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남해군]][[분류:남해군의 교통]][[분류:경상남도의 교통]]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남해군, version=880)]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남해군)] [목차] [clearfix] == 개요 == [[남해군]] 교통에 대해 정리한 문서. == 철도 == 섬지역이라서 그동안에 계획마저 없었지만 2023년 4월 마침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906864?sid=102|대전남해철도]]가 경남도차원에서 검토중에 있다. [[한려해저터널]]이 완공된다면 남해읍으로 가기엔 [[여수엑스포역]]에서 이동하는 게 가장 빠를 것이다. == 도로 == [include(틀:남해군의 로)] [[1973년]] [[남해대교]]가 생기기 전에는 연락선을 이용하여 남해군에 들어갈 수밖에 없었다. 1973년 6월 길이 660m의 남해대교가 개통되면서 육지와 직접 연결되었고 남해군의 교통이 비약적으로 개선되었다.[* 여담으로 그 유명한 돌아온 백구의 이야기를 다룬 동화책에서 백구가 이 남해대교를 [[진도대교]]로 착각하고 건너는 장면이 나오기도 한다.] 1980년에 창선도를 잇는 창선교[* [[창선교 붕괴 사고|1992년 붕괴]]되어 1995년에 재개통되었다.], 2003년에 창선도와 육지를 잇는 [[창선삼천포대교]]가 개통되면서 도로망은 한층 발달한 상태다. [[2018년]] [[9월 13일]]에는 오래된 남해대교를 확장 및 대체하는 [[노량대교]]가 새로이 개통되었다. === [[고속도로/대한민국|고속도로]] === 1개도 없다. 고속도로를 통해 남해군을 오가려면 [[남해고속도로]] [[하동IC]][* [[전라남도|전남]] 동부권과 남해군을 오갈 때 이용한다.], [[진교IC]][* 남해대교를 건너 [[1002번 지방도]]를 쭉 타고 올라간다. 창선삼천포대교 개통 전에는 [[부산광역시|부산]], [[창원시|창원]], [[진주시|진주]] 등지와 남해군을 오갈 때 이용했으며 현재도 남해읍 등 서부권은 사천IC보다 이쪽이 더 빠르다.], [[사천시]]의 [[사천IC]][* 부산, 창원 등지와 남해군(주로 창선, 삼동 등 동부권)을 오갈 때 이용하며 3번 국도를 타고 창선도, 삼천포대교를 건너 쭉 올라간다.]를 이용한다. === [[국도]] === * [[3번 국도]]: 미조면 초전삼거리가 기점이다. 남해도 동부 해안을 타고 올라가며 삼동,창선을 거쳐 [[사천시]]로 간다. 창선교와 창선삼천포대교가 이 국도에 해당된다. 시골만 지나가는만큼 전구간 왕복 2차로다. * [[19번 국도]]: 미조리가 기점이다. 남해군을 대각선으로 남북으로 관통하는 국도로, 상주,이동,남해,고현,설천을 거쳐 [[노량대교]]를 타고 [[하동군]]으로 넘어간다. 과거 [[남해대교]]가 이 국도에 속해 있었으나 노량대교 개통후 변경되었다. 이동면소재지인 무림리부터 북쪽으로 2018년 최종적으로 왕복 4차로로 개량되어 있으며, 노량대교도 개량 차원에서 새로 만들어진 다리이다.[* 여담으로 미조면은 국도 3호선과 19호선의 기점이며 19번 국도는 좌로, 3번 국도를 우로 올라가다가 [[충주시|충주]]에서 다시 합류한다. 두 국도는 [[http://dmaps.kr/26u4o|용두교차로-세성교차로 구간]]에서 중첩구간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두개의 국도가 같은 기점에서 교차 후 타 지자체에서 다시 교차 및 구간이 중첩되는 경우는 대한민국의 국도에서 사실상 유일하다.] * [[77번 국도]]: 사천시에서 [[3번 국도]]와 중첩된 상태로 넘어온 뒤 초전삼거리에서 [[19번 국도]]와 중첩되어 북상한다. 고현면에서 분기한 뒤 서쪽 해안을 따라가서 서면 남상리에서 국도 지정이 끝난다. 여기서부터는 [[여수시]]를 잇는 한려대교가 개통할 예정이나 경제성 문제 때문에 대안으로 [[한려해저터널]]로 변경되어 착공 예정이다. 의외로 해저터널로 연결하면 공사비가 많이 줄어 경제성이 상승한다고 한다. 제일 큰 이유는 만약 해당 구간을 다리로 건설하려면 [[광양제철소]]로 향하는 대형선박의 통과를 위해 다리를 매우 높게 건설해야 하기 때문에 공사비가 상승하기 때문이다. 2032년 초까지 [[https://www.chosun.com/national/regional/honam/2023/01/20/X3WA3TBCT5E35EZJUQEWQ333C4/|해저터널을 건설할 예정]]이다. 또한 남해군은 [[3번 국도]]와 [[1024번 지방도]]의 일부([[삼이로]])를 선형 개량 사업을 하였다. === [[지방도]] === *[[1024번 지방도]]가 유일하다. == 버스 == 군내 교통은 [[버스]]가 담당하고 있다. === 시외버스 === 지역 향토업체인 [[남흥여객]]이 관내 버스노선을 모두 담당한다. 원래 남해여객이라는 회사도 있었으나 2007년에 폐업하였으며, 지금은 진주 [[부산교통]]에서도 시외버스를 운행하나 부산서부 ~ 남해간 계열사 [[영화여객]]이 1일 1회 시외버스를 운행하는 것 밖에 없다. 군내를 운행하는 버스는 기본적으로 완행이다. [[남해시외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하는 시외버스라 하더라도 [[남해고속도로]]를 타기 전까지는 [[군내버스]]처럼 완행으로 운행한다. 다만 [[시외버스 서울남부-남해|서울행 노선]]은 남해시외터미널을 출발해 남해 군내 고현면 대사리, 설천면 노량대교 앞 2곳 매표소 있는 곳에서는 승차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두 곳 외에는 무정차 통과하며 [[하동군]] [[진교시외버스터미널]]을 거쳐 직행으로 운행한다. 서울에서 남해방면 하행선은 [[하동군]] [[진교시외버스터미널]]에서부터는 승차는 불가능하지만 기사에게 내리는 곳만 이야기를 하면 하차할 수 있다는 점도 알아두면 좋다. === 농어촌버스 === 군내버스는 남해읍 공영 버스와 지족-삼천포([[사천시 시내버스]]와 공동배차.)를 제외하면 시외버스 면허였으나 [[2019년]] [[1월 1일]]에 농어촌버스로 전환되었다. 2023년 3월 1일부터 전 구간 단일요금제 시행으로 1,000원으로 남해군 어디든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센스패스]], [[티머니]], [[레일플러스]] 교통카드를 사용 가능하다. 그렇지만 어르신들은 거의 대부분 매표소에서 표를 사거나 현금 승차하신다. 각 정류소별로 안내 방송이 나오므로 이전처럼 탑승 시 어디 간다고 말해놓을 필요 없다. 하지만 군내버스의 단점은 각 노선이 최소 한 시간의 텀을 가지고 있으며 하루에 몇 회만 운행하는 노선이 있다. 또한 버스도착알림 서비스가 없고 버스시간표에만 의존하고 있어 버스를 놓치면 답이 없는 상황이 발생한다. 섬이 괜히 섬이 아니다, 사실상 [[오지]]라고 볼수있다. == 택시 == [[택시]]요금은 기본요금 4,700원이며 133m 당 150원, 복합할증은 기본요금에서 30%이다. 전국 최상위 클래스이며 남해읍(공용버스터미널)에서 [[남해독일마을]]까지 할증이 붙으면 20,000원 이상 정도 나온다. == 여객선.[[항구]]와 어항 == 1973년 남해대교가 개통된 이후 2013년까지 유일하게 [[전라남도]] [[여수시]] 여수항과 남해군을 연결하는 정기선이 있었으며 2013년부터 관련 여객선들이 전면 중단되었으며 서면에 서상여객선터미널은 현재는 게스트하우스로 리모델링했다. 현재 남해대교유람선을 제외하고는 여객선이 없다. *국가어항 : 물건항, 미조항 *지방어항 : 광천항(창선면), 냉천항, 당저항, 당항항(창선면), 서상항, 선소항(남해읍), 원천항, 유포항, 은점항, 장포항, 적량항, 지족항(창선면), 항도항, 항촌항(14개소) *어촌정주어항 : 가인포항, 가학항, 가천항, 감안항, 고두항, 고모항, 고사항, 고순항, 고잔항, 고현항, 곤유항, 광두항, 구도항, 구미항, 금송항, 금전항, 금평항, 금포항(상주면), 남상항, 노구항(미조면), 노구항(서면), 노도항, 노량항, 노루목항, 단항항, 답하항, 당항항(창선면), 대곡항(창선면), 대량항, 대벽항, 대지포항, 덕월항, 도마항, 동대항(창선면), 동비항, 동흥항, 두곡항, 두모항(상주면), 모천항, 문항, 벽련항, 보천항, 복병항, 봉우항, 북섬항, 사촌항, 사포항, 상남항, 상주항, 서대항, 선구항, 설리항, 섬호항, 소량항, 소벽항, 송남항, 수원늘항, 숙호항, 식포항, 신흥항, 심천항, 양화금항, 옥동항(설천면), 와현항(삼동면), 왕지항, 용소항, 월곡항, 월포항, 유구항, 율도항, 이어항, 작장항, 장항항(서면), 전도항(삼동면), 정포항, 조도항(미조면), 지족2항, 지족항(창선면), 진목항, 차면항, 천포항, 초양항(이동면), 초천항, 토촌항, 평산2항, 평산항, 호도항, 홍현항, 화계항, 화전항, 후리망골항(91개소) 총계 : 107개소(경남도내 2번째로 많은 어항을 가지고 있고 전국에서 어촌정주어항을 가장 많이 보유한 지자체다.) == 항공 == 공항은 없으나 인근에 [[사천공항]]이 있다. 사천공항에서 남해군청까지는 차량으로 45분거리, 경계지점인 [[창선삼천포대교]]까지는 차량으로 25분거리라 서울수도권 지역에서는 항공편을 이용해 남해군을 오고가는 경우도 있다. 현재 사천공항은 하루에 두 편 서울(김포)로 가는 항공편 밖에 없다. 참고로 남해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남해도]]는 전국에서 5번째로 큰 섬이기에[* [[제주도]], [[거제도]], [[진도]], [[강화도]] 다음.] 만약 남해군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관광을 하러 올 것 이면 항공을 이용해 [[사천공항]] 또는 [[KTX]], [[SRT]]을 이용해 [[순천역]] 또는 [[진주역]]에서 [[렌트]]를 하는 걸 추천한다. [* 남해군 내에 지역 렌터카 회사가 1곳 있으므로 이곳에서 빌리는 방법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