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쾨펜의 기후 구분)] [include(틀:냉대기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Koppen_classification_worldmap_Df.png|width=450]] 냉대 습윤 기후의 분포 [목차] == 개요 == '''Humid Continental Climate'''[*Dfa,Dfb Dfa, Dfb 한정], '''Subarctic Climate'''[*Dfc,Dfd Dfc, Dfd 한정. Dwc, Dwd, Dsc, Dsd도 해당한다.] [[쾨펜의 기후 구분]]에 등장하는 기후 중 하나로, 기호로는 '''Df.''' 최난월(가장 더운 달), 최한월(가장 추운 달)의 평균 기온에 따라 '''Dfa, Dfb, Dfc, Dfd'''로 나누어진다. [[냉대기후]]에 속하면서 1년 내내 강수량이 고른 기후[* 정확히는 [[겨울]] 중 가장 건조한 달의 강수량이 [[여름]] 중 가장 강수량이 많은 달의 강수량의 1/10 이상인 기후]로, [[봄]]~[[가을]]에 [[비(날씨)|비]]가 자주 내리고 [[겨울]]에는 [[눈(날씨)|눈]]이 자주 온다. 고른 강수량 덕분에 습도가 고르게 유지되어 [[냉대 동계 건조 기후]]보다는 연교차가 훨씬 작다. 물론 지역이나 격해도에 따라서 어느 정도 차이가 나는 편이다.[* [[야쿠츠크]]가 대표적인데, 강수량이 매우 적은 편임에도 냉대 습윤 기후로 분류된다. 강수량 자체는 [[사막]]에 맞먹을 정도로 적지만, 습도와 강수량 패턴도 냉대 습윤 기후에 가깝고, 강수 일수(비, 눈 모두 포함)까지 365일 중 255일로, 1년 중 8개월 이상이 습할 정도이기 때문에 냉대 습윤 기후에 해당한다.] 일반적으로 냉대기후라고 하면 떠올리는 기후는 대부분 이 냉대 습윤 기후를 의미한다.[* 다만 '''[[대한민국]]'''의 경우 대부분 냉대동계건조기후에 해당한다.] 위의 지도를 보면 알 수 있지만, 북위 45°에서 높게는 70° 정도까지 대부분 냉대 습윤 기후로 표시되어 있는데, 냉대기후의 범주에 드는 기후대 중 [[고지 지중해성 기후]]는 지구상에 존재하는 지역을 찾기 힘들 정도로 해당 범위가 좁고, [[냉대 동계 건조 기후]]도 대륙 동안 일부[* [[중국]] [[화북]] 지방과 티베트 고원 일부, [[한반도]] 중부~북부 지방, 러시아 시베리아 내륙 일부.]에서만 한정적으로 나타나는 기후이다. == 상세 == * [[연중 강수 기후]]이다 보니 [[냉대 동계 건조 기후]]와 달리 [[겨울]]에 [[눈(날씨)|눈]]이 많이 내리는 편이지만, 강설량 자체는 대륙마다 차이가 있다. * [[동유럽]], [[중부유럽]], [[북유럽]], [[북아메리카]] 내륙의 경우 눈이 오기는 하지만 [[겨울]] 강수량은 생각보다 적은 편이다. [[스웨덴]]의 [[스톡홀름]]과 [[중국]]의 [[베이징시|베이징]]을 비교해보면 알 수 있는데, 1년 총 강수량만 놓고 보면 스톡홀름은 531mm, 베이징은 571.8mm로 베이징이 오히려 좀 더 많다. 하지만 [[1월]] 강수량은 베이징이 2.7mm밖에 되지 않아 매우 건조한데 비해 스톡홀름은 평균 강수량 39mm에 평균 강수 일수가 12일로 스톡홀름이 훨씬 더 습하고 눈이 자주 온다. 반대로 7월 강수량을 비교해보면 베이징은 185.2mm로서 거의 물폭탄 수준으로 [[비(날씨)|비]]가 많이 내리는데 비해 스톡홀름은 겨우 72mm에 불과해[* 다만 북유럽은 [[영국]] 등 [[서유럽]]에 비하면 여름 강수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편에 속한다.] 스톡홀름 쪽이 훨씬 안정적인 강수량 패턴을 보이고 있다. 이런 경우는 생각보다 적설량도 그렇게 큰 편은 아니며 단지 강설 일수가 많고[* [[러시아]] [[모스크바]]의 경우 1월 강수량이 53mm로 우리나라의 [[영동#s-1]] 지방과 비슷하지만, 월평균 강설 일수가 무려 '''25일'''에 달한다.] 겨울이 해당하는 기간이 길어서 눈이 오랫동안 쌓여있는 것에 더 가깝다. * [[북아메리카]] 동부나 [[일본]]의 경우 '''눈이 자주, 그리고 많이''' 오는 특성을 띈다. [[몬트리올]]의 경우 겨울 강수량이 80~100mm를 넘어가며 [[아오모리]] 같은 경우 100~300mm 선에 최심 적설량도 굉장히 많다. 세계적으로 눈이 가장 많이 내리는 곳이 북미 동부와 일본 북부 일대이다. 자세한 내용은 [[폭설]] 문서 참조. * 이렇게 강수량이 고르므로 [[수력발전]]의 비중이 높으며 실제로 [[핀란드]]의 공업도시인 [[탐페레|탐페레(Tampere)]][* Dfc 기후, 원래는 [[18세기]] 말 [[스웨덴 국왕]] [[구스타브 3세]]가 세운 평범한 공업도시였으나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비보르크|비푸리]]를 [[소련]]에 빼앗긴 이후로는 핀란드 [[제2의 도시]] 자리를 차지했다.]는 공업용 전기의 대부분을 급류식 수력 발전에 의존한다. 일부 지역은 [[여름]]에 상대적으로 맑은 날이 많고 건조하여 [[고지 지중해성 기후|고지 지중해성 기후(냉대 하계 건조 기후)]]와 별 차이가 없는 경우도 많은데 실제로 [[스칸디나비아 반도]] 일부 지역은 이론상 Dfb이지만 실제 여름 날씨를 보면 사실상 Dsb라고 해도 믿을 정도의 쾌청한 날씨가 이어지는 경우가 잦다.[* 다만 강수량은 여름에 가장 많은 편이다.] * [[냉대 동계 건조 기후|비슷한 조건이면서 강수량이 여름에 집중되는 기후대]]에 비해 연교차도 비교적 작은데다, 설령 연교차가 커서 [[오타와]]나 [[토론토]] 같이 한여름에 더운 편이라고 해도 일교차가 매우 크므로 밤이 되면 선선해지는 경우가 많다. 반대로 겨울에는 일조량과 일교차가 극단적으로 적어져서 실제 기온보다 더 춥게 느껴지는 경우가 많다. Dw 기후대에서 느낄 수 있는 추위의 전형이 칼바람이 몰아치는 날카로운 추위라면, Df 기후의 추위는 비교적 은은하지만 서서히 살을 파고드는 습기 찬 냉골방 느낌에 가깝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사람들이 [[유럽]]이나 [[미국]] 동부에 가서 이구동성으로 호소하는 소위 '뼛 속까지 시리는 추위'라고 하는 것이 바로 이 습도 높은 추위이다. * 흔히 서구권 공포 영화나 [[성탄절|크리스마스]] 영화의 단골 배경이 되는, 눈이 많이 내리고 음침한 겨울 이미지는 대부분 이 기후대에서 유래한 경우가 많다. 또 위도가 [[북극|북극권]]에 가까운 북위 65° 이북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훨씬 더 심해진다. * 위도[* [[스칸디나비아 반도]] 기준 내륙에서는 북위 57~58°부터, [[대서양]] 연안은 보통 '''북극권(북위 66° 33′ 이북)'''으로 올라가야 냉대기후를 띄기 시작한다. [[동유럽]] 기준으로도 최소 북위 49~50° 이북으로 올라가야 한다.] 특성상 겨울에 일조량이 극단적으로 적어지므로[* 흔히 유럽 [[백인]]의 전형이라고 생각하는 [[금발벽안]]이 주로 이 기후를 띄는 지역에서 많이 보이는 것도 일조량이 적어서 멜라닌 색소가 옅기 때문이다.] [[우울장애]]나 [[자살]] 충동이 생기기 쉬운 기후라는 연구 결과가 있고, 실제로 자살률이 일조량 때문이라는 과학적 연구도 있지만 반론도 있다. * 지속적인 강수와 긴 겨울로 인해 땅이 메마를 일이 없어서, [[러시아]]나 [[캐나다]], 핀란드 등에서는 해빙기에 [[라스푸티차]] 혹은 그와 유사한 현상으로 고생하는 경우가 많다. * 이 기후대에서는 여름 기온이 꽤 올라가므로 거의 대부분의 지역에서 농사가 가능하며 주요 작물로는 [[밀]], [[호밀]], [[보리]], [[귀리]], [[감자]] 등이 있다. 밀, 호밀, 보리, 귀리의 경우 겨울 기온이 극단적으로 낮지 않고 여름이 꽤 더운 곳에서는 가을에 파종해서 겨울을 나고[* 특히 눈이 많이 오는 것은 동면을 하는 이들 작물에 보온 효과를 주어 오히려 좋은 조건을 제공한다] 초여름에 수확한다[* 여름 기간에는 옥수수나 감자 등의 다른 작물을 재배하는 경우도 있다.] 물론 위도가 높거나 겨울이 크게 춥거나 여름이 크게 덥지 않은 곳에서는 이들 작물도 여름 기간 동안 재배한다. 일본에서는 여름 동안 쌀을 재배하는 지역도 있다. * 또한 이 기후를 띄는 지역들은 문화적으로 서양에 속해있어도 집 안에서 신발을 벗고 생활하는 경우가 많다. 연중 고른 습도 때문에 토양 역시 습하므로, 신발을 신고 들어가면 바닥이 더러워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 물론 [[대한민국]]처럼 아예 실내에서 맨발로 생활하는 경우는 적고, 대부분 슬리퍼와 같은 실내화를 신는다. * 겨울에 눈이 자주, 많이 내리기 때문에 눈이 많이 쌓인다. 그래서 [[스키]](특히 노르딕), [[봅슬레이]] 등 [[올림픽|동계올림픽]]의 설상스포츠 종목 강국들도 이 기후대의 국가들이 많은 편이다. * 중국에서 [[신장 위구르 자치구]] 북부와 일부 산간 지방을 제외하면 볼 수 없는 기후이다. 남부는 [[온난 습윤 기후|습윤하지만 기온이 높고]] 북부는 [[냉대 동계 건조 기후|겨울이 굉장히 건조하기 때문에]] 눈이 내리는걸 보기 어렵다. 그래도 만주나 고산지대는 눈이 한번 내리면 잘 녹지 않기 때문에 눈이 쌓인건 꽤 볼 수 있다. == 해당 지역 == * Dfa (습윤 대륙성 기후, 최난월 22°C 이상의 더운 여름)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fa ChicagoKOR.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fa DetroitKOR.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fa TorontoKOR.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fa BostonKOR.png|width=100%]]}}} || || [[미국]] [[시카고]]의 기후 그래프 || [[미국]] [[디트로이트]]의 기후 그래프 || [[캐나다]] [[토론토]]의 기후 그래프 || [[미국]] [[보스턴]]의 기후 그래프 || * Dfb (습윤 대륙성 기후, 최난월 22°C 미만의 따뜻한 여름)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fb CalgaryKOR.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fb MontrealKOR.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fb OsloKOR.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fb PragueKOR.png|width=100%]]}}} || || [[캐나다]] [[캘거리]]의 기후 그래프 [* [[냉대 동계 건조 기후]](Dwb)와의 점이지대이다.] || [[캐나다]] [[몬트리올]]의 기후 그래프 || [[노르웨이]] [[오슬로]]의 기후 그래프 || [[체코]] [[프라하]]의 기후 그래프 [* [[서안 해양성 기후]] (Cfb)와의 경계에 위치해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fb WarsawKOR.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fb StockholmKOR.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fb HelsinkiKOR.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fb KyivKOR.png|width=100%]]}}}|| || [[폴란드]] [[바르샤바]]의 기후 그래프 || [[스웨덴]] [[스톡홀름]]의 기후 그래프 || [[핀란드]] [[헬싱키]]의 기후 그래프 || [[우크라이나]] [[키이우]]의 기후 그래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fb MoscowKOR.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fb AlmatyKOR.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fb TaebaekKOR.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fb SapporoKOR.png|width=100%]]}}}|| || [[러시아]] [[모스크바]]의 기후 그래프 [*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냉대습윤기후의 대표 그래프로 자주 등장하였다.] || [[카자흐스탄]] [[알마티]]의 기후 그래프 || [[대한민국]] [[태백시]]의 기후 그래프 || [[일본]] [[삿포로]]의 기후 그래프 || * Dfc, Dfd (아극 기후, 10°C 이상인 달이 3달 이하, Dfd는 최한월 평균 기온 -38°C 이하 [* 아래 자료에서는 -35°C 이하 기준이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fc AnchorageKOR.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fc WhitehorseKOR.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fc YellowknifeKOR.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fc RankinInletKOR.png|width=100%]]}}} || || [[미국]] [[앵커리지]]의 기후 그래프 [* [[고지 지중해성 기후|아한대 하계소우 기후]] (Dsc)와의 점이지대이다.] || [[캐나다]] [[화이트호스]]의 기후 그래프 || [[캐나다]] [[옐로우나이프]]의 기후 그래프 || [[캐나다]] 랭킨 인렛의 기후 그래프 [* [[툰드라|툰드라 기후]](ET)와의 점이지대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fc IlulissatKOR.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fc ReykjavikKOR.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fc TromsoKOR.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fc RovaniemiKOR.png|width=100%]]}}}|| || [[그린란드]] [[일루리사트 공항|일루리사트]]의 기후 그래프 [* [[툰드라|툰드라 기후]](ET)와의 점이지대이다.] || [[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의 기후 그래프 [* [[서안 해양성 기후|아극 해양성 기후]](Cfc)와의 점이지대이다.] || [[노르웨이]] [[트롬쇠]]의 기후 그래프 || [[핀란드]] [[로바니에미]]의 기후 그래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fc WengenKOR.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fc NorilskKOR.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fc MagadanKOR.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fd YakutskKOR.png|width=100%]]}}}|| || [[스위스]] 벵엔의 기후 그래프 || [[러시아]] [[노릴스크]]의 기후 그래프 || [[러시아]] [[마가단]]의 기후 그래프 || [[러시아]] [[야쿠츠크]]의 기후 그래프 || * [[대한민국]] '''[[전라도]]-[[충청도]] 서해안과 [[강원도]] [[영동]] 산간지역이 여기에 해당된다.'''[* 다만 서해안은 최한월 -3°C 기준으로 온난 습윤 기후이다.][* [[영서]]는 비구름이 태백산맥에 막혀 [[냉대 동계 건조 기후]]에 속한다.] 그 외에 영동과 이어지는 [[경상북도]] 동북부[* [[봉화군]] 동부, [[영양군]], [[울진군]] 산간지역], 북한 [[동해|동해안]] 지역[* [[청진시]]를 비롯한 관북 해안은 [[소우지]]로서 Df가 아닌 [[냉대 동계 건조 기후|Dwb]] 기후에 해당한다.][* -3℃ 기준으로는 [[함경북도]] 동해안 지역들만 냉대 습윤 기후에 속하고, [[함경남도]] 동해안부터는 온난 습윤 기후로 넘어간다.]들이 해당한다. * [[북유럽]] 주로 [[스칸디나비아 반도]]의 중남부 내륙과 북부[* [[노르웨이]]의 해안 지방은 '''북위 70°'''까지도 [[서안 해양성 기후]](즉 [[온대기후]]이다)의 아종인 [[서안 해양성 기후#s-5|Cfc 기후]]를 띄나, 바다에서 조금만 멀어지거나 난류의 영향에서 빗겨나가는 경우 [[겨울|겨울철]] 기온이 뚝 떨어진다. 북위 70°인 카를쇠위 섬의 [[1월]] 평균 기온은 -0.1℃, 알타의 1월 평균 기온은 -7.5℃이다. 참고로 저 두 곳의 직선 거리는 겨우 130km 정도.] * [[서유럽]]과 [[남유럽]](온대고산기후 포함) [[스위스]]의 체르마트(Zermatt), 다보스(Davos) 등 [[알프스]] 산맥, [[스페인]]과 남부 [[프랑스]] 경계에 위치한 피레네 고산 지대에서 볼 수 있다. * [[동유럽]](온대고산기후 포함) [[발칸 반도]]의 고지대(대표적으로 [[불가리아]] 수도인 [[소피아(도시)|소피아]])들과 [[루마니아]]의 부쿠레슈티를 중심으로 한 카르파티아 내륙 고원 지대, [[체코]]와 [[슬로바키아]]등을 비롯한 보헤미아와 타트라 분지 지역과 고지대 지역들, [[벨라루스]], [[폴란드]], [[루마니아]], [[발트 3국]], [[우크라이나]] 중, 북부 등 * [[러시아]] [[흑해]] 연안과 [[카스피해]] 연안[* 온대기후이다.], [[중국]], [[몽골]]과 접해있는 지역[* [[냉대 동계 건조 기후]]이다.]을 제외한 전역. 러시아 서부의 유럽 쪽 지역들은 Dfb이고 시베리아, 극동 지방은 Dfc이다. * [[북아메리카]] [[밴쿠버]], [[빅토리아(캐나다)|빅토리아]]를 비롯한 [[브리티시컬럼비아|브리티시 컬럼비아]] [[태평양]] 연안 지역을 제외한 '''[[캐나다]] 전역,''' [[미국]]의 북부 내륙, [[보스턴]] 이북 동해안, [[그린란드]]의 깡에를루수악[* 최한월 평균 기온 -21.5℃, 최난월 평균 기온 10.5℃, 강수량 150mm.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Dfc에 속한다.][* [[그린란드]]의 나머지 지역은 모두 [[툰드라|툰드라 기후]]와 [[빙설 기후]]가 나타난다.] * [[일본]](온대고산기후 포함) '''[[홋카이도]]의 대다수 지역'''들[* 다만 홋카이도의 도난 지방은 서안 해양성 기후를 띈다.]과 [[아오모리]]를 비롯한 [[도호쿠]] 지방 북부 지역[* 특히 '''핫코다(八甲田) 산''' 인근 지역들. 도호쿠의 남부 지역들은 해류의 영향으로 눈만 많이 오는 [[온난 습윤 기후]] 혹은 서안 해양성 기후를 띈다.]에서 볼 수 있으며 간혹 간토와 주부 지방의 고산, 고원 지역에서도 국지적으로 볼 수 있다.[* 주로 [[니가타]].] [[분류:기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