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구(부산)의 법정동)] ||<-2> '''[[서구(부산광역시)|{{{#000000,#dddddd 서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남부민동}}}'''[br]南富民洞 | Nambumin-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서구 남부민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부산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서구 || || '''행정표준코드''' || 2614012300 || || '''관할 행정동''' || 남부민1동, 남부민2동 || || '''하위 행정구역''' || 34통 153반 || || '''면적''' || 1.11㎢ || || '''인구''' || 13,064명[*A 2023년 4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11,769.37명/㎢ || [목차][clearfix] == 개요 == [[부산광역시]] [[서구(부산)|서구]] 남부에 있는 [[법정동]]. 북쪽으로는 [[충무동(부산)|충무동]]과 [[부민동]], 남쪽으로는 [[암남동]]과 접해있다. [[행정동]]으로 남부민1동과 남부민2동으로 나눠져있으며 남부민3동도 있었으나 지속적인 인구 감소로 인해 2008년에 남부민2동에 통합되었다. 동명의 유래는 [[부민동]]의 남쪽에 위치해 있다 하여 남부민동이라는 명칭이 붙여졌다. 동네를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도로는 4개가 있는데 송도아랫길이라 불리는 [[충무대로]], 송도윗길이라 불리는 [[천마로(부산)|천마로]], [[산복도로]]라 불리는 [[해돋이로(부산)|해돋이로]]와 함께 천마산이랑 가장 인접해있는 [[천마산로(부산)|천마산로]]가 있다. 이 중 천마산로를 제외하면 모두 시내버스 노선들이 지나다닌다. 다만 고저차로 인해 동서로 가로지르는 길은 존재하지 않는다. 부산공동어시장이 있는 곳으로 흔히 송도입구라고 불린다. 이름에서 볼 수 있듯이 부민동에서 분리된 지역으로, 공동어시장에서 천마산을 바라보면 산등성이를 휘감는 산복도로로 나뉘어진 몇 층을 두고 집들이 다닥다닥 붙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부산 원도심 특유의 향취를 잘 느낄 수 있는 유서깊은 곳이며, 주택 비율과 노인 인구 비율이 높으며 한적하고 조용하다. 특히 야간에는 대도시에서도 소도시 같은 한적함을 느끼며 산책이 가능하다. 그러면서도 버스 노선이 대부분 부산의 구도심인 [[남포동(부산)|남포동]]이나 시내버스 환승의 요지인 서구청 환승센터를 지나가서 교통이 편리하며, 남포동([[자갈치역]])과는 도보로 이동 가능한 거리라 생활에 불편함이 없다. 또한 바다와 산이 가까워서 자연 경관을 보기에도 좋은 등 여러 모로 생활하기 좋은 마을이다.[* 현재 암남동처럼 부분적으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데, 개발 후에 더 좋은 모습이 될지 아닐지는 아무도 모를 일이다.] 다만 같은 남부민동이라도 송도윗길에 비해 송도아랫길의 경우 대부분의 노선들이 남포동이나 영도로밖에 가지 않는다는 점이 흠이며 그나마 멀리 나가는 노선이 [[부산 버스 26|26번]]인데 송도아랫길에서 부산역으로 이어 주는 유일한 노선이지만 부산진시장으로 가기도 전에 감만동으로 빠져버린다. 해돋이로 산복도로마저 부산진시장으로 가주는 [[부산 버스 134|134번]]이 있는데 송도아랫길에서는 진시장으로 가려면 무조건 환승해서 가야만 한다. == 관할 행정동 == === 남부민1동 === ||<-2> '''[[서구(부산광역시)|{{{#000000,#dddddd 서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남부민제1동}}}'''[br]南富民第一洞 | Nambumin 1(il)-dong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서구 남부민제1동, 너비=100%, 높이=100%)]}}}|| || '''광역자치단체''' || 부산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서구 || || '''행정표준코드''' || 3260038 || || '''관할 법정동''' || 남부민동 || || '''하위 행정구역''' || 12통 56반 || || '''면적''' || 0.37㎢ || || '''인구''' || 4,653명[*A] || || '''인구밀도''' || 12,575.68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서구·동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안병길]] ,,(초선),, || ||<-2> '''부산광역시의원 | 제2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최도석]] ,,(재선),, || ||<-2> '''서구의원 | 나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혜경 ,,(재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이현우 ,,(초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하명희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충무대로255번길 5-26[* 남부민동 643-16] || || [[https://www.bsseogu.go.kr/index.bsseogu?menuCd=DOM_000000104007011001|남부민1동 행정복지센터]] || [clearfix] === 남부민2동 === ||<-2> '''[[서구(부산광역시)|{{{#000000,#dddddd 서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남부민제2동}}}'''[br]南富民第二洞 | Nambumin 2(i)-dong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서구 남부민제2동, 너비=100%, 높이=100%)]}}}|| || '''광역자치단체''' || 부산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서구 || || '''행정표준코드''' || 3260039 || || '''관할 법정동''' || 남부민동 || || '''하위 행정구역''' || 22통 97반 || || '''면적''' || 0.72㎢ || || '''인구''' || 8,411명[*A] || || '''인구밀도''' || 11,681.94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서구·동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안병길]] ,,(초선),, || ||<-2> '''부산광역시의원 | 제2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최도석]] ,,(재선),, || ||<-2> '''서구의원 | 나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혜경 ,,(재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이현우 ,,(초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하명희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천마로 87 (남부민동 456-6) || || [[https://www.bsseogu.go.kr/index.bsseogu?menuCd=DOM_000000104007012001|남부민2동 행정복지센터]] || 남부민2동에는 [[울지마 톤즈]]의 주인공 [[이태석]] 세례자 요한 신부의 출신 본당인 천주교 부산교구 송도성당이 있으며, 바로 곁에는 그의 생가도 복원되어 관련 자료(사진, 유물, 영상)들을 전시하고 있다. [clearfix] == 주요 시설 == === 주거 === || 아파트명 || 도로명주소 || 입주일자 || 세대수 || 구성 면적(평) || || LG마린타워 || 충무대로 181 || 1999.12.11 || 96 || 26~42 || || 대동맨션 [* [[헤어질 결심]]에서 송서래의 집으로 등장] || 천마로 57 || 1977.03.21 || 50 || 29~44 || || 대림비치아파트 || 충무대로 133 || 2003.08.11 || 440 || 24~32 || || 대진타워맨션 || 충무대로 185 || 1985.06.04 || 116 || 29~36 || || 마린포시즌2차 || 충무대로241번길 5-28 || 2018.06.07 || 58 || 21~26 || || 문화아파트 || 천마로187번길 20 || 1975.12.17 || 47 || 19~44 || || 민송베른시티 || 충무대로241번길 12 || 2016.11.22 || 52 || 30~31 || || 부산 충무대로 봄여름가을겨울아파트 || 충무대로 229 || 2020.04.?? || 190 || 29~31 || || 시영 남부민아파트 || 천해로13번길 3 || 1969.12.30 || 288 || 10~11 || || 충무맨션 || 충무대로255번길 9 || 1983.12.01 || 47 || 13~25 || || 현대타운 || 충무대로 246 || 1999.08.14 || 180 || 25~35 || === 경제 === * 공동어시장 === 문화 === * [[천마산조각공원]] === 교육 === ==== 초등학교 ==== * [[남부민초등학교]] * 천마초등학교 천마초등학교는 행정구역상 [[암남동]]에 속한다. 하지만 생활권의 상당 부분이 남부민2동과 겹쳐 통학수요가 집중되어 있다. ==== 중학교 ==== * [[송도중학교(부산)|송도중학교]] ==== 고등학교 ==== * [[부산관광고등학교]]: 前 [[부산정보디자인고등학교]] ==== 특수학교 ==== * 부산혜송학교 == 교통 == === 시내버스 === 동네를 거쳐가는 노선이 매우 많은데 주로 송도윗길과 송도아랫길을 통해서 암남동과 감천쪽으로 빠지는 노선들이 대부분 남부민동을 거쳐간다. 이 중 [[영신여객(부산)|영신여객]] 노선들과 9번은 송도윗길을 경유하여 가며 134번과 190번은 해돋이로 연선 주민들의 발이 되어주고있으며 나머지 노선들은 송도아랫길을 통해 간다. 이 중에서 134번과 190번은 산복도로인 [[해돋이로(부산)|해돋이로]]를 거쳐간다. 다만 노선만 많을 뿐이지 매우 다양한 지역으로 이어주는 노선들이 포진되어 있는 [[부민동]]에 비하면 새발의 피다. * [[부산 버스 6]] * [[부산 버스 7]] * [[부산 버스 9]] * [[부산 버스 16]] * [[부산 버스 26]] * [[부산 버스 30]] * [[부산 버스 61]] * [[부산 버스 71]] * [[부산 버스 96]] * [[부산 버스 134]] * [[부산 버스 161]] * [[부산 버스 171]] * [[부산 버스 190]] 이들 중 [[영신여객(부산)|영신여객]] 소속 노선인 17번과 61번과 161번의 경우 [[강서공영차고지(부산)|강서공영차고지]]의 개장으로 2023년 7월 29일부로 [[부산 버스 171|171번]]으로 노선변호가 변경되었다.[* 기존 [[부산 버스 17|17번]]은 신한여객 소속 [[부산 버스 66|66번]]의 노선번호 변경으로 태종대에서 영도를 빠져나와 충무동 굴곡 구간을 거쳐 당감동까지 운행하게 되었다.] 61번과 171번은은 강서구 [[명지동(부산)|명지동]] 입성으로 인하여 기존 노선이 각각 동의대역1번출구로 단축되었고, 171번의 경우 서구청으로 대폭 단축되어버렸다. 때문에 환승 없이 서면, 주례 등 도심으로는 가지 못하게 되었으다. 그나마 단축된 구간이 없는 161번마저 노선이 강서공영차고지까지 통째로 연장되어 배차간격이 대폭 늘어나버렸다. 따라서 이용불편이 발생할 우려가 매우 크며 명지동과 남부민동간의 [[지역감정]]이 심화될 우려가 있다. 더불어 막차시각마저 161번은 22:00경에서 20:30경으로 무려 1시간 30분이나 빨라졌으며 171번의 경우 22:20경에서 21:00경으로 1시간 20분이나 빨라져서 더이상 송도윗길 구간의 심야 수요를 책임지는 노선은 완전히 전멸하였다고 봐도 무방하다. 더군다나 61번은 막차시각이 19:50경으로 그야말로 총체적 난국이 되어버렸다. 그야말로 강서공영차고지 개장으로 인한 노선 개편으로 엄청 피해를 본 동네다. [[분류:서구(부산)의 법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