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료과 || [[산부인과]] || || 관련증상 || 무증상 || || 관련질병 || [[난소암]], 자궁내막종 || '''Ovarian Cyst''' [목차] == 개요 및 원인 == [[파일:external/images.onhealth.com/ovarian-cysts-s3-cysts-types.jpg]] 난소 낭종([[卵]][[巢]][[囊]][[腫]])은 [[난소]]에서 발생하는 [[낭종]]을 말한다. 가장 흔한 원인은 기능성 낭종(functional cyst)으로, 이 항목은 이에 대한 정보를 서술한다. 그 외의 난소 낭종의 원인으로는 복합 종괴(complex mass)인 유피낭종(dermoid cyst)이나 양성기형종(teratoma) 및 [[난소암]] 관련 낭종이며, 드물게 재궁내막종(endometrioma), 난소난관농양(tubo-ovarian abscess) 등이 있다. 기능성 낭종(functional cyst)은 정상적인 호르몬의 영향으로 월경에서 배란기(ovulation)까지 생성되는 우성 난포(dominant follicle)나, 배란기 후 우성 난포가 황체(corpus luteum)로 변하는 시기에, 이 기관에 물이 차고(fluid-filled) 커지면서 낭종(cyst)이 나타나게 된다. 그러니까 쉽게 말하자면 난포의 성장과정 도중 잘 가다가 중간에 일부가 삐걱대서 생긴다는 것이다. 주로 배란 기능에 이상이 있을 때 많이 발생한다. 이런 난소 낭종은 아무런 증상이 보여지지 않으며, 대부분 다른 이유로 산부인과 관련 검사를 시행하다가 발견되게 된다. == 진단 및 치료 == 우선적으로 [[hCG]] 검사를 통해 임신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그 후 초음파검사(US)를 시행하여 낭종이 복합 종괴(complex mass)인지 확인한다. 초음파 검사 시 단순 낭종(simple cyst)이 발견될 경우, 6-8주안에 다시 재검(follow-up)을 하여 이 기능성 낭종이 사라졌는지 확인하게 된다. 이때 여성에게 급작스러운 복통(acute onset of pain)이 발생할 경우, [[난소 염전]](ovarian torsion)일수 있기 때문에 즉시 병원에 가서 확인해야 한다고 알려야 한다. 낭종이 사라졌을 경우, 구강 피임약(OCP)을 복용해 낭종의 생성을 예방할수 있다. 만일 낭종이 7 cm 이상의 크기이거나, 스테로이드성 구강 피임약(steroid contraception)을 복용한 전례가 있을 경우, 외과적 시술을 통해 제거하게 된다. == 임신황체종(Luteoma of Pregnancy) == [[난소]]에서 보여질수 있는 종양과 비슷하게 생긴 종괴(tumor-like mass)로, [[임산부]]에게서 매우 드물게 발생하며, 출산 후 자연스럽게 소멸한다. 대부분의 경우, 아무런 증상이 보이지 않으며 [[제왕 절개]]를 시행할 시 우연히 발견되기도 한다. 하지만 드물게 호르몬에 반응하는 경우도 있어, 이경우 안드로겐(androgen)을 생성하여 다모증(hirsutism)과 [[여드름]] 등이 임신기간 급작스럽게 보여질수 있다. 출산 후 사라지기 때문에 아무런 치료를 하지 않는다. == 난포막황색체낭(Theca-Lutein Cyst) == 높은 FSH 및 [[hCG]] 호르몬에 촉진되어 생성되는 양성적인 신생물(neoplasm)으로, [[쌍둥이|다태 임신]](twin) 및 [[포상기태]](molar pregnancy)와 관련 깊은 낭종이다. 증상은 잘 보이지 않으며, 폐경기 후 자연스럽게 소멸되기 때문에 아무런 치료를 하지 않는다. [[분류:생식계 관련 질환 및 증상/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