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서인]] [include(틀:조선의 붕당)] [include(틀:조선의 역대 집권세력)] [include(틀:서인)] [목차] == 개요 == [[인조반정]] 후 형성된 공신 중심 온건파 [[공서]]에서 친[[김자점]]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김자점]]에게 의존했기 때문에 한계가 시작부터 뚜렷했다. == 상세 == 『당의통략(黨議通略)』에 따르면, [[인조]]조 말년 서인은 [[원당(붕당)|원당]](原黨)·낙당·[[산당(붕당)|산당]](山黨)·[[한당(붕당)|한당]](漢黨) 등으로 분화되었다. 형성된 이유는 [[소현세자]] 사망 뒤 동생인 [[봉림대군]][* 즉 효종이다.]이 세자가 되고, 소현세자의 빈인 [[강빈]]이 역모에 연계되고 사사되는 과정에서 각자의 입장에 따라 생겨난 것이다. 낙당은 친[[인조]]파로 이런 처분이 옳다고 생각하며 외교적으로는 대표적인 친청파였다. 낙당은 [[인조]]조 말기 같은 [[공서]]에서 갈라져 나온 [[원당(붕당)|원당]]과 함께 권력을 독차지하였다. 그러나 [[효종(조선)|효종]] 즉위 초 [[원당(붕당)|원당]]과 함께 [[김집]], [[송시열]]을 비롯한 [[산당(붕당)|산당]] 세력들의 등용을 요청하였다. 이는 [[산당(붕당)|산당]] 세력들을 자신들의 당으로 끌어들여 [[산당(붕당)|산당]]의 명분을 자신들이 이용해서 주도권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산당은 정국의 일신을 위해 낙당의 퇴출을 추진했다. 또한 이때 [[효종(조선)|효종]] 역시 북벌을 강조하던 시기였기 때문에, 대표적인 친청 세력인 [[김자점]]과 그의 세력인 낙당의 처벌은 불가피하였다. 위기에 처안 김자점은 이에 역관 이형장을 통해 [[효종(조선)|효종]]이 낙당, 원당등 옛 신하를 쳐내고 산림([[산당(붕당)|산당]])만 쓰고 있는데 이유가 [[청나라]]에 반기를 들기 위한 것이라고 청나라에 보고하였다. [[청나라]]에서는 조사하기 위해 사신을 파견하였으며, 당시 영의정이었던 [[이경석]]과 예조 판서 조경(趙絅)은 문제에 대한 책임을 지고 의주의 백마산성에서 볼모 생활을 하기도 하였다. 김자점은 결국 유배되고 얼마 뒤 역모를 꾸민 사실이 발각되어 아들인 김식(金鉽)과 함께 처벌되면서, 낙당은 유명무실해졌다. 그리고 잔당은 [[원당(붕당)|원당]]에 흡수되거나 무계파로 있다가 후에 [[소론]]이 구성될 때 [[소론]]에 참여했다. == 주요 인물 == * '''[[김자점]]''' * 김식(金鉽)[* 김자점의 아들] * 이시만(李時萬) * 이이존(李以存) * 이지항(李之恒) * 이해창(李海昌) * 엄정구(嚴鼎耉) * 황감(黃㦿) * 신면(申冕) ?[* 효종실록 3년 3월 23일 낙당의 일원인 듯한 기록이 있고, [[송준길]] 역시 효종실록 즉위년 9월 13일에 따르면 그를 낙당으로 공격하였지만, 신면의 참여 여부는 단정할 수 없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조선의 역대 집권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