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포켓몬스터/노말타입 기술]][[분류:포켓몬스터/물리 기술]] [include(틀:포켓몬 기술, 노말=, 물리=, 파일=7세대 난동부리기.png, 한칭=난동부리기, 일칭=あばれる, 영칭=Thrash, 위력=120, 명중=100, PP=10, 효과=2~3턴 동안 마구 난동 부려서 공격한다., 효과2=난동 부린 뒤에는 혼란에 빠진다., 변경점=5세대: 90 → 120 위력 상승, 변경점2=5세대: 20 → 10 PP 하락, 성능=난동, 성질=접촉, 상태이상=혼란)] [목차] == 개요 == [[포켓몬스터]]의 [[포켓몬스터/기술|기술]]. 사용 시 2~3턴간 교체불가 및 제어불가가 되어 난동부리기만 시전하며, 난동이 끝나면 반드시 혼란에 걸린다. 1세대부터 등장하며 [[역린(포켓몬스터)|역린]], [[꽃잎댄스]], [[대격분]] 등 난동기의 원조격이 되는 기술. 위력 90에 PP가 20이었던 4세대까지는 그냥 [[이판사판태클]]이나 [[은혜갚기(포켓몬스터)|은혜갚기]]의 열화판에 불과했기 때문에 쓸 이유가 전혀 없었다. 5세대에서는 역린이 4세대에서 받은 상향과 똑같이 위력이 120으로 늘어나서 채용의 여지는 일단 생겼다. 대신 PP가 10으로 줄어들었으며, 스토리에서는 견제폭을 완성하기 전에 견제폭 보강용으로 채용되거나[* 불비달마나 갸라도스 등], 친밀도 진화 포켓몬이 많아 노말 포켓몬에 친밀도 작업을 하기 어려울 경우 채용하기도 한다. 위력이 120이라도 노말 타입 기술을 연속으로 지르다가 혼란에 걸린다는 건 별로 생각하고 싶지 않은 상황. 특히 고스트 타입 앞에 한없이 약해진다는 단점이 있다. == 상세 == 설정에 걸맞게 2세대부터 [[갸라도스]]가 기본으로 가지고 있는 기술이기도 하다. 하지만 레벨업으로는 배우지 않고, 어디까지나 기본기로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굳이 써보려고 해도 [[하트비늘]]로 살려야만 사용할 수 있다. 3세대에서는 갸라도스의 자력기가 너무 처참해서, 물리기가 레벨 55에 배우는 [[파괴광선]] 단 하나뿐이기 때문에 스토리 진행용으로 쓸 경우 이거라도 되살려서 쓰는 방법이 있긴 하지만, 그냥 위력은 10 낮아도 훨씬 안정적인 [[괴력(포켓몬스터)|괴력]]을 쓰는 게 낫다. 이걸 되살릴 수 있는 시점에는 괴력도 이미 입수한 상태이기 때문. 5세대에서는 [[제브라이카]], [[불비달마]], [[아케오스]], [[저리릴]], [[툰베어]], [[버프론]], [[활화르바]], [[맘모꾸리]],[* BW2부터] [[워글]], [[악비르]]가 배운다. 여담으로, 5세대의 난동부리기 타격음 리듬이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의 메인 테마 첫 부분과 비슷하다. 6세대에서는 스킨 특성의 등장으로 채용 여지가 높아진 편. 난동부리기를 배우는 [[쁘사이저|메가쁘사이저]]와 [[보만다|메가보만다]]의 특성 스카이스킨은 노말 타입을 비행으로 바꾸면서 위력을 30% 올려주긴 하지만, 화력에 목숨걸 것이 아니라면 은혜갚기나 보만다의 이판사판태클에 밀린다. === 8세대부터 === 은혜갚기의 삭제로 '난동부리기'는 [[누르기]], [[이판사판태클]]처럼 비교적 안정적인 고위력 물리기가 되면서 입지가 크게 상승하였다. 하지만 누르기와 달리 기술머신이나 기술레코드로 풀리지는 않았다. == 기타 ==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에서는 자속받는 정도면 그럭저럭 채용 여지가 있는 본가와 다르게 '''아예 못 써먹을 기술'''로, 위력은 높지만 다른 턴 연속기들과는 달리 3회 무작위 장소를 공격한다. 거기에다 [[지진(포켓몬스터)|지진]]처럼 동료도 피해를 입는다. 말 그대로 난동을 부리는 셈. 명중률도 형편없다.[* 참고로 위력은 4, 명중률은 3으로 지진과 동일.] 혼란에 걸리는 디메리트는 없어졌지만, 저래서야 의미가 없다. 만약 동료가 난동부리기 썼는데 난데없이 다른 동료나 '''리더'''를 죽여버리면 묵념. 천만다행스럽게도 [[포켓몬 초불가사의 던전]]에서는 무작위 장소를 공격하는 기술이 아닌 고정된 한 방향을 연속 공격하게끔 바뀌었다. 대신 본가처럼 혼란에 걸리는 페널티가 붙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