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호랑고양이속]][[분류: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목록/취약]] [include(틀:멸종 위기 동물)] ||<-2> '''{{{#fff {{{+1 남방호랑고양이}}}[br]Southern tigrina, Southern Tiger Cat}}}'''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Tigrina.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Leopardus guttulus'' '''[br] Hensel, 1872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포유강^^Mammalia^^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식육목]]^^Carnivora^^ || || [[생물 분류 단계#아목|{{{#000 '''아목'''}}}]] ||고양이아목^^Feliformia^^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고양이과]]^^Felidae^^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아과'''}}}]] ||고양이아과^^Felinae^^||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호랑고양이속^^''Leopardus''^^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남방호랑고양이^^''L.guttulus''^^''' || ||<-2> '''{{{#000 멸종위기등급}}}''' || ||<-2> [[파일:멸종위기등급_취약.svg|width=240px]] || [목차] [clearfix] == 개요 == 호랑고양이속의 고양이과 동물. [[호랑고양이]]의 자매종이며 최근까지 호랑고양이의 아종으로 여겨졌으나, 2013년 유전적 연구 결과 서식지가 서로 맞닫는 곳에서도 서로 번식하지 않는 것이 밝혀지며 새로운 종으로 재분류되었다. == 특징 == 호랑고양이와 매우 흡사하지만 조금 더 작아서 2~2.5kg 정도 나가며, 채색이 살짝 더 어둡고 꼬리가 조금 더 짧다. 그러나 개체간의 차이로 의해 실제로는 외형으로 이 둘을 동정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 생태 == [[브라질]]의 남동부 해안지역부터 브라질 남부 전체, [[아르헨티나]] 북부와 [[파라과이]] 동부에 걸쳐 분포한다. 브라질 동해안에 서식하는 개체들은 대서양 연안을 따라 성장하는 [[열대우림]]에서 발견되지만, 서식지 특성상 관목림, 건조림, [[사바나]]에서도 많이서식한다. 야행성이며, 땅 위에서 주로 지내지만 나무도 능숙하게 탄다. 근연종인 [[오셀롯]]은 남방호랑고양이에게 더 크고 강한 경쟁자이자 포식자이며, 오셀롯 개체수가 높은 지역에서는 개체수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이처럼 오셀롯이 남방호랑고양이같은 작은 고양이과 동물들 개체수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오셀롯 효과라고 한다.] 소형 [[설치류]]나 유대류, 소형 조류와 파충류들을 주로 먹는다. == 현황 == 호랑고양이와 마찬가지로 70~80년대에 벌어진 가죽을 노린 대규모 사냥에서 아직도 회복하지 못하고 았으며, 그 외 밀렵과 서식지 파괴로 의해 취약종으로 분류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