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fff {{{+1 '''남항·부산항대교 영도연결도로'''}}}[br] 南港·釜山港大橋 影島連結道路 | Yeongdo Highway Overpass }}} || ||<#fff> ← [[신평동(부산)|{{{#!html신평동}}}]] {{{#!html방면}}}[br][[부산항대교]] ||<-2><#2131AA> [[내부순환도로|{{{#!html
66번
부산광역시도
}}}]] ||<#ffffff> [[신평동(부산)|{{{#!html신평동}}}]] {{{#!html방면}}} →[br][[남항대교]] || ||<-4> '''{{{#fff 노선 번호}}}''' || ||<-4> '''[[내부순환도로|66번 부산광역시도]]''' || ||<-4> '''{{{#fff 기점}}}''' || ||<-4> [[부산광역시]] [[영도구]] [[남항동3가]] [[남항대교]] || ||<-4> '''{{{#fff 종점}}}''' || ||<-4> [[부산광역시]] [[영도구]] [[청학동(부산)|청학동]] [[부산항대교]] || ||<-4> '''{{{#fff 연장}}}''' || ||<-4> 2.4km || ||<-4> '''{{{#fff 관리}}}''' || ||<-4> [[부산시설공단|[[파일:부산시설공단 로고.svg|width=120]]]] || ||<-4> '''{{{#fff 왕복 차로 수}}}''' || ||<-4> 4차로 || ||<-4> '''{{{#fff 주요 경유지}}}''' || ||<-4> [[남항대교]] ↔ [[부산항대교]] || [[파일:남항,부산항대교 영도연결도로_1.jpg]] [목차] == 개요 == [[부산광역시]] [[영도구]] [[남항동3가]] [[남항대교]]에서 출발하여 [[청학동(부산)|청학동]] [[부산항대교]]에서 끝나는 고가도로. [[내부순환도로|66번 부산광역시도]]의 일부이다. 영도고가교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 역사 == 시민들의 반발로 [[http://www.nocutnews.co.kr/news/520775|지하차도로 만드는 것을 검토했으나]] 여러 가지 문제를 우려해 당초 [[계획대로]] [[http://www.nocutnews.co.kr/news/710268|고가도로로 결정했다.]][* 지하차도로 건설시 도로 경사 문제로 화물차량 통행에 지장이 있어 고가차도 건설로 확정이 되었다. 현재 영도구에는 지하차도가 단 하나도 없으며 [[철도가 지나지 않는 시와 군|도시철도가 유일하게 들어오지 않는 구]]이다.] 건설 도중 [[남·북항대교 영도연결도로 붕괴 사고]]가 일어났다. 이로 인해 공사가 지연되어 개통도 지연되었다. 우여곡절 끝에 [[2014년]] [[10월 7일]]에 개통되었다. == 개통 이후 == [[영도구]] 도심을 지나가지 않고 [[고가도로]]로 매우 빠르게 [[남항대교]]와 [[부산항대교]]를 왕래하여 [[동부산]]과 [[서부산]]을 더욱 빠른 시간내로 이어주게됨으로서 부산항대교의 수요가 대폭 증가되었으며 덤으로 남항대교의 수요도 덩달아 증가하였다. 실제로 길만 막히지 않는다면 10분 이내로 남구 [[용당동(부산)|용당동]]에서 서구 [[암남동]]까지 도착이 가능하며[* 해당 구간을 잇는 [[부산 버스 134|134번]]의 경우 기점에서 종점까지 약 45분 가량이 걸린다.] 덩달아 신선대[[지하차도]]까지 개통되어 남구 구간도 도심을 지나가지않고 지하차도로 빠르게 오갈 수 있게 됨으로서 수요가 덩달아 증가하는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였다. 당연하지만 시내버스는 이 고가도로를 지나지 않고, 앞으로도 고가도로로 다니는 노선이 생길 일이 없을 것이다. 1006번과 1011번이 다니는 하부도로는 이들 노선의 핵심 수요처인 영도를 지나는데, 특히 영도주민들이 1011번에 의존할 만큼 매우 중요한 곳이기 때문이다. 시내버스는 교통수요를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시외버스는 시내버스보다는 이 도로를 이용할 가능성이 조금 더 높긴 하지만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발 거제, 통영[* 이미 운행중이긴하다 남마산에서 연결된다. 여기서 말하는 건 [[거가대교]] 경유 무정차 혹은 거가대교, 고현 경유 준무정차를 말한다.] 혹은 진해행이 생기지 않는 한 모든 대중교통을 통틀어 이 고가도로를 다니는 경우는 없을 것이다. 이마저도 영도에 중간정차한다면 고가도로 상에 시외버스 정류장[* 영선1동 지점에 비상주차대가 있는데, 엘리베이터 혹은 계단을 만들어 연결하면 시외버스 정류장을 만들 수 있다.]을 만들지 않는 한 이용할 수 없다. 물론 고가도로에 [[경원여객(경남)|경원여객]], [[부산교통]] 등 과속 대마왕이 와도 구간단속 때문에 신나게 밟을 일도 없을 것이다. 영도고가도로의 시외버스 운행에 대해서는 다른 문제도 있는데, 영도고가도로를 포함한 해안순환도로 구간은 국도 운임이 적용되어 실제로 이런 형태의 시외버스가 있을 경우 운임이 매우 비쌀 것이다. [[고속버스]] 면허로 운행하는 경우 ([[전환고속]] 포함)와 고속화도로에 대해 고속도로 운임을 받도록 결단을 내린 [[전북고속]], [[호남고속]] 등 [[전라북도]] 면허 시외버스만이 예외가 되는데,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의 존재로 인해 영도고가도로에 고속버스[* 고속버스 면허로 운행하기 위해서는 운행거리 100 km 이상, 운행 구간의 60% 이상이 고속도로여야 한다.] 혹은 전라북도 면허 시외버스 운행에 메리트가 없다. 고가도로로 건설한 대신 영선대로에 대형 지하 공영주차장을 만들었다. == 제한속도 == 전 구간 '''70km/h'''로 되어있으며 [[구간단속]]을 시행하기때문에 섣불리 [[과속]]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분류:영도구의 도로]][[분류:내부순환도로]][[분류:해안순환도로]][[분류:고가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