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식물 남천 및 한반도 내 다른 남천, rd1=남천)] ||<-2> {{{#fff '''경상북도 지방하천[br]{{{+1 남천}}}'''[br]南川 | Nam River}}}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남천 석양.jpg|width=100%]]}}} || || {{{#fff '''발원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신계리 || || {{{#fff '''하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경상북도]] [[경주시]] [[사정동(경주)|사정동]] [[형산강]] 삼천기 || || {{{#fff '''지류'''}}} ||원동천 || || {{{#fff '''길이'''}}} ||21.78km || || {{{#fff '''유역'''}}} ||[[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신계리 · 괘릉리 · 시래동 · [[마동(경주)|마동]] · 시동 · [[조양동(경주)|조양동]] · 평동 · [[도지동]] · [[남산동(경주)|남산동]] · 동방동 · [[배반동]] · [[인왕동]] · [[교동(경주)|교동]] · [[황남동]] · 탑동 · [[사정동(경주)|사정동]] || || {{{#fff '''유역 면적'''}}} ||85.92km^^2^^ || || {{{#fff '''수계'''}}} ||[[형산강]] 수계 제1지류 [br]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주시]]의 [[지방(지리)#s-2|지방]] 2급 하천. [[외동읍]] 신계리에서 발원하여 [[불국사]] 주변을 거쳐 [[국립경주박물관]]ㆍ월정교ㆍ동부역사 사적지구 등을 지나 사정동에서 [[형산강]](서천)에 합류한다. == 상세 == [[신라시대]]부터 [[경주 월성]] 앞에 있는 제법 중요한 하천이었다. 남산에 가려면 건너야 했고, 그로 인해 [[월정교]]가 건설 되었다. 또 [[남궁]]으로 추정되는 現 국립경주박물관 쪽으로 건너는 다리 [[일정교]]도 있었다. [[조선시대]]에 와서는 문천(蚊川)이라 하였는데, 이는 토박이말 몰개(모래, 성조는 몰ˋ개ˊˋ)가 모깨이(모기, 성조도 몰개와 동일)랑 비슷해서 문천, 즉 모기내라는 터무니없는 이름이 붙었다(...). 상류 구간은 사등이천(史等伊川)이라 부른다고 한다. (출처: 최용주-역사의 땅 경주, 아름다운 전설과 함께하다) 강변의 도로는 북쪽으로는 서천야구장부터 월정교까지는 [[강변로(경주)|강변로]], 오릉교부터 국립 경주 박물관까지는 [[일정로]]가 있고 그 외의 작은 도로들이 있다. 시내에서는 그렇게 가깝지는 않지만 유명 관광지 [[황리단길]]에서는 제법 가깝다.또 불국사 구간 쪽은 불국동 등과 가깝다. 가까워 시민들이 산책을 하거나 운동을 하기 위해 많이 찾는다. 또 운동 기구도 설치되어 있다. 또 교촌교 북단과 박물관 사이의 일정로에는 자전거, 삼륜차(?), 스쿠터 등을 타고 가는 관광객들과 자전거를 타는 시민을 볼 수 있으며, 일정로와 강변로는 산책하기 좋다. 신라시대에 쓰인 금 중에는 남천에서 채취한 사금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지금도 사금이 있다고 한다.--시민인데 뉴스에서 처음 봤다.-- 경주시의 하천 중에서는 물이 얕은 편에 속한다. 남천을 따라가면 많은 관광지, 문화재를 볼 수 있다. 현재 2019년의 태풍으로 인하여 월정교 동쪽 구간의 남천을 복구 중이다. 신라시대의 교량터 중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는 교량인 월정교와 일정교 모두 남천 위에 있다. [[분류:경주시]][[분류:경상북도의 하천]][[분류:형산강]][[분류:남천(경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