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0047a0 {{{+1 '''남대구 나들목'''}}}}}}[br]{{{#0047a0 {{{-2 '''南大邱 나들목'''}}}}}}[br]{{{#0047a0 {{{-2 '''South Daegu Interchange'''}}}}}}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000 5%, #F0FFF0 0%, #F0FFF0 100%);" {{{#008000 '''남대구 요금소'''[br]{{{-2 South Daegu Tollgate}}}}}}}}} || || [[현풍JC|{{{#!html현풍 방면}}}]][br][[유천IC]][br]← 3.1 km ||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파일:Expressway_kor_451.svg|height=23]]{{{#!html
중부내륙지선}}}]]'''{{{#fff {{{+1 6}}}}}}''' || [[금호JC|{{{#!html금호 방면}}}]][br][[서대구IC]][br]4.8 km → || || {{{#!html시점}}} || [[대구광역시|[[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px]]]][[신천대로(대구)|{{{#!html
신천대로}}}]]'''{{{#fff {{{+1 -}}}}}}''' || [[가창면|{{{#!html가창 방면}}}]][br][[성서IC]][br]1.6 km → || ||<-3> [include(틀:지도, 장소=남대구IC, 너비=100%, 높이=225px)] || ||<-3> {{{#fff '''주소'''}}} || ||<-3>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성동(대구)|월성동]] || ||<-3> {{{#fff '''관리기관'''}}} || ||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fff 중부내륙지선}}}]] ||<-2> [[한국도로공사]] 대구경북본부 군위지사 || || [[신천대로(대구)|{{{#fff 신천대로}}}]] ||<-2> [[대구광역시]] || ||<-3> {{{#fff '''개통'''}}} || ||<-3> [[1993년]] [[12월 1일]] || ||<-3> {{{#fff '''접속도로'''}}} || ||<-3> [[구마로]] · 성서공단로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6번.''' [[대구광역시]] [[달서구]] 중부내륙지선고속도로 23 ([[월성동(대구)|월성동]] 1028-1) (남대구영업소)에 있는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의 [[나들목]]과 더불어 [[신천대로(대구)|신천대로]]의 시작점. 명칭은 소재지인 [[대구광역시]]에서 유래했다.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의 이 [[나들목|{{{#000000,#ffffff 나들목}}}]]과 [[서대구IC|서대구 나들목]] 사이에 [[성서IC|성서 나들목]]이 있었으나 2010년 6월 30일에 신천대로의 나들목으로 변경되었다. == 구조 == [[https://ko.wikipedia.org/wiki/%EC%A4%91%EB%B6%80%EB%82%B4%EB%A5%99%EA%B3%A0%EC%86%8D%EB%8F%84%EB%A1%9C%EC%A7%80%EC%84%A0|위키백과에 남대구 나들목의 구조도가 나와 있다.]] === [[금호JC|대구]] 방향 === * 진출 가능 : 성서공단로 양방향 * 진입 가능 : 성서공단로 양방향 === [[현풍JC|현풍]] 방향 === * 진출 가능 : * 진입 가능 : == 역사 == * [[1990년]] [[8월]] 남대구 나들목 개통 계획을 수립하였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0081900099214004|西邊등 3개 인터체인지 곧 건설]], 1990-08-19, 매일경제] * [[1991년]] [[7월]] 착공해 [[1993년]] [[12월 1일]] 남대구 나들목을 개통하였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3729142|<지방단신> 南大邱IC-城西공단 도로 개통]], 1993-12-01, 연합뉴스] == 특징 == [[서부정류장]]에서 출발하는 모든 [[시외버스]]들은 상행선이든 하행선이든 십중팔구 남대구 나들목으로 진출입하며, 개량공사로 남대구요금소가 신설된 후에는 대구에서 경남이나 호남 쪽으로 가는 고속/시외버스들도 남대구요금소를 찍고 간다.[* 예전에는 [[서대구IC|서대구 나들목]]으로 진입한 후 화원요금소를 이용했지만, 화원 나들목이 [[화원옥포IC|화원옥포 나들목]]으로 바뀌고 설화리 시내버스 종점 근처에서 옥포 방향으로 이전한 후에는 [[서대구IC|서대구 나들목]]으로 진입한 후 남대구요금소를 찍고 간다.] 이 때문에 [[시외버스]]들과 함께 인근에 성서산업단지가 있어서 출퇴근 시간대에 이 일대는 엄청나게 혼잡하며, 당시에는 화원유원지 나들목까지 거북이 운행이 기본이었다.[* 그래서 마창 지역에서 출발한 [[고속버스]]들이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서울]]로 갈 때 [[현풍JC|현풍]] ~ [[김천JC|김천]] 구간이 열리기 전에는 화원 나들목에서 요금을 한 번 내고 남대구 나들목을 통과한 뒤 [[서대구IC|서대구 나들목]]에서 또 한 번 통행권을 받기 위해 직진하러 가는데, 이 구간에서 엄청나게 시간을 잡아먹었다.] 따라서 팔달교, 만평네거리, 평리네거리 사이의 삼각형 라인과 맞먹는 [[대구광역시]]의 [[헬게이트]]다. 이 때문에 남대구 나들목의 하단을 통과하는 시내버스 [[대구 버스 156|156번]], [[대구 버스 564|564번]] 승객들은 매일 아침 7시부터 9시까지 인내심의 한계를 시험 받는다고 한다.[* 그리고 주로 수요일 한정으로 17시부터 19시에는 퇴근길 헬게이트가 오픈된다.] 게다가 1990년대 초반까지 성서공단로가 없었고, 구마로가 남대구 나들목까지만 나 있어서 금호 분기점 방향으로 진출입만 가능했다. 그래서 [[서부정류장]] 쪽에서 [[화원옥포IC|화원]]이나 [[내서JC|마산]] 방향으로 진입할 때 본리네거리와 죽전네거리를 거쳐 [[성서IC|성서 나들목]]을 이용하였고, 성서공단로 개통 이후로[* 1990년대 중반쯤 개통되었다.]는 대구화물터미널 근처에서 U턴한 뒤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으로 진입해야 했다. 이것도 교통체증을 크게 부채질했다. 반대로 성서/서울 방향은 남대구에서 곧바로 진입이 가능했고, 화원요금소를 찍은 후에는 곧바로 남대구로 진출이 가능했다. 서대구 - 성서 - 남대구 - 화원유원지[* 하행인 구라리 및 성산리 쪽으로 진출이 가능했다. 반대쪽(상행)으로 진입하여 무료통행 구간을 이용했으나, [[화원옥포IC|화원옥포 나들목]]으로 이전한 후에는 안 된다.] - 화원(현재는 화원옥포) 구간은 한때 무료통행 구간이었으며, 이 역시 교통혼잡을 부채질했다. 이후 화원유원지 나들목을 폐쇄하고, 화원 나들목을 [[옥포읍]] 쪽으로 이설하여 [[화원옥포IC|화원옥포 나들목]]으로 바꾼 후 [[신천대로(대구)|신천대로]] 및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에 대대적인 개량 공사[* 고속도로와 도시 고속도로 (신천대로)를 분리하는 공사. 다시 말해 도로를 네 개로 분리하여 가운데 두 개(상행선/하행선)는 서대구 및 남대구 요금소와 그 사이의 나들목을 거치지 않고 서울이나 창원 방향으로 직통하는 도로, 끝에 두 개는 서대구 혹은 남대구 요금소에서 정산한 뒤 각각의 나들목과 성서 나들목을 통해 대구로 진입할 수 있는 도로로 사용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기존의 도로를 대폭 확장하고 남대구 나들목 역시 기존에 없었던 진출입로를 추가하고 대대적인 구조 개량을 통해 지금의 복잡한 모양으로 바꿨다.]를 하면서 남대구 요금소를 신설한 것이다.[* 이에 따라 고속도로 본선에 위치하였던 화원TG가 사라졌다.] 하지만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 [[신천대로(대구)|신천대로]]의 [[헬게이트]]가 여전해서, [[달서구]] 乙(월배권) 지역구 국회의원인 [[윤재옥]] 의원의 끈질긴 제안으로 [[하이패스]] 전용 나들목인 [[유천IC|유천 나들목]]이 2018년 3월 29일자로 대천동에 신설되었다. 근처에 가톨릭재단 학교인 [[효성중학교(대구)|효성중학교]], [[효성여자고등학교]], [[대건중학교]], [[대건고등학교]]가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의 구간)] [[분류:대한민국의 고속도로 나들목]][[분류: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