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Ga Nha Trang}}} || {{{+1 Nha Trang Station}}} || {{{+1 芽庄站}}} || ||<-6> {{{+2 '''냐짱역'''}}} || ||<-6> [[베트남 철도|{{{#fff '''베트남 철도'''}}}]] || ||<-2> [[사이공역|{{{-1 {{{#585858 사이공 방면}}}}}}]][br][[꺼이꺼이역|꺼이꺼이]][br]← 14.0㎞ ||<-2> [[남북선(베트남)|{{{-2 {{{#fff 남북선}}}}}}]] ||<-2> [[하노이역|{{{-1 {{{#585858 하노이 방면}}}}}}]][br][[르엉선역|르엉선]][br]12.0㎞ → || ||<-6>[include(틀:지도, 장소=Ga Nha Trang , 너비=100%, 높이=300px)]|| ||<-6> '''다국어 표기''' || ||<-2> 베트남어 ||<-4> Nha Trang || ||<-2> 중국어 ||<-4> 芽庄 || ||<-2> 영어 ||<-4> Nha Trang || ||<-6> '''주소''' || ||<-6> [[베트남]] [[카인호아 성|카인호아성]] [[냐짱|냐짱 시]] 프억떤 방 타이응우옌로 17 || ||<-6> '''철도역 등급''' || ||<-6> 1급 || ||<-6> '''역 운영기관''' || ||<-2> {{{#ffffff 남북선}}} ||<-4> [[베트남 철도|[[파일:베트남 철도 로고.svg|width=150 height=50]]]] || ||<-6> '''개업일''' || ||<-6> 1936년 9월 2일 || [[파일:external/traveltroopers.files.wordpress.com/ga-nha-trang-edited.jpg|width=450]] 역사(앞면) --[[대우 마티즈|마티즈]]와 [[기아 포르테|포르테 쿱]]이 먼저 눈에 띄면 당신은 철덕이 아니라 차덕이다.-- [[파일:external/04bf3be59caa797f00692009b7cfd5e1bbf56f31db2928fb2274ff22a6ef65b3.jpg|width=450]] 역사(뒷면) --어째 철길이 아니라 골목길 같다.--[* 베트남 대부분의 철도역 구내 선로에는 자갈이 아니라 콘크리트로 포장되어 있다.] [[파일:external/photos.wikimapia.org/28_big.jpg|width=450]] 냐짱역에 정차해 있는 열차 [[파일:external/3.bp.blogspot.com/Ga+Nha+Trang+%25285%2529.jpg]] 역 구내 --협궤 티가 리얼하게 난다.-- [[파일:external/photos.wikimapia.org/99_1280.jpg]] 냐짱역 인근 선로. 왼쪽이 [[사이공 역]] 방면, 오른쪽이 [[하노이역]] 방면이다. [목차] == 개요 == [[베트남]] [[남북선(베트남)|남북선]]의 철도역. 하노이에서 1,315㎞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으며, 2면 4선으로 1섬식 1상대식 승강장 구조를 가지고 있다. 카인호아성(省) 냐짱시 프엉프억떤 타이응우옌 17번지에 소재해 있다. == 냐짱역 루프선 == 이 역에 설치된 루프선은 독특한 구조로서 대한민국에서 전혀 찾아볼 수 없는 구조이기도 하다. 냐짱역이 베트남 철도역 항목 중 거의 우선 순위로 편집된 것은 바로 아래와 같은 이유이다. 열차가 상행선이든 하행선이든 '''같은 방향으로''' 냐짱역으로 진입한다. 보통 이렇게 상하행선이 같은 방향으로 진입하는 역이라면 [[두단식 승강장]]을 만들어서 출발은 반대 방향으로 돌아나가는 게 일반적이지만, 냐짱역은 출발할 때 '''뒤로 가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전진한다.''' 이 역을 출발하면 오른쪽으로 급커브를 돌게 되는데 이 급커브 선로를 통해 무려 '''270도'''를 돌아 나온다. 돌아나오게 되면 아까 이 역으로 진입할 때에 지나간 선로로 되돌아온 뒤 각자 갈 곳으로 가는 것이다. 한국 상황에 맞게 설명하자면 2000년대 초반에 서울-포항을 운행한 [[DHC 디젤동차|동차형 새마을호]]를 떠올릴 경우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실제로 서울-포항 [[새마을호]]는 경주역에서 진행방향을 바꿔 운행했지만 냐짱역의 방식을 쓴다면 [[경주역(폐역)|경주역]]에서 [[불국사역]] 방향으로 루프선을 만든 다음 서울-포항 새마을호가 경주역을 출발하면 상하행에 상관없이 환형궤도를 한 바퀴 돌고 [[포항역]] 혹은 [[서울역]] 방면으로 운행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이 운행방식이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응암루프선]]과 같지 않냐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이와는 엄연히 다른 방식이다. 6호선 응암루프선은 [[응암역]]에서 [[역촌역]], [[불광역]], [[독바위역]], [[연신내역]], [[구산역]]을 거쳐 다시 응암역으로 돌아온 뒤 [[봉화산역]] 방향으로 운행하도록 만들어진 '''일방통행 단선'''이기 때문이다. 냐짱역 루프선은 열차의 목적지에 맞게 선로를 바꿀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황에 따라 반대방향으로도 주행할 수 있다. 당연히 냐짱역을 출발하여 루프선을 주행하고 다시 냐짱역으로 돌아오려면 역방향으로 들어와야 한다. 그리고 '''서울지하철 6호선은 1복선인 반면, 이 역으로 진입하는 선로는 쌍단선이다.''' 해괴한 구조이기는 하지만 덕분에 상하행 열차가 같은 방향으로 들어옴에도 불구하고 [[전차대]]나 장폐단, 단폐단 구분 없이 기관차 편성을 운행할 수 있다. 그래도 이해되지 않는다면 아래 두 동영상을 참고하는 것 역시 나쁘지는 않을 것이다. [youtube(dqeVlEkJqPQ,width=640,height=360)] 냐짱역으로 진입하는 [[사이공 역|사이공]]발 [[하노이역|하노이]]행 SE6 열차 내에서 찍은 모습. 2분 11초부터 등장하는 화면 오른쪽 승강장을 보면 증기기관차가 다니던 시절에 물을 공급하던 급수대가 그대로 남아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youtube(liEgfKFVr5s,width=640,height=360)] 냐짱역을 출발하는 [[하노이역|하노이]]발 [[사이공 역|사이공]]행 SE7 열차 내에서 찍은 모습. 급커브를 돌기 때문에 소음은 기본이요, 민가 한가운데를 지나기 때문에 경적 소리는 덤이다. 3분 21초쯤부터 냐짱역 구내가 보인다. 역 외곽으로 설치된 환형궤도 안쪽으로 냐짱차량사무소가 위치해 있다. [[분류:베트남의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