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남원시)] [목차] [clearfix] == 개요 == [[남원시]]의 교통에 대해 정리한 문서. == 철도 == 남원시는 [[전주시|전주]]와 [[광주광역시|광주]], [[대구광역시|대구]]의 중간에 위치해 있으며, [[전라도|호남]]에서 보기 드문 철도 초강세 지역이자 버스의 무덤에 속한다. [[전라선]] 철도가 지나가며, 중심역인 [[남원역]]은 1931년 10월 영업을 시작했다. 본래는 시내인 남원성 북문 근방인 [[동충동]] 구 시청 광장에 있었는데, 2004년 4월 복선화 공사과정에서 시 외곽인 [[신정동(남원)|신정동]]으로 이전했다. 그래서 조금 오가기 불편하지만 그래도 시내 초입까지는 택시로 기본요금 거리. 다만 생각보다 시내버스가 일찍 끊긴다. 시내로 들어오는 시내버스는 좀더 오래 운행하지만, 수요 문제인지 남원역으로 나가는 버스는 9시 즈음에 끊긴다. [[KTX]]는 2011년 10월 5일부터 운행을 시작했고, 다이어 개정 때마다 전역 정차와 왕복 1대 정도의 통과열차 편성이 오락가락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호남고속선]] 운행이 개시된 2015년 4월 2일부터 [[전라선]] 권역의 5번째 필수정차역이 되었다. [[전주역|전주]] 이남의 타 [[전라선]] 권역과 함께 [[용산역|서울]]행 노선은 전통적으로 철도가 우세했다. 1970년대 이후에도 한동안 이 지역의 간선도로 사정이 철도에 비할 수 없을 만큼 엉망이었기 때문이다.[* [[17번 국도]]의 안 좋은 선형이 남원에도 해당되어 지역의 엄청난 골치거리였다. 지금은 지방도로 격하된 [[17번 국도]] 전주 - 남원 옛 구간은 [[노령|노령산맥]]과 많은 고개를 넘어다녀 선형도 불량한데, 면소재지는 다 지나느라 교통사고 위험이 높았고 심지어 도로를 건너는 신호등이 모두 설치되는 것도 한참 걸렸을 지경이었다. 가히 [[전라북도]] 차원의 흑역사였다. 하지만 [[경상북도]] [[경주시]]와 [[전라남도]] [[순천시]]에 비하자면 교통사고는 낮았고, 현재는 도로 정비가 꽤 잘 되어 있다.] 그러던 것이 남원역이 신정동으로 이설되고 [[순천완주고속도로]]가 개통되면서 버스가 상당한 우위를 점했다가, [[KTX]] 개통 이후 모든 [[전라선]] 연선지역이 그렇듯이 경쟁력을 많이 되찾아 왔고 2015년 [[호남고속선]] 개통 이후엔 철도 초강세로 다시 전환되었다.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의 추가검토 노선에 광주와 대구를 잇는 "[[달빛고속철도|달빛고속철도(대구광주선)]]" 사업이 최우선 검토 사업이라, 향후 이 노선이 개통되면 [[남원역]]은 전라도와 경상도간 교통의 요지 역할은 물론 관광객 증대효과도 노릴 수 있는 긍정적 효과들이 기대된다. 다만 남원 시가지가 동북부로 확장되어 가고 있기 때문에 서남부 끝이라 굉장히 애매하다 할 수 있는 남원역사의 위치가 어떤 역할을 할지, 역사 증설 또는 신설 문제가 거론될 것인지 미지수다. 또한 십수년전부터 전남동부~강원도를 단거리화시키는 동시에 [[달빛고속철도]]와 연계되는 [[https://n.news.naver.com/article/032/0000023080|남원-영동간 철도]]도 역시 만들려 했지만 소식이 [[https://n.news.naver.com/article/052/0000043279|없게]] 되버린지 오래되었다. [[한국철도공사]]가 제공하는 패스권인 [[내일로]]의 유명 행선지이기도 하다. 작은 도시 규모에 비해 볼거리가 많아 남원역에선 심심치않게 내일로 패스를 목에 건 젊은이들이 많다. 아예 역에서 텐트치고 자는 사람들도(...)[* 역사 밖에서 미니 텐트를 치고 잠을 잔다. 역무원들도 어느 정도는 이해해 주고 눈감아 주는 듯. 또 다른 이유로는 타 지역에 비해 게스트하우스나 저렴한 숙박시설이 많이 없기 때문이다.] == 도로 == === 고속도로 === [[광주대구고속도로]]([[남원IC|남원 나들목]]/[[동남원IC|동남원 나들목]]), [[순천완주고속도로]]([[서남원IC|서남원 나들목]], [[북남원IC|북남원 나들목]])가 지나가며, 양 고속도로는 [[남원JC|남원 분기점]]에서 교차한다. 다만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으로 오갈 때는 순천완주선에서 [[남원IC|남원 나들목]]으로 갈 때 굴곡이 있어서, 윗동네 [[임실군]]의 [[오수IC|오수 나들목]]으로 간다. === 국도 === [[13번 국도]], [[15번 국도]], [[17번 국도]], [[19번 국도]], [[24번 국도]]가 있으며 세부 상황은 다음과 같다. * [[13번 국도]]: [[곡성군]]에서 넘어와 대강면을 남북으로 관통하고 순창 쪽으로 넘어간다. 그냥 왕복 2차로 도로이다. * [[15번 국도]]: 대강면이 북측 종점으로 2021년 국도 노선 변경 지정만 되었다. * [[17번 국도]]: 곡성에서 올라와 남원시내를 우회하여 임실로 향한다. 전구간 왕복 4차로로 확장되어 있는데, 남원 이남으로는 한가하지만 이북으로는 교통량도 많고 선형도 안좋아서 사고가 매우 많이 나던 도로였다. 지금은 [[순천완주고속도로]] 영향으로 한가해졌다. * [[19번 국도]]: 구례에서 밤재터널을 넘어 남원시내로 향했다가 방향을 틀어 장수로 향한다. 시내 이남구간은 왕복 4차로, 이북은 왕복 2차로이다. 순천완주고속도로 개통 전 교통량이 많던 순천-남원-전주 구간을 확장할 때 원래 17번 국도 루트가 아닌, 구례를 지나는 19번 국도 루트가 확장되면서 상당히 이른 시기에 확장이 완료되었다. * [[24번 국도]]: 남원시를 동서로 관통하는 도로이다. 순창에서 넘어와 남원시내를 관통하고 운봉을 거쳐 함양 쪽으로 넘어간다. 시내 구간과 인월면 우회도로 구간을 제외하곤 아직 왕복 2차로이다. === 지방도 === 국가지원지방도는 [[37번 지방도]], [[60번 지방도]]가 있고 지방도는 [[721번 지방도]], [[730번 지방도]], [[737번 지방도]], [[743번 지방도]], [[745번 지방도]], [[751번 지방도]], [[861번 지방도]]가 있다. === 기타 === 전북도내 남부지역 동서간 교통망 개선을 위한 남원-정읍간 [[https://www.news1.kr/articles/?2378940|동부내륙국도]]와 김제시 새만금-남원간 [[http://www.jjan.kr/2127663|새만금지리산고속도로]]를 추진중에 있지만 갈길이 순탄치 못하고 있다. == 버스 == ===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 [[문화터미널남원]]은 시내 한가운데인 동충동에 있으며, [[17번 국도]]를 이용하는 [[전주시외버스공용터미널|전주]]행 [[시외버스]]는 15~30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그 외 [[서부정류장|대구]], [[유스퀘어|광주]]나 [[함양시외버스터미널|함양]]/[[진주시외버스터미널|진주]] 방면 버스도 다수 운행 중. 수도권 방면 시외버스는 동서울행과 [[부천종합터미널|부천]]행이 있으나 운행 편수가 적다. 동부권의 [[지리산]] 인근에 위치한 인월면의 [[인월지리산공용터미널]]에서도 [[함양군]] 백무동에서 출발하여 이곳을 경유하는 동서울행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지리산 근처에 인월터미널 말고도 달궁계곡 근처 뱀사골공용터미널이 위치해 있다. 고속버스 노선은 [[고속버스 서울호남-남원|서울 ↔ 남원]] 노선과 [[시외버스 인천-남원|인천 ↔ 남원]](서수원, [[오산역환승센터|오산]], 덕과 경유) 노선이 전부지만, [[시외버스 인천-남원|인천 ↔ 남원]] 노선은 코로나19의 여파로 올 스톱된 상태다. [[고속버스 서울호남-남원|서울 ↔ 남원]] 노선은 [[금호고속]]과 [[삼화고속]]이 50분~1시간 10분 간격으로 운행 중이다. 다만 [[도통동]]에 있었던 [[남원고속버스터미널]]은 시외터미널에 비해 접근성이 좋지 않았으며, 이용률 부진으로 2022년 3월 31일 운행을 마지막으로 [[남원고속버스터미널|고속터미널]]이 폐업하고 [[문화터미널남원|시외터미널]]과 통합했다. 이에 따라 [[고속버스 서울호남-남원|서울 ↔ 남원]] 고속버스는 [[동충동]]으로 기착지를 옮겨서 운행한다. 남원시청 홈페이지에 가면 기차와 [[고속버스]], [[시외버스]]의 배차표를 확인할 수 있다. === 시내버스 === 버스비는 성인 1000원 청소년 500원 최근 주 52시간제 시행으로 인해 [[남원시 시내버스]] 노선이 크게 줄어 대부분 19:00 ~ 20:00 즈음에 막차가 있고, 늦어도 21시에 버스가 끊기게 되어 늦은 시간에 이동이 어려워졌다. == 택시 == ||<-2> [[파일:남원시 CI_White.svg|width=25]]{{{#ffffff '''전북 남원시 택시''' }}} || ||<|5> '''일반택시''' || || 기본요금 4,300원(2km) || || 추가(병산제) 100원(32초/134m) || || 심야 및 시계외 할증 20% / 복합할증 40% || || 택시호출료 1,000원 || ||<-2> [[고속도로/대한민국|유료도로]] 이용료 승객 부담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남원시, version=736, paragraph=3)][[분류:남원시]][[분류:남원시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