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국립공원)] [include(틀:갤럽 선정 한국인이 좋아하는 산)] [include(틀:한국관광100선)] ||<-4>
'''{{{#000,#fff [[파일:국립공원 심볼.svg|height=20]] [[대한민국|{{{#000,#fff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국립공원|{{{#000,#fff 제8호 국립공원}}}]]}}}'''[br]{{{#!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내장산로고.jpg|height=100]]||{{{#000,#fff '''{{{+1 내장산}}}'''[br]內藏山[br]{{{-1 Naejangsan}}}}}}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내장산, 너비=100%, 높이=100%)]}}} || ||<-2> {{{#fff '''위치'''}}} ||<-2> '''[[전라북도]] [[정읍시]], [[순창군]] [br] [[전라남도]] [[장성군]]''' || ||<-2> {{{#fff '''높이'''}}} ||<-2> '''763m (신선봉)''' || ||<-2> {{{#fff '''산맥'''}}} ||<-2> '''[[노령|노령산맥]]''' || ||<-2> {{{#fff '''좌표'''}}} ||<-2> '''북위 35° 28′ 47″''' '''동경 126° 53′ 17″''' || ||<-2> {{{#fff '''면적'''}}} ||<-2> '''80.708㎢''' || ||<-4> {{{#fff '''위성사진'''}}} || ||<-4>[[파일:내장산국립공원.png|width=100%]] || ||<-4> {{{#fff '''내장산 국립공원'''}}} || ||<-2> {{{#fff '''지정일'''}}} ||<-2> '''1971년 11월 27일 (8호)''' || ||<-2> {{{#fff '''관리주체'''}}} ||<-2> [[국립공원공단|[[파일:국립공원공단 CI.svg|width=100]]]] || ||<|2><-2> '''{{{#fff 사무소}}}''' || '''[[전라북도|전북]]''' || '''정읍시 내장호반로 328'''[br]{{{-2 063) 538-7875~7 (본소)}}} || || '''[[전라남도|전남]]''' || '''장성군 북하면 백양로 1116''' [br]{{{-2 061) 392-7288 (백암사무소)}}} || ||<|2><-2> {{{#fff '''깃대종'''}}} ||<-2> [[파일:비단벌레.gif|width=60%]][br]{{{-2 비단벌레}}} || ||<-2> [[파일:진노랑상사화.gif|width=60%]][br]{{{-2 진노랑상사화}}} || ||<-2> {{{#fff '''홈페이지'''}}} ||<-2> [[http://naejang.knps.or.kr/front/portal/visit/visitCourseMain.do?parkId=120600&vcursId=&vnewsId=&menuNo=7020087|[[파일:내장산로고.jpg|width=35]]]] [[http://www.knps.or.kr/front/portal/safe/acsCtrList.do?menuNo=8000340|실시간 탐방통제정보]][br][[https://www.facebook.com/Naejangsan.knp/?tn-str=k*F|[[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height=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naejangsan_knp, 크기=20)] || [[파일:내장산 단풍.jpg|width=500]] [목차] [clearfix] == 개요 == {{{+1 內藏山}}} [[전라북도]] [[정읍시]], [[순창군]], [[전라남도]] [[장성군]]에 걸쳐있는 [[산]]이다. 1971년 우리나라 8번째 [[대한민국의 국립공원|국립공원]]으로 지정 되었으며, 높이는 최고봉 763.2m 신선봉이다.그리고 면적은 80,708 km2이다. 노령산맥의 중간 부분에 있으며 신선봉(神仙峰:763.5 m)을 중심으로 연지봉(蓮池峰:720m)·까치봉(680m)·장군봉(670m)·연자봉(660m)·망해봉(640m)·불출봉(610m)·서래봉(580m)·월령봉(420m) 등이 동쪽으로 열린 말발굽 모양으로 둘러서 있다.[* 이 중 월영봉은 비법정탐방로로 지정되어 있어서, 월영봉을 제외한 나머지 8봉우리를 도는 내장산 8봉 종주만 가능하다.] 산 북부인 [[정읍시]] 방면은 [[동진강]] 유역이다. 남부인 [[백양사]] 지구인 [[장성군]] 북하면은 [[영산강]] 유역으로 [[영산강]]의 지류인 [[황룡강]]이 발원한다. 산 동쪽인 순창군 지역은 [[섬진강]] 유역이다. 백양사가 있는 남부는 백암산이라고도 부른다. [[설악산]], [[오대산]] 등지에 비하면 다소 남쪽에 있는 산이라 상대적으로 단풍이 늦게(10월 하순) 드는 편이다. 이 [[단풍]]이 매우 아름다운 것으로 유명하여 단풍 시즌에는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편이다. == 교통 == [[정읍역]]이나 [[정읍공용버스터미널]]에서 [[내장산공용터미널]]까지는 지방 소도시치고는 정말 버스가 많이 다니는 편. [[정읍 버스 171|171번 버스]]를 타면 40분 정도 걸리는데, 내장터미널에서 내장산 케이블카까지 셔틀버스가 운행중이라 산에 오르는게 그리 어렵지 않다. 내장터미널에서 케이블카 입구까지 걸어서 40 ~ 50분. 일단 내장산 자체가 '''동'''지역([[정읍시]] 내장상동)에 있어[* 이런 산악 국립공원은 내장산을 제외하면 [[북한산]], [[설악산]], [[무등산]] 정도밖에 없다.] 산악 국립공원치고는 꽤나 교통이 편리하며 버스는 물론 철도로도 접근성이 괜찮다. 문제는 내장 저수지부터 내장산 입구까지는 왕복 2차로다. 내장산 입구는 3방향 도로가 만나는 지점인데 모두 왕복 2차로라 단풍철에는 그야말로 '''[[헬게이트]]'''가 열린다. [[순창군]] 복흥 방면에서 내려오는 차량과 [[호남고속도로]] [[태인IC|태인 나들목]], [[정읍IC|정읍 나들목]][* 이 나들목은 정읍 시내를 통과하기에 내장산으로 접근하기에 오히려 [[태인IC|태인 나들목]]이 접근성 더 좋다.], [[내장산IC|내장산 나들목]][* [[광주광역시|광주]], [[순천시|순천]]에서 내장산으로 접근할 때 이용된다.]에서 진입하는 차들이 뒤엉키고 시내버스 타기를 포기한 등산객들은 좁은 인도뿐 아니라 차도까지 점령한다. 골짜기가 좁고 경사가 심해 길을 넓힐 수도 없는 상황. 평소에 [[정읍시]]에서 10 ~ 20분에 가는 길이 주말이면 2 ~ 3시간씩 걸린다. 단풍철에는 오전 7시전에 매표소 도착하여 12시 이전에 빠져나가는게 도로에서 시간 안버리고 단풍 구경할수있는 가장 현명한 방법이다. == 근처 시설 == 내장산에 있는 [[절(불교)|절]]로는 [[내장사]], [[백양사]] 등이 있다. [[내장사]]는 [[정읍시]] 내장상동에 있으며 백제 때 세워진 절이다. [[백양사]]는 [[장성군]] 북하면에 있으며 대한불교조계종 제18교구 본사이다. [[장성군]] 북이면에 [[백양사]]의 이름을 따서 [[호남선]] [[백양사역]]과 [[호남고속도로]] [[백양사IC|백양사 나들목]]이 있다. 숙박시설은 정읍 지역의 경우 많은 관광객들이 찾아오는 명소답게 [[정읍역]]부터 내장산 입구까지 신규 펜션, 최신식 무인텔까지 매우 많이 있다. 관광호텔은 없다.[* 원래 내장산 관광호텔이라는 호텔이 있었으나 2000년대 초 리모델링을 하려다가 담당한 건설사가 부도를 내고, 이후 인계도 꼬이게 되면서 이후 10년도 더 넘게 방치되어 있다가 2015년 9월에 철거되었다. 인수한 측에서 새로 호텔을 지을 예정이라고는 하는데 언제 이루어 질 지는 알 수 없다.] [[폐건물/과거 목록]]의 전북 단락 참조. 국립공원 내 노후된 모텔 7 ~ 8곳 정도와 민박촌이 구성되어있다. 관광객이 사시사철 찾는 것도 아니고 가을 단풍철에 집중되어 있다보니 국립공원내 숙박시설에 대한 투자는 당연히 소홀할 수밖에 없다. 이것이 전국의 국립공원 등 군소 관광지의 현실이다. 다만 [[장성군]] 북하면 소재지인 약수리에는 백양사 방향으로 오른쪽에는 호텔이 하나 있다. == 여담 == 산 서쪽에 [[전라북도]] [[정읍시]]와 [[전라남도]] [[장성군]]의 경계인 [[노령|갈재]]라는 [[고개]]가 있다. 예전엔 [[1번 국도]] 구간이었으나 [[정읍시|정읍]]에서 [[장성호(호수)|장성호]]를 돌아 [[광주광역시|광주]]와 [[장성군|장성]] 읍내로 이어지는 [[하서대로|1번 국도]] 개량사업이 완공되어 옛 이야기. 왕복 2차로에 급커브가 끝내준다. 동쪽에도 [[정읍시]]와 [[순창군]]의 경계인 갈재가 있으며, 역시 왕복 2차로에 극한의 S코스가 존재한다. 다만 정식 명칭은 노령이며 이 곳 주민들은 옛 명칭인 갈재를 사용하므로 주의. 내장산에서 발견된 [[박테리아]]가 ‘정읍피아 내장산네시스(Jeongeupia naejangsanensis)’라는 이름으로 2010년 발표된 적이 있다.[[https://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1&aid=0003183320|#]] 가수 [[김용임]]이 부른 "내장산" 이라는 [[트로트]] 곡이 있다. 2013년에 발표된 곡으로, 고순옥이 작사하고 [[이호섭]]이 작곡하였다. 경남 진주 출신 지방 가수 한봄이 SBS 트롯신이 떴다 1라운드 경연곡으로 "내장산" 이라는 트로트 곡을 불렀는데, 원곡 가수 김용임이 발표한 이후 내장산 단일곡으로는 최고 조회수인 2021년 5월 10일 기준 유튜브 360만 조회수가 넘고 있다. [youtube(m_B1G5YL7mM)] --[[1박 2일/2010년/전국일주|이 산에서 등산과 비박을 하면 내장을 비울 수 있다고 한다.]]-- 가을철 단풍이 아름다워 옛날부터 조선 8경의 하나로 꼽혔다. 백제 때 영은조사가 세운 [[내장사]]와 임진왜란 때 승병들이 쌓았다는 동구리 골짜기의 내장산성이 있으며 금선폭포·용수폭포·신선문·기름바위 등도 잘 알려져 있다. [[분류:대한민국의 국립공원]][[분류:전라북도의 산]][[분류:전라남도의 산]][[분류:한국관광100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