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南北線 / North-South Line[* 그대로 해석하면 '북남선'이 되지만, 서양권에서는 "북-남-동-서"로 읽기 때문에 이렇게 사용하는 것. 이 때문에 싱가포르 MRT의 남북선은 영어로는 노스사우스 라인이나, 중국어로는 난베이선인 것.] / 南北线 / なんぼくせん}}} [목차] == 개요 == 한 도시의 남쪽과 북쪽을 잇는 노선에 붙는 이름이다. [[동서선]](東西線)과는 달리 아직까지 대한민국 내에서 사용한 적은 없는 이름.[* 부산 지하철의 경우 2호선이 동서선이라는 이름이 있었으나, 1호선은 남북선이 아닌 중앙선이라는 이름이 있었다.] 일본어로는 "난보쿠선"(난보쿠센), 중국어로는 "난베이선"이라고 읽게 된다. == 사용중인 곳 == * [[싱가포르 MRT 남북선]], [[싱가포르 MRT]]의 노선. * 일본 각지에 존재하는 [[난보쿠선]](南北線)들의 경우 해당 항목 참조. * [[남북선(베트남)]] == 사용할 수 있는 곳 == * 만약 [[수도권 전철]]의 호선제를 붙이는 노선들([[서울 지하철]] 노선들)이 별도의 노선명을 추가로 명명하게 된다면, [[수도권 전철 3호선|3호선]]과 [[수도권 전철 4호선|4호선]]이 "남북선"이라는 병기이름을 가질 만한 노선이다. 3호선은 관점에 따라 도심부부터 강남 부도심에서[[수도권 전철 5호선| 5,]][[수도권 전철 1호선| 1, ]][[서울 지하철 2호선|2, ]][[수도권 전철 4호선|4, ]][[서울 지하철 6호선|6, ]][[서울 지하철 9호선|9, ]][[서울 지하철 7호선|7, ]]2호선을 차례대로 남북으로 잇는다고 볼 수 있지만, 미묘하게 [[대각선]]으로 다니기 때문에 ~~[[수도권 전철]] [[대각선]]~~ 4호선이 가장 부합한 후보라고 볼 수 있겠다. 이럴 경우 3호선은 통일로선, 고궁선 --또는 [[돈화문로]]와 [[말죽거리]]를 지나는 한국판 [[튄마선]], 인과역설로 [[일산선]](의 연장선)-- 등의 이름을 가질 수도 있다. 한편 [[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은 [[한강]] 이남은 동서로 잇고 있어 남북선의 정의에는 부합하지 않는다. * 이외의 도시에서는 [[인천 도시철도 1호선]],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이 남북선의 정의에 부합한다.[* 대구 2호선은 동서선의 정의에 매우 부합한 편.] * [[부산광역시]]의 [[부산 도시철도 강서선|강서선]]은 [[강서구(부산)|강서구]]의 낙동강 삼각주를 남북으로 종단하는 노선이라 남북선의 정의에 부합한다. [[분류:한자어]][[분류: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