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하마단 주의 행정구역)] == 개요 == [[페르시아어]] :{{{+1 نهاوند }}} [[영어]] : Nahavand / Nahawand / Nihavend [[이란]] 중서부 하마단 주의 도시. [[하마단]]에서 남쪽으로 60km, [[호라마바드]]에서 북쪽으로 70km, [[케르만샤]]에서 동쪽으로 90km 떨어져 있다. [[자그로스 산맥]] 동부의 분지에 입지하였고, 인구는 약 80만명으로 대부분 [[쿠르드인]]이다. 니하반드, 니하완드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린 도시는 선사시대부터 인류가 거주하였다. 메소포타미아 (이라크)와 중부 이란 간의 주요 교통로 상에 위치한 덕에 고대부터 주목을 받았다. == 역사 == [[아케메네스 제국]]의 샤한샤 [[크세르크세스 1세]]에 의해 정식으로 도시가 세워졌고 [[셀레우코스 왕조]] 시기에는 '메디아의 라오디케아'로 지칭되었다. [[파르티아]] 시기에는 후일의 아르타바누스 1세가 왕자 시절 나하반드를 영지로 다스렸다. [[사산 제국]] 시절 7대 귀족 가문들 중 하나인 카렌 가문이 일대를 거점으로 삼았다. 그러던 642년, 이란을 침공한 [[이슬람 제국]]군이 이곳에서 사산 제국군을 격파하며 이란의 이슬람화를 운명지었다. ([[나하반드 전투]])[* 그후 [[바스라]] 출신 아랍 군대가 도시에 주둔하였다] 다만 2년 후 나하반드 출신 페르시아 기독교인 피루즈가 칼리파 [[우마르]]를 암살하며 복수하였다. 한세기 후 3차 [[피트나]] 때에는 2차례에 걸친 끝에 압바스 혁명군이 우마이야 군을 격파하고 이라크로 진격, [[압바스 왕조]]를 세우는 등 나하반드의 중요성은 이어졌다. 10세기의 아랍 여행가 아부 둘라프는 나하반드를 지나며 고대 페르시아의 유구가 즐비한 번영하는 도시라고 묘사하였다. 1092년 [[셀주크 제국]]의 재상 [[니잠 알 물크]]가 인근에서 암살당하였다. 몽골의 파괴를 피한 도시는 14세기에도 과일 및 목화 등을 생산하는 농경지에 둘러싸인 중소도시로 유지되었고, 주민들은 [[열두이맘파]] 쉬아를 신봉하는 쿠르드인들이 주를 이루었다. 1590년대 [[사파비 제국]]의 쇠퇴를 틈타 [[오스만 제국]]이 도시를 점령, 추후 원정의 거점으로 삼기 위해 성채를 세웠다. 그러나 1602년 주민들의 반란으로 사파비 조의 지배가 회복되었고, 하마단 총독 하산 칸 우스타즐루는 성채를 파괴하였다. 1722년 오스만 제국은 재차 도시를 점령하였으나 1730년 [[나디르 샤]]에게 축출되었다. 18세기 중반, 나디르 샤의 사후 나하반드는 루르 계열의 바크티아리 부족의 약탈에 시달렸다. 그러던 1752년 [[잔드 왕조]]의 카림 칸이 그 부족장 알리 마르단 칸을 부근에서 격파하며 안정이 회복되었다. 18세기 무렵 재건된 나하반드 성채는 19세기 중반 공사 도중 보물이 발견된 것에 고무된 [[카자르 왕조]]의 나세르 앗 딘 샤에 의해 탐사를 위해 허물어졌다. 다만 더이상의 보물은 발견되지 않았다. [[분류:이란의 도시]] [[분류:하마단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