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남수단)] [include(틀:세계의 국기)] [include(틀:남수단 관련 문서)] ||<-2> '''{{{#FCDD09 {{{+1 남수단 국기}}}[br]Flag of South Suda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남수단 국기.svg|width=100%]]}}} ||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남수단)] || || '''채택일''' ||[[2005년]] [[7월 9일]] ([[남수단]])[* 제2차 수단 내전에서 당시 수단 인민해방군 깃발로, 수단의 반정부군에 해당되었다. 이후 2011년에 UN의 중재로 분리되어 남수단의 국기로 채택.] || || '''비율''' ||1:2 || || '''유니코드''' ||🇸🇸 || [목차] [clearfix] == 개요 == [[남수단]]의 [[국기]]. == 상징 == 국기 위쪽의 검은색 줄은 [[아프리카]]인, 사이의 흰색은 [[평화]], 가운데 붉은 줄은 [[독립]]을 위해 흘린 피, 아래의 녹색 줄은 풍요로운 자연, 파란 [[삼각형]]은 [[나일 강]], 노란 별은 [[자유]]를 의미한다.[* 베들레햄의 별을 형상화했고 남수단 단결을 뜻한다는 설도 있다.] 정확히는 나일강의 상류 지류인 [[백나일강]]이 지나고, 에티오피아를 지나는 [[청나일강]]과 수단에서 합쳐진다. 이전 북수단과 분리 이전까지는 수단 공화국의 국기를 사용하였으나 범아랍색인 초록, 검정, 빨강, 하양을 상징하고 이 색깔들이 서아시아권 아랍 국가들 사이에서도 공통적으로 쓰이는 색이었는데 남수단 지역은 이슬람 성향이 강한 북수단과는 달리 이 국기가 자신들의 이미지와는 맞지 않고 이슬람교 대신 아프리카 토착신앙을 숭배하는 정서와 맞지 않아서 국기도 범아프리카의 색을 상징하는 초록, 노랑, 빨강에 파랑과 검정, 하양을 더해서 지금의 6색 국기를 만들었다. [[파일:남수단 국기(변형).svg ]] 기존까지 널리 쓰이던 남수단 국기 변형 버전. [[2023년]] [[남수단]] 정부는 진한 파란색과 기울어진 별이 그려진 기존에 널리 사용되던 변형된 버전의 국기 대신에 연한 파란색과 기울어지지 않은 별이 그려진 올바른 국기를 사용할 것을 권고했다. [[https://www.eyeradio.org/media-authority-warns-against-use-of-wrong-national-flag|#]] 그러나 여태까지 진한 파란색과 기울어진 별이 사용된 버전이 남수단 현지를 포함하여 전세계에서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되었음을 감안하면 [* 심지어 현직 대통령인 [[살바 키르 마야르디트]] 대통령의 사진도 변형된 버전의 국기가 배경으로 사용되었다.] 사실상 국기 교체라고 봐도 무방하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남수단, version=709, paragraph=2.2)] [[분류:남수단]][[분류:아프리카의 국기와 깃발]][[분류:나무위키 아프리카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