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동아프리카의 통화)] South Sudanese Pound [[파일:BankofSouthSudan.png|align=right&width=200]] [목차] == 개요 == 2011년 7월에 독립한 신생국인 [[남수단]]의 통화. 독립 후 아흐레만에 등장하였으니 미리 준비해놓고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 [[수단 공화국 파운드]]에서 분리되어 1:1값 그대로 교체한 통화이기 때문에 이것도 중동 파운드계 통화라고 할 수도 있기는 하다. 하지만 정서적으로 그러지 않을 뿐. 기호로는 £(lb)를 쓰고, 보조 단위로 피아스터를 사용하는 부분까지 똑같다. [[ISO 4217]] 코드는 SSP. 2023년 07월 04일 기준으로 환율은 '''1,000SSP / USD''' 이다. == 환전 == 이 나라의 지폐를 갖고 있다면 KEB하나은행에서도 비고시 추심 통화가 아니기 때문에 처분할 수 방법이 없다. 반대의 경우이라면 아래의 외국 통화가 환전이 가능하다. 목록이 있어도 시세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링크는 제외한다. * 아시아: 일본 엔 * 아프리카: 케냐 실링, 우간다 실링, 탄자니아 실링, 르완다 프랑 * 중동: 디르함 * 아메리카: 미국 달러 * 유럽: 유럽 유로, 영국 파운드[* 잉글랜드 발행권만 가능] == 상세 == 전 권종 앞면에 남수단 임시 정부의 대통령 [[존 가랑]]의 모습이 있다. ||<-2> || 도안 || || [[파일:attachment/남수단 파운드/ssdp1.jpg|width=100%]] || --5p-- || [[타조]] || || [[파일:attachment/남수단 파운드/ssdp2.jpg|width=100%]] || --10p-- || 콥영양 || || [[파일:attachment/남수단 파운드/ssdp3.jpg|width=100%]] || --25p-- || [[백나일강]] || || [[파일:attachment/남수단 파운드/ssdp4.jpg|width=100%]] || --£1-- || 기린 || || [[파일:attachment/남수단 파운드/ssdp5.jpg|width=100%]] || --£5-- || 흰풀라니소 || || [[파일:attachment/남수단 파운드/ssdp6.jpg|width=100%]] || --£10-- || [[아프리카물소]] || || [[파일:attachment/남수단 파운드/ssdp7.jpg|width=100%]] || £20[* 본래 액면은 25파운드였는데 변경했다.] || [[오릭스]] || || [[파일:attachment/남수단 파운드/ssdp8.jpg|width=100%]] || £50 || [[아프리카코끼리]] || || [[파일:attachment/남수단 파운드/ssdp9.jpg|width=100%]] || £100 || [[사자]] || || [[파일:South_Sudan_BSS_500_pounds_2020.00.00_B116b_P16_AR_9379622_f-1536x794.jpg|width=100%]] || £500 || [[백나일강]] || || [[파일:South_Sudan_BSS_1000_pounds_2021.00.00_B117b_PNL_BM_7066020_f-1536x796.jpg|width=100%]] || £1,000 || [[타조]] || * 동전은 1, 5, 10, 25, 50피아스터의 5종이 있지만 2022년 모두 '''사용 중지'''되었다. * 2022년 8월 4일부로 20파운드 미만의 권종은 모두 통용 중지된다. * 2016년 4월 22일부터 25파운드를 20파운드로 바꿔서 발행한다. 구권 25파운드의 경우 초반에는 사용 가능했지만 1의 자릿수 계산이 불가하기 때문에 2022년 8월 위의 권종들과 함께 통용 중지되었다. * 남수단 파운드의 가치저화가 심각해지자 2018년에 500파운드 지폐, 2021년에 1,000파운드 지폐를 새로 발행했지만 여전히 인플레이션이 심한지라 아예 외화 사용 쪽으로 눈길을 돌리고 있는 중. == 둘러보기 == [include(틀:남수단 관련 문서)] [[분류:통화]][[분류:남수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