍ행 === * [[타니노 김렛(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타니노 김렛]]★ 공식으로 실장되기 전부터 보드카의 너구리에다 👁 이모지를 붙여서 만든 환각 캐릭터를 가지고 있던 몇 안되는 캐릭터였다. 그러다 공식 디자인이 나오고 이를 반영한 👁 이모지를 눈으로 부착한 학생복 버전이 생기자, 우마무스메들 중에선 처음으로 오리지널 디자인과 공식 디자인의 너구리들이 공존하는 케이스가 되었다. [[https://www.nicovideo.jp/watch/sm40426513|둘다 쓴 예시]] 승부복 버전이 나온 이후엔 제대로 된 금빛 눈동자를 드러내며, [[야가미 이오리]]처럼 [[https://www.pixiv.net/artworks/102098640|왼손으로 눈을 가리며 호탕하게 웃거나]], 양손을 주머니에 넣은 채로 전방의 물체나 트레이너를 걷어차는 모션도 추가되었다. * [[타마모 크로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타마모 크로스]] 라이벌인 [[오구리 캡(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오구리 캡]]이 고지라 괴물로 변해서 나올 때 본인은 킹 기도라로 변해 대치하곤 한다. 정상적으로 출연할 때는 오구리와 같이 어린 시절로 출연하기도 하며, 이 경우에는 무조건 모성 광기의 슈퍼 크릭이 딸랑이와 젖병을 들고 타마모를 노리곤 한다.--굳이 어린 모습이 아니더라도 계속 노리는 경우도 잦아지고 있다.-- 이 모성공격에 당해버린 경우엔 얄짤없이 공갈 젖꼭지를 물리고, 유치원생 복장을 입거나 아기처럼 포대기에 싸여진 모습으로 나온다. 츳코미 담당이라 그런지 [[하리센]]을 내리치거나 개그 만화의 츳코미 캐릭터가 할법한 리액션으로 태클을 건다. 타마모 크로스에서 모티브를 딴 [[푸른날의 마끼바오#s-5.1|왕바우]]의 이미지를 역으로 흡수해서 그런지 웃는 표정이 남들보다 엽기적이다. 빈유라서 사일런스 스즈카와 함께 거유 우마무스메를 볼때마다 기겁해하며 째려보는 표정을 짓기도. 후술할 환각 우마무스메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왕바우도 타누키화되었다. * [[타이키 셔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타이키 셔틀]] 장식으로 쓰고 다니는 리볼버를 진짜로 난사하기도 하고 종종 캡틴 아메리카(?)가 되기도 한다. 위의 대기 셔틀의 표정을 자주 쓰이곤 한다. 원본마가 말년에 [[메이쇼 도토]]와 사이좋게 지냈던 걸 반영해 너구리 세계관에서도 도토와 많이 붙어다니고 있다. 특이사항으로 타이키 셔틀의 생애를 요약한 [[https://youtu.be/yTxcZNWW-Pg|영상]]이 업로드된 지 불과 이틀 후에 원본마가 무지개 다리를 건너버리는 비극이 겹치게 되었는데 졸지에 이 영상은 추모 영상이 되어버렸다. 이 외에도, 도토와 함께 지냈던 시절을 그리며 추모하는 목적의 영상들이 나오고 있는 중이다. [[https://youtu.be/073Ny5fVcik|많은 이들의 심금을 울린 대표적인 작품.]] [[https://youtu.be/6c7sxmRpANI|2]] * [[탭 댄스 시티(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탭 댄스 시티]]★ 공식으로 실장되기 전에 [[https://www.pixiv.net/users/82204143|せむぷ]]에 의해 [[https://www.pixiv.net/artworks/98695033|오리지널 너구리]]가 만들어졌다. 시리즈 작품들에서 주연급은 아니지만, 제작자의 총애를 받은 덕분에 웬만한 너구리 캐릭터들이 갖춘 모션들은 전부 지니고 있다. 실장되서 공식 디자인이 나온 이후로 많은 너구리 팬들이 제작자를 축하해줬을 정도. * [[토센 조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토센 조던]] 갸루 캐릭터 답게 셀카봉을 들고 다니고 [[버블티]]를 마신다. * [[트윈 터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트윈 터보]] 특유의 상어입은 무조건 묘사되고 있으며 아예 상어 옷을 입고 등장하곤 한다. 시리즈의 원조인 [[심볼리 루돌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심볼리 루돌프]]를 이어 [[골드 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골드 쉽]]과 함께 [[https://www.nicovideo.jp/watch/sm39929562|2번째로 탄생한 너구리]]인 만큼, 자주 등장하고 있으며 다른 너구리들보다 [[https://futafuta.site/static/app/thread_data/gif/1627619986544.gif|다양한]] [[https://futafuta.site/static/app/thread_data/gif/1634375750299.gif|모션]]을 가지게 될 정도로 제작자들의 애정을 많이 받고 있다. [[Full House]] 패러디물에서 담당하는 배역은 스테파니 태너. 카노푸스 팀이 밴드로 활동하는 작품에선 [[일렉트릭 기타]]를 치는 모습으로도 많이 그려지고 있으며, 터보의 바디슈트를 입고 음흉한 트윈 네이처 상태가 되버린 나이스 네이처한테 위협받거나 아예 잡히는 경우도 종종 나타나고 있다. * [[티엠 오페라 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티엠 오페라 오]] 좀 대충 그려진 작품에선 왕관이 복숭아로 퉁치고 마치카네 후루키타루의 외형과 비슷해지기도 한다. 반면 제대로 그려지는 작품은 미스터 시비와 후지 키세키와 같이 노래를 열창하는 이미지로 그려진다. 여기서도 [[와다 류지|주전 기수]]의 각별한 인연을 반영해 매년 그의 생일이 될 때마다 와다(和田)란 한자가 써진 부채를 들고 나타나 축하하는 생일 축하 작품이 쏟아지고 있다. 예술 관련 작품에선 이름답게 메인 가창자를 담당하고 있다.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ROAD TO THE TOP|ROAD TO THE TOP 애니]]에서 [[작화붕괴#s-3.5|시점에서 멀리 있어서 간단하게 그려진]] 뚱한 표정이 [[https://www.youtube.com/watch?v=9KLSuCvR_1Y|얼굴 소재가 되기도 한다.]] * [[파인 모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파인 모션]] 라멘 마니아로서 인스턴트나 정통 라멘을 즐겨먹으며,[* 공식 4컷만화나 [[우마욘]] 코믹스에서도 이미 라면과 같은 서민적인 음식을 즐긴다는 부분이 반영되어 있었다.] 그중에서 토핑이 듬뿍 얹혀진 [[라멘 지로]]의 라멘을 특히 좋아한다. 노점에서 라멘을 끓이기도 하며, 여기서도 에어 샤커와 엮인다. 언니인 [[피우수트스키]]가 출연할 경우, 에어 그루브에게 흥분하며 돌진하는 언니를 말리는 신세가 되기도 한다. 그 외에도 SP대장같은 파인과 닮은 말딸들이 사고를 치고 다니기도 한다. [[007 시리즈]] 패러디물에선 [[피어스 브로스넌]]의 제임스 본드를 담당. === ㅎ행 === * [[하루 우라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하루 우라라]] 기본 모션 외에도 하드 아이스크림을 핥는 순진무구한 모습을 보임으로 우라라의 천사 성향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한편, 무능력하지만 너무 착한 캐릭이라는 프레임에 머물지 않고, 게임에서 공략할 때처럼 1착 트로피를 직접 들고 승리를 기뻐하는 작품들도 있다. 거기다 다른 우마무스메들이 하루 우라라의 1등을 다양한 방식으로 도와주기도 한다. 너구리 가족물 시리즈에선 세번째로 응애화가 되어 츠요시, 라이스와 함께 갓난아기로 나온다. 예상했겠지만 [[닛포 테이오|아키츠 테이오]]가 엄마로 나온다. * [[홋코 타루마에(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홋코 타루마에]]★ 공식으로 실장되기 전부터 원본마가 착용했던 하늘/주황 줄무늬의 복면을 쓴 오리지널 너구리 디자인을 가지고 있었다. 나중에 공식 모델이 등장하자, 이에 기반한 너구리가 새롭게 나왔으며, [[토마코마이시]]의 지역 아이돌 포지션 답게 마이크를 들고 다양한 노래를 소화하는 가수 역할을 소화하고 있다. 때문에 토마코마이시의 공식 마스코트 [[https://www.city.tomakomai.hokkaido.jp/shisei/toshikeikaku/machinakasaiseishukan/tomachop/official.html|토마춉(とまチョップ)]]과 [[https://www.city.tomakomai.hokkaido.jp/kanko/nosui/nogyo/hokkeykun/masukotto.html|홋키군(ホッキー君)]]도 너구리 캐릭터가 만들어져 함께 출연하게 되었다. 통통한 체형 때문에 시청자들은 타루마에의 너구리가 나올때마다 "통통하네♥(太いね♥)" 라는 코멘트를 날린다. 땋은 머리를 8개로 늘리고 머리만 둥둥 떠다니는 문어 형태의 크리처로 변해 보드카를 추격하기도 한다. * [[후지 키세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후지 키세키]] 미스터 시비와 티엠 오페라 오처럼 노래를 부르거나, 승부복을 입은채로 마술을 부리는 이미지로 자주 그려진다. [[팀 카노푸스|카노푸스 밴드]]가 [[T-SQUARE]] 같은 재즈 음악을 연주할때 게스트 멤버로서 [[색소폰]]이나 [[MIDI Wind Controller|EWI]]를 담당한다. 가끔 [[턱시도 가면]] 복장으로 트레이너를 스토킹하는 변태로도 그려진다. 그리고 [[푸른날의 마끼바오]]에서 왕바우의 라이벌인 캐스캐이드의 모티브가 후지 키세키인데, 캐스캐이드도 후술할 환각말딸로 만들어졌다. * [[히시 아마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히시 아마존]] 경기가 있을 때 고정 심판으로 나오기도 하고, 그게 아니면 가면라이더 아마존의 포즈를 취하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일본 [[후지 테레비]]의 퀴즈방송 《헤이세이교육위원회(平成教育委員会)》[* [[퍼즐특급]]이 이 방송을 표절한 의혹이 있다.]의 패러디 시리즈에선 가사에 능한 성격을 반영해 가정 과목에 특출났다. 그 외에는 그냥 가면라이더 아마존이 되거나 다른 말딸에게 요리를 가르쳐 주거나 요리를 해주는 역할로 나온다. 우마욘에서 나온 마법소녀 복장을 입고 부끄러워하기도 한다. * [[히시 아케보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히시 아케보노]] 우마무스메들 중에 최장신인 걸 반영해 아예 나무나 건물만큼 큰 거인으로 출연하는 게 허다하다. 이렇게 거인이다보니 등장할 때마다 무조건 [[울트라 시리즈]]의 괴수들과 붙곤 하는데, 이 때 십중팔구 괴수가 날아가버리는 괴력을 선보인다. 원본마의 이름이 [[스모]] 선수였던 [[아케보노 타로]]에서 따온 영향으로 시코(四股)[* 경기 시작전 도효(土俵) 위에서 양다리를 쩍 벌리고 한 발씩 들었다가 지면을 강하게 내리밟는 의식 겸 몸풀기 운동.]를 구사하는데, 발이 땅에 닿을때 막대한 흙먼지가 휘날린다. 정상인으로 묘사될 때는 요리를 하는 모습으로도 그려진다. 한편 안의 사람이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팬이라서 그런지 스왈로즈 유니폼을 입고 우산을 위아래로 흔드는 모습도 보인다. == 환각(幻覚) 우마무스메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tEUvRCWVMuA)]}}}|| || 2023년 5월 1일까지의 환각 너구리 모음집 || 2016년 PV 출연 이후 게임에 출시가 무산된 우마무스메 4명,[* [[딥 임팩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딥 임팩트]], [[부에나 비스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부에나 비스타]], [[오르페브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오르페브르]], [[킹 카메하메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킹 카메하메하]]. 딥 임팩트, 오르페브르, 부에나 비스타의 출연률이 높다. 킹 카메하메하는 제대로 만들어진 이미지는 있으나 출연율이 매우 낮다.] 혹은 원작에서 출시되지 않았고 공개된 디자인도 없지만 개성과 매력이 넘치고 인기 많은 경주마들에 기반한 2차 창작 우마무스메 등을 너구리화시켜서 등장시키기도 한다. 이들은 [[샤미코가 나쁜거야|만화에도 애니에도 게임에 실장되지 않았을 뿐]]이라는 의미로 [[환각]](幻覚)으로 불려진다. === 환각 너구리 일록 === 우마무스메 게임 안에서 간접적으로 출연하거나 존재가 언급된 경우도 있고 (●), 미디어 믹스에서 다른 명의로 출연한 경우도 있다 (♡). ==== 출시 무산 4총사 ==== * [[딥 임팩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딥 임팩트]] 공식 일러에서 보여준 무뚝뚝한 표정에 왼쪽 눈에 불이 붙은 모습. [[오와라이]] 빅3의 [[기타노 다케시]]가 딥 임팩트의 자마들 중 두마리[* [[https://db.netkeiba.com/horse/2015104987/|키타노 코만도르(キタノコマンドール)]]와 [[https://db.netkeiba.com/horse/2016104318/|키타노 임팩트(キタノインパクト)]]. 둘 다 [[DMM 드림 클럽]] 소속이다.]나 이름을 지어준 영향으로, [[닛폰 테레비]]의 '천재! 타케시의 기운이 솟는 TV(天才・たけしの元気が出るテレビ!!)'에 쓰여졌던 타케시의 [[https://fashion.aucfan.com/yahoo/m201215174/|미니멀리즘 캐리커쳐]]를 얼굴에 쓰고 나오기도 한다. [[후지 테레비]]의 퀴즈방송 《헤이세이교육위원회(平成教育委員会)》[* [[퍼즐특급]]이 이 방송을 표절한 의혹이 있다.] 패러디 시리즈에선 해당 방송의 MC였던 타케시 역할로 나온다. 이외에도 [[고에몽 시리즈]]의 주인공 고에몽이 보유한 거대로봇 고에몽 임팩트의 얼굴을 한채로 거대화 하기도 한다. 딥 임팩트 자손들의 너구리들은 높은 확률로 딤 임팩트 너구리의 [[반쯤 감은 눈]]을 유전으로 물려 받기도 한다. * [[부에나 비스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부에나 비스타]] 도박중독자 부모인 스페셜 위크 한테 돈을 뜯기는 신세지만, 참다 못해 격노하며 스페셜 위크를 혼쭐내기도 한다. [[어드마이어 베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어드마이어 베가]]가 비스타의 반형제인 [[어드마이어 재팬]]의 폭신함에 꽃혀버려 닥돌하는 모습 같이 진풍경을 볼때마다 [[고대말딸|2016년 PV]]에서 추월당할때 지은 매우 놀라는 표정을 한다. 스페셜 위크 처럼 [[메카자와 신이치]] 모델과 우마무스메가 아닌 일반 소녀 모습의 모델이 있다. * [[오르페브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오르페브르]] 하술될 스테이 골드 일족과 함께 빡친 얼굴로 자주 나오고, [[고대말딸|2016년 PV]]에서 마스크가 벗겨지자 돌변한 인상으로 질주하는 모습도 보인다. 성격이 괴팍했다가 소심했다가 온도차가 심한데, 하술될 팀 IKZE와 엮일때는 반형제인 [[드림 저니]]와 함께 싸우거나 깽판을 부리는 반면, [[카렌짱(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카렌짱]] 대장 앞에선 한없이 작아지며 굴복한다. [[에어 그루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어 그루브]]처럼 청소 복장을 하고 청소하기도 하는데, 에어 그루브는 원본마가 구무원에 대한 애교가 넘쳤다는 일화를 약간 바꿔서 이런 설정이 붙은 반면, 오르페브르는 주전 기수인 이케조에가 온라인 스트리밍을 할때 방이 너저분했던 일화 때문에 이런 설정이 붙었다. 때문에 에어 그루브는 얌전히 청소하는데 비해 오르페브르는 성질내면서 청소하는 모습을 드러낸다. [[일본중앙경마회]]의 공식 굿즈 온라인 스토어인 '터피 통판 클럽(ターフィー通販クラブ)'의 [[https://mobile.twitter.com/JRA_PRC/status/1474292404073426944|한 CM]]에서 경주마 인형들을 방에 쌓아놓고 '''외출할때 오르페브르의 인형을 들고 다니는''' 여자 캐릭터가 우마무스메 및 너구리 팬덤에서 '위험한 여자(やべー女)'로 불려지는데, 너구리 캐릭터화 된 위험한 여자와 같이 출연하기도 한다. 참고로 [[오구리 캡(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오구리 캡]]에 집착하는 [[심볼리 루돌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심볼리 루돌프]], [[에어 그루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어 그루브]]에 집착하는 [[피우수트스키]], 트레이너에게 집착하는 [[멜로디 레인]]도 위험한 여자의 표정을 짓고 나오기도 한다. * [[킹 카메하메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킹 카메하메하]] 상기된 셋에 비해 출연 빈도가 절망적으로 없는 수준이다. 그나마 색욕 넘치는 색기 담당으로 나오거나, 원본마의 마명의 유래가 [[드래곤볼]]의 기술인 [[에네르기파|카메하메파]]의 원본이 된 점을 가지고 해당 기술을 처음 시전한 [[무천도사]]로 분장해 나오기도 한다. ==== 초창기 환각 ==== 시리즈 초창기에 오리지널 너구리가 만들어진 사례들. 이들은 대체적으로 작품 주제를 가리지 않고 출연한다. * '''[[저스터웨이(말)|저스터웨이]]''' 모든 환각의 시작이자 대표적 예시로, '환각 총대장(幻覚総大将)' 이라는 이명으로 불려지며 주역급으로 활약하고 있다. [[https://www.pixiv.net/users/14618071|无显cnd]]의 [[https://www.pixiv.net/artworks/90091725|창작 디자인]]을 가지고, 은혼의 저스터웨이의 벙찐 눈을 했다. 기수의 복장 디자인에서 따온 드래스에 저스터웨이 얼굴이 그려진 머리핀을 했고, 은발의 우마무스메를 볼때마다 은발(芦毛)이 쓰여진 부채와 저스터웨이 모형을 들고 좋아해한다. 2차 창작에서 자주 그려지는것 처럼, [[은혼|이름의 유래가 된 물체가 나오는 만화]]나 골드 쉽과 유일하게 친하다는점 때문에 골드 쉽과 맞먹거나 그보다 더한 기행인으로 그려지며, 평소에는 얌전하다가 골드 쉽이나 다른 은발 우마무스메들만 엮이면 초하이텐션이 되다는 식으로도 그려지는 편이다. [[https://ウマ娘攻略まとめ速報.com/post-57365|팬들이 가상으로 만들어낸 설정집]]에 착안해 [[연어]]를 생으로 우물우물 먹어대기도 한다. 시리즈 제작자들은 저스터웨이에게 스기타 토모카즈를 성우로 붙이고, 본작에서는 안나왔는데 출연했다는 착각이 들 정도로 자연스럽게 녹아낸 작품들을 쏟아내고 있다. 같은 각본가가 참여한 [[열차전대 토큐저]]에서 저스터웨이 명칭의 무기를 사용하는 [[섀도우 괴인#s-2.30|섀도우 나이트]]도 [[https://seiga.nicovideo.jp/seiga/im10870074|너구리가 만들어졌다.]] * [[로드 카날로아]] 원본마의 인기와 업적에도 불구하고 오리지널 너구리는 안 만들어지고 한동안 왕관을 쓴 녹색 용으로 그려져왔다. "으으... 카렌짱... (うう…カレンちゃん…)" 라는 말버릇과 함께 짝사랑하는 [[카렌짱(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카렌짱]]의 이동수단이 되거나, [[스키야]]에서 [[규동]]을 사고 나온 [[오쥬 쵸산]] 일행과 부딪혀 [[다구리]]를 당하거나, 용 본체에다 로봇 팔을 장착 당하고 경주에 나가거나, 팬덤으로부터 🐉이모지로 간략하게 표현되면서 [[바다뱀]]이나 초록[[도마뱀]] 등으로 놀림받는 등, [[네타 캐릭터]]로 영원히 고통받고 있었다. 다행히도 용왕이라는 별명과 홍콩 스프린트에서 2관왕을 했다는 점에 착안해 푸른 [[한푸]]를 입은 [[무협 영화]]풍 너구리 캐릭터가 등장했다. 이후 아몬드 아이와 판탈라사를 비롯한 자마들의 엄청난 활약으로 네타 캐릭터 시절에 묻혀졌던 눈부신 커리어가 재평가 받으며, 최종보스의 포스가 느껴지는 [[붉은 눈의 흑룡]]으로 각성한 모습이 추가되었다. 카날로아가 흑룡 모드로 출연할 경우, 2012년 스프린터스 스테이크스 우승을 시작으로 전성기를 누리던 카날로아를 유일하게 꺾고 우승한 [[하쿠산 문]]이나, 카날로아의 치명적인 약점인 카렌짱이 제압한다. 이미지가 개선됐다 해도 카렌짱에게 휘둘리는 [[흑기사]] 캐릭터는 여전한지라, 카렌짱이 요리를 실패해 만들어진 괴식을 처리하는 등 뭔가를 부탁받으면 목숨걸고 착실히 수행하거나, 다른 우마무스메에게 한눈 팔다가 카렌짱에게 ~~응징~~설교 당하기도 한다. [[빈유]]로 그려진 탓에 졸지에 같은 빈유인 [[사일런스 스즈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사일런스 스즈카]]의 동지가 되버렸고, 다른 빈유 우마무스메들과 함께 거유들을 질투하는 모습이 추가됐다. * [[미키 로켓]] 초기에는 [[미키 마우스]] 형태를 한 [[https://seiga.nicovideo.jp/seiga/im10999896|시무룩 한 표정의 로켓]]으로 그려져왔다. 이후 미키 모양의 헤어스타일과 기수복 디자인처럼 붉은 별들이 그려진 스턴트맨 복장을 한 오리지널 너구리가 만들어졌고, [[트랜스포머]] 마냥 로켓 형태로 변신이 가능해졌다. 주전 기수가 [[와다 류지]]라 원더 어큐트나 딥 본드 처럼 느긋한 표정을 짓지만, 관명인 "미키"(ミッキー) 때문에 얼굴이 [[미키 마우스]]로 변하기도 한다. * [[https://db.netkeiba.com/horse/1991107851/|스타 맨]] 1993년 데뷔. 14전 6승. 총상금 2억 5138만 엔. 1993년 [[교토 2세 스테이크스|교토 3세 스테이크스]]부터 1995년 [[한신대상전]]까지 우승을 쓸어담으며 괴물로 불리웠던 전성기 시절의 [[나리타 브라이언]]을 1994년 [[교토신문배]]에서 유일하게 꺾은것으로 유명하다. 이외에도 1994년 [[고베신문배]]와 [[나루오 기념]](당시 G2)를 우승했다. 엉뚱하게도 마명과 이름이 같은 [[스타맨|영화]]나 [[Starman|노래]] 같은 유명한 소재들을 제치고, [[별의 커비 시리즈]]에서 흡수하면 [[하이 점프]] 능력을 얻을 수 있는 잡몹 [[https://wikirby.com/w/index.php?title=Starman|스타맨]]을 기반으로 환각이 만들어졌다. 스타 맨을 제외한 초창기 환각들이 크리처 형태를 졸업하고 제대로 된 너구리를 갖추는 와중에도 이 모양이다. * [[아몬드 아이]] 원본마가 9관마(9冠馬, きゅうかんば)인데 이걸 가타카나로 읽으면 큐컴버(Cucumber)가 되버려 오이가 별명으로 붙은 까닭에, 초창기엔 명성이 무색하게 오이 취급을 받아왔었다. 오이로 만든 쇼로우마는 기본이요, 오이를 여러개 이어서 섬뜩한 눈을 붙인 크리쳐를 아몬드 아이로 퉁치는게 다반사였다. 오이나 쇼로우마로 나올 경우 세계관의 대표 [[대식가]]들인 [[오구리 캡(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오구리 캡]], [[스페셜 위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스페셜 위크]], [[라이스 샤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라이스 샤워]], 오이는 [[미소(된장)|미소]]에 찍어 먹어야 제맛이라며 입맛을 다시는 [[타마모 크로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타마모 크로스]], 돌봐줄 우마무스메들에게 만들어 줄 반찬거리로 노리는 [[슈퍼 크릭(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슈퍼 크릭]]으로부터 도망친다. 오이 크리처로 나올 경우, 아몬드 아이의 활약 이전에 원본마가 최강 암말로 불려졌던 [[보드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보드카]]가 울면서 도망치는게 정석. 다행히 그동안의 고통을 만회하듯 [[:파일:Almond Eye Tanuki Design.png|익명의 디자인]]에 기반한 높은 퀄리티의 창작 너구리가 만들어졌지만, 양손에 오이를 들고 아삭아삭 먹거나, 오이 요리를 만드는 동족상잔(?)을 저지르거나, 오이 크리처나 쇼로우마 상태로 돌아가거나, 머리만 정상이고 몸은 오이로 남은 상태로 변신하거나, 오이를 좋아하는 [[캇파]] 분장을 하고 나오는 등 오이와의 악연은 이어지는 중. 아몬드 아이의 너구리가 나올때 [[빛의 전사 다이아몬드 아이]]의 오프닝을 짜깁기해 아몬드 아이를 호명하는게 자주 재생된다. 땀범벅이 되고 자켓을 반쯤 벗은 다음 입맛을 다시며 [[하트눈]]을 하는 모션이 추가된 이후론, 너구리 시리즈의 새로운 [[색기담당]] 포지션으로 떠오르고 있다. 원본마의 자마인 아몬드 아이 2023도 아기 너구리로 만들어졌으며, 이럴때 할아버지가 된 [[로드 카날로아]]가 손주 바보로 함께 자주 등장한다. * [[콘트레일]] 전투기 조종사 복장과 기수복 디자인의 머플러를 한 [[https://www.pixiv.net/artworks/100140090|디자인]]을 했고, 이름의 유래가 비행운이듯 일반적으로 고글이 달린 후드를 쓰고 꼬리를 헬리콥터 처럼 돌리면서 날아다니며 출연한다. 시간이 지나고 고글과 후드를 벗은 모습이 많아졌으며, 외모는 [[https://www.pixiv.net/users/24289529|鳥海]]의 [[https://www.pixiv.net/artworks/94734059|창작 디자인]]에서 가져왔다. 환각으로선 에프포리아와 함께 밀리터리 패러디물 (주로 공군 관련)에서 모습을 자주 드러낸다. * [[쿠로후네(말)|쿠로후네]]● 아그네스 디지털의 육성 시나리오에서 4번을 달고 NHK 마일 컵에 출전해 승리한 우마무스메로 언급된다. 오랜 기간동안 4번을 단 [[쿠로후네 사건|전함]]으로 그려져왔다. 이후 푸르스름한 회색 머리를 한 [[칸무스]] 풍의 오리지널 너구리가 나왔다. 고증대로 아그네스 디지털의 절친으로 그려지는데, 종종 우물쭈물하거나 숙쓰러운 모습을 보이다 데지땅의 행복사를 자초하기도 한다. * [[하쿠산 문]] [[https://www.pixiv.net/users/73046986|おぶしでぃあん]]의 [[https://www.pixiv.net/artworks/95840817|창작 디자인 (3번째 그림)]]에 기반한 디자인인데, 초창기에는 폭풍에 머리만 달려있는 특이한 형태로 출연했으며, 힘차게 빙글빙글 돌아가다 어질어질해진 채 손으로 V자를 그리기도 한다. [[로드 카날로아]]가 자마들의 활약으로 네타 캐릭터를 벗어나자, 카날로아의 전성기 때 유일하게 이긴 적이 있는 하쿠산 문의 평가도 올라가며, 제대로 된 몸통을 가진 너구리가 생기고 모션 종류도 이전보다 다양해졌다. [[Tunak Tunak Tun]]의 뮤직비디오에서 [[달러 멘디]]가 선보인 독특한 안무를 재현한 모션이 대표적인 예시. ==== [[스테이 골드|스테고]] 일족 ==== 대장 포지션인 [[킨이로 료테이]]를 주축으로, [[골드 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골드 쉽]], [[나카야마 페스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나카야마 페스타]], [[오르페브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오르페브르]]와 함께 자주 출연한다. 이들은 하나같이 골드 쉽 너구리 특유의 빡친 표정을 짓는데, 온순한 성격인 [[윈 브라이트]]와 손자 세대인 [[멜로디 레인]]과 [[위버레번]]도 종종 이런 표정을 드러내기도 한다. * [[킨이로 료테이]]♡ [[스테이 골드]]에 해당되는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우마무스메로, 애니 오리지널 우마무스메들 중 압도적인 출연률을 자랑한다. 자마들과 함께 깽판을 부리는 지능형 야쿠자 그룹의 리더로 그려지거나, [[티라노사우르스]] 코스튬을 입고 [[스테고사우루스]]로 돌변하기도 한다. 한번은 어떤 능력자가 킨이로 료테이가 주인공인 '''[[https://youtu.be/gRLwmaKQJk8|가상의 우마무스메 애니메이션 극장판 '황금의 여정'의 PV]]'''를 제작해 너구리 팬덤 외에서도 많은 화제를 불러모았다. 료테이 외에도 초기 탈락 우마무스메 4인방을 물론 너구리 시리즈의 오리지널 우마무스메들을 활용한게 포인트. * [[드림 저니]] [[https://twitter.com/rukaruka_ek/status/1513107526341955597|익명의 창작 디자인 (해당 팬아트 제작자와 다른 사람)]]에 기반한 오리지널 너구리가 만들어졌다. 조그마한 몸인데도 스테고 일족에서 골드 쉽과 [[오르페브르]]와 함께 3대장을 담당할 정도로 과격한 성격을 가졌다. 팀IKZE 에선 오르페브르와 쌍벽을 이루며 자주 다투지만 실질적 대장인 [[카렌짱(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카렌짱]]에게 제압당하기도 한다. * [[https://db.netkeiba.com/horse/2015100744/|마이네르 판롱]] 2017년 데뷔. 40전 5승 (현역). 2021년 [[니가타 기념]] 우승. 하술 된 위버레번의 반형제다. 니가타 기념 이후 같은 해 열린 [[아메리칸 자키 클럽 컵]]을 2착으로 마치고, 진영이 뜬금없이 중거리 적성인 판롱을 장거리 경주인 [[천황상#s-2|천황상(봄)]]에 출주시키자 많은 경마팬들이 당황하며 화제가 되었다.[* 두 경기의 거리차는 무려 1000m.] 마치 [[몰래카메라]]에 당한듯 경주에 임하게 된 모습에, 팬들은 [[스이요 도데쇼]]의 [[오오이즈미 요]]가 아무것도 모른채 [[https://ko.wikipedia.org/wiki/FM_홋카이도|FM 홋카이도]] 스튜디오로 견학 갔다가 주사위 여행 3탄에 휘말리는 모습이 떠올렸다며, 이때 몰래카메라 인걸 모른채 해맑게 웃던 오오이즈미를 소개한 자막 [[https://dic.pixiv.net/a/またしても何も知らない大泉洋さん|여전히 아무것도 모르는 오오이즈미 요 씨 (23세)]]를 패러디한 [[https://twitter.com/la___mur/status/1517345682700443649|여전히 아무것도 모르는 마이네르 판롱 씨 (7세)]]가 한동안 네타거리가 되었다. 디자인은 [[https://twitter.com/mtks119529|まつかさ]]의 [[https://twitter.com/mtks119529/status/1584889190973857792|창작]] [[https://twitter.com/mtks119529/status/1543089749467967488|디자인]]에 기반했으며, 동생인 위버레번과 함께 [[얼후]]를 연주하기도 한다. 상기된 일화 때문에 상황 파악을 못하는 호구나 천연으로 그려진다. 럭키 라일락과 함께 같은 해에 태어났지만 여전히 아이의 모습인 나나마이노 나마하무의 보호자로 출연한다. * [[https://db.netkeiba.com/horse/2012104061/|애쉬 골드]] 드림 저니와 오르페브르의 막내 반형제. 경주마 시절에는 성격이 거칠어 단 1승만 거두고 은퇴했지만, 이후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umamusme&no=752933|승마로 전환되자 애교가 많아지고 성격이 순해져]] 화제를 모은것으로 유명하다. 시리즈에선 승마를 너무 좋아하는 나머지 우마무스메 인간 가리지 않고 승마를 제안하거나 강요하다 킨이로와 선데이 사일런스에게 혼나기도 한다. * [[에타리오]] 원본마가 [[https://g-journal.jp/2019/11/post_128501.html|투지가 없는 기성난을 보이고 사행을 여러번 저질렀는데도]], 2착 7회라는 기괴한 성적과 1승마 주제에 총상금이 2억 엔을 넘는 기록에 스테고 일족이라는 캐릭터가 묻혀버려, 다른 스테고 일족에 비해 정상적으로 그려지는 편이다. 시리즈에선 기수복의 보라색 색상을 한 기모노와 고글을 쓰고 소프트 아이스크림을 들며 행복해 하는 모습이다. 은퇴 후 여생을 보내는 중인 베르사유 리조트 팜에서 소프트 [[아이스크림]]을 보면서 [[https://twitter.com/versailles_farm/status/1485167348038647809|좋아라 하는 모습]]을 보였기 때문. * [[아프리칸 골드]] 기수복의 파란색과 하늘색 배색을 적용한 아프리카 민속의상 풍의 스카프를 상의로 입었고, 원본마가 트위터리안인걸 반영해 [[트위터]]의 심볼인 하늘색 새 로고를 머리핀으로 장착한 [[https://seiga.nicovideo.jp/seiga/im11112593|디자인]]이다. 시리즈 사상 최초로 너구리가 만들어진 거세마답게, 자신의 [[음경|금구슬 두개]]가 하늘로 날아가버려 절망하는 모션이 인상적이다. 때문에 [[https://db.netkeiba.com/horse/2003101917/|킨타마니]]를 볼때마다 잃어버린 금구슬들을 되찾기 위해 매섭게 추격하기도 하는데, 이럴땐 [[피우수트스키]]의 너구리가 자신의 테마곡인 [[https://youtu.be/w29Vzw3D-0k|○○たま]]를 부르며 출연한다. * [[오쥬 쵸산]] [[https://twitter.com/ugar|宇賀井]]의 [[https://twitter.com/ugar/status/1076680482866094080?|창작 디자인]]의 장애물 경주 유니폼 버전에 기반해 오리지널 너구리가 만들어졌다. 바디슈트의 상의 부분을 허리에다 묶고, 탱크톱, 팔 보호구, 부트를 착용한 모습을 했다. 은퇴 기념으로 같은 창작 디자인의 평지 경주 승부복을 입은 버전도 나왔고, 베르사유 리조트 팜에 입성한 이후 [[https://twitter.com/Versailles_Farm/status/1617815212073316352|전용 마의]]를 입은 모습에 착안해 장애물 경주 승부복 위에 가죽 자켓을 입은 버전도 나왔다. 라이벌이자 친구인 [[업 투 데이트]]와 함께 [[스키야]]에서 [[규동]]을 사고 나왔다가, 용으로 그려진 [[로드 카날로아]]를 탄 [[카렌짱(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카렌짱]]과 부딪히고 규동이 엎질러져 분노한뒤, 로드 카날로아를 갈구는 시리즈로 유명하다. 이후 [[골드 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골드 쉽]]이나 [[나카야마 페스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나카야마 페스타]] 등을 비롯한 [[스테이 골드]] 일족도 이에 가세해, 규동을 엎지른 원흉인 카날로아를 다함께 패기도 한다. 장애물 경주에서 막강하다는 점에 걸맞게 팔에 힘을 주면 우락부락 해지는 천하장사로 그려지는데, 나중엔 성격과 체질이 비슷한 [[만퉁퉁]]의 캐릭터와 겹치면서 음치 속성이 붙었다. 작품에서 마이크를 잡으려고 하면 스테이 골드 일족이 단체로 나와 오쥬의 가창을 필사적으로 저지한다. 다만 정상적으로 부를때에는 하드 록 같이 거친 음악을 부른다. 그 외에는 업 투 데이트와의 우정이 부각되는 작품들이 많다. 은퇴후 베르사유 리조트 팜으로 본거지를 옮기자, [[타니노 김렛(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타니노 김렛]], [[로즈 킹덤]], [[어드마이어 재팬]], [[에타리오]] 등의 [[네타 캐릭터]]들로 포화 상태인 리조트 팜이 더욱 시끌벅적 해질거라 너구리 팬들은 기대하고 있다. 옮긴지 얼마 안되서 오쥬가 재팬이 빌려준 요기보 소파에 글러먹게 눕는 모션이 추가돼 소재가 더욱 풍부해질 기미를 보이고 있다. * [[윈 브라이트]] [[https://twitter.com/BackupGassanAya|ガッサン☾アヤ]]가 제작한 [[https://twitter.com/BackupGassanAya/status/1456669212387258373|오리지널 너구리]]를 시작으로 디자인이 조금씩 업데이트 되고 있다. 기수복에 기반한 승부복에, 홍콩 G1 2관왕을 상징해 홍콩 자키 클럽의 문양을 한 장식을 허리에 매고, 짙은 눈썹이 매력적이다. 주전 기수인 마츠오카 마사미를 응원하는 부채를 들거나, 드렐라이어를 연주하기도 한다. 온순한 성격 덕분인지 느긋한 표정을 짓지만, 종종 스테이 골드의 인자가 발동해 일족 특유의 빡친 표정을 드러내기도 한다. * [[페노메노(말)|페노메노]] [[https://twitter.com/BackupGassanAya|ガッサン☾アヤ]]의 [[https://twitter.com/BackupGassanAya/status/1441317504458977280|오리지널 디자인]]에 기반한 너구리가 만들어졌다. 검정색 [[고스 룩]] 드레스를 입었는데, 거친 성격답게 한쪽 다리의 흰색 스타킹이 찢어져있고, 귀는 마치 [[소악마]]의 뿔처럼 생겼다. 당연히 스테이 골드 종족 특유의 빡친 얼굴을 하며 [[골드 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골드 쉽]]과 티격태격 하는 사이지만, 트레이너 앞에서는 온갖 귀여움을 떠는 [[메가데레]] 모드로 바뀌기도 한다. 별명이 콩이라 테마곡이 [[나기(칸나기)#s-4|헬로 콩의 노래]]로 정착됐는데, 이걸 부른 성우가 시리즈에서 [[메이케이 옐]]의 목소리로 지정된 [[토마츠 하루카]]여서, 페노메노가 구무원에게 애교를 떨때마다 옐은 하던 일을 멈추고 이 노래를 부르는 신세가 되었다. 화를 달래고 기분을 전환 시킬때는 [[“HELLO!!”]]를 부르기도 한다. ===== 손자 이후 세대 ===== 멜로디 레인과 위버레번이 주로 출연한다. * [[두라 에레데]] [[https://twitter.com/kanzaki_ryuto|神咲竜兎@どらもどき]]에 의해 [[https://twitter.com/kanzaki_ryuto/status/1608678797645340673|오리지널 너구리]]가 만들어졌다. 기수복 색상에서 따온 드레스를 입었고, 오르페브르의 손자라는 점에 착안해 상어입을 하고있다. * [[마르슈 로렌]] * [[멜로디 레인]] [[https://www.pixiv.net/users/143944|神咲竜兎]]에 의해 오리지널 너구리가 만들어져 고정 출연 급으로 활약하는 중이다. [[https://www.pixiv.net/artworks/99285585|사복]]은 마주 오카다 마키오의 승부복 디자인을 재현했고, [[https://www.pixiv.net/artworks/99680622|승부복]]은 [[https://twitter.com/shirokumanocrow/status/1353269227470262273|원본 말이 착용한 복면]]에 그려진 캐릭터화된 멜로디의 복장을 그대로 가져왔다. 조그마한 크기에 혀를 내밀고 웃거나, [[개 운 해 졌 다]] 춤을 [[https://www.pixiv.net/artworks/100404071|추는]] 등 재롱을 떠는 귀요미로 그려져, 시리즈 작품에서 멜로디 레인이 나오면 시청자들은 언제나 '오늘도 귀여워(今日もかわいい)' 등의 칭찬 코멘트를 날려준다. 평소엔 동생인 [[타이틀홀더]]와 서로 뗄 수 없는 사이로 그려지지만, 동생과 [[요코야마 카즈오|같은 트레이너]]를 둔 세계관에선 동생과 함께 트레이너를 양쪽에서 붙잡으며 쟁탈전을 벌인다. 종종 [[스테이 골드]] 혈통의 영향으로 [[골드 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고루시]]같이 빡친 얼굴을 드러내거나 고루시벌레 형태로 변해버리기도 한다. 이후 경주 예상이 빗나가서 돈을 잃었다는 설정이 후타바 채널의 환각 우마무스메 스레에서 유행하자, 도박 중독 스페짱 처럼 [[https://www.nicovideo.jp/watch/sm41993312|도박 중독이 되버렸다.]] 시리즈 제작자들이 지정해놓은 성우는 [[이토 미쿠]]. * [[럭키 라일락]] * [[실버 소닉]] 원본마가 중상을 여러번 우승했는데도 한동안 [[실버 더 헤지혹]]의 [[모르모트]] 폼을 [[https://www.nicovideo.jp/watch/sm41457269|벗어나지 못했으나]], 이후 아비 오르페브르의 승부복에다 기수복의 황/흑 배색을 적용해 어레인지한 복장을 한 은발의 제대로 된 너구리가 만들어졌다. * [[배빗]] * [[위버레번]] [[https://www.pixiv.net/users/2989469|マミー麿]]의 [[https://www.pixiv.net/artworks/94032280|창작 디자인]]에 기반한 오리지널 너구리가 만들어졌다. 흑갈색 생머리를 하고 고동색과 짙은 녹색의 교복을 입었으며, 부모인 [[골드 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골드 쉽]]이 닻이 달린 금빛 쇠사슬을 휘두르듯 거대한 철구를 휘두른다. 이는 위버레번의 마굿간에 캐틀벨 모양의 반려동물용 장난감 [[https://bodeum.co.kr/html/shop/prd_detail.php?idx=469&part_idx=63|졸리볼]]이 [[https://twitter.com/wdBJiAI6PlTksVV/status/1631233755200487427|비치되 있는게]] 마치 철구처럼 보였기 때문이다. 의상이 같은 배색인 [[한푸]]를 입은 반형제인 마이네르 판롱과 함께 출연하기도. 증량에 관한 일화 때문에 선조인 [[메지로 맥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메지로 맥퀸]] 처럼 배불뚝이가 되버려 머리띠를 쓰고 달리며 다이어트를 하거나, 몸집이 비대해진 빅맥 상태가 되버리기도 한다. 아예 다이어트를 포기한 상태로 불룩한 뱃살을 드러내고 출연하며, 이럴때 시청자들은 +32kg을 코멘트로 날려준다. 시리즈 제작자들이 지정해놓은 성우는 [[스자키 아야]]. ==== 팀 [[이케조에 켄이치|IKZE]] ==== 상술된 스테고 일족의 드림 저니, 오르페브르와 함께 [[스윕 토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스윕 토쇼]], [[카렌짱(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카렌짱]]과 함께 출연한다. 이 그룹에서 카렌짱은 행동대장으로, 듀랜달은 매니저로서 팀을 이끈다. * [[듀랜달(말)|듀랜달]] [[https://www.pixiv.net/users/73046986|おぶしでぃあん]]의 [[https://www.pixiv.net/artworks/93111423|창작 디자인]]을 토대로 한 오리지널 너구리가 만들어졌다. 적/황의 기사복을 입고 대검을 지니고 다니며, 팀 이케조에의 첫번째 멤버인 만큼 빨간 츄리닝을 입고 너구리 캐릭터화 된 이케조에의 ~~아내~~ 파트너로 그려진다. 기사 복장인데다가 듀랜달을 시작으로 이케조에의 고생길이 열렸다는 점에서, 마치 [[에미야 시로]]와 [[세이버(5차)|계약한]] [[알트리아 펜드래곤]]이 떠오른다는 평도 많다. 그래서인지 제작자들이 지정한 성우는 [[카와스미 아야코]]. * [[메이케이 옐]] [[https://www.pixiv.net/users/28451457|コカ茶]]의 [[https://www.pixiv.net/artworks/98378580|창작 디자인]]에 기반한 사복을 입은 모습은 얌전한 숙녀지만, [[https://twitter.com/mkbt|𝒎𝒌𝒃𝒕]]의 [[https://twitter.com/mkbt/status/1522198669269041152|창작 디자인]]에 기반한 승부복을 입은 경주에선 [[트윈 터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트윈 터보]] 같이 상어입을 드러내며 폭주하거나, [[토카이 테이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토카이 테이오]]처럼 눈이 불타며 열정적으로 달려가는 성격을 갖췄다. 사행으로 다른 우마무스메를 밀쳐내거나, 시리즈에서 암말이라면 사족을 못쓰는 [[에프포리아]]도 두려워하는 암말 우마무스메로 그려진다. 본래 비슷한 시기에 상기된 디자인들을 가지고 두 개의 모델이 만들어졌는데, 이를 이용해 [[지킬 박사와 하이드]] 마냥 복장뿐만 아니라 외모랑 머리색도 바뀌는 [[이중인격]] 설정이 붙여졌다. 시리즈 제작자들이 지정해놓은 성우는 [[사쿠라 아야네]], 혹은 같은 [[아이치현]] 토박이로서 [[토마츠 하루카]]. [[주문은 토끼입니까?]] 패러디물에선 아야네가 연기한 [[호토 코코아]], [[야토가메짱 관찰일기]] 패러디물에선 하루카가 연기한 야토가메를 맡는다. * [[송라인(말)|송라인]] 상기된 옐의 디자인을 만든 [[https://twitter.com/mkbt|𝒎𝒌𝒃𝒕]]의 [[https://twitter.com/mkbt/status/1525815072429604864|창작 디자인]]에 기반한 오리지널 너구리가 만들어졌다. [[메이케이 옐]]과 송라인이 비슷한 시기에 이케조에와 함께 중상을 여러번 우승한 점을 바탕으로, [[https://www.pixiv.net/artworks/100333842|송라인과 옐은 서로 친한 친구이자 팀 IKZE의 신입으로 그려진다.]] ==== [[와다 류지|와다]]회 ==== [[티엠 오페라 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티엠 오페라 오]], [[원더 어큐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원더 어큐트]]와 함께, 상기된 미키 로켓과 함께 자주 출연한다. 오페라 오를 빼고 하나 같이 움직임이 느리고 표정이 느긋하다. * [[딥 본드]] [[https://www.pixiv.net/users/73046986|おぶしでぃあん]]의 [[https://www.pixiv.net/artworks/93223529|창작 디자인]]에 기반한 오리지널 너구리가 만들어졌다. 순한 성격답게 언제나 느긋한 미소를 지으며, 다른 우마무스메들에 비해 움직임이 느릿느릿하고 허당스러운 모습을 보인다. 프랑스에 갔는데도 일본에 있다고 착각했다는 가상의 비밀이 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뿌보~"라는 말버릇을 하거나, 이걸 응용해 인삿말로 "뿌봉주르~", "뿌봉수아르~" 라고 화답하고, 실제로 원본마가 소리낸 "모~이" 도 말버릇으로 굳혀졌다. 시리즈 작품들에서 딥 본드가 나오면 시청자들은 상기된 말버릇들을 코멘트로 환영해주는 게 암묵의 룰이다. 프랑스어 인삿말들이 많은건 [[엘 콘도르 파사]]와 [[오르페브르]]에 이어, 프랑스의 G2 경주 [[틀:푸아상|푸아상]]을 우승한 일본 경주마이기 때문. 너구리 팬덤 외에도 우마무스메와 경마 팬들의 사랑을 듬뿍 받는 바람에 웃픈 해프닝도 벌어졌는데, 실제 게임에서 같은 기수를 둔 사이인 [[원더 어큐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원더 어큐트]]가 스토리 도중 [[https://twitter.com/Nametakehiko/status/1593129004189372416|"후호~!!(フホー!!)" 라고 외친 대사를 캡쳐해 "뿌보~!!(プボー!!)" 로 절묘하게 편집한 합성 이미지]]가 트위터에 올라가자, 뿌보 실장을 간절히 바라던 한일 양국의 팬들이 실제로 외친것으로 착각해 대량으로 낚여버렸다. * [[쿨링거]] [[https://twitter.com/ugar|宇賀井]]의 [[https://twitter.com/ugar/status/1077263509157699584|창작 디자인]]에 기반한 오리지널 너구리가 만들어졌다. 마체중이 500kg대에 육박하지만 순진한 까닭에 소라고 불려지는 원본마의 특징을 반영해, 거대한 몸과 가슴에 느긋한 웃음을 지으며 느릿느릿 움직이는게 특징이다. 별명 때문에 쿨링거가 시리즈 작품에 나오면 시청자들은 '[[소]]다! 음메~ (牛だ! もー)' 라는 코멘트로 반겨준다. 후타바 스레에선 와다 류지의 남다른 사랑을 받아와서 그런지, 같은 기수를 둔 사이인 [[티엠 오페라 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티엠 오페라 오]]가 평소의 대인배 같은 성격을 버리고 정색하며 질투하는 존재로 그려진다. ==== [[요기보|베르사유 리조트 팜]] ==== [[타니노 김렛(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타니노 김렛]]과 함께 자주 출연한다. 스테고 일족의 오쥬 쵸산과 에타리오도 여기에 출연한다. * [[로즈 킹덤]] 한동안 화분에서 꽃을 피우고 고개를 시무룩하게 숙인 장미로만 그려졌다. 그래도 이후엔 [[https://www.pixiv.net/users/59137733|らんぽ]]의 [[https://www.pixiv.net/artworks/102114006|창작 디자인]]에 기반한 오리지널 너구리가 나왔다. 바구니에서 검은 장미 꽃잎들을 뿌려대거나 [[INTERNET OVERDOSE]]의 독특한 춤을 추기도 한다. 둘도 없는 절친인 김렛의 영향으로 울타리를 부순 적이 있어서, 승부복 버전의 김렛이 전방을 걷어차는 모션을 그대로 따라하기도. [[아따맘마]]의 [[엄마(아따맘마)|엄마]]로도 그려지는데, 해당 작품의 엄마가 정열의 붉은 장미라는 노래를 자주 흥얼대기 때문. 시리즈 제작자들이 지정해놓은 성우는 [[나즈카 카오리]]. * [[어드마이어 재팬]] [[https://www.pixiv.net/users/59137733|らんぽ]]에 의해 [[https://www.pixiv.net/artworks/102226761|오리지널 너구리]]가 만들어졌다. [[https://www.pixiv.net/artworks/102226822|요기보 소파에 대자로 드러눕거나]] 엎드려 누워서 글러먹게 곯아떨어지는 모션이 인상적이다. 반남매인 [[부에나 비스타(말)#s-5.1|부에나 비스타]]나 클래식을 함께한 [[딥 임팩트(말)#s-6.1|딥 임팩트]]와도 모습을 드러내지만, 같은 어드마이어 관명에다 [[https://www.pixiv.net/tags/ふわふわソムリエアヤベさん|폭신폭신 소믈리에]]로 불려지는 [[어드마이어 베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어드마이어 베가]]와 특히 엮인다. 너구리 캐릭터가 만들어진 이후 [[https://www.nicovideo.jp/watch/sm41334697|재팬이 주인공인 시리즈]]가 나왔는데, 여기서 어드마이어 베가는 재팬이 드러누운 요기보 소파에서 폭신함의 새로운 경지를 느꼈지만, 이후 주문한 요기보 소파만으로 만족하지 못하자 [[토카이 테이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테이오]]나 [[피우수트스키]] 마냥 완벽한 폭신함의 열쇠인 재팬에게 발광하며 거꾸로 공중제비를 한 채로 대쉬한다. 이때 흘러나오는 BGM은 アラジン(알라딘)[* [[후지 테레비]]의 퀴즈 예능 '퀴즈 헥사곤' 에서 파생된 남성그룹 [[https://ja.wikipedia.org/wiki/羞恥心_(ユニット)|수치심(羞恥心)]]과 여성그룹 [[https://ko.wikipedia.org/wiki/Pabo|Pabo]]의 합동유닛. [[츠루노 타케시]]가 수치심, [[키노시타 유키나]]가 Pabo에 소속되어있다.]의 [[https://www.youtube.com/watch?v=4K5K4-hkWRU|陽はまた昇る(태양은 다시 뜬다)]]의 2배속 버전. 여기에 어드마이어 재팬이 스칼렛 레이디를 좋아하는 일화를 가지고, 해당 BGM의 1배속 버전이 흘러나오며 재팬이 거꾸로 공중제비를 한 채 레이디를 덮치려는 모습도 나온다. 변칙으로 원본마가 코를 맏고 흥분한 적이 타이키 셔틀에게 돌격하고, 하도 냄새를 맏아대는 이야기가 많아서 [[체취]] 페티쉬가 있고 [[개코|후각이 매우 뛰어나다]]는 설정까지 붙어졌다. * [[https://db.netkeiba.com/horse/1995107900/|스칼렛 레이디]] 선데이 사일런스의 자녀이자 [[버밀리언(말)|버밀리언]]의 부모로 알려져 있다. 상기되었듯 어드마이어 베가에게 쫓기는 재팬한테 쫓기는 신세다. 실제로 관계를 가진 엘 콘도르 파사와 에이신 플래쉬와 같이 출연하기도 한다. ==== [[사일런스 스즈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스즈카]] 일족 ==== 하나같이 스즈카 관명을 지닌 마주 나가이 케이지의 소유마들은 제대로 된 너구리 캐릭터로 그려지지 않고, 우마무스메의 사일런스 스즈카가 각각을 코스프레 한 모습으로 출연한다. G1 경주를 우승했어도 이런 수난을 피하지 못한다. * [[https://db.netkeiba.com/horse/2002107011/|스즈카 피닉스]] 2004년 데뷔. 29전 8승. 총상금 4억 4767만 엔. 2007년 [[도쿄신문배]], [[타카마츠노미야 기념]], [[한신 컵]] 우승. 대표 산구는 2013년 [[NHK 마일 컵]] 우승마 [[https://db.netkeiba.com/horse/2010105896/|마이네르 호오]][* 은퇴 이후 은퇴마 휴양 시설인 AERU에서 [[https://aeru-urakawa.co.jp/horse/|공로마로서 여생을 보내는 중.]]] [[불새(만화)|불새]] 형태로 변신해 날아다니는 스즈카다. * [[https://db.netkeiba.com/horse/2001103890/|스즈카 맘보]] 2003년 데뷔. 19전 4승. 총상금 2억 9206만 엔. 2004년 [[챌린지 컵]], 2005년 [[천황상 봄]] 우승. 대표 산구는 [[메이쇼 맘보]], 2020년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 및 2021년 [[나카야마 대장해]] 우승마 [[https://db.netkeiba.com/horse/2013104138/|메이쇼 닷사이]], 2015년 [[챔피언스 컵]] 우승마 [[https://db.netkeiba.com/horse/2009103532/|삼비 스타]]. [[엘 콘도르 파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엘 콘도르 파사]]가 기르는 매 '맘보'의 몸통에 대충 그린 스즈카의 머리를 붙인 형태다. * [[https://db.netkeiba.com/horse/1993109979/|로열 스즈카]] 1995년 데뷔. 31전 6승. 총상금 2억 6673만 엔. 1997년 [[더비 경 챌린지 트로피]], 1998년 [[스완 스테이크스]] 우승. 머리를 밤색으로 염색하고 왕관과 가짜 수염을 쓴 스즈카다. * [[https://db.netkeiba.com/horse/1996103387/|라스칼 스즈카]] 1995년 데뷔. 16전 4승. 총상금 2억 4190만 엔. 사일런스 스즈카의 반형제로서, 스즈카 사후 주전 기수였던 [[타케 유타카]]와 호흡을 맞춘 마생으로 유명했었다. 다른 스즈카 관명의 말들과 비슷한 총상금을 얻었음에도 최고 성적은 중상 우승 없이 2000년 만요 스테이크스 우승으로 그쳤는데, 참가한 중상마다 동시대를 풍미하던 라이벌들에게 패했기 때문이다. 1999년 [[킷카상]]에선 [[나리타 탑 로드]]와 [[티엠 오페라 오]]에 이어서 3착, 같은 해 [[재팬 컵]]에선 [[스페셜 위크]]의 승리 가운데 [[몬쥬(말)|몬쥬]]에 이어서 5착, 2000년 [[한신대상전]]과 [[천황상#s-2|천황상(봄)]]에선 둘 다 오페라 오에 이어서 2착, 같은해 [[킨코상]]에선 도토에게 역전당해 승리를 놓치고 3착, 같은해 [[타카라즈카 기념]]에선 오페라 오, 도토를 뒤따라 4착으로 들어온 [[스테이 골드]]에 이어서 5착을 하는 비운의 전성기를 보냈다. 마명의 유래가 [[꼬마 너구리 라스칼#s-2.1|꼬마 너구리 라스칼]]이라 [[라쿤]]이 스즈카의 가발을 착용한 형태다. * [[https://db.netkeiba.com/horse/2019105967/|스즈카 호테키타이]] 2021년 데뷔. 16전 5승 (현역). 데뷔 초기에는 2세 미승리전만 우승하고 부진을 거듭하다가, 4세가 되고나서 부터 포텐셜이 터지며 2023년 치바 스테이크스까지 4연승을 기록한 대기만성 역전 스토리로 유명하다. 마명의 유래가 [[마칭 밴드]]를 뜻하는 고적대(鼓笛隊, 일본어로 호테키타이)라 마칭 밴드의 복장을 입은 단발머리의 스즈카다. * [[https://db.netkeiba.com/horse/2009103405/|스즈카 루팡]] 2011년 데뷔. '''100전 4승.''' 같은 더트마로서 연패를 거듭하며 인기를 얻은 [[하루 우라라(말)|하루 우라라]]와는 다르게, 지방경마가 아닌 중앙경마에서 무려 8년 반 동안 현역으로 활동하며 우승까지 해봤다. 중상 경력은 전무하지만 게시판에 28번이나 입성한 덕분에, 총상금이 1억 5888만 엔에 달한다! 마명 때문에 [[루팡(루팡 3세)|루팡 3세의 루팡]]의 초록색 정장을 입은 스즈카로 그려진다. ==== [[노다 마사히로|다논]] 군단 ==== 마주 노다 마사히로의 법인 회사 주식회사 다녹스가 보유한 다논 관명을 가진 말들의 너구리는, [[진명마]]가 아닌데도 일부를 제외하고 엉뚱하게 표현되고, [[다논]] 요구르트를 머리에 쓴 모습이다. * [[다논 더 키드]] 창작 우마무스메가 다른 우마무스메의 인기에 맞먹는 [[저스터웨이(말)|저스터웨이]]의 자마인 만큼 오리지널 너구리가 만들어졌다. 저스터웨이 너구리의 특징인 동태눈을 유전으로 물려받았고, [[아몬드 아이]]나 [[쿠로후네(말)|쿠로후네]] 등 무생물, 크리처가 아니라 기존 타누키를 리터칭한 모습으로 시작해 디자인이 바뀐 흔치 않은 케이스다. 초기 버전에는 부모의 친구인 [[골드 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골드 쉽]]을 동경한 나머지 헤어스타일과 헤드기어, 승부복까지 따라했지만 마이니치 왕관 게이트 파괴 사건 이후론 단발의 카우보이로 바뀌었다. 게이트를 부술때 골드 쉽의 로데오 사건을 연상 시키는 모습이어서 헤드기어는 유지한 한편, 게이트 파괴 전문가인 [[소다시]] 엄마 부치코를 동경한다는 설정이 추가돼 부치코의 후드티의 점무늬를 연상케하는 가죽바지를 입었다. 2022년 [[홍콩 컵]] 이후 여기서 디자인이 또 바뀌어서, 카우보이 모자에 관명에서 따온 'DaNo' 뱃지를 달았고, 동태눈의 눈동자도 정상적인 형태에 터키석 색으로 바뀌었다. 제작자들이 지정한 성우는 [[하라다 히토미]]. * 다논 더 [[Eye of the Tiger|타이거]] 권투를 하는 호랑이 수인이다. * 다논 [[제네럴#s-2|제네럴]] [[콜로니 오브 워]]에 등장하는 제네럴 근접기체에 다논 요구르트를 씌웠다. * 다논 [[율리우스 카이사르|줄리어스]] 다논 요구르트를 쓴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석고상이다. * [[다논 파라오]] 손에다 다논 요구르트를 들고다니며 파라오 모자를 쓰고 고대 이집트 전통 복장을 한 우마무스메다. * [[다논 샤크]] 초기엔 다논 요구르트를 쓴 밤색 상어였으나, 기수복의 적/백 무늬의 배색을 반영한 승부복을 입고 상어 모자를 머리에 쓴 우마무스메 모델이 나왔다. * [[다논 스콜피온]] 다논 요구르트를 쓴 우마무스메 머리가 달린 하얀색 [[전갈]]이다. * [[다논 스매시]] [[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의 십자 표기가 된 구형 아이콘 모양의 머리핀을 낀 빨강 헬멧을 쓴 우마무스메다. * 다논 [[터치다운]] 기수복의 적/백 무늬의 배색을 반영한 미식축구 치어리더 풍의 승부복을 입은 우마무스메다. * 다논 [[팀파니]] 다논 요구르트를 쓴 팀파니 두개다. * 다논 [[토네이도]] 토네이도 위에 다논 요구르트가 떠다닌다. * 다논 [[파스|퍼스]] 원래 유래는 호주의 도시 [[퍼스]]인데도, 히사미츠 제약의 파스 제품인 [[https://blog.naver.com/dxsuckit69/221235915898|샤론 파스]]로 그려진다. * [[다논 판타지]] [[파이널 판타지 III]]의 타이틀 화면과 패키지에 등장하는 무명의 전사가 다논 요구르트를 쓴 모습이다. * [[다논 플래티나]] 다논 요구르트를 쓴 [[스타 플래티나]]다. * [[다논 프리미엄]] 다논 요구르트를 쓴 [[산토리 프리미엄 몰츠]] 맥주캔이다. * [[다논 벨루가]] 초기엔 [[group_inou#s-2.4|group_inou의 곡 THERAPY]]의 뮤직비디오에 등장하는 이루카(돌고래)군(イルカくん)이 다논 요구르트를 쓴 모습이었지만, 이후 하얀 선캡을 쓰고 하얀 자켓 안에 빨간 수영복과 검은 [[돌핀팬츠]]를 입은 우마무스메 모델이 나왔다. * 다논 [[애스턴 마짱(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마짱]] [[https://twitter.com/shouta1600/status/1608697975731294208|애스턴 마짱의 인형탈을 입은 마짱 트레이너]]가 다논 요구르트를 쓴 모습이다. * 다논 [[메지로 맥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맥퀸]] 초기의 차가운 메지로 맥퀸이 다논 요구르트를 쓴 모습이다. * 다논 [[달|문]] 기수복의 적/백 무늬의 배색을 반영한 드레스 풍 승부복을 입고, 초승달 모양의 머리띠와 허리 장식을 한 우마무스메다. ==== 시게루 군단 ==== 마주 [[https://db.netkeiba.com/owner/674004/|모리나가 시게루]]가 보유한 시게루 관명을 가진 말들의 너구리들은, [[진명마]]로 유명한 관명 답게 일부를 제외하고 정상적으로 그려지지 않는다. 주로 물고기로 표현되는게 많은편. * 시게루 [[황다랑어|키하다 마구로]] * 시게루 [[감성돔|쿠로다이]] * 시게루 [[참다랑어|쿠로마구로]] * 시게루 [[청어|사메이와시]] * 시게루 [[영귤|스다치]] [[https://db.netkeiba.com/horse/2009103012/|(シゲルスダチ)]]●(?) 2012년 [[고토 히로키]]와 함께 오픈 경주인 마가렛 스테이크스를 우승하고 같은 해의 [[NHK 마일컵]]에 출전해, 최종 직선에서 [[이와타 야스나리]]가 기승했던 마운트 셔스터의 사행으로 함께 낙마했다가, 천만다행으로 머리부터 넘어져 다시 일어선 다음 [[https://hochi.news/articles/20221027-OHT1T51022.html?mode=photo&photoid=2|히로키가 앰뷸런스에 실려 갈때까지 자리를 지켜준 감동적인 일화로 유명하다.]] 이후 좀 처럼 우승하지 못하다가 2014년 11월 9일 열린 오쿠타마 스테이크스에서 12착으로 완주 후 예후불량으로 안락사 되었다. 2015년 [[일본중앙경마회]]가 선정한 [[https://prc.jp/jraracingviewer/contents/yushun/|후대에 이야기를 전해주고 싶은 명마(未来に語り継ぎたい名馬) 100선]]에서, 중상 승리가 없는 오픈마로 유일하게 95위로 이름을 올렸다. 시리즈에선 [[https://twitter.com/kanzaki_ryuto|神咲竜兎]]가 [[https://www.pixiv.net/artworks/103154261|오리지널 너구리]]를 제작했다. 동기인 골드 쉽과 저스터웨이와 함께 다니는데, 특히 2012년 마일컵에서 함께 달린 적이 있는 저스터웨이는 평소의 은발 매니아 성격을 뒤로하고 [[https://www.nicovideo.jp/watch/sm41458599|진심으로 아껴주는 은발의 친구로 그려진다.]] 본 게임에서 [[골드 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s-4|골드 쉽이 밸런타인 이벤트에서 초콜릿 대신 영귤을 얹은 우동을 주는데]], 여기서 나오는 영귤이 [[https://twitter.com/unatanuaka/status/1625446176748371968|시게루 스다치를 의미하는게 아닌가라는 추측]]이 있다. * 시게루 [[도미|타이]] * 시게루 [[가면라이더 타이쿤|타이쿤]] * 시게루 [[농어|히라스즈키]] 정확히는 넙치농어를 뜻한다. * 시게루 [[핑크]][[다이아몬드|다이아]] ==== 18~19세기생 ==== * [[이클립스(말)|이클립스]] * [[포테이토즈]] 명성에 반비례하는 이름 때문에, 시리즈가 시작한지 몇년이 지났는데도 오리지널 너구리는 커녕 [[감자]]를 8개 이어붙인 모습으로 퉁쳐서 표현되고 있다. * 킨쳄(Kincsem) [[헝가리]]의 암말 경주마, 1878년 굿우드컵 우승마이자 1877-79년 독일 바덴 대상 3연속 우승마. 1876년부터 4년동안 유럽 전역을 돌아다니며 '''54전 54승'''이라는 외계생물급 성적을 남긴것으로 유명하다. 기수가 술에 취했든, 경마장이 험한 날씨로 초중마장이 되든, 경주 중 개가 난입하든, 경쟁 상대보다 20kg 많은 부담중량을 감당하든, 1000m 내외의 단거리 경주부터 4022m에 달하는 굿우드컵 같은 장거리 경주까지 1착을 차지하는 압도적인 실력을 뽐냈으며, 때문에 혼자서 경주를 마치고 부전승을 거둔게 6회나 된다. 잦은 원정에도 여행가는 기분으로 즐기는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프랑스 도빌 그랑프리 원정때는 당시 [[프랑스의 철도 환경]]이 영 안 좋았던 까닭에 흔들리는 열차안에서 운동도 못하고 이동하다 몸무게가 4.5kg 가량 줄어들거나, 수질이 열악했던 영국의 수돗물을 끓여서야 마시는 등의 수모를 겪었다. 이 일화가 와전되서 항상 고향의 여물과 물만 마신다는 소문이 정사처럼 퍼졌고, 두번째 바덴 원정에서 고향의 물이 떨어지자 사흘간 굶은 끝에 목을 축였다고 전해진 우물은 '킨쳄의 우물'로 불려졌다. 굿우드컵에선 출주 예정이던 17두 중 킨쳄을 포함한 3두만 출주했고, 그중 킨쳄은 3/1이라는 가장 적은 배당으로 우승했다. 영국, 프랑스, 미국 조교마들이 선전하던 대회에서 상기된 3개국 밖에서 조교된 경주마가 처음 우승한거라 의미가 크다. 애국심으로 킨쳄에게 돈을 걸었던 오스트리아-헝가리인들과 독일인들은 두둑한 포상금을 얻었지만 당시 체면을 구긴 영국에선 킨쳄을 까대기 바빴는데, 특히 '''영국인''' 주전 기수 엘리야 매든(Elijah Madden)의 [[와다 류지|거친 채찍질]]을 두고 [[도축업자]] 같다는 [[언론플레이]]까지 자행했다. 경마 대회 주요 직계 자손으로 1974년 오크스 스테이크스 우승마 폴리가미(Polygamy), 2012년 2000 기니스, 엡섬 더비를 우승해 영국 클래식 2관을 달성한 [[카멜롯(말)|카멜롯]]이 있다. 상기되었듯 과장된 부분도 있지만 소설로 쓰면 욕 먹을법한 전적과 더불어 서러브레드 답지 않게 훈훈한 이야기가 넘쳐나는 명마라, 시리즈에선 원본마의 고증으로 꽉 채워넣은 모습으로 그려진다. 우승할때마다 마주가 말굴레에 꽃다발을 걸어 줄때까지 기수를 내려놓지 않았다는 일화를 가지고, 꽃 머리띠를 양쪽 귀에 달고 꽃무늬가 가득한 헝가리 전통의상을 입었고, 먹성이 좋은 점에 [[데이지]] 꽃을 특히 좋아했다는걸 가지고 데이지를 양손에 들고 먹어대며, 마생을 함께했던 흰고양이 찰로가니(Csalogány)를 머리에 얹고 다닌다. [[https://thevaulthorseracing.wordpress.com/2013/09/20/kincsem-the-mystery-and-majesty-of-an-immortal/|출처 1]] [[https://www.tbheritage.com/Portraits/Kincsem.html|출처 2]] 어째서인지 100년도 전의 말이지만 스타 호스라는 게임에서는 이 말이 등장하는데, 덕분에 스타 호스로 시작해서 우마무스메로 넘어간 신규 유입자들은 우마무스메에서 명마라고 불리는 말들의 통산 성적이 10승 언저리에도 못 미치는 것을 보고 "아니 저 정도 성적으로 무슨 역대급 명마라는 거야?"라며 의아해 해서 기존 경마 팬들이나 위닝 포스트 등의 일본 경마쪽을 전문으로 다루는 선배 유저들이 설명하느라 애를 먹었다는 에피소드도 있다(...). * [[세인트 사이먼]] 증기기관차라는 별명답게, [[레드 코트]] 위에 '''무쇠로 만들어진''' 자켓과 신발을 장착했고, 입에 문 파이프로 시커먼 연기를 내뿜는다. 항상 삐죽빼죽한 머리에 상어입을 드러내며 빡쳐있지만, 원본마가 유일하게 두려워한 펴진 [[우산]]을 보면 거짓말처럼 얌전해진다. 고양이를 죽여버린 일화 때문에 시리즈에서 고양이와 관련된 작품 한정으로 세인트 사이먼은 [[금지어]] 취급 받는다. 한번이라도 언급했다간 시청자들의 비난 코멘트들이 영상 화면을 가득 채울 정도다. [[다운타운의 가키노츠카이야아라헨데]]의 만담코너 패러디물에선 [[마츠모토 히토시]] 역을 맏은 [[노던 댄서]]과 함께 [[하마다 마사토시]] 역으로 등장한다. * 다이아몬드 주빌리(Diamond Jubilee) 영국의 수말 경주마, 1900년 이클립스 스테이크스 & 영국 클래식 3관마. [[세인트 사이먼]]의 자마로서 16전 6승의 성적을 남겼다. 부마인 세인트 사이먼이 물려준 난폭함에 잔인함을 끼얹은 성격 때문에 '''악마의 자식'''으로 불리기도 했다. [[https://en.wikipedia.org/wiki/John_Watts_(jockey)|존 왓츠]]가 기수였던 2세 시즌엔 경주 전 패덕에서 [[실버 소닉|기수를 내팽겨치고 혼자서 질주해 그 경주를 실격으로 마치거나]], 지나가던 관중을 걷어차는 등 온갖 악행으로 악명을 높였었다. 기수가 [[https://en.wikipedia.org/wiki/Mornington_Cannon|모닝턴 캐넌]]으로 교체되고 처음으로 우승을 차지한 이후에도 악명 때문에 기승을 희망하는 기수들이 없어지자, 구무원이던 [[https://en.wikipedia.org/wiki/Herbert_Jones_(jockey)|허버트 존스]]가 졸지에 주전 기수가 된 3세 시즌엔 상기된 대회들을 우승하였다. 은퇴한 이후 아르헨티나에서 종마 생활을 했을때에도 그 기성난은 여전했으며, 한번은 목장을 탈출해 근처의 마을 사이로 질주하는 소동을 일으키기도 했다. 시리즈에선 검은색 [[레드 코트]]를 입고, 앞머리가 한쪽 눈을 가렸고, 금색 테의 안경을 쓰고, 등뒤에 박쥐 날개가 달려있는 디자인으로 그려진다. [[https://www.tbheritage.com/Portraits/DiamondJubilee.html|출처]] * 벤도어(Bend Or) * 오몬드(Ormonde) * 옴(Orme) * 플라잉 폭스(Flying Fox) ==== 1900~50년대생 ==== * [[쿠리후지]] 초반엔 조그만 [[후지산]]에 네발이 달린 크리처로 퉁쳤었지만, 이후 보라색 사무라이 복장을 입은 제대로 된 오리지널 너구리가 등장했다. 2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 일본의 부흥을 위해 노력한 전적 때문인지 피부가 갈색으로 그을렸다. * [[코다마(말)|코다마]] 초기에는 이름의 유래대로 [[코다마(열차)#s-3|코다마 열차]]로 대충 표현됐지만, 이후 탭 댄스 시티의 실장 전 환각 너구리를 만든 [[https://www.pixiv.net/users/82204143|せむぷ]]가 [[https://www.pixiv.net/artworks/105428462|오리지널 너구리]]를 제작했다. 전반적인 디자인은 코다마 열차와 기수복의 적록 배색을 적용했고, 작지만 관록 있는 성격 답게 당당한 모습을 보인다. 주행 스타일을 두고 면도칼과 비교된걸 반영해 한손에 면도칼을 든게 깨알같다. * [[네아르코]] * [[네아르코#s-4.1|나스룰라]] 영국의 수말 경주마, 1943년 챔피언 스테이크스 우승마. 성격이 나빴던 까닭에 10전 5승이라는 신통치 않은 성적으로 3세에 조기 은퇴 했지만, 이후 서방을 돌아다니며 종마로 활약해 수많은 명마들을 배출했고, 덕분에 서러브레드 3대 혈통 중 하나인 나스룰라 계열로 경마사에 이름을 남기게 된다. 시리즈에서는 나스가 일본어로 [[가지]]로 읽혀지기 때문에, 초기엔 [[아몬드 아이]] 마냥 가지로 만든 쇼로우마나 가지 몬스터를 나스룰라로 퉁쳤었다. 하지만 수많은 레전드 경주마들의 아버지라는 상징성 때문에 높은 퀄리티의 오리지널 너구리가 만들어졌다. 검은 탱크탑 위에 가지 색의 오픈칼라 셔츠를 입고 하얀 면바지와 카우보이 신발을 신었고, 격한 기질을 상징하듯 양쪽 귀는 붕대로 감겨져 있다. 화날때 빡친 표정으로 날뛰는 스테이 골드 일족이나 세인트 사이먼과 다르게, 양손을 바지 주머니에 넣고 조용히 화난 표정으로 주시하는게 특징. * 리보(Ribot) 영국 출생의 [[이탈리아]] 조교마. 1956년 영국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 1955-56년 프랑스 [[개선문상]] 2연속 우승마. 명마 [[네아르코]]를 생산하고 조교했던 도르멜로(Dormello) 목장의 페데리코 테시오가 죽기전에 만든 마지막 역작으로, 16전 16승이라는 성적으로 네아르코를 잇는 이탈리아 경마의 자존심으로 군림했었다. 시리즈에선 생산자인 페데리코가 [[제1차 세계 대전]]의 참전 용사인 점에 착안했는지, 하얀색 상하의에 붉은색 띠 두개가 X 모양으로 겹친 기수복의 디자인을 적용한 군복을 입은 모습이다. * [[맨 오 워(말)|맨 오 워]] 검정색의 [[참전용사]] 군복을 입은 디자인이다. 군모에 이니셜인 MW가 적혀있고, 원본마가 미국을 대표하는 경주마인 만큼 넥타이도 [[성조기]] 패턴이며, 가슴 부분에 통산 20승을 상징하는 20개의 별을 달았다. * [[네이티브 댄서]] * 헤일 투 리즌(Hail To Reason) * [[https://db.netkeiba.com/horse/000a000a60/|후지노오]] [[요코야마 노리히로]]의 부친인 요코야마 토미오와 호흡을 맞추며, '''1963년 가을, 1964년 봄/가을, 1965년 봄 [[나카야마 대장해]] 4연패, 일본마로서 유일하게 해외 장애물 경주 우승'''을 달성한 것으로 유명하다. [[일본중앙경마회]]가 후지노오의 독식을 멈추려 했는지 여부는 확실하지 않지만, 불리한 조건을 조성하기 위해 1965년 가을 나카야마 대장해의 거리를 4200m로 100m 늘리고, 오오나마 울타리(大生垣)를 140cm로 10cm 낮추고도 후지노오가 2착을 하자, 이듬해엔 대회 우승마는 출주를 금지시켜 버리는 추태를 부리기도 했다. 때문에 1966년에 후지노오 진영은 해외 원정으로 눈을 돌려, '''6907m의 길이'''를 자랑하고 매번 낙마로 목숨을 잃는 말이 속출해, 세계 경마에서 가장 가혹한 장애물 레이스인 [[https://ko.wikipedia.org/wiki/그랜드_내셔널|그랜드 내셔널]]에 출주하는걸 목표로 유럽으로 진출하게 된다. 그랜드 내셔널은 초대제가 아니라 모든 경비를 마주가 부담해야 했으며, [[팬 아메리칸 항공]]에서 전용기를 빌려 편도에만 800만엔 이상을 썼다. 후지노오는 비행기로 일본을 떠나 미국을 경유해 영국으로 향하는 오랜 이동 때문에, 봉와직염에 걸려 식전 경기를 치르지 못할뻔 했지만, 이를 견뎌내고 지금의 [[https://en.wikipedia.org/wiki/Magners_Plate_Handicap_Chase|매그너스 플레이트 핸디캡 체이스]]인 밀드메이 오브 플리트 핸디캡 체이스 (Mildmay of Flete Handicap Chase)에 참가해, 컨디션이 좋지 않고 79.4kg의 근량을 감당했는데도 12두 중 6착으로 양호한 성적을 낸다. 이후 개최된 그랜드 내셔널에서 1번을 지정받고 76.2kg의 근량으로 출주해 어려운 장애물을 넘어가는데 성공했지만, 피로가 쌓인 영향으로 15번째 장애물을 넘어가는걸 거부하며 기권해버렸다.[* 참고로 47두가 출주한 가운데 완주한 말은 12두에 불과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QT7vCzpfi1M|해당 경주의 영상]]에서 59초 쯤에 흑백 세로 줄무늬의 복장을 한 기수를 태운 말이 보이는데, 이게 후지노오다. [[http://www.greyhoundderby.com/GN1966.html|기록 1]], [[https://www.grandnationalanorak.com/1965-1969|기록 2]] 이후 유럽에서 활동하다 프랑스로 본거지를 옮긴 1967년, 4월 18일에 앙갱 레 방(Enghien-les-Bains)의 [[https://www.racingtv.com/racecourses/enghien|앙갱 경마장]]에서 열린 렌느상에서 1착으로 완주해 일본마 최초로 유럽에서 개최된 경주를 우승하고, 같은해 9월 5일 콩피에뉴(Compiègne)의 [[https://tote.co.uk/racing/info/compiegne-racecourse|콩피에뉴 경마장]]에서 열린 크리스티앙 레르미트 상(Prix Christian De L'hermite)에서 두번째 우승을 하게 된다. 같은달 유럽에서의 마지막 16번째 경주를 소화하고 12월에 귀국한 다음, 1968년 3월 10일에 나카야마 경마장에서 정식으로 은퇴하게 된다. 너구리 시리즈에선 [[https://www.pixiv.net/users/59137733|らんぽ]]의 [[https://twitter.com/Ranpo_Rikyu0102/status/1611666895736049667|창작 디자인]]에 기반한 너구리가 만들어졌다. 엄창난 근량을 감당했던 일화를 가지고 바벨을 어깨에 짊어지고 [[스쿼트]]를 하는 모션이 있다. ==== 1960년대생 ==== * [[신잔]] [[https://seeds-of-buzz.blog.jp/archives/11466790.html|익명의 디자인]]에 기반한 오리지널 너구리가 만들어졌다. 새싹을 입에 문채 기수복의 배색을 토대로 한 붉은 속옷과 검은 속바지 위에 소나무가 그려진 밤색 기모노를 입었다. 위에 타케다가 말한 평에 착안해 [[https://twitter.com/unatanuaka/status/1587006494507421697|나대를 손에 들고 휘두르기도 한다.]] 원본마가 본 경기가 아닌 때에는 항상 최선을 다하지 않는 모습을 보여서 그런지, 머리를 손에 기댄채로 바닥에 옆으로 드러눕거나, 삿갓을 얼굴에 쓰고 나무 밑에 누워있거나, [[사케]]로 [[병나발]]을 불다가 만취하거나, 붓과 나무판을 들고 하이쿠를 쓰는 등 매우 낙관적이고 자유분방한 모습으로 그려진다. 원본마가 이족보행을 한 일화를 바꿔서 물구나무 서기를 잘 한다는 비밀이 있거나, 정체를 숨기고 [[팀 카노푸스]]에 마츠카제라는 이름으로 들어가 아무것도 모르는 터보를 타아보(たぁ坊)라고 부르며 친구가 되기도 한다. 이는 우마무스메 커뮤니티에서 G1 경력이 없는 멤버들로 구성된 [[https://umamusume.net/archives/49854|팀 카노푸스가 신 멤버를 모집하면 어떻게 될까]]라는 주제로 드립을 칠때 붙은 설정인데, 신잔이 국제 그레이드 도입 전인 팔대경주 시절에 활약했으므로 G1 0승이라는 가입 조건을 충족하기 때문. [[https://gia-chan.com/archives/35830|관련 스레 마토메 1]] [[https://futaba-umamusume.blog.jp/archives/17571180.html|관련 스레 마토메 2]] * [[타케시바 오]] 기수복 배색을 토대로 붉은 도복 위에 보라색 겉옷을 걸친 사무라이로 그려졌는데, 눈매가 날카롭고 머리를 뒤로 묶은게 어딜 봐도 [[하오마루|필살기로 강베기를 쓸법한 모 떠돌이 검사]] 같다. 아그네스 디지털의 먼 선구자라는 포지션 때문인지 우마무스메 오타쿠 기질이 있다. * [[토메이]] 기수복 배색을 반영해 황/녹의 기모노를 입고, 이름의 유래가 된 '명도(名刀, 메이토)'[* 본래 마주가 이 이름으로 등록하려 했지만 거절당했고, 이를 역순으로 읽은게 토메이의 이름으로 굳어졌다.]가 쓰인 붉은 띠를 한쪽 어깨에 맨 다음, [[일본도]]를 한손에 쥔 디자인이다. 토메이가 일본어로 '투명'을 뜻하는 바람에, [[투명인간]] 마냥 투명화 능력을 쓰거나 [[어도비 포토샵]]의 체크무늬 투명배경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 [[메지로 아사마]]●♡ 게임에서 [[메지로 맥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메지로 맥퀸]]의 할머니로서 언급되고, 애니에서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등장인물#s-5.2.3|메지로 가 당주]]의 모티브로서 간접 출연한다. 시리즈에선 메지로 가 당주의 늙은 모습으로 나오거나, [[https://www.pixiv.net/users/46782644|カワモチ]]의 [[https://www.pixiv.net/artworks/99396232|창작 디자인]]을 바탕으로 한 젊은 모습의 오리지널 너구리로 출연한다. * [[스피드 심볼리]] 심볼리 루돌프의 외조부라는 포지션에 걸맞게 [[심볼리 루돌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심볼리 루돌프]]처럼 녹색 황제복을 입었다. 여기에 7세 나이로 은퇴할때까지 중상을 우승한 노익장을 표현하듯, 헝클어진 머리에 긴 세월을 간직한 녹색 [[플랫 캡]]을 썼고, 지팡이를 짚으며 노련미 넘치는 표정을 짓거나 호쾌하게 웃는다. 심볼리 가족 작품에선 연휴를 주제로 한 작품들을 중심으로 심볼리네 집을 방문하기도 한다. * [[카부토 시로(말)|카부토 시로]] * [[파르홀론(말)|파르홀론]] 너구리 작품 제작자 [[https://www.youtube.com/@user-mv4gx1gn8i|ねこ元気]]가 제작한 [[https://www.youtube.com/watch?v=ZxdWMc8F9rA|심볼리 가의 크리스마스 2022]]에서 심볼리 루돌프와 쏙 닮은 아버지로 처음 출연했다. 이후 인기를 얻자 외형을 대충 심볼리 루돌프에서 머리부분을 희게하고 산타 수염만 붙인 환각 너구리가 만들어졌다. 크리스마스 특집으로 만들어진 까닭에 심볼리 가정 작품에선 스피드 심볼리보다 출연 빈도가 적은 편. * [[헤일로(말)|헤일로]] 괴팍한 성격답게 상어입 위에 입마개를 했고, 손발의 족쇄는 끊어져있고, 부자 사이인 [[선데이 사일런스]]의 너구리보다도 더욱 피폐하고 회한에 찬 죽어있는 붉은 눈빛을 하고 있으며, 머리카락은 비슷한 성격의 [[세인트 사이먼]] 보다도 헝클어져 있다 못해 정돈 자체를 안했다. 이런 소름돋는 디자인에 일각에선 [[임모탄 조]], [[쟈기(북두의 권)|쟈기]], [[한니발 렉터]]가 떠오른다고 평하는 중. * [[노던 댄서]] 본 게임의 주무대인 트레센 학원의 이사장인 [[아키카와 야요이]]의 모티브가 된 [[노던 테이스트]]의 부모라는 상징성 덕에 오리지널 너구리가 만들어 졌다. 모피 코트 안에 기수복에 착안해 하늘색 와이셔츠와 하얀색 바지를 입었고, 이사장의 부모 답게 부유하고 매력 넘치는 연예인 처럼 그려진다. 이름대로 춤을 추며 다양한 포즈들을 취하기도 한다. [[다운타운의 가키노츠카이야아라헨데]]의 만담코너 패러디물에선 [[하마다 마사토시]] 역을 맏은 [[세인트 사이먼]]과 함께 [[마츠모토 히토시]] 역으로 등장한다. * [[니진스키 2|니진스키]] ==== 1970년대생 ==== * [[에리모 조지]] * [[세크리테리엇]] [[https://twitter.com/kuro_oolong96|黒烏龍]]의 [[https://twitter.com/kuro_oolong96/status/1364590002022215682|창작 디자인]]을 조금 수정한 디자인으로 나온다. 원본마 이름의 뜻인 비서의 모습은 그대로지만, 앞머리가 약간 길고 굽어졌고, 기수복의 청백 체크무늬를 머리띠 외에도 정장 자켓과 안경에도 적용하고, 스타킹 대신 [[가터벨트]]를 착용한게 차이점. 평상시에는 원본마 처럼 큰 체격에 늠름한 모습이나, 퇴근하고 쉴때는 태평한 성격을 반영해 바닥에 엎어져서 침까지 흘리며 잔다. * [[카부라야 오]] [[https://twitter.com/Lieutenant_96|高橋うもり]]에 의해 [[https://twitter.com/Lieutenant_96/status/1599994317845561344|오리지널 너구리]]가 만들어졌다. 이름에 착안해 [[가마쿠라 막부]]의 [[명궁]] [[나스노 요이치]]를 이미지로 삼아, 기수복 디자인을 반영해 붉은 바둑판 무늬와 노랑색 계열의 갑주를 입은 궁사로 그려졌다. * [[https://en.wikipedia.org/wiki/Alleged_(horse)|얼레지드]] 1977-78년 [[개선문상]] 2연속 우승마. 3세의 나이로 데뷔한 이래 2년 동안의 짧은 현역 동안 10전 9승의 성적을 자랑했는데, 모든 승리를 1착으로 완주하고 나머지 1패도 1977년 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에서 2착으로 완주했다. 탭 댄스 시티의 실장 전 환각 너구리를 제작한 [[https://www.pixiv.net/users/82204143|せむぷ]]가 [[https://www.pixiv.net/artworks/104393392|오리지널 너구리]]를 제작했다. 원본마의 이름이 영어로 진술을 뜻하기 때문에 [[https://www.pixiv.net/artworks/106075983|눈가에 모자이크를 쓴 용의자 처럼 나오거나]] [[https://www.pixiv.net/artworks/107573851|양눈이 빙글빙글 돌아가면서 깊게 고심하기도 한다.]] ==== 1980년대생 ==== * [[닛포 테이오]]♡ [[우마무스메 신데렐라 그레이]]의 아키츠 테이오에 해당한다. [[https://twitter.com/KUZUMI777/status/1357161963969605633|하카마를 포함한 일본풍 승부복을 입은 디자인]]을 그대로 가져와서 너구리가 만들어졌다. 갓 한니발 만큼은 아니지만 신데렐라 그레이의 오리지널 우마무스메들 중에서 출연 빈도가 높은 편으로, 자녀인 하루 우라라를 챙겨주는 자상한 친엄마로 자주 그려진다. * [[마테리얼(말)|마테리얼]] * [[미호 신잔]] * [[아일톤 심볼리]]♡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애니메이션 2기)|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Season 2]]에서 라이센스의 문제로 심프턴 대시라고 개명되어 2기 10화와 오프닝 중 타카마츠노미야배씬에서 잠시 모습을 비추는데, 이 [[:파일:아일톤 심볼리 우마무스메.png|심프턴 대시의 디자인]]을 토대로 너구리가 만들어졌다. 마명의 유래인 [[아일톤 세나]]의 트레이드 마크인 청색 야구모자를 쓰고, 기수복에 기반한 연두색 [[F1]] 경주복을 입은 모습으로 출연한다. 원본마가 GI 경주에서 [[마치카네 탄호이저]]와 비슷하게 4~6착을 자주 한 영향인지, [[마치카네 탄호이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우마무스메의 탄호이저]]처럼 모자를 한쪽 귀에 걸치고 자신을 평범하다고 생각하며 항상 쑥스러워 하는 표정을 짓는다. 심볼리 가족 작품에선 테이오의 아우이자 츠요시의 형인 차남 포지션을 담당하기도 한다. * [[쿄에이 보우건]] [[https://www.pixiv.net/users/31076410|上州タイガー]]의 [[https://www.pixiv.net/artworks/90981699|창작 디자인]]에 기반한 오리지널 너구리가 만들어졌다. [[크로스본 건담 X1]]이 사용하는 석궁 모양의 9연장 빔 라이플 피콕 스매셔를 꺼내기도. * [[화이트 스톤]] 일본 경마사에서 꽤 중요한 위치에 있는데도 하얀색 돌에다 번호표가 붙은 모습으로 퉁쳐서 표현된다. * [[이지 고어]] [[https://www.pixiv.net/users/59137733|らんぽ]]에 의해 [[https://www.pixiv.net/artworks/102897139|오리지널 너구리]]가 만들어졌다. 실체화된 선데이 사일런스의 친구로 출연하고, 후손인 나나마이노 나마하무의 보호자로도 그려진다. 가슴골이 드러난 복장이라 재빠르게 색기 담당으로 부상한 한편, 보살피는 나마하무의 움직임을 따라하기도 한다. * [[선데이 사일런스]]● [[맨하탄 카페]]와 똑같은 외모를 한 '친구'로 등장한다. 카페와의 차이점은 앞머리에 유성이 있고, 원본마의 성격을 반영해 다른 너구리들과는 다르게 회한에 찬 눈동자를 하고 있다. 얼굴이 없는 새카만 상태로 유령처럼 카페 주변을 머물다가, 카페에게 무슨 일이 생기면 허공에서 실체화되어 등장한다. 유령으로서 초자연적 현상을 알아내는 카페를 보조하는 역할도 담당한다. 카페의 '친구'가 카페의 또 다른 이면이라는 설정일 경우 카페 없이 단독으로 등장하는데, 원본마의 라이벌인 [[이지 고어]]나 자마들중 매우 비슷하게 사나운 성격인 [[스테이 골드]]와 자주 출연한다. * [[https://db.netkeiba.com/horse/1988107011/|후지야마 켄잔]] 38전 12승. 총상금 5억 1170만 엔. 1992년 [[주니치신문배]], 1995년 [[나카야마 기념]], [[타나바타상]], '''[[홍콩 컵]](당시 G2)''', 1996년 [[킨코상]] 우승. 이 중 홍콩 컵 우승은 일본마 최초로 국제 등급을 받은 해외 경주에서 우승했고, [[하쿠치카라]]가 1959년 워싱턴 버스데이 핸디캡을 우승해 일본마 최초로 해외 중상을 제패한 이후 36년만에 일본마가 해외 중상을 제패한거라 의미가 있다. 1995년의 전성기 당시 후지야마 켄잔은 8세였다. 오픈 경주도 4번 우승했고 중상에서 2착 4회, 3착 1회, 이하 게시판 진입 (4~5착) 5회로 준수한 성적을 냈으나, G1 경주하고는 유독 인연이 없었다. 1991년 [[킷카상]] 3착과 은퇴 경기인 1996년 [[타카라즈카 기념]]에서 5착을 한게 전부. 또한 [[쿨링거]]와 비슷하게 500kg대 초반의 거대한 마체에 비해 순하고 착한 성격이었고, 맹하게 착한 쿨링거와 다르게 착하면서도 상대방의 말을 잘 듣는 모범생 스타일로 유명했다. 후지야마 켄잔의 조교사였던 [[모리 히데유키]]는, "흥분하지 않아 다루기 쉽고, 기수를 잘 따르며 경주에 집중하며, 가만히 냅둬도 경주에서 있는 힘을 다하는 정신적으로 완벽한 말이다. 모든 말이 저렇게 성장했으면 좋을텐데." 이라고 평했고[* とにかく扱いやすい馬だった。全然イレ込まないし、レースへいって集中するし、掛からないし。ボーッとしていて力を抜いていても、レースへいけば持てる力を発揮してくれる。そういう精神面の全てにおいて完璧な馬だった。ああいう風に、どの馬も育てられたら。], 기수로서 15전을 함께했던 [[에비나 마사요시]] 역시 큰 마체에 비해 성격이 좋고 경쾌하게 나아가 타기 쉬웠다고 평하며, "(여태까지 말을 다루기 위해) 내가 혼자서 해낸것은 그저 아무것도 아니라는걸 가르쳐줬고, 만나지 않았으면 지금의 나는 없었을 말이라 생각한다" 라고 회고했다.[* 性格も良く、非常に乗りやすい。大きいわりに素軽かった。自分ひとりで出来ることは、ほんの僅かなんだと教えてくれた。もし出会っていなかったら、今の自分はないのでは、と思う1頭。] [[미호노 부르봉]]의 조교사 토야마 타메오는 스스로의 능력을 100% 발군할 수 있는 귀재라고 평했지만, 부르봉의 터프함이 없었다고 비교했다. 후지야마 켄잔은 너구리 시리즈에서, 초기엔 보라색 바탕에 빨간색 줄무늬를 한 기수복 디자인에 기반한 기모노를 입은 [[후지산]] 크리처로 그려졌지만, 이후 같은 기모노를 입고 양팔을 뻗어 산 모양을 표현하는 제대로 된 너구리가 나왔다. 상기된 성격을 반영해 언제나 [[보살]] 같이 나긋한 눈으로 미소를 짓는다. ==== 1990년대생 ==== * [[https://db.netkeiba.com/horse/1994106008/|갓 스피드]]♡ [[우마무스메 신데렐라 그레이]]에서 미친 존재감을 뿜어낸 조연 갓 한니발의 원본마다. 갓 한니발의 모습으로 출연해, 신데렐라 그레이의 오리지널 우마무스메들 중 거의 유일하게 출연 분량을 장악하고 있다. 역시 원작에서 보여준 허당끼를 여과없이 드러내고 있는데, 트레센 학원 내에 있는 거목 그루터기 구멍에 끼거나, 길을 잃어버려서 무사카 트레이너에게 연락했는데 위치를 알려주는 사진으로 셀카를 찍거나, 가위바위보를 할때 일반적인 게임에선 내지 않는 패를 내는 등, 쿨하고 시크한 모습에 안 어울리는 기행을 보여준다. * [[노스 플라이트]] [[https://seiga.nicovideo.jp/user/illust/49379160|OPT]]가 [[https://seiga.nicovideo.jp/seiga/im10992911|오리지널 너구리]]를 제작했다. * [[아그네스 플라이트]]●♡ 본 게임에서 [[에어 샤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어 샤커]]가 승리를 위해 넘어서려는 '7cm의 차이'로, 애니 우마유루에서 샤커의 뇌내 이미지에 나오는 숫자 7로 간접적으로 언급된다. 기수복 배색을 적용한 [[스트라이크 위치스]]의 스트라이커 유닛을 다리에 끼고 날아다니는 [[아그네스 타키온(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아그네스 타키온]]으로 [[https://seiga.nicovideo.jp/seiga/im10954562|퉁쳐서 표현되었다.]] * [[오프사이드 트랩]]♡ 애니메이션 1기에서 사일런스 스즈카가 부상한 천황상 가을 경기에서 우승한 엘 콘도르 파사로 대체 되었으나, 이야기의 흐름으로 본다면 간접적으로 언급 되었다고 볼 수 있다.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의 개최에 맞춰, 오프사이드 깃발을 들고다니는 오리지널 너구리가 만들어졌다. 귀에 착용한 머리띠도 오프사이드 깃발 무늬이며, 축구공 모양의 목걸이와 함께 기수복 색상에 기반한 축구 유니폼을 입고 있으며, 제작 배경이 제작 배경인지라 축구 관련 작품에 감초같은 역할로 등장한다. 깃발 때문에 히시 아마존이 담당했던 깃발 담당을 대신 맏기도 한다. [[캡틴 츠바사]]의 등장인물 미카엘이 시전했던 [[https://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712/read/23528420|공중 드리블]] 같은 기상천외한 기술도 구현하기도. * [[피우수트스키]]● 게임 본편의 파인 모션의 육성 스토리에서 통화하는 파인의 언니로 간접 출연한다. 파인과 통화하던 중 옆에 있던 에어 그루브를 보고, '내 마음속의 여제 폐하'로 부르며 언젠간 만나자는 등 온갖 작업을 걸다가 기겁한 그루브가 떠난 이후에도, 잊을 수 없는 주홍색 눈빛의 소유자였다고 평한다. [[https://youtu.be/lUHQZuqlCNw|출연한 부분의 녹화 영상]] 너구리 시리즈에선 [[https://twitter.com/sk_yourself|あす]]의 [[https://twitter.com/sk_yourself/status/1499121859748528128|디자인(우측의 빨간 셔츠)]]에 기반한 오리지널 너구리가 만들어졌다. 초기엔 존재 자체가 이미지 훼손이라 모자이크 처리된 채로 등장했지만, 검열에서 뛰쳐나온 [[https://nico.ms/sm40957753|피우수트스키가 주인공인 시리즈]]가 나온뒤론 너구리 시리즈의 변태 담당으로 주연급 자리를 꿰찼다. 상기된 일화를 차용해 에어 그루브만 보면 초특급 변태로 돌변하거나, 원본마가 자마를 가진 사이인 [[유키노 비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유키노 비진]]에게 애정을 가지고 돌격한다. 이럴땐 [[에렉파일 듀카키스]]의 캐릭터송 [[https://youtu.be/w29Vzw3D-0k|○○たま]]가 배경음악으로 흘러나온다.[* 웃기게도 이 노래는 [[자지|그곳]]을 잃어버린 울분을 토하는 노래다.] 원본마가 공식 가이드라인을 위반하는 설정에 어울리게 에어 그루브만 보면 문란한 단어를 남발하거나, 다른 우마무스메들과 달리 흥분할때 유일하게 X축으로 돌아가거나, [[사타구니]]를 잡으며 [[오르가즘]]을 느끼는 모션까지 추가됐다. 이런 피우수트스키에게 공연음란왕자(公然わいせつ王子)라는 별명을 붙이기도 한 팬들은, 반농담으로 우마무스메 본작에서 간접적으로 언급된 존재들중 말딸로 실장되기 가장 어렵다고 말한다. 이후 [[아프리칸 골드]]가 거세마 최초로 오리지널 너구리가 만들어지자, 아프리칸 골드가 잃어버린 [[음경|금구슬 두개]]를 되찾으려 [[https://db.netkeiba.com/horse/2003101917/|킨타마니]][* 인도네시아 발리 주에 있는 지명으로 킨타마니 마을과 킨타마니 고원에서 이름을 따왔지만, 킨타마가 일본어로 남성기를 뜻하기 때문에 [[진명마]]가 된 경주마.]를 추격할때마다 ○○たま를 부르는 신세가 되었다. 때문에 너구리 시리즈에서 [[저스터웨이(말)|저스터웨이]]의 성우가 [[스기타 토모카즈]]로 배정되었듯, 피우수트스키의 성우도 [[카미야 히로시]]로 배정되었다. * [[후사이치 콩코르드]] 초기에는 [[아에로스파시알-BAC 콩코드|콩코드]] 형태의 머리에다, 원본마가 지병 때문에 발열과 기침을 자주 하는 허약한 체질이었다는 점을 반영해 수시로 얼음주머니를 갖다 대고있는 강렬한 모습을 한 오리지널 너구리가 만들어졌다. 이후 제대로 된 너구리 모델이 만들어졌다. * [[어드마이어 돈]] * [[서니 브라이언]] ==== 2000년대생 ==== * [[레드 디자이어]]♡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애니메이션 1기)|우마무스메 애니메이션 1기]] 블루레이에 수록된 만화인 '우마무스메 만화 일기' #2에서 출연한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umamusme&no=1024826|무명의 검은 트윈테일 우마무스메]]의 디자인에 기반해 만들어졌다. 클래식 라이벌인 [[부에나 비스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부에나 비스타]]와 친구처럼 대화하는 모습, 보드카의 광팬으로 방에다 보드카 사진을 붙인점, 원본마의 재갈 색깔인 빨간색의 머리띠를 한게 레드 디자이어의 특징과 맞아 떨어지기 때문. [[보드카(말)|보드카]]를 그리워하다 사진을 보며 외로움을 달랬던 이야기의 영향으로, [[아그네스 디지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데지땅]]마냥 침을 흘리며 [[보드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보드카]]의 얼굴이 그려진 응원 부채를 들고 좋아해한다. 참고로 너구리 시리즈 본진인 [[후타바 채널]]에선 원본마의 라이벌이었던 [[부에나 비스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부에나 비스타]]와의 커플링이 흥하면서 온갖 괴문서들이 양산되는 중이다. * [[다이와 메이저]] 동생인 다이와 스칼렛과 똑같은 밤색 머리색, 튀어나온 왼쪽 송곳니, 푸른색 계열의 제복을 지녔다. 차이점이라면 복면의 디자인을 적용한 야구 모자를 썼고, 야구공을 손에 쥐었고, 머리를 포니테일로 묶었고, 오른쪽 신발만 검은색이고 가슴이 작다. 참고로 바보 모드 다이와 스칼렛 시리즈가 시작할때마다 오빠야!(あによ!)라는 코멘트들로 뒤덮이는데, 여기서 나오는 오빠가 다이와 메이저다. * [[딥 스카이(말)|딥 스카이]] 2008년 천황상(봄)에 보드카와 다이와 스칼렛의 접전에 뒤쳐져 3착을 한것 때문에, 환각 너구리가 만들어지기 전에도 [[바아차루]] 마냥 양복 차림을 한 말의 합성짤로 표현돼 후타바 스레에서 나름 인기를 얻었었다. 이후 파란색 줄무늬와 흰색 방울로 대표되는 기수복 디자인을 적용한 정장, 원본마가 갈기를 뒤로 재낀것에 착안한 올백머리를 한 환각 너구리가 만들어졌다. * [[스필버그(말)|스필버그]] 이름난 영화감독 [[스티븐 스필버그]]에서 따온 이름답게, 한쪽 머리에는 E.T.라고 써진 모자를 쓰고 반대쪽 머리에는 상어 모양의 핀을 낀 영화 감독으로 그려진다. 너구리 작품의 촬영 담당으로 취급받아서 그런지 본 모습을 잘 드러내지 않으며, 정작 나온다고 해도 스필버그 본인과 관계없는 영화들을 감독하거나 [[샤크네이도 시리즈]] 같은 B급 영화를 찍는 모습으로 나온다. * [[세자리오]] * [[오레와 맛테루제]] 마명의 모티브가 된 영화에서 주인공을 연기한 [[이시하라 유지로]]가 정장 위에 트렌치 코트를 입은 복장을 한 오리지널 너구리가 만들어졌다. 넥타이 색상은 복면에서, 손목 밴드 색상은 기수복에서 따왔다. * [[오켄 브루스 리]] [[https://twitter.com/4649pro|夜露死苦マン]]이 [[https://twitter.com/4649pro/status/1625418316838846466|오리지널 너구리]]를 제작했다. 전설의 액션 배우 [[이소룡]]에서 따온 이름답게, 파란색의 짧은 도복바지, 적/흑 배색의 승부복에 기반한 티셔츠, 쌍절곤 모양의 귀걸이, [[사망유희]]에서 이소룡이 입었던 노란색 운동복에서 따온 토시와 양말을 착용했다. 제작자가 직접 [[https://www.nicovideo.jp/watch/sm41999172|이 환각을 활용해 이소룡 주연 5부작을 재현한 작품]]을 만들었다. * [[어드마이어 문]] * [[에스포와르 시티]] * [[비르시나]] [[https://www.pixiv.net/users/68869329|アルチ]]의 [[https://www.pixiv.net/artworks/96225483|창작 디자인]]에 기반한 오리지널 너구리가 만들어졌다. * [[빅투아르 피사]] * [[젠틸돈나]] 승부복으로 [[영애]]풍의 붉은 드레스를 입은 몸 부분은 [[https://www.pixiv.net/users/30957159|JY]]의 [[https://www.pixiv.net/artworks/84202550|디자인]]을, 갈색 [[롤빵머리]]를 하고 기수 복장에서 따온 검은색/노랑색 줄무늬의 모자를 쓴 머리 부분은 [[https://www.pixiv.net/users/14618071|无显cnd]]의 [[https://www.pixiv.net/artworks/93628077|디자인]]에서 따왔다. 악역 영애 다운 성격을 드러내다, 라이벌인 [[골드 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골드 쉽]]과 [[저스터웨이(말)|저스터웨이]]와 다투거나 역관광 당하기도 한다. [[카와카미 프린세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카와카미 프린세스]]마저 압도하는 괴력녀 속성도 지녔는데, 예를 들어 트레이너를 한손에 들고 휘두른다. 고릴라 라는 별명답게 니코동에선 너구리 작품에 젠틸돈나가 나오면 🦍 이모지 코멘트로 뒤덮힌다. * [[컴퍼니(말)|컴퍼니]] 하늘색/파란색 배색의 드레스를 입었다. 원본마의 이름인 컴퍼니의 영문 어원이 [[https://1voca.tistory.com/32|라틴어로 함께 빵을 먹는 사람]]을 뜻하는 단어라, 빵 모양의 머리띠를 하고 빵을 한가득 담은 바구니를 들고 다니기도 한다. * [[카렌 블랙 힐]] * [[코파노 리처드]] * [[키스 투 헤븐]] * [[퀸 스푸만테]] * [[프랑켈]] [[https://www.pixiv.net/users/59137733|らんぽ]]의 [[https://twitter.com/Ranpo_Rikyu0102/status/1616750709357285383|창작 디자인]]에 기반해 만들어 졌다. 보드카와 관계를 가진 이유로 신부 복장의 보드카를 보고 사랑에 빠져 덮친다. ==== 2010년생 ~ 2016년생 ==== * [[그란 알레그리아]] * [[니시노 데이지]] * [[두라멘테]]● 우마무스메 게임 본편에서 [[키타산 블랙(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키타산 블랙]]의 개인 스토리에 에어 그루브의 어머니의 제자인 '''브뤼스크망'''[* brusquement. 두라멘테를 [[프랑스어]]로 번역한 명칭이다.]이라는 가명의 모브 우마무스메로 간접 출연한다. [[https://twitter.com/kitori_games|きとさん]]에 의해 [[https://twitter.com/kitori_games/status/1587327797592485889|오리지널 너구리]]가 만들어졌다. 마명이 이탈리아어로 거칠게를 뜻하는 점에 착안해, [[마피아]]의 보스 같은 정장 차림을 하고있다. [[https://twitter.com/kitori_games/status/1606307082231091203|작품 예시]] * [[러브즈 온리 유]] [[https://twitter.com/Drift_in_/status/1471438347612528641|Asama]]의 [[https://twitter.com/drift_in_/status/1461269033639022601|창작 디자인]]에 기반한 오리지널 너구리가 만들어졌다. 원본마와 함께 [[브리더스컵]]을 우승한 카와다 유가 기수가 환하게 웃으면서 손하트 세레모니를 한 일화를 가지고 손하트를 하는게 인상적이다. * [[마카히키]]● 우마무스메 게임 본편에서 [[나카야마 페스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나카야마 페스타]]의 개인 스토리에 [[사토노 다이아몬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사토노 다이아몬드]]와 함께 개선문상에 대해 질문하는 후배 우마무스메중 하나로 간접적으로 출연한다. 시리즈 내에선 마카히키의 은퇴를 기념해 [[https://www.pixiv.net/artworks/93483567|한 2차 창작 만화]]에 나온 창작 디자인을 가지고, 기수복의 황/록 배색을 한 하와이 전통의상 무무를 입고 불쇼를 하는 오리지널 너구리가 만들어졌다. 이때까지 여정이 많이 험난했던게, 우마무스메 팬덤은 물론 일본 경마 팬덤까지, 마카히키를 우마무스메 세계관에서도 말 형태로 나온다고 가정해, 사토노의 편애를 받아 고생하는 아저씨로 취급했기 때문이다. [[https://www.pixiv.net/artworks/102124486|예시 1]] [[https://twitter.com/umaauraa5/status/1512672471945650177|예시 2]] [[https://twitter.com/eitanokeiba/status/1447130720632131587|예시 3]] 너구리 시리즈의 본진인 [[후타바 채널]]에선 아예 마카히키(말) X 사토노 다이아몬드(우마무스메) 커플링으로 수위 높은 괴문서나 팬아트가 양산되는 중이다. * [[모리스(말)|모리스]] 한동안 G1 6승이 무색하게 소(モー)와 다람쥐(リス)를 합친 크리쳐로 그려졌었으며 그 영향으로 아몬드 아이 2023이 이 크리쳐 형태로 변하기도 했었다. 이후 드디어 제대로 된 환각이 만들어졌지만, 원본마의 기수복이 빨간색 바탕에 노란색 줄무늬와 초록색 줄무늬가 각각 몸통과 양팔에 그려진 알록달록한 디자인인걸 그대로 반영한 복장부터 광대를 연상시키는 강렬한 디자인이다. 여기에 [[그래스 원더]]의 손자라는 점을 반영해 [[그래스 원더(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그래스 원더의 우마무스메]]를 베이스로 삼았고, [[히소카 모로]]의 분장과 하늘색으로 염색한 오른쪽 머리에 [[제3의 눈]]까지 달린 외모다. * [[https://db.netkeiba.com/horse/2012104646/|부치코]] 심한 기성난과 애교 덩어리가 공존하는 것으로 유명세를 산 그 부치코다. 2016년 [[후나바시 경마장]]에서 열린 마린컵(Jpn3)에서는 [[https://www.youtube.com/watch?v=YxDaGbKQmkc|출발 전 게이트를 박차고 나간 다음 출주를 거부하면서]], 해당 경주의 약 5억 엔의 매출액 중 '''70%에 달하는 3억 6천만 엔'''을 환불시켰고, 같은해 [[도쿄 경마장]]에서 열린 바쿠슈(麦秋) 스테이크스에서는 [[https://www.youtube.com/watch?v=jl3jGt2Pllg|출발전 기수를 내팽겨치고 게이트 밑으로 빠져나가 폭주하다, 펜스에 걸려 넘어져 상처를 입고 출혈해 출주가 취소되는 바람에]], 해당 경주의 매출액 중 46%를 차지하는 '''약 9억 3천만 엔'''을 환불시키며, 경마 운영사들의 빌런으로 악명을 떨쳤다. 둘 다 [[크리스토프 르메르]]가 기승했다가 피해를 봤는데, 특히 도쿄에서의 낙마로 왼발이 골절돼 참가 예정이던 [[야스다 기념]]을 취소하고 [[우치다 히로유키]]로 대체되었다. 이후 [[교토 경마장]]에서 열린 마사 스테이크스에서도 게이트를 부수고 최외곽으로 배치돼 4착으로 마무리 한 이후 출주정지 처분을 받고 발주조교 재검사에 돌입했지만, 부치코 진영은 재검사로 부치코가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은퇴를 선택했다. 경주에선 망나니지만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umamusme&no=663199|바깥에선 애교가 많았기 때문에]] 이런 결정을 하게된것. 이렇게 짧고 강렬한 경력 때문에 부치코의 [[https://twitter.com/ushidaihuku/status/1570183722942726145|오리지널 너구리]]는 자녀인 소다시의 너구리보다 인기가 많다. [[반쯤 감은 눈]]을 하고 성격에 어울리게 핫팬츠와 점무늬 [[후드티]]를 입고, 자기 앞을 가로막는 모든 물체를 걷어차서 부숴버리는 [[양마마]]로 그려진다. 시리즈 제작자들이 지정해 놓은 성우는 [[신타니 마유미]]. 후타바 채널의 한 유저가 부치코가 말하는 애니메이션에 [[우주 패트롤 루루코]]의 등장인물 '미도리 세이브 더 월드'가 친 대사를 넣은 [[https://twitter.com/damaru_urataro3/status/1579379669480407041|영상]]이 미친 싱크로율을 자랑했기 때문이다. [[https://twitter.com/melodia_white/status/1484863801342435334?t=aKSzh652szIiqtLnVY_6zA&s=19|원 환각 디자인 모음(시로니이의 환각도 존재)]] * [[알 아인(말)|알 아인]] 만들어진 시점이 동생인 [[샤흐리야르]]의 너구리 캐릭터가 거유로 바뀌었을때라 역시 거유로 그려졌다. 오른쪽 귀에 푸른 구슬 머리띠를 꼈고, 기수복 디자인에서 착안해 황/흑 줄무늬의 와이셔츠와 붉은색 띠가 달린 검은 멜빵 치마를 입었다.[* 멜빵 끈이 가슴에 가려져 있어서 자세히 봐야한다.] 샤흐리야르 못지 않은 색기로 상대방을 유혹하는 능력이 있다. * [[업 투 데이트]] 상기된 오쥬 쵸산의 창작 디자인을 만든 [[https://twitter.com/ugar|宇賀井]]의 [[https://twitter.com/ugar/status/1154717176911269889|창작 디자인]]에 기반한 오리지널 너구리가 만들어졌다. 장애물 경마에서 용호상박을 겨루다 결국 패배를 받아들이며 애증이 교차하는 [[오쥬 쵸산]]의 라이벌이자 친구로 츨연한다. 은퇴후 [[우츠노미야시]]에 위치한 마사공원에서 [[https://uma-furi.com/uptodate-utsunomiya/|승마체험을 제공하고 있다]]는 정보를 토대로, 오쥬 쵸산이 베르샤유팜에서 가죽 자켓을 입은 버전과 함께 업 투 데이트가 마사공원의 직원복을 입은 버전도 [[https://twitter.com/unatanuaka/status/1635857576310243328|나왔다.]] * [[에피파네이아]] * [[오스트레일리아(말)|오스트레일리아]] * [[이슬라 보니타]] * [[인디 챔프]] * [[카렌 모에]] * [[크로노 제네시스]] * [[키즈나(말)|키즈나]] 초기엔 기수복 배색에 기반한 적/청색 복장을 입은 [[키즈나 아이]]로 퉁쳐서 표현되었다가, 이후 제대로 된 [[https://www.pixiv.net/artworks/102460971|오리지널 너구리]]가 만들어졌다. 이름이 같은 [[키즈나 아카리]]와 엮여지면서 자연스럽게 시리즈 제작자가 지정한 성우도 아카리의 안의 사람인 [[요네자와 마도카]]가 되었다. ==== 2017년생 ==== * [[러브즈 온리 유]] [[https://twitter.com/Drift_in_/status/1471438347612528641|Asama]]의 [[https://twitter.com/drift_in_/status/1461269033639022601|창작 디자인]]에 기반한 오리지널 너구리가 만들어졌다. 주전 기수인 [[카와다 유가]]가 브리더스컵과 홍콩 컵에서 우승하고 활짝 웃으며 손으로 하트 모양을 만들었다는 일화를 가지고 그려낸 손으로 하트 모양을 만드는 모션이 인상적이다. * [[레이 파팔레]] 이름의 모티브대로 화환을 낀 모자를 쓰고 기수복 색상에 기반한 드래스를 입은 오리지널 너구리가 만들어졌다. 부모인 딥 임팩트의 유전을 물려받아 언제나 [[반쯤 감은 눈]]을 하고 있다. [[멜로디 레인]]과 함께 [[에프포리아]]를 암말 우마무스메들에게 흥분하게 만든 원흉으로 그려진다. * [[벨라 아줄]] 벨라 아줄의 재팬 컵 우승을 기념하려 소재 제작자들이 너도 나도 오리지널 너구리들을 만드는 바람에 각기 다른 너구리 모델들이 난립하는 상황이 벌어졌다.[* [[메이케이 옐]]이나 [[두 듀스]] 같이 같은 원본마에 너구리 모델이 두개가 나온건 있었지만 그 이상 나오는건 전례가 없었다.] 나중에는 진한 군청색의 단발머리에 [[샤다이 그룹#s-4.5|캐럿 팜]]의 녹/백 줄무늬를 한 기수복 디자인을 반영한 치마를 한 [[세일러복]]을 입고, 푸른 망토와 선원 모자를 착용하면서 푸른 줄무늬의 깃발을 휘날리는 모델, 혹은 부모인 [[에이신 플래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이신 플래시]]와 같은 색인 옅은 군청색의 생머리에, 푸른 겉치마를 하의에 두른 녹/백 배색의 항해사 복장을 입고 파란 리본의 머리핀을 한 모델이 메이저로 굳어졌다. 에이신 가족 관련 작품에선 동생인 [[오냥코퐁(말)|오냥코퐁]]과 티격태격 하면서도 사이좋은 언니이자, 부모인 [[에이신 플래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이신 플래시]]의 장자 포지션으로서 부모의 뜻을 이어받는 의미로 동생을 챙기는 주인공 포지션을 담당한다. [[기갑계 가리안]] 오프닝을 패러디한 [[https://www.nicovideo.jp/watch/sm42098697|작품 예시.]] 오냥코퐁과 함께 에이신의 가슴골을 강조하는 1착 승리 포즈를 따라하거나, [[My Little Pony]]에서 나올법한 포니 형태로도 그려진다. * [[아카이 이토]] [[:파일:아카이 이토 너구리 디자인 모티브.jpg|익명의 디자인]]에 기반한 오리지널 너구리가 만들어졌다. 원본마가 암말인데도 체중이 500kg를 거뜬히 넘어간걸 반영해, 아사라나이트와 비교 될 정도로 가슴이 매우 크다. 기수복 색상과 검은 신발의 색상에 기반한 드레스에, 붉은 실들이 큰 가슴을 받쳐주는게 특징. * [[우슈바 테소로]] * [[윈 마릴린]] 밤색 머리에 원본마 이름의 모티브가 된 [[마릴린 먼로]] 처럼 볼에 점이 있고, 승부복은 유명한 화이트 드레스에 기수 복장의 적/흑 배색을 적용한 디자인이다. 주로 암말 우마무스메에 환장하는 [[에프포리아]]를 유혹하기도 하지만, [[요코야마 타케시|트레이너]]의 사랑을 받으려는 세계관에선 에프포리아와 [[샤흐리야르]]를 상대로 목숨 걸고 경쟁한다. * [[윈 키토스]] * [[살리오스]] * [[카페 파라오]] 초기엔 [[고대 이집트]]의 공주 복장을 한채로 [[유희왕]]의 [[천년 아이템#s-3.1|천년 퍼즐]]을 한손에 든 [[맨하탄 카페]]로 퉁쳐서 표현되었다. 이후 이집트의 공주 복장은 유지한채 완전 오리지널 디자인으로 업데이트 되었다. * [[판탈라사(말)|판탈라사]]● 초기엔 단역 우마무스메 너구리의 머리에 식빵 그림을 붙인 모습이었지만, 이후 [[https://seiga.nicovideo.jp/seiga/im11109133|물결 모양의 청록 유니폼을 입고 재갈의 적백 무늬에 기반한 머리띠를 두른]] 너구리가 나왔다. [[https://www.pixiv.net/artworks/104394419|디자인]] "레이와의 트윈 터보"라는 이명대로 상어입을 했고, 대도주마로서 G1 우승[* 다만 판탈라사가 우승한 G1 경주인 22년 두바이 터프 당시에는 조명 문제로 인해 의도와 다르게 대도주에 실패, 도주~강선행 포지션으로 달렸다는 일화가 있다.]을 한 덕분에 [[사일런스 스즈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사일런스 스즈카]]의 특유의 소용돌이치는 달리기 모션을 이어받았다. 상기된 2022년 천황상(가을)을 재현한 고퀄리티의 [[https://www.youtube.com/watch?v=5qkCM9GrP_o|너구리 작품]]까지 나오며 우승한 [[이퀴녹스]]와 함께 인기가 폭발했다. 이후 본작 게임에서도 [[트윈 터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트윈 터보]]의 육성 스토리 굿 엔딩 에필로그에서, 천황상 가을에서 대도주를 선보여 '[[레이와|OO]]의 트윈 터보'라 불리는 우마무스메로 언급된다. * [[포타제]] 원본마 이름의 유래가 프랑스어로 채소정원을 뜻해서, 기수복의 청/황 배색을 적용한 농작용 드레스를 입은 프랑스의 앳된 농촌 소녀처럼 그려졌다. 야채가 한가득한 바구니를 들거나 곡괭이로 밭을 가는 모션도 있다. * [[알피니스타]] 이름이 [[알파인]]에서 따온걸 반영하듯 기수복 색상인 녹/백 줄무늬의 등산복을 입었고, GI 경주 6회 우승을 상징하듯 회색의 긴 머리를 여셧 갈래로 땋았다. 초기엔 누나 [[멜로디 레인]]을 빼곤 여자엔 관심이 없던 [[타이틀 홀더]]의 마음을 사로잡은 미녀로 그려진다. ==== 2018년생 ==== EST 트리오를 (에프포리아, 샤흐리야르, 타이틀홀더) 중심으로 이야기가 흘러가는 편. * [[에프포리아]] [[F-4 팬텀 II|제트전투기]] 조종사의 복장과 함께, 원본마의 고증을 살려 매서운 [[오드아이]][* 검은색과 회색]를 하고있지만, [[멜로디 레인]], [[레이 파팔레]], [[아카이 이토]], [[윈 마릴린]] 같은 암말 우마무스메들을 보면 [[아그네스 디지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데지땅]] 같이 흥분하거나 영혼이 빠져나가고, 원본마 이름의 유래대로 강한 행복감을 드러내는 [[네타 캐릭터]]. 예전엔 [[타이틀 홀더]]나 [[샤흐리야르]]가 제지하러 나섰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샤흐리야르가 [[거유]] 캐릭터로 변하고 타이틀 홀더마저 거유 매니아로 타락한 이후론 완전히 고삐가 풀려버렸다. 거유 우마무스메가 나오면 옆으로 편안한 표정으로 기절하고, 빠져나간 영혼이 상대방의 가슴을 향해 음흉하게 눈을 흘기거나, 둥둥 떠다니는 머리에 눈동자와 꼬리만 흔들어대는 크리처로 변신하며 변태 기질이 악화된건 덤. 암말 우마무스메들로 [[하렘]]을 만들려는 꿈이나 망상을 하지만, 악역 영애 고릴라 [[젠틸돈나]]와 이중인격 폭주기관차 [[메이케이 옐]]은 암말이어도 두려워하며 기피하기도 한다. [[요코야마 타케시|트레이너]]에게 메가데레한 세계관에선 같은 트레이너를 둔 윈 마릴린과 으르렁 거리며 트레이너를 양쪽에서 붙잡고 쟁탈전을 벌이고, 샤흐리야르도 에프포리아가 거유가 된 이후로 이 쟁탈전에 가세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유명 제작자들 중 한명이 [[개꿈|저민 햄 머리를 한 에프포리아가 나나마이노나마하무를 쓰다듬는 꿈]]을 꾼걸 그대로 재현한 작품의 여파로, [[아몬드 아이|오이]]를 잇는 너구리 시리즈 세계관의 새로운 먹을거리 [[햄]]포리아가 되기도 한다. 2022년 아리마 기념 이전에 무뎌진 마체 때문에 소라고 놀림 받은 탓에, 몸과 가슴에 살이 붙은 상태로 얼룩소 무늬의 비키니를 입은 버전이 나왔다. 원본마가 경기 도중 발생한 심방세동에서 살아남고 은퇴한 이후로는 이런 변태 이미지가 많이 희석됐으며, 오히려 왕년의 샤흐리야르 처럼 매일 같이 주변의 난장판을 수습하는 정상인 포지션이 되었다. * [[샤흐리야르]] [[https://twitter.com/hosi_muttu|六つ星]]의 [[https://twitter.com/hosi_muttu/status/1535037926416887808|창작 디자인]]에 기반한 왕의 복장을 한 오리지널 너구리가 만들어졌다. 초창기엔 암말만 보면 이성을 잃는 [[에프포리아]]나, 의존증이 작용해 정신이 나간 [[타이틀홀더]]와 [[멜로디 레인]]이나, 울보인 룸메이트 [[그레나디어 가즈]]를 매일같이 돌봐주며 고생하는 츳코미 역할이었다. 난장판을 볼때마다 배앓이를 하거나, 지쳐버린 영향으로 달리는 모션도 괴상하게 변했다. 하지만 어느 날 너구리 시리즈의 본진인 [[후타바 채널]]의 오리지널 우마무스메 게시판에서 [[거유]]로 그려진 샤흐리야르의 팬아트와 괴문서가 나와, 급격히 '샤흐리야르 = 거유' 설정이 대세로 굳은 이후 정상인 설정은 온데간데 사라지고 색기 담당 포지션이 되버렸다. 일각에선 스트레스가 가슴으로 갔다는 드립이 나올정도. 이 여파로 같은 클래식 세대인 에프포리아와 타이틀홀더도 거유 버전과 비키니 버전이 나와버려, 2021년 클래식 세대의 세 너구리들이 하나같이 바보 삼총사에서 색기 담당으로 전락해버렸다. 여기에 [[요코야마 타케시|트레이너]]를 경쟁자인 에프포리아와 [[윈 마릴린]]으로부터 독차지 하려고 싸우는 한편, [[괴혼 시리즈#s-2.2|데굴데굴~ 쫀득쫀득~ 괴혼]]의 엔딩곡 [[https://www.youtube.com/watch?v=M06aDKSgK5o|King of King's]]가 흘러나오며 변태같이 트레이너에게 돌격하는 설정도 추가됐다. 원본마의 주전 기수인 [[크리스티안 데무로]]가 [[https://youtu.be/XFOv9GhZo0k|우연히 시전한 점프]]를 따라하기도 한다. * [[타이틀홀더]] 누나인 멜로디 레인의 인기 덕에 2021 클래식 세대 중에서 가장 먼저 환각이 만들어졌다. 별명인 타이호가 일본어로 체포를 뜻하는데다 시리즈에서 경찰로 자주 그려지는 [[에어 그루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어 그루브]]의 혈통을 이어받아 승부복으로 경찰복을 입었다. 환각이 만들어질 당시 개선문상을 준비한 시즌이라 원본마의 프랑스 국기 배색의 핫피를 입거나, 무대의상으로 핫피에 그려진 원본마의 캐릭터 처럼 턱시도를 입는다. 누나인 멜로디 레인과 땔수 없는 사이이고, 자신의 라이벌이자 누나에게 광적으로 집착하는 [[에프포리아]]를 꾸짖기도 한다. 누나와 [[요코야마 카즈오|같은 트레이너]]를 둔 세계관에선 누나와 함께 트레이너를 양쪽에서 잡아당기며 쟁탈전을 벌이고, [[개선문상]]에서 침몰한 세계관에선 자신을 가볍게 이겨버린 [[알피니스타]]에게 사랑에 빠지기도 한다. 본작에는 아직 실장되지 않았는데도, 상기된 2022년 타카라즈카 기념을 재현한 고퀄리티의 [[https://www.nicovideo.jp/watch/sm40710944|너구리 작품]]이 인기를 얻을 정도로 많은 사랑을 받고있다. 원본마가 천황상 봄을 앞두고 야외 방목을 한걸 가지고 일본의 [[황색언론]] 대표주자인 [[스포츠신문]] 도쿄스포츠가 "타이틀홀더가 곰이랑 맞짱을 떴다" 라는 찌라시 기사를 대서특필로 올린 까닭에, 졸지에 타이틀홀더의 스승이 되버린 곰하고 같이 나오기도 한다. * [[그레나디어 가즈]] 이름의 유래가 영국의 [[척탄병]] [[영국군 근위대#s-2.3|그레네디어 가드]]인 만큼, [[레드 코트]]를 입고 [[브라운 베스]]를 휴대하거나 사기를 복돋우는 [[백파이프]]를 연주하는 [[영국군]] 밀덕으로 그려진다. 시리즈 제작자들이 지정해놓은 성우는 [[타네다 리사]]. * [[소다시]] 일본 경마의 역사를 새로 써가는 백마답게 [[:파일:소다시 너구리 디자인 모티브.jpg|익명의 디자인]]에 기반한 오리지널 너구리가 만들어졌다. 시리즈 제작자들이 지정해놓은 성우는 [[미나세 이노리]]. * [[슈넬 마이스터]] 갈색 단발머리에 출신지인 독일의 전통의상 레더호젠을 입은 오리지널 너구리가 만들어졌다. 이름 장난으로 [[샤넬]] 명품에 꽃힌 샤넬 매니아로 그려지기도. * [[요카요카]] 초기에는 트레센 학원 교복을 입은 [[쿠마몬]]이었으나, 이후[[https://twitter.com/Dosawatamtam/status/165391631897713049|오리지널 너구리]]가 만들어졌다. 원본마의 유성은 유지하면서 머리 색을 쿠마몬의 짙은 검은색으로 바꾸고, 적/백 줄무늬의 기수복 배색에 기반한 승부복을 입었다. [[파인 모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파인 모션]]과 같은 [[데인힐]]의 고귀한 혈통을 이어받은걸 반영해 왕족으로 그려지며, 승부복 종류 역시 파인 모션의 것과 같다. 여기에 출신지인 [[구마모토]]가 라멘의 [[https://kumamoto-guide.jp/ko/column/detail/203|명지들 중 한곳]]이라 직접 라멘을 만들거나, 파인이랑 같은 라멘 마니아로서 자주 교류한다. 파인의 언니인 [[피우수트스키]]와도 친한 모습으로 그려진다. 키즈나와는 원본마끼리 관계를 맺은 사이라 키즈나가 [[아카리가 찾아왔다굿]]을 BGM으로 발광하며 요카요카한테 대쉬하지만, 종종 위치가 역전돼 요카요카가 키즈나에게 역으로 대쉬하기도 한다. 제작자들이 지정한 성우는 같은 구마모토 출신 캐릭터인 [[칸자키 란코]]를 맏은 [[우치다 마아야]]. * [[잭 도르]] 붉은 귀공자의 복장에 하얀 타이츠를 착용하고 [[레이피어]]를 든 오리지널 너구리가 만들어졌다. 이후 [[플레잉 카드]]의 4개의 무늬들이 새겨진 스타킹과 장신구, 재갈의 황/흑 배색에서 따온 머리띠, 그리고 조금 더 화려해진 복장을 추가한 리뉴얼 된 디자인이 나왔으나, 아직 제작자들은 옛 모델을 더 많이 활용하는 편이다. 일본의 도넛전문점 [[http://jack-donuts.jp/#|잭인더도넛]]과 엮여져서 허리에 커다란 도넛을 두르기도 한다. [[판탈라사(말)|판탈라사]]의 절친으로서 함께 그려지는 경우가 많다. * [[제랄디나]] 부모인 젠틸돈나를 따라서 역시 붉은 드레스를 입은 [[영애]]로 그려졌으며, 엘리자베스 여왕배를 우승한걸 반영해 머리 위에 티아라를 썼다. 고릴라 이미지가 강한 젠틸돈나와 다르게 진짜 영애다운 모습을 보이는데, [[도론죠]] 마냥 한쪽 손등을 입가에 올리고 도도하고 거만하게 웃는 모션이 특히 인상적이다. * [[레몬 팝]] 원본마의 기수복의 하늘색/파란색 배색을 한 드레스를 입고, [[만두머리]]를 한 머리에다 레몬 모양의 머리띠를 했다. 원본마가 [[https://news.netkeiba.com/?pid=news_view&no=220041|숫말 답지 않게 암말 같은 근육질의 엉덩이를 했고]], 2023년 [[페브러리 스테이크스]]에서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면서, 경마계 세간의 인식이 '덩치 크고 엄청 쎈 외국인'으로 굳어진게 반영돼 [[에르네스트 칼리모프|기가채드]] 내지 [[박스건담]]을 입은 양덕 처럼 그려진다. * [[아카이토리노 무스메]] * [[플라이트라인]] ==== 2019년생 ==== 이퀴녹스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흘러가는 편. * [[이퀴녹스]]● [[https://mobile.twitter.com/BackupGassanAya|ガッサン☾アヤ]]의 [[https://mobile.twitter.com/BackupGassanAya/status/1586615289877524481|창작 디자인]]을 [[https://seiga.nicovideo.jp/seiga/im11089233|약간 수정한]] 오리지널 너구리가 나왔다. 기수복의 디자인에 기반한 무사복을 입고, 춘분과 추분을 상징하는 별의 궤도를 재현한 특수효과를 지녔다. 눈매가 붉고 매서운 데다 복장이 세련돼 강캐 취급을 받고 있으며, 상기된 2022년 천황상 가을을 재현한 고퀄리티의 [[https://www.youtube.com/watch?v=5qkCM9GrP_o|너구리 작품]]이 나온 이후 2위인 [[판탈라사(말)|판탈라사]]와 함께 인기가 폭발했다. 원본마의 조교사 [[키무라 테츠야]]의 나쁜 평판 때문에, 정장을 입고 매일 같이 [[블랙기업]]의 꼰대 상사한테 갈굼 당하고 혹사 당하는 불쌍한 [[사축]]인 '일하러가는이녹스(仕事に行くイノックス)'로 그려졌었다. 이후 [[메지로 도베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메지로 도베르]]도 본업을 뛰면서 동인지를 완성해가는 사축 동인 작가 캐릭터가 붙으며 이퀴녹스의 직장 동료로 출연하게 되었다. 이후 아리마 기념과 [[두바이 시마 클래식]]까지 압승하며 최강자 캐릭터가 부각되면서, 사축 설정은 다수 줄어든 편. 22세대 경주마들의 인기 상승으로 이들의 너구리 캐릭터의 출연 빈도가 많아지자, 동기들에게 미래의 도구를 빌려주는 천재 [[도라에몽(도라에몽)|이쿠에몽(イクえもん)]]이 되기도 한다. 여기에 트레이너가 다른 우마무스메에게 관심을 조금만 주면 매서운 눈빛이 어두워지는 [[얀데레]] 속성이 되기도 하고, 가지고 있는 [[카타나]]로 적을 베는 [[사무라이]]가 되기도 한다. 각질마다 모습도 바뀐다는 설정이 추가돼 ガッサン☾アヤ가 만든 두가지 디자인을 그대로 반영한 너구리 모델들도 만들어졌다. 이후 우마무스메 게임 본편에 추가된 [[트윈 터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트윈 터보]]의 육성 스토리 굿 엔딩 에필로그에서, 천황상 가을에 [[키타산 블랙(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키타산 블랙]]의 응원과 함께 판탈라사로 추정되는 우마무스메를 추격하는 우마무스메로 간접 출연한다. * [[두 듀스]] [[https://www.pixiv.net/users/524098|骨尺]]에 의해 [[https://www.pixiv.net/artworks/102460873|오리지널 너구리]]가 만들어졌다. 기수 헬멧의 문양에서 따온 티셔츠와 기수복의 체크무늬에서 따온 치마를 입었다. 먹성이 좋다는 일화를 바탕으로 그래스 원더 먀냥 양손에 꽃을 들고 먹어대거나, 스페셜 위크 마냥 밥공기를 손에 들고 먹어대거나, 메지로 맥퀸 마냥 과하게 먹어서 몸집이 비대해진 빅맥 상태가 되버리기도 한다. 맥퀸과 다르게 빅맥 상태인데도 활짝 웃는게 특징. 메이케이 옐 마냥 두개의 환각 모델이 교차되면서 나타나기도 한다. 개선문상 이후 극적인 다이어트에 성공한 뒤 교토 기념을 완전 승리한걸 가지고, 땀 흘리며 운동한 후 주스를 마시며 단련된 육체미를 뽐내는 모션도 추가됐다. 여러모로 스페셜 위크와 비슷한 점이 많아 스페셜 위크와 같이 출연하기도 하며, 스페셜 위크와 부에나 비스타 처럼 [[메카자와 신이치]] 모델이 있다. * [[스타즈 온 어스]] [[https://twitter.com/kanzaki_ryuto/|神咲竜兎@どらもどき]]에 의해 [[https://twitter.com/kanzaki_ryuto/status/1610051746499551232|오리지널 너구리]]가 만들어졌다. 이름 답게 수많은 별모양 장식을 머리에 달았고, 기수복 색상의 노랑/검정 배색의 줄무늬 드레스의 안에 밤하늘이 보이는게 특징이다. 이름 때문에 지구상에선 언제나 [[스타(마리오 시리즈)|마리오 시리즈의 스타]]를 먹은듯 무적 상태를 항상 유지하기 때문에 고생하고 있다. 마리오 시리즈의 무적 상태 BGM이 상시에 흘러나와 주변을 시끄럽게 하거나, 무적 상태라 상대방의 잔기가 줄어들까봐 상대방을 건드리는것도 못하거나, [[피우수트스키]]나 [[샤흐리야르]] 같이 폭주하는 우마무스메들을 저지하는 방패로 쓰여지는 등등... * [[스터닝 로즈]] [[https://www.pixiv.net/users/59137733|らんぽ]]가 [[https://www.pixiv.net/artworks/102769521|오리지널 너구리]]를 만들었다. 겉으로는 귀족 같지만 실수를 자주 범해 데헷하며 혀를 내미는 덜렁이로 그려진다. [[테큐]]의 [[타카미야 나스노]]를 닮아서 그런지 시리즈에서 제작자들이 지정한 성우도 [[나루미 쿄코]]다. * [[오냥코퐁(말)|오냥코퐁]] 한동안 말의 귀와 꼬리를 달은 진격의 거인의 [[오냥코퐁]]으로 퉁쳐서 표현되어 왔었다. 이후 2019년생 너구리들의 출연 빈도가 높아지면서, 기수복 배색의 캐주얼 복장을 입은 제대로 된 너구리가 나왔다. 양손에 고양이 손 장갑을 끼고 애교를 부리기도. [[에이신 플래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이신 플래시]]가 부모인 에이신 가족 작품에선 언니인 [[벨라 아줄]]과 티격태격 하면서도 사이좋은 동생으로서, 고양이 같은 귀요미를 담당한다. 벨라 아줄과 함께 에이신의 가슴골을 강조하는 1착 승리 포즈를 따라하거나, [[My Little Pony]]에서 나올법한 포니 형태로도 그려진다. * [[저스틴 팰리스]] * [[지오글리프]] 점토판에 나스카 지상화를 연상케하는 선사시대의 선그림이 움직이는 모습으로 처음 등장했다. 이후 제대로 된 너구리가 나왔는데, 나스카가 [[페루]]에 위치한 영향인지 [[잉카 제국]]을 연상케하는 복장을 하고있다. 원한다면 벽화 상태로 되돌아갈수 있다. * [[애스크 빅터 모어]] [[https://twitter.com/doghant1156811|ドックハント]]가 [[https://twitter.com/doghant1156811/status/1620354781880664070|오리지널 너구리]]를 제작했다. 원본마가 [[https://news.netkeiba.com/?pid=news_view&no=228906|훌륭한 마체]]와 함께 마체중을 480kg 전후로 유지할 정도로 몸 관리가 매우 뛰어난 까닭에 날렵한 눈빛을 한 근육질의 헬창으로 그려진다. * [[킬러 어빌리티]] ==== 2020년생 ==== * [[리버티 아일랜드]] ==== 2021년생 ==== === [[진명마]] 너구리 === [[특이한 마명]]을 가진 [[진명마]]도 이름을 반영한 너구리가 만들어지는 경우도 있는데, 나무위키에 개별 문서가 없지만 이름이 특이한 진명마들의 너구리는 여기에 나열한다. 이중에서 시리즈 출연도가 높은건 볼드 표시. * [[고스트]][[https://db.netkeiba.com/horse/2016104452/|(ゴースト)]] [[하츠 크라이]] 자마. 현재 유도마로 활동 중이며 2022년 아이돌 호스 오디션에서 32,734표로 2위를 기록했다. 1위는 40,903표의 [[메이케이 옐]], 3위는 26,068표의 [[딥 본드]]. 고스트의 인기를 실감할 수 있는 부분이다. * [[ナナナナナイロ|나나나나나이로]][[https://db.netkeiba.com/horse/2018102778/|(ナナナナナイロ)]] 처음엔 [[무지개]] 양 끝에 각각 다리가 달린 형태였지만, 어느샌가 [[요네즈 켄시]]의 [[KICK BACK]]의 뮤직 비디오에서 나온 팔만 근육질로 변해 다가오는 요네즈로 바뀌었다. * '''나나마이노[[햄|나마하무]][[https://db.netkeiba.com/horse/2015100123/|(ナナマイノナマハム)]]''' 의미는 '7장의 생햄', [[에스포와르 시티]] 자마. 낙마 사고로 인한 죽음으로 2세 데뷔전이 마지막 경주가 되어버린 비극으로 알려졌다. [[엘 콘도르 파사]]의 손자라 우마무스메의 [[엘 콘도르 파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엘 콘도르 파사]]와 함께 출연하는 경우가 많다. 출연할때마다 [[オルゴールの小箱|작은 오르골 상자]]의 [[https://youtu.be/TyaHdIqLjyo|가사를 짜깁기해 이름을 호명하는 BGM]]이 흘러나온다. 너구리의 세계에서라도 오래오래 기억되길 염원하는 제작자들과 팬들의 푸쉬 덕분에 단숨에 주역급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슬픈 고양이 댄스]] 밈으로 알려진 노래 gypsy in my mind (speed up)의 리믹스에 맞춰 나마하무와 친구들이 춤을 추는 [[https://www.nicovideo.jp/watch/sm41772619|영상]]이 대표적인 예시. * '''[[냥냥펀치|네코 펀치]][[https://db.netkeiba.com/horse/2006106383/|(ネコパンチ)]]''' 2008년 데뷔. 56전 5승. 총상금 1억 6444만 엔. 두자릿수에 가까운 인기의 말에 기승해 좋은 성적으로 완주하는 역배를 자주 일으키며, 다크호스의 남자(穴男)이자 잊혀질때마다 (忘れた頃の江田照男) 두각을 드러내는 기수 [[https://db.netkeiba.com/jockey/00689/|에다 테루오]]가, 2012년 [[닛케이상]]에서 당시 6세였던 네코 펀치에 기승해 첫 중상을 안겨준것으로 유명하다. [[도쿄 경마장]]에서 유도마 훈련을 받다가 포기하고 현재는 해당 경마장에서 승마 체험을 제공하는 중이다. 시리즈에선 [[https://twitter.com/Ranpo_Rikyu0102|らんぽ]]가 [[https://twitter.com/Ranpo_Rikyu0102/status/1581119179444604931|오리지널 너구리]]를 만들었다. 주역 만큼은 아니지만 고양이와 관련된 작품에는 감초처럼 나오고, [[https://twitter.com/Ranpo_Rikyu0102/status/1581231789032767488|이름대로 고양이권을 시전하기도]] 하며, [[크리스마스]]의 못생긴 스웨터나 쇼핑백 등에 눈에서 레이저를 쏘는 모습으로 나오기도 한다. * [[노스브릿지]][[https://db.netkeiba.com/horse/2018102348/|(ノースブリッジ)]] [[모리스(말)|모리스]] 자마. 2022년 [[엡섬 컵]], 2023년 [[아메리칸 자키 클럽 컵]] 우승. 말 그대로 노스브릿지 반도체에 꼬리가 달린 형태다. * '''[[니시노 플라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니시노]] [[서큐버스]][[https://db.netkeiba.com/horse/2020106359/|(ニシノサキュバス)]]''' 마주는 [[니시야마 마사유키#s-3|니시야마 시게유키]]. 초기엔 우마무스메의 니시노 플라워의 트레이너의 모습을 한 속옷 차림의 서큐버스 였지만, 이후 [[https://twitter.com/kanzaki_ryuto/|神咲竜兎@どらもどき]]에 의해 제대로 된 [[https://twitter.com/kanzaki_ryuto/status/1604006534668726272|오리지널 너구리]]가 만들어졌다. 시리즈에선 원본마가 수컷인 우마무스메들을 유혹하거나 상대 우마무스메로부터 흡수한 기력을 원동력으로 삼는다. * [[메이쇼 도토(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메이쇼]] [[고지라]][[https://db.netkeiba.com/horse/2001100523/|(メイショウゴジラ)]] * [[찹쌀떡|모찌]][[https://db.netkeiba.com/horse/2004102495/|(モチ)]] 이쪽 바닥에서 유명한 [[오다기리 유이치]]의 소유마. * [[배우|무비 스타]][[https://db.netkeiba.com/horse/1986104990/|(ムービースター)]] [[딕터스]] 자마. 1991년 [[킨코상]] 및 [[키타큐슈 기념]], 1992년 [[주쿄 기념]], 1993년 [[나카야마 기념]] 우승. 마주는 [[샤다이 그룹#s-4.7.1|요시다 테루야]]. * [[귤|미캉]][[찹쌀떡|다이후쿠]][[https://db.netkeiba.com/horse/2019103771/|(ミカンダイフク)]] * [[볼트]] [[프레데터(프레데터 시리즈)|프레데터]][[https://db.netkeiba.com/horse/2007103537/|(ボルトプレデター)]] [[킹 헤일로]] 자마. * [[연어|샤케]][[호랑이|토라]][[https://db.netkeiba.com/horse/2013105880/|(シャケトラ)]] 원래 의미는 '최고급 이탈리아 디저트 와인'인 '샤케트라(Sciacchetra)'. [[맨해튼 카페]] 자마. 2017년 [[닛케이상]] 우승. 2019년 [[아메리칸 자키 클럽 컵]] 및 [[한신대상전]] 우승. 마주는 [[카네코 마코토(기업인)|카네코 마코토]]. * '''[[쇼군]][[https://db.netkeiba.com/horse/2010100666/|(ショーグン)]]''' 마주는 [[두바이]] 국왕 무함마드 빈 라시드 알 막툼이 세운 경주마 생산 기업인 달리의 일본 지사 [[https://db.netkeiba.com/owner/003060/|고돌핀]], 주요 소유마는 [[파인 니들]], [[타워 오브 런던(말)|타워 오브 런던]], [[아프리칸 골드]]. JRA 역사상 가장 많은 체중인 '''626kg'''으로 우승한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멜로디 레인]]의 대척점에 있는 경주마로, JRA 사상 최고 마체중 G1 우승마 [[히시 아케보노]]의 기록 560kg보다 66kg 많다! 한때는 640kg까지 불었지만 아케보노와 달리 체중 관리에 성공했고, 현재는 [[한신 경마장]]의 [[https://www.jra.go.jp/facilities/race/hanshin/yuudouba/|유도마로 활동 중]]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gCvQ6vQzU_c|우연히 패독에서 멜로디 레인과 조우한 적이 있다.]] 시리즈에선 [[https://www.pixiv.net/users/28451457|コカ茶]]가 [[https://seiga.nicovideo.jp/seiga/im10954562|창작 너구리]]를 제작했으며, 히시 아케보노 보다도 몸집이 거대한 쇼군으로 그려졌다. * '''[[스모모모모모모 ~지상 최강의 신부~|스모모모모모모모모]][[https://db.netkeiba.com/horse/2018105794/|(スモモモモモモモモ)]]''' 스레에서 너구리 디자인 제작자가 움직이는 모션은 귀찮아서 안 만든다고 선언해 [[https://twitter.com/kanzaki_ryuto/|神咲竜兎@どらもどき]]가 모션을 만든 흔치 않은 케이스. 복숭아가 연상되는 복장에 [[https://seiga.nicovideo.jp/seiga/im11071773|엉덩이를 실룩실룩 흔드는 모션]]이 매력적이다. 여러 작품들에서 엑스트라로 출연하는데, [[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 방영 이후 [[돈 모모타로]]의 가면을 쓴 모습으로 나오기도 한다. * '''[[아침|아사마노]] [[장난|이타즈라]][[https://db.netkeiba.com/horse/2018101071/|(アサマノイタズラ)]]''' 2020년 데뷔. 12전 2승 (현역)[* 2022년 [[메구로 기념]] 이후 감감 무소식인 상황.]. 총상금 9500만 엔. 2021년 [[세인트 라이트 기념]] 우승. 원래 의미는 [[군마현]]의 향토 [[카루타]] [[https://www.jk-daily.co.kr/news/view.php?bIdx=12850&cIdx=10|'죠모 카루타(上毛かるた)']]에서, [[텐메이 대기근]]의 원인이 된 [[아사마]] 화산 분화를 언급하는 대목인 '아사마의 장난, 귀신의 밀어내기(浅間のいたずら 鬼の押し出し)'. 2021년 [[아사히배 세인트 라이트 기념]] 우승. [[빅투아르 피사]] 자마. 마주는 [[https://db.netkeiba.com/owner/265006/|호시노 히사시]], 주요 소유마는 [[아유산]]. 시리즈에선 [[타이틀홀더]]를 비롯한 2021 클래식 세대의 너구리들과 비교해 개성이 없는 탓에 동기들이 인지하지 못하거나 무시하는 [[병풍(은어)|병풍]] 포지션이다. 특히 5번이나 함께 경주한 전적이 있는 타이틀홀더는 모르는척 하며 장난을 치는 편. 이후 샤흐리야르가 거유가 되고 타이틀홀더가 멜로디 레인이랑 트레이너 바보가 되버린 이후로 에프포리아와 사태를 수습하는 포지션이 되기도. * [[화살|야]][[https://triviasbox.com/136.html|ヤ]] 마명이 가타카나 한 글자. 마명이 2~9글자로 제한되기 시작한 2002년 전이여서 가능했다. [[https://dl.ndl.go.jp/pid/1035021/1/196|실제 등록된 기록의 스캔본]] * '''[[사격 훈련|오픈 파이어]][[https://db.netkeiba.com/horse/2020103373/|(オープンファイア)]]''' 의미는 사격 개시를 뜻하는 영단어. [[딥 임팩트(말)|딥 임팩트]] 자마. 딥 임팩트 생전의 라스트 크롭(마지막 새끼)인 2020년생 12마리 중 하나. 시리즈에선 [[https://www.pixiv.net/users/28451457|コカ茶]]가 [[https://www.pixiv.net/artworks/103318004|창작 디자인]]으로 오리지널 너구리를 만들었다. 이름 답게 탄창을 세 통이나 등에 매고 [[M1919 브라우닝]]을 두 손에 들고 휴대하며 밀덕 작품에 출연한다. * '''[[우메]][[무스비]][[https://db.netkeiba.com/horse/2020104954/|(ウメムスビ)]]''' [[파인 니들]] 자마. 마주는 [[우메보시]]로 만든 식품, 건강식품, 사료 등을 제작하는 [[https://kishu-u.me/|키슈 호소카와(紀州ほそ川)]]. 의미는 회사의 첫 경주마인 만큼 좋은 인연을 이어가길 기원하고, 우메로 이어진 사이를 뜻한다. 마주가 팬이 제작한 [[https://twitter.com/Umasite2022/status/1615272845868732416|오리지널 우마무스메(저작권 때문에 '''우메'''무스메로 돌려서 소개) 디자인]]을 직접 인정해주고 [[https://twitter.com/yosuke918/status/1620430539688906752|이 디자인에 기반한 오리지널 너구리가 출연한 작품도 시청한걸 인증]]한 흔치않은 케이스다. 때문에 단역으로 자주 출연하며, 우메보시로 오니기리를 만들어 양손에 들거나 먹기도 한다. * [[우주전함|우츄센칸]][[https://db.netkeiba.com/horse/2016106334/|(ウチュウセンカン)]] [[타니노 김렛]] 자마. * [[연어알|이쿠라]][[다랑어|토로]][[https://db.netkeiba.com/horse/2011100964/|(イクラトロ)]] 마주는 [[https://db.netkeiba.com/owner/005803/|(주) 캐피탈 시스템]], 주요 소유마는 [[모즈 애스콧]], [[모즈 슈퍼플레어]], [[모즈 캇짱]], [[모즈 벨로]].] * '''[[G컵|지컵]][[다이스키]][[https://db.netkeiba.com/horse/2009106809/|(ジーカップダイスキ)]]''' 원래 의미는 'GI 우승 컵이 좋다'지만, 여성의 가슴 사이즈 G컵이 좋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진다. 시리즈에선 [[https://twitter.com/Ranpo_Rikyu0102|らんぽ]]가 [[https://twitter.com/Ranpo_Rikyu0102/status/1580897521056231424|오리지널 너구리]]를 제작했으며, 거유라면 사족을 못쓰는 변태로 그려진다. 종종 부모인 [[로엔그린(말)|로엔그린]]에게 혼나기도 한다. * [[지구방위군|치키우보에이군]][[https://db.netkeiba.com/horse/2018106024/|(チキウボウエイグン)]] [[빅투아르 피사]] 자마. * '''[[가라테|카라테]][[https://db.netkeiba.com/horse/2016106606/|(カラテ)]]''' 2018년 데뷔. 34전 7승 (현역). 총상금 2억 1474만 엔. 2021년 [[도쿄신문배]], 2022년 [[니가타 기념]] 우승. 이쪽 바닥에서 유명한 [[오다기리 유이치]]의 아들 [[https://db.netkeiba.com/owner/975030/|오다기리 히카루]]의 소유마이자 현 대표마로, 마주가 [[https://twitter.com/Xl2dEieZniwWXrC/status/1591344688573067266|한정판]] [[https://twitter.com/Xl2dEieZniwWXrC/status/1645370735035285504|공식 굿즈]]를 내놓을 정도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디자인은 초기엔 하얀색 도복을 입고 머리에 [[미스터 가라데]] 가면을 썼지만, 이후 [[https://twitter.com/unatanuaka/status/1596310808749043713|가면을 유지하면서 빨간 별들이 그려진 노란색 도복을 입은 모습]]으로 정착됐다. 힘을 들일때마다 [[공수도 바보 일대]]의 [[최영의]]의 얼굴로 변하는건 덤. * '''[[L3|칼로 벨로체]][[https://db.netkeiba.com/horse/2020103434/|(カルロヴェローチェ)]]''' 2022년 데뷔. 4전 2승 (현역). 총상금 3400만 엔. [[실버 스테이트]] 자마. 마주는 [[https://db.netkeiba.com/owner/550033/|오노 테루오]], 주요 소유마는 [[스텔라 벨로체]]. 시리즈에선 [[https://www.pixiv.net/users/28451457|コカ茶]]가 [[https://www.pixiv.net/artworks/100159867|오리지널 너구리]]를 제작했고, 마명의 유래대로 밀리터리 관련 작품에서 연애와 수다를 좋아하는 [[이탈리아군]]을 담당한다. * [[우에스기 겐신|켄신]][[公|코]][[https://db.netkeiba.com/horse/2017103641/|(ケンシンコウ)]] 의미는 읽혀지는대로 '겐신 공(公)'. 2020년 [[레퍼드 스테이크스]] 우승. * '''[[금구슬|킨타마]]니[[https://db.netkeiba.com/horse/2003101917/|(キンタマーニ)]]''' 인도네시아 발리 주에 있는 지명으로 킨타마니 마을과 킨타마니 고원에서 이름을 따왔지만, 킨타마가 일본어로 금구슬, 남성기를 뜻하는 은어라서 진명마가 된 케이스. 시리즈에선 금구슬을 되찾으려는 [[아프리칸 골드]]한테 추격당하는 처지. * [[타이키 셔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타이키]] [[헤라클레스]][[https://db.netkeiba.com/horse/1996106515/|(タイキヘラクレス)]] 1999년 [[틀:더비 그랑프리|더비 그랑프리]] 우승. * '''[[메지로 맥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s-7.1|파쿠파쿠데스와]][[https://db.netkeiba.com/horse/2020105487/|(パクパクデスワ)]]''' [[이슬라 보니타]] 자마. 마명의 유래대로 검은 머리를 한 메지로 맥퀸이 양손에 [[만화고기]]를 들고 먹어대는 모습이다. * [[https://www.asiae.co.kr/article/2013072409001096906|핀 하이]][[https://db.netkeiba.com/horse/2019102772/|(ピンハイ)]] 의미는 그린을 향해 친 공이 홀을 중심으로 좌우로 대칭되는 곳에 놓이는 경우를 뜻하는 [[골프]] 용어. 이름이 특이하기 보다는 귀여운 얼굴에 400kg를 간신히 넘기는 마체중, 그와 반대로 자신보다 50kg 이상 무거운 상대에게도 힘으로 밀리지 않는 터프한 주행 스타일, 신마전부터 [[튤립상]], [[오카상]], [[우준 빈마|오크스]]까지 각각 7-13-13-13번 인기로 1-2-5-4착을 거두며 2022년 상반기 암말 클래식 전선의 게시판에 빠짐없이 등장한 것으로 유명하다. 시리즈에선 멜로디 레인의 너구리보다 작은 오리지널 너구리 로그 사카노보로의 체형을 한 [[캐디]]로 그려진다. [[미키 아일]] 자마. === 산구(망아지) === 갓 태어난 산구들. 아기 형태의 환각으로 만들어진다. 스칼렛 테일 2023을 시작으로 생겨났다. * 아몬드 아이 2023 [[아몬드 아이]]와 [[모리스(말)|모리스]] 사이의 자마. 아기 모습의 환각과 [[모리스(말)|모리스]]에 오이귀를 단 형태의 환각이 있었다. * 스칼렛 테일 2023 [[다이와 스칼렛]]의 외손녀 스칼렛 테일과 보드카의 손자 타니노 프랑켈의 자마. * 타니노 프랑켈 [[보드카(말)|보드카]]와 [[프랑켈]]의 아들. * 요카요카 2023 [[요카요카]]와 [[키즈나]]의 아들. * 뫼베 2023 [[뫼베]]와 [[벤바틀]]의 딸. 여기선 [[타이틀 홀더]]와 [[멜로디 레인]]의 동생으로 그려진다. === 비 서러브레드 계 === * [[나리타 브라이언|나리타 브라'''리'''언(ナリタブラ'''リ'''アン)]] 본명은 오팔(オパール). [[https://www.youtube.com/watch?v=-QTMxT_QzHc|나리타 브라리언이 우승한 경주들 중 하나의 영상.]] [[아카시야 산마]]가 진행한 [[테레비 아사히]]의 버라이어티 방송 산마 뭐든지 더비(さんまのナンでもダービー)에서 기수 모리야스 테루마사(森安輝正)가, [[조랑말]]을 경주마처럼 조교를 해 지상 최강의 [[조랑말]]로 군림했다. * [[그레이스#s-4.1|그레이스]] [[2022년 한국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운영 미숙 파동]]에서 마차 시위에서 마차를 끈 말이다.[[https://gall.dcinside.com/umamusu/683123|너구리 그레이스]] * [[https://ja.wikipedia.org/wiki/ウラヌス_(競技馬)|우라누스(ウラヌス)]] [[1932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의 승마 장애물 경주 종목에서, 기수인 [[https://ko.wikipedia.org/wiki/니시_다케이치|니시 다케이치]]와 함께 금메달을 획득한 앵글로노먼 품종의 말이다. 다케이치(타케이치)는 영화 [[이오지마에서 온 편지]]의 주요 등장인물들 중 한명으로 출연하며, 영화 본편에서 우라누스의 사진을 간직하며 회고하기도 한다. 우라누스는 1940년대에는 은퇴해 도쿄의 마사공원에서 여생을 보내다, 이오지마 전투로부터 며칠 후인 1945년 3월 28일에 병사했다. 너구리 모델은 두 종류가 있는데, [[https://www.pixiv.net/users/11144587|業界シェアナンバーテン]]의 [[https://www.pixiv.net/artworks/106575543|창작 디자인]]에 기반한 모델과 [[https://www.pixiv.net/users/31021816|南雲龍一]]의 [[https://www.pixiv.net/artworks/106643951|창작 디자인]]에 기반한 모델이다. 전자는 원작자가 만든 너구리 소재가 있다. 원본이 원본이라 자연스럽게 밀리터리 관련 작품에서 출연하는데, 원본마의 키가 [[히시 아케보노]]보다 10cm 정도 큰지라 [[거인녀]] 대장으로 그려진다. === 오리지널 너구리 === 모티브가 되는 원본 말 조차도 없는 순수 오리지널 창작 너구리. 대표적인 예로는 일명 '로그가(ログ家)'로 불려지는 캐릭터들이 있다. ==== '''로그가(ログ家)''' ==== * 로그 어썰트(ログアサルト) 로그가의 첫 너구리이자 수장으로, 람보가 입을 법한 밀리터리 룩을 입은 [[밀리터리 동호인|밀덕]] 너구리. 너구리 소재를 찾기위해 후타바 채널의 '로그를 찾아다니는(ログをあさる)' 작업을 뜻하는 말에서 따왔다. 소재를 찾으러 다니던 한 유저가 스레에서 물은거에 다른 유저가 로그를 찾아다니라고 답했다가 'あさると'가 'アサルト'로 바뀌어 버리는 헤프닝으로 탄생했다. 전쟁 관련 미디어믹스 패러디 물에선 대장 역할로 출연한다. [[https://www.nicovideo.jp/watch/sm40683801|설명]] * 로그 아사라나이트(ログアサラナイト) 가슴 사이즈 '''100'''에다[* 최초로 아이디어를 낸 사람이 '''가슴은 클 수록 좋다면서''' '''100'''이 되었다고 한다.] 노출도 높은 이세계풍 무장이나 아라비안 복장을 입은 너구리. 체형에 걸맏게 [[쇼타콘]] [[누님]]으로 그려지고, 시도때도 없이 트레센 학원에 잠입하다가 몇번이고 쫓겨나는 처지다. 다른 로그가 일원들과 다르게 복장이 다양하다. 시리즈 제작자들이 지정한 성우는 [[타카하시 치아키]]. [[https://www.nicovideo.jp/watch/sm40854879|설명]]] * 로그 사카노보레(ログサカノボレ) 자신의 몸 크기만한 거대 주사기를 들고다니는 간호사이며, [[인술]]을 사용한다. 트레이너에 집착하는 얀데레로 그려지거나, 게임 본편에서 [[몸치]]로 유명한 [[카시모토 리코]]보다 허약해 바람만 스쳐도 기절하는 약골 트레이너를 보살피는 모습으로 그려진다. * 로그 사카노보로(ログサカノボロー) 너구리 치곤 크기가 [[삼척동자]] 급으로 작고 일본 무사복을 입은 로그가의 오리지널 우마무스메. 사카노보레와 사카노보로는 새로운 너구리 소재를 얻기위해 후타바 채널의 '로그를 거슬러 올라가는(ログをさかのぼる)' 작업을 뜻하는 말에서 따왔다. 유래가 유일하게 불분명한 너구리로, 어느날 갑자기 스레에 누군가가 통칭 '스타터팩'이 올라오면서 시작됐다. 이 제작자는 후일 스레에 핀하이의 환각을 올렸다. * 로그 민트(ログミント) 몸의 박하잎으로 뒤덮혔고 [[마리화나]]를 흡연하고 권장하는 사이키델릭. 종류가 무려 3개나 있다. ==== 기타 ==== * 아이언 [[바렛 파이어암즈 매뉴팩처링|바렛]][[https://twitter.com/japari_cocatea/status/1540326463219544064|(アイアンバレット)]]' 이름의 유래답게 서바이벌 게임 복장을 했고, 상기된 로그 어썰트와 함께 [[밀리터리 동호인|밀덕]] 관련 작품들에 자주 출연한다. 사실 원작자의 밀리터리 동호회 일기의 주인공으로 자주 나오는 편. === 기타 === * [[푸른날의 마끼바오]]의 왕바우, 캐스케이드도 환각말딸화되었다. == 우마무스메 본편에 등장하지 않는 비 우마무스메 캐릭터들 == 너구리 시리즈의 본진인 후타바 채널에서 만들어진 창작 캐릭터들이다. 새롭게 만들어진 경우도 있고, [[후타바 채널#s-7|기존의 후타바의 필수요소들]]을 토대로 만들어진 너구리들도 있다. * 쥬얼맨(ジュエルマン) 우마무스메의 가챠 재화인 쥬얼로 만들어진 인간형 캐릭터. 악당 포지션을 담당한다. * 이나리맨(イナリマン) 유부초밥의 유부를 이어 붙여서 만들어진 인간형 캐릭터. * [[치바 마모루|바스타올 가면(バスタオル仮面)]] 머리에 모자와 가면만 쓰고 목용[[수건]]만 몸에 두른 채 등장하는 변태 포지션을 담당하며, 쥬얼맨과 함께 시리즈의 양대 빌런으로 등장한다. 작품에 등장할때마다 비난하는 코멘트로 뒤덮이지만, 가끔 변태 캐릭터가 아닌 치바 마모루 본인 버전이 나오기도 한다. 스레에선 [[릭롤링]] 대신 쓰이거나, 나왔다하면 무조건 응징당하는 동네북. == 그 외에 == [[울트라맨 시리즈]]에 나오는 [[울트라맨(종족)|울트라맨]]들과 괴수들, [[고지라 시리즈]]의 괴수들, [[기동전사 건담 시리즈]]의 등장인물들과 로봇들 등이 너구리화 되기도 하고, 심지어 이젠 캐릭터가 아닌 게임기나 물건들까지 너구리화 시키고 있다. 어쨌든 등장시킬 건덕지만 있으면 무조건 너구리화를 시키는 분위기다. 후타바(특히 니지우라)에서 통용되는 밈은 죄다 타누키로 만들고 있다. ~~여기서 우리는 후타바 주민들의 나이대를 추측할 수 있다.~~ [[기동전사 건담 수성의 마녀]]가 방영되며 인기를 얻고, 주인공 [[슬레타 머큐리]]가 너구리 같다는 평이 많아진 이후로, 해당 작품을 활용한 너구리 창작물들이 대세로 굳어지고 있다. [[https://twitter.com/kin29t/status/1411366385150676993|입체화도 되었다.]] [[M.U.G.E.N.]] 플레이어블 캐릭터화도 되었다. [[https://youtu.be/DJRI4uyvJHQ|버전1]], [[https://youtu.be/dN3nwwB1ehY|버전2]], [[https://youtu.be/KkY3OqfGuVs|버전3]] == 여담 == == 기타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심볼리 루돌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version=579)] [[분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2차 창작]][[분류:2차 창작 캐릭터]][[분류:인터넷 팬 캐릭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