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여자대학교)] [목차] [clearfix] == 개요 == [[여자대학교]]의 반의어로 '남자들만 다니는 대학'을 뜻한다. 줄임말은 '남자대학' 또는 '남대'. '''현재 대한민국에는 남자대학이 존재하지 않는다.'''[* 참고로 국립대학은 단성대학이 없으며 여자대학은 모두 사립이다. 가톨릭 신학대학을 남자대학으로 생각하기 쉬우나 사제 양성 과정만 남자 단성이고 신학 연구 과정은 성별 제한이 없다.] == 상세 == '남자대학교', '남자대학', '남대'는 모두 [[대한민국 표준어|표준어]]에는 없는 말이다. [[https://opendict.korean.go.kr|우리말샘]]에 남대(男大)가 수록되어 있으나 '어떤 대회나 경기에 참가하는 남자 대학생'이라는 다른 뜻으로 쓰였다.[* 남초부, 여초부, 남중부, 여중부, 남고부, 여고부, 남대부, 여대부 등을 의미.] [[광복]] 이전 교육은 남녀분리가 원칙이어서 일제강점기 한반도의 유일한 [[대학]]이었던 [[경성제국대학]]의 경우 여자고등보통학교나 구제고등여학교를 졸업한 여학생은 바로 경성제대 예과에 진학할 수는 없었다. 그러나 예외적으로 선과(편입)를 통해 본과로 입학하는 경우에는 여학생도 입학이 가능해 [[모윤숙]], 국정효, [[신진순]], 고옥남, [[이남덕]] 등이 수학했고 마찬가지로 선과 입학한 일본 여학생들도 있었으므로 딱히 어느 쪽이라고 단정하기 어렵다.[* 다른 제국대학의 경우 [[도호쿠제국대학]]처럼 설립 초창기부터 여학생이 입학이 가능한 학교도 있고 [[도쿄제국대학]]이나 [[교토제국대학]]처럼 끝까지 불가능했던 경우도 있어 학교마다 정책이 달랐다.] [[구제전문학교]]인 [[보성전문학교]], [[연희전문학교]] 등도 남학교였지만 당시는 대학이 아닌 전문학교였으므로 남대는 아니다. [[광복]] 후에는 모두 [[남녀공학]]으로 바뀌었다. 남자대학이라 하더라도 교명에 직접 '남자'란 명칭은 쓰진 않았다. 사실 대학뿐만 아니라 [[남자중학교|남중]], [[남자고등학교|남고]]도 교명에 '남자'를 넣지 않는다. 아직까지도 차별적인 언어가 남아 있어 여기자, 여의사란 말은 있어도 남기자, 남의사라고 하지 않는 것과 비슷하다. 따라서 교명으로 쉽게 알 수 있는 [[여자대학교]]와 달리 남자대학교 여부는 모집 단위를 모두 따져 보아야 한다. 결론적으로 군사, 종교, 체육 등 일부 모집 단위에서 남자만 선발하는 경우는 있으나 대학 전체로 남자만 선발하는 곳은 현재 한 곳도 없다. 모든 [[사관학교]]와 [[경찰대학]]이 공학으로 전환됐고 종교 계열 대학도 모두 여학생을 선발하고 있다. [[가톨릭]] [[사제(성직자)|사제]]를 양성하기 위한 [[신학과/가톨릭|신학과]]만 설치된 [[광주가톨릭대학교]], [[대전가톨릭대학교]], [[수원가톨릭대학교]]의 경우 성직자 양성 과정이 아닌 신학 연구 과정으로 평신도 여학생이나 수녀도 지원할 수 있으며 실제로 매년 한두명 여학생이 입학한다. 여자 신입생이 없는 해도 있으나 이는 여자 지원자가 없거나 선발 기준에 미달했기 때문이다.[* 대전가톨릭대학교의 경우 2016학년도에 2명의 여학생이 입학한 후 2017~2020 신입 여학생이 없다가 2021년에 1명이 입학했다.] 이들 3개교 외 가톨릭 산하의 다른 대학들은 종합대학이거나 신학대학이 없는 남녀공학이다. [[중앙승가대학교]]의 경우 [[비구니]]가 있어서 남대가 아니다. [[원불교]] 계열인 [[영산선학대학교]]나 여러 [[개신교]] 계열 신학대학도 모두 남녀공학이다. 한편, 일각에서는 남자 대학이 존재하지 않고 여대만 존재하는 점을 성차별이라고 여기는 목소리가 나오기도 한다. 여대가 존재함으로써 남성의 정원이 제한되므로 [[여성 할당제]] 식의 색깔을 띠게 된다는 것이다. 해외의 사례로는 1982년 7월 [[미시시피]] 주 오코너 법원이 미시시피 여대에 남학생을 입학시키지 않는 것을 남성에 대한 차별이라 하여 위헌 판결을 내린 바 있다. [[미국]]의 경우 [[프린스턴 대학교]]와 [[예일 대학교]]는 [[1969년]]에, [[하버드 대학교]]는 [[1977년]]에 여학생 입학을 허용할 정도로 남녀 구분이 있었다.[* 이 때문에 [[힐러리 클린턴]]이 [[아이비 리그]] 대학에 진학하지 못한 것이다.] [[미국]]의 남자대학에 대해서는 [[https://en.wikipedia.org/wiki/Men%27s_colleges_in_the_United_States|이곳]]을 참조. 우스개로는 [[공과대학|공대]]가 남자대학이라는 소리도 있는데 [[공대녀|공대에도 비록 소수이긴 하지만 여자는 존재하며]] 또 없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학과/전공 특성상 여자들이 기피하는 것이지 입학이 제한된 것은 아니다. 또한 [[도시공학과]], [[건축학과]]와 같이 공대 중에서도 성비가 1:1에 가깝게 형성되는 학과도 있다.[* 도시공학은 사회과학의 성격이, 건축학은 예술학의 성격이 어느 정도 섞여 있기 때문이다. 이들은 문과생의 [[교차지원]]도 활발히 받는다.] 과거부터 [[한양대학교]]가 [[한양대학교/서울캠퍼스/학부/공과대학|공대]] 이미지가 강하다 보니 종종 한양남대로 불리기도 했지만 실제로는 여자 신입생 비율이 2022년 기준 39.8%로 [[서울대학교]] 38.1%, [[서울시립대학교]] 37.6%, [[광운대학교]] 36.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37.8%, [[포항공과대학교]] 20.1%,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 15.3% 등과 비교해 낮지 않은 수치다. [[징병제]]인 한국 특성상 남자대학이 있다면 병역의무로 인한 군휴학 때문에 학사운영이 어려울 것이라는 이야기가 있는데 근거 없는 소리다. 군휴학으로 사라진 인원만큼 '''군필 복학생'''으로 자연스럽게 알아서 채워지기 때문. 남성 비율이 매우 높은 공대와 의대[* 다만 의대는 졸업 후 [[군의관]]이나 [[공중보건의사]]로 병역을 해결하기에 군휴학이 타 학과보다 상대적으로 적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도 잘만 운영된다. [[분류:대학교]]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서, title=남대, version=78, paragraph=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