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종로구의 법정동)] ||<-2> '''[[종로구|{{{#000000,#dddddd 종로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내자동}}}'''[br]內資洞 | Naeja-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종로구 내자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서울특별시 || || '''기초자치단체''' || 종로구 || || '''행정표준코드''' || 1111011400 || || '''관할 행정동''' || 사직동 || || '''면적''' || 0.05㎢ || [목차][clearfix] == 개요 == 내자동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동(행정구역)|동]]이다. 행정동으로는 [[사직동(종로구)|사직동]]에 속해 있으며, 동주민센터는 사직동주민센터로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서울)|사직로9길]] 1 ([[사직동(종로구)|사직동]])에 위치하고 있다. == 동명 유래 == [[조선시대]] [[호조(조선)|호조]] 소속의 관서로 궁궐의 쌀, 면, 술, 장, 기름, 비단, 채소, 과일 등의 공급을 담당하던 '내자시(內資寺)'라는 관청이 있던 데에서 유래하였다. == 주요 명소 및 기관 == === 지역명소 === * 종침교 터[* [[성종(조선)|성종]] 때 [[갑자사화]]의 원인이 되는 [[폐비 윤씨]]의 사사에 관한 문제로 조정에서 회의가 열렸는데, 당대 유명한 재상이었던 허종과 허침 형제는 이 종침교에서 떨어져 다쳤다는 핑계로 참석하지 않았다. 그래서 이들은 [[연산군]]의 폭정으로부터 살아남을 수 있었고, 이 다리는 형제의 이름을 따와 종침교가 되었다.]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서울)|사직로8길]] 39 (내자동) * 내자시 터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서울)|사직로12길]] 21 (내자동) * 장흥고 터[* [[조선시대]] 궁궐에서 사용하는 돗자리나 종이 등을 공급하던 관청이다.]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서울)|사직로8길]] 31 (내자동) * 세종마을음식문화거리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자하문로1길]] 일대 (내자동) === 기관 === * [[서울특별시경찰청]]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서울)|사직로8길]] 31 (내자동) * 주한중국문화원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서울)|사직로8길]] 23-1 (내자동) * [[김앤장|김앤장법률사무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서울)|사직로8길]] 39 (내자동) * 대한사립중고등학교장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서울)|사직로]] 113 (내자동) == 교통 == === 시내버스 === * [[서울 버스 171]] * [[서울 버스 172]] * [[서울 버스 601]] * [[서울 버스 606]] * [[서울 버스 700]] * [[서울 버스 703]] * [[서울 버스 708]] * [[서울 버스 710]] * [[서울 버스 7025]] * [[광역급행버스 M7129]] === 지하철 === * [[경복궁역]] : [[서울 지하철 3호선]] === 도로 === * [[사직로(서울)|사직로]] * [[새문안로]] * [[자하문로]] == 관련 문서 == * [[종로구/행정]] [[분류:종로구의 법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