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유희왕/OCG/테마)] [include(틀:듀얼 터미널 1부 관련 카드군)] ||<-6> '''{{{#!html나츄르}}}''' || ||<-6>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츄르의 숲.png|width=100%]],,[[나츄르#나츄르의 숲|{{{#726A40 나츄르의 숲}}}]],,}}} || || '''{{{#!html한국판 명칭}}}''' ||<-5> '''나츄르''' || || '''{{{#!html일본판 명칭}}}''' ||<-5> '''ナチュル''' || || '''{{{#!html영어판 명칭}}}''' ||<-5> '''Naturia''' || ||<-2> '''{{{#!html속성}}}''' ||<-2> '''{{{#!html종족}}}''' ||<-2> '''{{{#!html관련 카테고리}}}''' || ||<-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땅|땅]] ||<-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종족|다종족]] ||<-2> {{{#!folding [ 접기 ] 효과[br][[싱크로 소환/튜너|튜너]][br][[싱크로 소환|싱크로]][br][[융합 소환|융합]]}}} || [목차] == 개요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카드군. == 설명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듀얼 터미널 3 -반격의 저스티스!!-]]에서부터 등장한다. 국내에서는 [[숨겨진 세력]]으로 발매되었다. 나츄르는 자연이라는 의미의 [[프랑스어]] nature (나뛰르)로 추측되며, 몬스터들은 자연에 속하는 [[식물족]], [[곤충족]], [[야수족]], [[암석족]]으로 이루어져 있다. 거기에 곤충족의 경우 몸의 일부가 식물로 되어 있을 정도로 이미지에 식물의 비율이 상당히 높다. 그리고 대부분의 일러스트가 매우 귀엽고, 다른 나츄르 카드가 등장하는 일이 많다. 이를 찾아보는 재미도 있다. 대부분이 기계족인 [[제넥스]], [[A·O·J]]와는 상반되는 분파지만, 실제로는 협력 관계이다. 제넥스 공통적으로 자연의 힘을 이끌어내어 싸우기 때문인지 협력 관계는 매우 좋은 것으로 보인다. [[싱크로 기프트]]에서는 레알 제넥스 클로키시언이 나츄르 록에게 힘을 전수해 주기까지 했을 정도니. [[유희왕 OCG 스트럭처즈]]에서는 [[라이트 츠키코]]가 모토카리야 시오리와의 듀얼 중 사용한다. == 성능 == === [[다크윙 블래스트]] 이전 === 몬스터 효과를 기반으로 한 [[퍼미션]]이 주 전략인 카드군. 메인 덱 몬스터의 경우, 개개의 몬스터 효과만 보면 특수 소환된 몬스터 제거, 2장 드로우 등 11기 기준으로 보아도 상당히 강력한 것들이 많았으나 초기 듀얼 터미널 테마 대부분이 그렇듯 전개 능력이 너무 떨어져 실질 성능은 하위권에 그쳤다. 그럼에도 앤트조를 중심으로 하는 전개 나츄르, 모스키토를 중심으로 하는 반사 나츄르, 파인애플을 중심으로 하는 루프 나츄르, 대나무 슛을 중심으로 하는 락 나츄르 등의 실적을 남기긴 했다. 나츄르 대나무 슛은 등장 당시에는 돌파가 어려운 강력한 몬스터라 대나무 슛 위주의 나츄르 덱이 대회권에서 일부 실적을 올린 전례도 있다. 한편 엑스트라 덱 몬스터들은 발매 당시부터 성능이 뛰어나서 역사적으로 다양한 덱에서 용병으로 채용되었다. 특히 [[나츄르 비스트]]는 없다시피 한 코스트로 마법 카드를 무한으로 봉쇄할 수 있어 땅 속성 몬스터로 싱크로 소환이 가능한 덱([[여섯 무사]] 등)이라면 최우선적으로 채용을 고려하는 몬스터다. [[융합 몬스터]]인 [[나츄르 엑스트리오]]는 강력한 효과를 가진 대신 정규 소환이 어려운데, [[데블 프랑켄]]이나 [[긁어 부스럼(유희왕)|긁어 부스럼]] 등으로 우회적인 소환이 가능하여 역시 다양한 덱에서 사용되었다. === [[다크윙 블래스트]] 이후 === 이후 [[다크윙 블래스트]]에서 고성능의 신규 카드 3장을 지원받은 이후로는 티어권에서도 사용이 가능할 정도로 파격적인 성능 상승을 이루었다. 없던 것이나 다름없던 선턴 전개력이 환골탈태하여 원핸드로도 [[나츄르 비스트|비스트]]를 꺼낼 수 있게 되었으며, 카멜리아를 필두로 한 [[스프라이트(유희왕)|메인덱 몬스터의 강력한 견제 능력]], 매 턴 부활이 가능한 몰크리켓과 봄바람의 존재로 기존 상대에게만 의존하던 모습에서 자체적인 전개와 후열 견제가 가능한 운영덱으로 탈바꿈하였다. 봄바람을 제외하면 기존 몬스터들을 포함 패에서 자체적으로 내릴 수단이 없어 패말림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으나, 비슷한 시기에 출시된 [[봄화정]] 덕분에 어느정도 상쇄되었으며, 또한 봄화정과 서포트를 공유하고 신성수가 묘지로 보내졌을때 발동하는 효과에 턴 제약이 없다는 것에 주목하여 [[현세와 명계의 역전/서포트 카드|이시즈 파츠]]를 채용, "이시즈 봄화정 나츄르"라 불리는 아키타입이 탄생하였다. 출시 직후에는 이시즈 파츠의 압도적인 성능과 우수한 신규 카드에 힘입어 유니온 캐리어를 채용한 [[스프라이트(유희왕)|스프라이트]]와 [[이시즈 티아라멘츠]]의 양강 체제로 밸런스가 망가진 게임 환경에서 다음가는 점유율로 쉐어표에 모습을 드러내는 데 성공하기도 하는 등 14년만에 전례없던 전성기를 누렸다. [[리미트 레귤레이션/OCG/2022년 10월|2022년 10월]] 금제에서는 이시즈파츠와 버디클이 제제를 받아 크게 약화되었으며, 뒤이어 등장한 [[크샤트리라]]에 대한 상성적 열세, 빈약한 후공과 타점이라는 고질적 문제가 발목을 잡아 환경권의 주류에서는 밀려나게 되었다. 그나마 테마 자체에는 어떠한 금제도 없어 빈자리에 봄화정과 크샤트리라 펜리르 등을 넣은 덱들이 간간히 입상권에 이름을 올리는 모습을 보였으며, 환경이 느려진 [[리미트 레귤레이션/OCG/2023년 1월|2023년 1월]] 금제 이후에는 펜리르를 제외하면 타격을 받지 않아 다시 환경권으로 복귀했다. 특이할만한 경우라면 테마 효과에 제약이 없다는 점을 살렸는지 1티어 테마인 [[티아라멘츠]]나 [[퓨어리]]와 섞은 구축이 입상하기도 했다는 점. [[리미트 레귤레이션/OCG/2023년 4월|2023년 4월]] 금제에서는 결국 남은 이시즈 파츠마저 모두 제한으로 지정되며 적지 않은 피해를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비스트의 용병화를 불러왔던 [[그로우업 벌브]]가 제한 해제되었는데, 이는 나츄르에서도 다른 덱 못지 않게 잘 쓸 수 있기에 어느정도 위안거리일 듯. 2023년 10월 아기도와 켈벡이 금지되면서 이시즈 봄화정축 나츄르는 구축이 불가능해졌다. 하지만 [[에이지 오브 오버로드]]에서 새로 등장한 [[호루스(유희왕)|호루스]] 테마와의 최적화가 완료되어 '''호루스 나츄르'''라는 덱이 탄생, 10월 환경에 하위 티어에나마 복귀에 성공했다. TCG에서는 버디클과 이시즈의 제제가 늦게 이루어졌기에 이시즈나츄르 역시 덱 파워의 최고 전성기를 상대적으로 길게 누렸다. 이시즈가 전부 제한을 먹은 2023년 2월 금제 이후에는 [[루닉]]과 섞는 구축이 환경권에서 다시금 주목받아 크샤트리라와 스프라이트를 잇는 2티어의 위치를 차지하기도 했다. 결국 [[리미트 레귤레이션/TCG/2023년 6월|2023년 6월]] 서치 담당인 나츄르의 신성수가 제한이 되었다. === [[유희왕 마스터 듀얼]] === 시크릿 팩 '신성수의 숲의 주민'에서 단일 테마로 구성되어 있다. 이후 2023년 5월 10일 셀렉션 팩 '더 싱크로나이즈드 코스모스'에서 신규 지원 카드들이 발매되었다. 발매 초기에는 풀파워에 가까운 티아라멘츠가 메타를 지배하였고, 그로 인해 빠르게 무도라가 제한카드가 되어 타격을 입었으나 티어덱이 어느정도 제제를 받은 현재는 그럭저럭 등반이 가능한 2~3티어 정도의 성능을 유지하는 중이다. 23년 8월 기준 순수를 제외한 덱 구축은 크게 봄화정 계열과 루닉 계열로 나뉜다. ||<-3> [[유희왕 마스터 듀얼|[[파일:유희왕 마스터 듀얼 로고.png|width=200px]]]][br]{{{+1 {{{#ffffff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ffffff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우승 덱'''}}}}}} || ||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2023|2023년]] ||<|2> → || 2024년 || || [[나츄르]] + [[루닉]] [br] [[드래곤 링크(유희왕)|드래곤 링크]] [br] [[티아라멘츠]] [br] [[섬도희]] [br] [[엑소시스터]] [br] [[라뷰린스]] || 미정 ||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2023]]에서는 우승팀의 주장인 Josh가 루닉과 섞은 덱 타입인 '나츄루닉' 을 사용하였다.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이는 카드를 겹치게 넣을 수 없는 대회 특수 룰을 고려한 덱 픽으로, 당시 티어덱들과의 싸움에서 어느 정도의 적정 승률을 가지면서 이시즈 파츠를 역이용 가능, 메타덱들과 겹치지 않는 덱 구성을 가졌기에 선택한 것으로 여겨진다.[* 같은 팀에서 무상성이라고 평가받는 티아라멘츠를 고른 선수의 경우 세컨드 덱으로 섬도희를 준비했지만 월챔 내내 단 1번밖에 꺼내지 않았다.] 나츄르 루닉은 준결승전과 결승전에서 모두 승점을 따내는 활약을 보이며 시청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겨 경기 종료 후 OCG권 유저들에게 화제가 되기도 했다.[* TCG에서는 높은 티어를 차지했고 제제까지 먹었기에 다른 TCG권 팀중에서도 사용한 팀이 있었지만, OCG유저들은 고려는 커녕 그 존재를 아는 사람이 드물었기 때문이다. 그로인해 월챔 후 TCG권에 대해 재평가가 일어나는데에도 일조했다.] === [[유희왕 듀얼링크스]] === 예전부터 서포트 카드가 1~2장씩 나왔었지만, 강력한 부스팅 능력을 지닌 마론과 상대적으로 고성능의 특수 소환 조건을 지닌 펌프킨, 하이드란지등이 나오면서 카이바의 박살내기 스킬과 함께 퍼미션+비트 다운 성향이 짙은 티어덱으로 급부상 하였다. 덱에 투입하는 4레벨 이상의 몬스터는 전부 특수 소환 효과를 가지고 있기에, 상급 몬스터를 필요에 따라 2~3장씩 늘어놓는데에 용이하지만, 최고 타점이 겨우 스태그의 2200. 다만 어드벤티지 수급이 용이하고, 마/함을 쓰기에 부담이 없기 때문에 전개 후 박살키고 최상급 몬스터에게 주저없이 돌격할 수 있다. 또 다른 약점이라면 덱의 구성이 그야말로 3333의 획일화된 도배라는 것.[* 나츄르 스태그를 3장씩이나 집어넣으면 패말림을 유발할 수 있다. 몰론 2장을 넣어도 나츄르 덱 자체가 패말림이 상당하다.] 특히 관심법과 함께라면 상대의 다음 행동을 읽는 것은 일도 아니게 된다. 다만 현재는 환경의 흐름에 밀려 거의 쓰이지 않는다. 하지만 가성비는 여전한데다 19년 3월에 풀린 미니팩에서 신성수를 비롯한 신규지원이 대거 풀리긴 했지만 파워 인플레로 이제는 멸종. === 장점 === * '''막강한 싱크로 몬스터''' 나츄르 싱크로 몬스터들은 10년 전 [[진 여섯 무사]] 덱부터 현재의 [[땅 속성 굿 스터프]]와 [[티아라멘츠]] 덱까지 용병으로 사용될 정도로 성능이 검증된 몬스터들이다. 나츄르 내에서는 첫턴에 자유롭게 전개할 수는 없지만, 메인 기믹으로서 소생 등의 서포트가 자유로워 마함 비중이 높은 덱 상대로는 거의 상성에 가까운 성능을 보여 준다. * '''턴 제약이 없는 효과들''' 구 테마다 보니까 턴 제약이 거의 없다. 몰크리켓과 카멜리아 정도만 명칭 제약을 가지고 있고, 선플라워와 너브의 몬스터 릴리스라는 제약도 카멜리아를 통해 우회할 수 있다. 신성수의 서치 효과와 봄바람의 발동에도 제약이 없어 쓸 수 있는 만큼 그 턴에 공격권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 '''적은 패로 나오는 퍼미션에 기반을 둔 운영 능력''' 나츄르의 주 전술은 카멜리아와 몰크리켓을 이용해 상대 덱에 맞는 퍼미션 몬스터를 꺼내 오고, 이들을 통해 아드 차이를 벌리며 전투는 스틴크버그를 통해 회피하는 것이다. 이러한 움직임에는 어떠한 테마 제약도 걸리지 않고, 덤핑과의 시너지 역시 우수하다. 이 때문에 시너지를 볼 수 있는 [[루닉]], [[봄화정]], [[티아라멘츠]], [[호루스(유희왕)|호루스]] 등 다양한 테마와 혼합할 수 있다. === 단점 === * '''부족한 자원 창출 능력''' 퍼미션은 쉽게 나오지만 몰크리켓과 카멜리아 없이는 전개력이 약하고 덱에서 카드를 불릴 수가 없기 때문에 상대를 갉아먹는식의 운영이 강제된다. 빠르게 아드를 끌어오기 위한 대량 덤핑은 [[봄화정]]이나 [[이시즈]] 파츠 등에 크게 의존해야 하며, 대량 덤핑 능력을 가진 이시즈 파츠가 제재를 강하게 먹어 덤핑 능력이 상당히 약해졌다. * '''저질 타점''' 나츄르는 타점을 싱크로 몬스터에 크게 의존하는데, 비스트를 제외하면 거의 선턴 결과물이 아니라 운영 싸움 중에 나오는 몬스터들이고 실제 빌드는 하급 몬스터들로만 이루어지는 경우도 많다. 이 때문에 킬 캐치 능력은 물론 돌파 능력이 좋지 않다. 이 단점을 [[크샤트리라 펜리르]]나 [[네가로기어 아제우스]] 등으로 보완했는데, 펜리르가 금지를 먹으면서 돌파가 더욱 까다로워졌다. 현재는 [[호루스(유희왕)|호루스]] 용병을 통해 이를 극복하고 있다. * '''제거 효과 없음''' 자체적으로 필드에 개입할 수 있는 카드가 없기에 [[빙결계의 용 트리슈라]]나 [[상검#상검대공-승영|상검대공-승영]], [[네가로기어 아제우스]] 등 범용 엑스트라 덱 몬스터에 의존해야 한다. 퍼미션을 마구잡이로 날리는 선공이라면 문제가 되지 않지만, 후공에는 큰 문제가 된다. * '''부실한 후공 성능''' 상기한 단점들이 종합된, 나츄르의 가장 큰 단점. 선공이라면 퍼미션 기반의 운영으로 완막도 갉아먹기도 가능하나, 타점이 낮고 제거 효과가 없어서 이미 지어진 집을 철거하고 역습을 가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 효과 몬스터 (튜너) == === 레벨 1 === ==== 나츄르 너브 ==== [[파일:ナチュル・ナーブ.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나츄르 너브, 일어판명칭=ナチュル・ナーブ, 영어판명칭=Naturia Vein, 몬스터=, 효과=, 튜너=, 레벨=1, 속성=땅, 종족=식물족, 공격력=200, 수비력=300, 효과1=①: 상대가 마법 / 함정 카드를 발동했을 때\, 이 카드와 자신 필드의 "나츄르"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발동을 무효로 하고 파괴한다., )] 효과 자체는 우수하나 몬스터를 2장이나 릴리스해야 하므로 코스트가 너무 무겁다. 나츄르 카멜리아로 코스트를 줄일 수 있으므로 카멜리아와 함께 사용할 것이 요구되는 카드다. 마법 / 함정을 아예 틀어막는 대나무 슛에게 밀리는 면도 있으나, 어드밴스 소환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점과 레벨이 낮은 튜너 몬스터라 소환이 간편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완전한 하위 호환까지는 아니다. 자기 자신을 릴리스하는 코스트를 감안한 것인지 "1턴에 1번" 텍스트가 없는데, 덕분에 카멜리아로 코스트를 대체할 경우 필드에 남은 채로 다시 효과 발동을 노릴 수 있다. [[다크윙 블래스트]] 지원 후, 몰크리켓의 효과로 나오는 퍼미션 요원 1로 채용된다. 너브(nerve)는 신경 혹은 잎맥을 의미한다. 식물이므로 후자의 의미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 -反撃のジャスティス!!-]] || DT02-JP009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 CHRONICLE I -覚醒の章-]] || DTC1-JP060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레어]] || 일본 || || || [[숨겨진 세력]] 2 || HA02-KR004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나츄르 체리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10645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나츄르 체리, 일어판명칭=ナチュル・チェリー, 영어판명칭=Naturia Cherries, 몬스터=, 효과=, 튜너=, 레벨=1, 속성=땅, 종족=식물족, 공격력=200, 수비력=300, 효과1=①: 이 카드가 상대에 의해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나츄르 체리"를 2장까지 뒷면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 [[https://db.yugioh-card-cn.com/card_detail.html?str=cgTjEyuTauJihhnC+6+wBOl74ykphgRpOwppJ76Op8tr6v8//PTaH/rznyhdlXE4|11기 텍스트(중문판)]] 몬스터 2장을 덱에서 특수 소환해주는 효과 자체는 이득이 크지만, 상대에 의존하는 발동 조건 탓에 사용하기 어려운 카드다. 덱에서만 특수 소환 가능하므로 두 장 이상의 체리가 패에 잡히면 그대로 썩는 패가 된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폭풍의 스타스트라이크|Starstrike Blast]] || STBL-JP030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폭풍의 스타스트라이크]] || STBL-KR030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레벨 2 === ==== 나츄르 코스모스비트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6884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나츄르 코스모스비트, 일어판명칭=ナチュル・コスモスビート, 영어판명칭=Naturia Cosmobeet, 몬스터=, 효과=, 튜너=, 레벨=2, 속성=땅, 종족=식물족, 공격력=1000, 수비력=700, 효과1=상대가 몬스터의 일반 소환 / 세트에 성공했을 때\,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 수동적이지만 효과 발동 자체는 간단하다. 일반적으로 상대 턴에만 특수 소환 가능하므로 나츄르의 봄바람 없이는 싱크로 소재로 바로 사용하기는 어렵지만, 대신 나츄르 몬스터의 코스트로서 릴리스하기에는 적격이다. 패 유발 효과의 특수 재정에 따라 1번의 일반 소환 / 세트에 대응하여 효과를 발동할 수 있는 코스모스 비트는 1장 뿐이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魔轟神復活!!」]] || DT04-JP022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듀얼 터미널|デュエルターミナル クロニクルII 「混沌の章」]] || DTC1-JP012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레어]] || 일본 || || || [[숨겨진 세력]] 2 || HA02-KR042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나츄르 트라이엄프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08433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나츄르 트라이엄프, 일어판명칭=ナチュル・トライアンフ, 영어판명칭=Naturia Tulip, 몬스터=, 효과=, 튜너=, 레벨=2, 속성=땅, 종족=식물족, 공격력=600, 수비력=1500, 효과1=이 카드가 자신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 상대가 마법 / 함정 카드를 발동할 때마다\, 자신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나츄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500 포인트 올린다., )] 여러 번의 발동에 성공한다면 상승치 자체는 높은 편이고 오른 공격력이 턴 종료시에 떨어지지도 않는다. 다만 이 카드 자체의 스테이터스가 너무 낮고, 수동적인 방어 효과 외에는 자랑할 것이 없어 성능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混沌の覇者」]] || DT05-JP020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듀얼 터미널|デュエルターミナル クロニクルII 「混沌の章」]] || DTC2-JP043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레어]] || 일본 || || || [[숨겨진 세력]] 3 || HA03-KR013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레벨 3 === ==== 나츄르 로즈윕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686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나츄르 로즈윕, 일어판명칭=ナチュル・ローズウィップ, 영어판명칭=Naturia Rosewhip, 몬스터=, 효과=, 튜너=, 레벨=3, 속성=땅, 종족=식물족, 공격력=400, 수비력=1700, 효과1=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상대는 1턴에 1번밖에 마법 / 함정 카드를 발동할 수 없다., )] [[https://db.yugioh-card-cn.com/card_detail.html?str=NNG0cmdFsqzGiKRBV/tQUul74ykphgRpOwppJ76Op8tr6v8//PTaH/rznyhdlXE4|11기 텍스트(중문판)]] 효과 자체는 상당히 우수해서, 마법 / 함정 카드 의존도가 높은 덱 입장에서는 상당히 성가신 몬스터다.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로 덱에서 특수 소환 가능한 튜너라, 마법 카드를 계속해서 사용하는 것이 기본 전략인 [[섬도희]]를 상대하기 위해 사이드 덱에 투입된 적도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魔轟神復活!!」]] || DT04-JP021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듀얼 터미널|デュエルターミナル クロニクルII 「混沌の章」]] || DTC1-JP011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레어]] || 일본 || || || [[숨겨진 세력]] 2 || HA02-KR041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나츄르 버터플라이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769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나츄르 버터플라이, 일어판명칭=ナチュル・バタフライ, 영어판명칭=Naturia Butterfly, 몬스터=, 효과=, 튜너=, 레벨=3, 속성=땅, 종족=곤충족, 공격력=500, 수비력=1200, 효과1=①: 1턴에 1번\, 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덱 맨 위의 카드 1장을 묘지로 보내고\, 그 공격을 무효로 한다., )] 1턴에 1번 공격을 막아줄 수 있는 몬스터. 무난한 효과지만 대단한 활약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ジェネクスの進撃!!」]] || DT07-JP029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숨겨진 세력]] 4 || HA04-KR019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나츄르 스틴크버그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7729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나츄르 스틴크버그, 일어판명칭=ナチュル・スティンクバグ, 영어판명칭=Naturia Stinkbug, 몬스터=, 효과=, 튜너=, 레벨=3, 속성=땅, 종족=곤충족, 공격력=200, 수비력=500, 효과1=①: 자신의 "나츄르" 몬스터가 공격 대상으로 선택되었을 때\, 필드의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그 공격을 무효로 하고 배틀 페이즈를 종료한다., )] [[https://db.yugioh-card-cn.com/card_detail.html?str=/BnuUDIqKBflWNgpYppYBOl74ykphgRpOwppJ76Op8tr6v8//PTaH/rznyhdlXE4|11기 텍스트(중문판)]] 전투력이 깡통인 나츄르가 한 턴을 버티게 해 주는 귀중한 카드. 나츄르는 카멜리아가 오래 살아야 유지력이 나오기 때문에 1장 투입한다. 자기 자신도 나츄르 몬스터이므로 이 카드가 공격 대상이 되었을 때에도 효과 발동이 가능하다. 코스트가 가볍지는 않긴 하나 불러내는 것도 그만큼 쉽다. 다만 코스트가 릴리스가 아닌, '''묘지로 보내고'''라서 카멜리아가 필드에 있는 상황이라도 코스트를 덤핑으로 치환할 수 없다.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할 것. 스틴크버그는 [[노린재]]를 의미한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トリシューラの鼓動!!」]] || DT08-JP028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숨겨진 세력]] 4 || HA04-KR018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레벨 4 === ==== 나츄르 카멜리아 ==== [[파일:ナチュル・カメリア.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나츄르 카멜리아, 일어판명칭=ナチュル・カメリア, 영어판명칭=Naturia Camellia, 몬스터=, 효과=, 튜너=, 레벨=4, 속성=땅, 종족=식물족, 공격력=1400, 수비력=7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나츄르" 카드 1장을 묘지로 보낸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이 "나츄르"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하기 위해 몬스터를 릴리스할 경우\, 대신에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2장 묘지로 보낼 수 있다., 효과3=③: 상대가 몬스터의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묘지에서 "나츄르" 몬스터 1장을 고르고 특수 소환한다., )] [[다크윙 블래스트]]에서 출시된 신규 나츄르 몬스터. ①의 효과는 일반 소환 / 특수 소환 시에 덱에서 나츄르 카드를 묘지로 보내는 효과. 비슷한 효과인 나츄르 마론과 비교하면 특수 소환에도 대응한다는 점이 우수하다. 자신의 ③의 효과로 특수 소환할 몬스터를 마련하거나, 몰크리켓을 묘지로 보내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나츄르 "카드"를 묘지로 보낼 수 있으므로 신성수를 묘지로 보내서 사실상 나츄르 서치 역할까지 맡을 수 있다. ②의 효과는 나츄르 몬스터의 효과로 몬스터를 릴리스하는 코스트를 덱 위의 카드 2장을 묘지로 보내는 것으로 대체하는 효과. 덱 위를 묘지로 보내는 것은 사실상 코스트라기보다는 이득에 가까워 효과 발동에 부담이 없어진다. 릴리스하는 몬스터의 수를 지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몬스터를 2장 릴리스해야 하는 코스트도 대체할 수 있다. 나츄르 카드들 중 다음의 카드들이 카멜리아의 혜택을 보며, 볼드체로 된 것은 2장을 릴리스하는 몬스터다. * '''나츄르 너브''' * 나츄르 레이디버그 * 나츄르 몰크리켓 * '''나츄르 선플라워''' * 나츄르 호스트니들 이 중 몰크리켓을 제외한 카드들의 효과에는 턴 제약이 없어 카멜리아의 효과를 적용한 뒤 곧바로 원래 코스트를 지불하고 효과 사용이 가능하며 호스트니들, 너브, 선플라워의 효과는 동일 체인에도 발동 가능하다. 강력한 효과를 지녔지만 코스트가 무거워 사실상 1회용이었던 너브와 선플라워에게는 상당한 이점. ③의 효과는 상대가 몬스터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 묘지의 나츄르를 특수 소환하는 효과. 특수 소환할 몬스터의 레벨 지정이 없어 싱크로 몬스터도 소생 가능하다. 대상을 지정하지 않는 효과에다가 별다른 제약도 달리지 않는 우수한 효과. ②의 효과로 코스트를 경감할 수 있는 강력한 나츄르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면 더욱 이득이 크다. 모티브는 [[동백나무]]의 속명 카멜리아(''Camellia'').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다크윙 블래스트|DARKWING BLAST]] || DABL-JP021 || [[노멀#s-2]]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다크윙 블래스트]] || DABL-KR021 || [[노멀#s-2]]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효과 몬스터 (非 튜너) == === 레벨 1 === ==== 나츄르 레이디버그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769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나츄르 레이디버그, 일어판명칭=ナチュル・レディバグ, 영어판명칭=Naturia Ladybug, 몬스터=, 효과=, 레벨=1, 속성=땅, 종족=곤충족, 공격력=100, 수비력=100, 효과1=①: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자신의 필드의 "나츄르"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대상 몬스터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1000 올린다., 효과2=②: 자신이 "나츄르" 싱크로 몬스터를 싱크로 소환했을 때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묘지에서 특수 소환한다.)] [[https://db.yugioh-card-cn.com/card_detail.html?str=WNmfjERAs0Hq4aCef99/Qel74ykphgRpOwppJ76Op8tr6v8//PTaH/rznyhdlXE4|11기 텍스트(중문판)]] 나츄르의 싱크로 소환에 성공했을 때 묘지에서 특수 소환되는 효과, 자신을 릴리스하고 다른 나츄르 몬스터의 공격력을 한 턴간 1000 올리는 효과를 지녔다. 한 번의 싱크로 소환에 대해서 묘지의 모든 레이디버그가 효과를 발동하여 특수 소환되는 것이 가능하다. 많은 레이디버그를 묘지에 쌓는 것이 쉽지는 않겠지만 성공하면 이득은 크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ジェネクスの進撃!!」]] || DT07-JP030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숨겨진 세력]] 4 || HA04-KR030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나츄르 모스키토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0911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나츄르 모스키토, 일어판명칭=ナチュル・モスキート, 영어판명칭=Naturia Mosquito, 몬스터=, 효과=, 레벨=1, 속성=땅, 종족=곤충족, 공격력=200, 수비력=300, 효과1=자신 필드 위에 이 카드 이외의 "나츄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가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 상대는 이 카드를 공격 대상으로 선택할 수 없다. 이 카드 이외의 자신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나츄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의 전투에 의해서 발생하는 자신에게로의 전투 데미지는 대신에 상대가 받는다., )] [[듀얼리스트의 혁명]]에서 등장. 전투 데미지 반사로 승리를 노리는 "반사 나츄르" 계열 덱의 핵심 카드다. 다른 나츄르 몬스터가 있을 경우 공격 대상이 되지 않는 효과, 다른 나츄르의 전투로 발생하는 데미지를 상대에게 떠넘기는 효과를 지녔다. 첫 번째 효과로 필드에 눌러앉아 버티면서 다른 나츄르로 자폭 특공을 감행하여 데미지를 떠넘길 수 있다. [[취도의 검]]을 장착하거나 나츄르 클리프로 계속해서 나츄르를 특수 소환할 수 있다면 줄 수 있는 데미지는 더욱 커진다. 모스키토가 필드에 두 장 있다면 양쪽 모두 공격 대상이 되지 않으므로 모스키토는 전투에서 완전히 안전해진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듀얼리스트의 혁명|Duelist Revolution]] || DREV-JP027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듀얼리스트의 혁명]] || DREV-KR027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나츄르 몰크리켓 ==== [[파일:ナチュル・モルクリケット.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나츄르 몰크리켓, 일어판명칭=ナチュル・モルクリケット, 영어판명칭=Naturia Mole Cricket, 몬스터=, 효과=, 레벨=1, 속성=땅, 종족=곤충족, 공격력=0, 수비력=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 상대의 메인 페이즈에\,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나츄르"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공격력이 가장 높은 몬스터가 상대 필드에 존재할 경우\,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하는 수를 2장으로 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대가 엑스트라 덱에서 몬스터를 특수 소환했을 경우\, 또는 자신이 엑스트라 덱에서 "나츄르" 몬스터를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 [[다크윙 블래스트]]에서 출시된 신규 나츄르 몬스터. 자신을 릴리스하고 덱에서 나츄르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있으며, 간단한 조건으로 2장 특수 소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는 효과이므로 선공에 소환하더라도 몬스터 2장 특수 소환 자체는 어렵지 않다. 거기에 레벨 등 어떠한 조건도 따지지 않으며 소환 불가 / 효과 무효 / 표시 형식 지정 등의 제약도 아예 없어 자유로운 활용이 가능하다. 주된 용도는 카멜리아와 퍼미션 효과가 붙은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는 것. 카멜리아의 효과로 덱에서 나츄르를 묘지로 보낸 후 특수 소환할 수 있고, 이 카드도 자체 효과로 소생할 수 있으므로 이 카드 한 장만으로도 나츄르 4장을 필드에 늘어놓을 포텐셜이 있다. 선플라워와 너브를 특수 소환했다면 카멜리아의 코스트 경감 + 4장의 몬스터를 코스트로 사용하는 것까지 합쳐서 총 3번의 퍼미션이 가능하다. ②의 효과는 묘지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소생하는 효과. 엑스트라 덱을 아예 사용하지 않는 일부 덱이 아니고서야 조건 충족은 굉장히 쉬운 편이며, [[현세와 명계의 역전/서포트 카드|이시즈 파츠]]등에 의해 상대 턴에 묘지로 보내졌다면 0턴 시동도 가능하다. ①의 효과를 이미 사용한 턴이라면 그대로 특수 소환되어 다른 나츄르의 효과 발동을 위한 코스트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다. 모티브는 [[땅강아지]].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다크윙 블래스트|DARKWING BLAST]] || DABL-JP020 || [[레어#s-1.1.1]]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다크윙 블래스트]] || DABL-KR020 || [[레어#s-1.1.1]]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레벨 2 === ==== 나츄르 앤트조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6883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나츄르 앤트조, 일어판명칭=ナチュル・アントジョー, 영어판명칭=Naturia Antjaw, 몬스터=, 효과=, 레벨=2, 속성=땅, 종족=곤충족, 공격력=400, 수비력=200, 효과1=①: 상대가 몬스터의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때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레벨 3 이하의 "나츄르"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https://db.yugioh-card-cn.com/card_detail.html?str=VoibWLFBc8Uoh14bc2JB9+l74ykphgRpOwppJ76Op8tr6v8//PTaH/rznyhdlXE4|11기 텍스트(중문판)]] 상대의 특수 소환에 반응해서 덱에서 나츄르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는 효과를 가졌는데, 이게 턴 제약이 붙어 있지 않아 상대가 특수 소환을 하면 할 수록 계속해서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허나 상대가 특수 소환을 하지 않을 때까지는 그저 벽 몬스터에 불과하기에 몰크리켓에 비하면 컨트롤이 까다로운 편. 채용을 한다면, 보통 상대가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는 효과에 몰크리켓의 효과를 체인하여 나츄르 카멜리아와 함께 불러낸다. 그 경우 한 쪽이 스틴크버그를, 다른 한쪽이 선플라워 or 너브를 소환하여 퍼미션 + 공격 방어 + 보급 요원이라는 전선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魔轟神復活!!」]] || DT04-JP019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듀얼 터미널|デュエルターミナル クロニクルII 「混沌の章」]] || DTC1-JP060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레어]] || 일본 || || || [[숨겨진 세력]] 2 || HA02-KR039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나츄르 선플라워 ==== [[파일:ナチュル・サンフラワ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나츄르 선플라워, 일어판명칭=ナチュル・サンフラワー, 영어판명칭=Naturia Sunflower, 몬스터=, 효과=, 레벨=2, 속성=땅, 종족=식물족, 공격력=500, 수비력=0, 효과1=①: 상대가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했을 때\, 이 카드와 자신 필드의 "나츄르"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발동을 무효로 하고 파괴한다., )] 나츄르 너브의 몬스터 효과 버전. 튜너가 아니라는 점을 제외하면 활용 방법 자체는 너브와 대동소이하다. 그래서 [[다크윙 블래스트]] 출시 후 1장 채용된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混沌の覇者」]] || DT05-JP018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듀얼 터미널|デュエルターミナル クロニクルII 「混沌の章」]] || DTC2-JP041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레어]] || 일본 || || || [[숨겨진 세력]] 3 || HA03-KR011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나츄르 빈즈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09113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나츄르 빈즈, 일어판명칭=ナチュル・ビーンズ, 영어판명칭=Naturia Beans, 몬스터=, 효과=, 레벨=2, 속성=땅, 종족=식물족, 공격력=100, 수비력=1200, 효과1=이 카드는 1턴에 1번만\,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이 카드가 공격 대상으로 선택되었을 때\, 상대 라이프에 500 포인트 데미지를 준다., )] [* 듀얼링크스는 250 포인트 데미지] 스테이터스도, 주는 데미지도 너무 낮다. 공격 방어용 카드가 필요하다면 스틴크버그나 버터플라이 쪽이 훨씬 우수하다. [[선물교환|콩 뿌리기]]에 등장하면서 듀얼 터미널 출신 몬스터들 중 최초로 듀얼 터미널 세계관 이외의 세계에 등장한 몬스터가 되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듀얼리스트의 혁명|Duelist Revolution]] || DREV-JP028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듀얼리스트의 혁명]] || DREV-KR028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나츄르 에그플랜트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1524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나츄르 에그플랜트, 일어판명칭=ナチュル・エッグプラント, 영어판명칭=Naturia Eggplant, 몬스터=, 효과=, 레벨=2, 속성=땅, 종족=식물족, 공격력=1000, 수비력=700, 효과1=①: 이 카드가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때\, "나츄르 에그플랜트" 이외의 자신 묘지의 "나츄르"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패에 넣는다., )] "~때"의 임의 효과라 코스트로 사용하거나 싱크로 소재로 사용하는 것으로는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효과 자체는 우수하나 사용할 타이밍은 거의 없을 것이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V JUMP EDITION 4 || VE04-JP001 || [[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익스트림 빅토리|Extreme Victory]] || EXVC-EN098 || [[슈퍼 레어]] || 북미 || 북미 최초 수록 || || [[프리미엄 팩/한국판|프리미엄 팩 Vol. 13]] || PP13-KR034 || [[슈퍼 레어]][br][[패러렐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나츄르 파인애플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210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나츄르 파인애플, 일어판명칭=ナチュル・パイナポー, 영어판명칭=Naturia Pineapple, 몬스터=, 효과=, 레벨=2, 속성=땅, 종족=식물족, 공격력=100, 수비력=100, 효과1=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는 모두 식물족이 된다., 효과2=②: 자신 필드에 "나츄르 파인애플"이 존재하지 않고\, 자신 묘지에 식물족 / 야수족 이외의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자신의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에서 묘지에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는 자신 필드에 마법 / 함정 카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만 발동과 처리를 할 수 있다.)] [[https://db.yugioh-card-cn.com/card_detail.html?str=Mk8pA06h1XRzHJfQCdu0Bul74ykphgRpOwppJ76Op8tr6v8//PTaH/rznyhdlXE4|11기 텍스트(중문판)]] 북미판 [[듀얼리스트의 혁명]]에 추가된 나츄르의 [[황천 개구리]]. 이후, 일본 [[엑스트라 팩]] Vol. 4에서 OCG로 발매되었다. 자신의 모든 몬스터를 식물족으로 변경하는 효과, 스탠바이 페이즈에 조건부로 소생하는 효과를 지녔다. 소생 효과의 조건으로 식물족 / 야수족 이외의 몬스터가 묘지에 존재하지 않을 것을 요구하는데, 나츄르는 종족 분산이 심할 뿐더러 핵심적인 카드는 곤충족 / 식물족에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나츄르 덱에서는 사실상 사용할 수 없는 카드다. 식물족 통일 덱에서 매 턴 소생하는 몬스터로서 채용하거나, 필드에서 치울 수단만 있다면 계속 소생할 수 있다는 점을 살려 무한 루프를 만들어내는 데에 사용할 수 있다. [[왕호 왕후]]나 [[토폴로직 폭탄 드래곤]]이 필드에 있으면 파괴와 소생을 원하는 만큼 반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듀얼리스트의 혁명|Duelist Revolution]] || DREV-JP028 || [[시크릿 레어]] || 북미 || 세계 최초 수록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Volume 4 || EXP4-JP013 || [[노멀]] || 일본 || 일본 최초 수록 || || [[엑스트라 팩]] Volume 4 || EXP4-JP013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레벨 3 === ==== 나츄르 록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4639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나츄르 록, 일어판명칭=ナチュル・ロック, 영어판명칭=Naturia Rock, 몬스터=, 효과=, 레벨=3, 속성=땅, 종족=암석족, 공격력=1200, 수비력=1200, 효과1=함정 카드가 발동했을 때\,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1장 묘지로 보내는 것으로\, 패에서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할 수 있다., )] 곤충족과 식물족이 대부분인 메인 덱 나츄르 중에서는 유이하게 암석족인데, 덕분에 나츄르 서포트를 받으면서도 [[스몰 월드(유희왕)|스몰 월드]]를 통해 앤트조나 몰크리캣을 서치해올 수 있긴 하다. 발동 조건 자체는 함정 카드를 충분히 채용했다면 어렵지 않지만, 필드에 특수 소환될 뿐 그 이상의 용도는 찾을 수 없는 몬스터다. 다음 턴에야 발동 가능한 함정 카드의 특성상 자신의 턴에 빠르게 소환해서 소재로 사용하는 것도 어렵다. [[무한포영]]과 같이 패에 잡혔다면 이론상의 '''0턴 시동'''도 가능하겠지만, 둘 모두 패에 잡히는 확률은 둘째치고 1장 덤핑으로 몰크리캣이나 하다못해 이시즈 파츠라도 잡힐 가능성은(...)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 -反撃のジャスティス!!-]] || DT02-JP008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 CHRONICLE I -覚醒の章-]] || DTC1-JP058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 || 일본 || || || [[숨겨진 세력]] 2 || HA02-KR002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나츄르 플라이트플라이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6908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나츄르 플라이트플라이, 일어판명칭=ナチュル・フライトフライ, 영어판명칭=Naturia Fruitfly, 몬스터=, 효과=, 레벨=3, 속성=땅, 종족=곤충족, 공격력=800, 수비력=1500, 효과1=이 카드가 자신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 상대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은 자신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나츄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의 수 × 300 포인트 내린다. 1턴에 1번\, 상대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수비력 0인 몬스터 1장의 컨트롤을 엔드 페이즈시까지 얻을 수 있다., )] 단독으로는 공격력 약화 수치가 영 미덥지 않아, 사용하려면 [[지옥의 폭주소환]] 등으로 여러 장 특수 소환할 필요가 있다. 플라이트플라이 세 장만 필드에 있어도 공격력 2700 약체화가 가능하다. 일부 특수한 몬스터를 제외하면 강력한 몬스터들은 공격력에 비해 수비력이 낮은 경향이 있어, 컨트롤 탈취 효과도 발동 기회가 적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수비력이 없는 링크 몬스터에게는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疾風のドラグニティ!!」]] || DT06-JP021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듀얼 터미널|デュエルターミナル クロニクルII 「混沌の章」]] || DTC2-JP073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 || 일본 || || || [[숨겨진 세력]] 3 || HA03-KR043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나츄르 래그위드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7731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나츄르 래그위드, 일어판명칭=ナチュル・ラグウィード, 영어판명칭=Naturia Ragweed, 몬스터=, 효과=, 레벨=3, 속성=땅, 종족=식물족, 공격력=1200, 수비력=2000, 효과1=①: 상대가 드로우 페이즈 이외에서 카드를 드로우했을 때\, 필드의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은 덱에서 2장 드로우한다.)] [[https://db.yugioh-card-cn.com/card_detail.html?str=l1K9iSrAJUTGy50C2vqr8ul74ykphgRpOwppJ76Op8tr6v8//PTaH/rznyhdlXE4|11기 텍스트(중문판)]] 2장 드로우 자체는 강력하나 조건 충족이 어렵다. 서치 효과에는 반응하지 않고 드로우 행위에만 반응하므로 상대 덱에 따라서는 아예 발동할 기회가 없을 수도 있다. 적극적으로 사용하려면 [[패 좌절]] 등으로 강제로 드로우하게 만들 필요가 있으며, 나츄르 덱에서 운용하기보다는 [[편승(유희왕)|편승]] 덱에서 채용하는 것이 어울릴 법한 카드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トリシューラの鼓動!!」]] || DT08-JP030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숨겨진 세력]] 4 || HA04-KR050 || [[시크릿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나츄르 마론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180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나츄르 마론, 일어판명칭=ナチュル・マロン, 영어판명칭=Naturia Marron, 몬스터=, 효과=, 레벨=3, 속성=땅, 종족=식물족, 공격력=1200, 수비력=700, 효과1=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했을 때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나츄르"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낸다., 효과2=②: 1턴에 1번\, 자신 묘지의 "나츄르" 몬스터 2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 2장을 덱으로 되돌린다. 그 후\, 자신은 덱에서 1장 드로우한다.)] [[https://db.yugioh-card-cn.com/card_detail.html?str=yFc5undYuYJ3O9+HqMU5F+l74ykphgRpOwppJ76Op8tr6v8//PTaH/rznyhdlXE4|11기 텍스트(중문판)]] 일반 소환 시에 덱에서 나츄르 몬스터를 묘지로 보내는 효과, 묘지의 나츄르 2장을 덱으로 되돌리고 1장 드로우하는 효과를 지녔다. 묘지로 보낼 만한 몬스터로는 자체 소생이 가능한 레이디버그나 몰크리켓이 가장 유력한 후보다. 카멜리아와 달리 신성수를 통한 우회 서치가 불가능하다는 것은 단점. 그래도 드로우 효과는 카드명 제약이 없어 여러장 불러내면 그만큼 드로우가 가능하고, 거기에 [[멜리아스의 목령]]을 소환해서 추가 드로우까지 볼 수 있다. 나츄르 중 일부는 '''덱에서만'''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있는데, 덕분에 적절한 타이밍에 덱으로 돌려주지 않으면 전개의 순환이 끊길 수가 있다. 이시즈 파츠를 쓰지 않는다면 이 카드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진다. 마론은 프랑스어 혹은 영어로 '[[밤(열매)|밤]]'을 의미하는 marron을 일본식으로 읽은 것.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빛의 충격파|Photon Shockwave]] || PHSW-JP029 || [[노멀#s-2]]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빛의 충격파]] || PHSW-KR029 || [[노멀#s-2]]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레벨 4 === ==== 나츄르 비틀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08425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나츄르 비틀, 일어판명칭=ナチュル・ビートル, 영어판명칭=Naturia Beetle, 몬스터=, 효과=, 레벨=4, 속성=땅, 종족=곤충족, 공격력=400, 수비력=1800, 효과1=마법 카드가 발동될 때마다\, 이 카드의 원래 공격력 / 수비력을 맞바꾼다., )] 최소한 수비력이 대단히 높기라도 했으면 모를까, 조건부로 공격력 1800인 몬스터에게서 실용성을 찾기는 힘들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 -反撃のジャスティス!!-]] || DT02-JP007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 CHRONICLE I -覚醒の章-]] || DTC1-JP057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레어]] || 일본 || || || [[숨겨진 세력]] 2 || HA02-KR001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나츄르 가디언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08429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나츄르 가디언, 일어판명칭=ナチュル・ガーディアン, 영어판명칭=Naturia Guardian, 몬스터=, 효과=, 레벨=4, 속성=땅, 종족=식물족, 공격력=1600, 수비력=400, 효과1=상대가 몬스터의 일반 소환에 성공했을 때\, 이 카드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300 포인트 올린다., )] 일반 소환에만 대응하므로 상대가 따로 소환권을 늘리지 않는 한 공격력 기댓값은 상대 턴 한정 1900으로 끝이다. 실용성은 없는 카드.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 -反撃のジャスティス!!-]] || DT03-JP009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슈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 CHRONICLE I -覚醒の章-]] || DTC1-JP059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슈퍼 레어]] || 일본 || || || [[숨겨진 세력]] 2 || HA02-KR003 || [[시크릿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나츄르 스파이더팽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08431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나츄르 스파이더팽, 일어판명칭=ナチュル・スパイダーファング, 영어판명칭=Naturia Spiderfang, 몬스터=, 효과=, 레벨=4, 속성=땅, 종족=곤충족, 공격력=2100, 수비력=400, 효과1=이 카드는 상대가 마법 / 함정 / 효과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한 턴이어야 공격 선언을 할 수 있다., )] 하급 몬스터 치고는 공격력이 높긴 하나 그뿐이다. 굳이 조건부 하급 어태커를 채용할 필요성은 없을 것이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魔轟神復活!!」]] || DT04-JP020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듀얼 터미널|デュエルターミナル クロニクルII 「混沌の章」]] || DTC1-JP010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레어]] || 일본 || || || [[숨겨진 세력]] 2 || HA02-KR040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나츄르 드래곤플라이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6893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나츄르 드래곤플라이, 일어판명칭=ナチュル・ドラゴンフライ, 영어판명칭=Naturia Dragonfly, 몬스터=, 효과=, 레벨=4, 속성=땅, 종족=곤충족, 공격력=1200, 수비력=400, 효과1=이 카드는 공격력 2000 이상의 몬스터와의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자신의 묘지에 존재하는 "나츄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의 수 × 200 포인트 올린다., )] 전투 내성 효과로 벽이 되어주거나, 공격력 상승 효과로 게임 후반에 어태커로 사용할 수 있는 몬스터다. 지금 굳이 채용할 만한 카드는 아니지만, 한때는 나츄르의 메인 어태커에 가까운 몬스터였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混沌の覇者」]] || DT05-JP017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듀얼 터미널|デュエルターミナル クロニクルII 「混沌の章」]] || DTC2-JP040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레어]] || 일본 || || || [[숨겨진 세력]] 3 || HA03-KR010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나츄르 클리프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6849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나츄르 클리프, 일어판명칭=ナチュル・クリフ, 영어판명칭=Naturia Cliff, 몬스터=, 효과=, 레벨=4, 속성=땅, 종족=암석족, 공격력=1500, 수비력=1000, 효과1=이 카드가 필드 위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때\, 자신의 덱에서 레벨 4 이하의 "나츄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을 자신 필드 위에 앞면 공격 표시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 유언계 리크루트 몬스터. "~경우"의 효과였다면 다른 나츄르의 코스트로 쓰고 추가로 나츄르를 특수 소환하는 방식의 운용이 가능했겠으나, "~때"의 효과라 대부분의 경우 타이밍을 놓치므로 사용하기 어려운 카드다. 레벨도 종족도 따로 노는 탓에 앤트조나 신성수의 효과를 받을 수 없지만 대신 [[스몰 월드(유희왕)|스몰 월드]]를 통해 전개에 필요한 저레벨 나츄르 몬스터 및 하이드란지, 대나무 슛 등 테마 내의 주축 카드[* 테마 외적으로 보면 [[용사(유희왕)|성전의 수견사]], [[증식의 G]], [[원시생명체 니비루]] 등이 있다.]는 대부분 다 가져올 수 있다. 다만 그래도 카드 자체의 파워는 없다시피하기에 패에 들어오면 썩어버린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混沌の覇者」]] || DT05-JP019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듀얼 터미널|デュエルターミナル クロニクルII 「混沌の章」]] || DTC2-JP042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레어]] || 일본 || || || [[숨겨진 세력]] 3 || HA03-KR012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나츄르 호스트니들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687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나츄르 호스트니들, 일어판명칭=ナチュル・ホーストニードル, 영어판명칭=Naturia Horneedle, 몬스터=, 효과=, 레벨=4, 속성=땅, 종족=곤충족, 공격력=1800, 수비력=100, 효과1=①: 상대가 몬스터의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때\, 이 카드 이외의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나츄르"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파괴한다. 이 효과는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다.)] [[https://db.yugioh-card-cn.com/card_detail.html?str=wBGnxFq1fBgwew0qn2S/XOl74ykphgRpOwppJ76Op8tr6v8//PTaH/rznyhdlXE4|11기 텍스트(중문판)]] 상대가 특수 소환한 몬스터를 그대로 파괴하는 우수한 효과를 지녔다. 기본 공격력이 높은 편이라 어태커로서도 우수하며, 다른 나츄르와 마찬가지로 1턴에 1번 제약이 없어 몬스터가 충분하다면 상대의 몬스터를 계속해서 파괴할 수 있다. 앤트조의 특수 소환 범위를 벗어난다는 점은 아쉽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는 한번의 특수 소환을 트리거로 삼아 몇 번이든 효과를 발동할 수 있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疾風のドラグニティ!!」]] || DT06-JP020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듀얼 터미널|デュエルターミナル クロニクルII 「混沌の章」]] || DTC2-JP072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레어]] || 일본 || || || [[숨겨진 세력]] 3 || HA03-KR042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나츄르 스트로베리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7698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나츄르 스트로베리, 일어판명칭=ナチュル・ストロベリー, 영어판명칭=Naturia Strawberry, 몬스터=, 효과=, 레벨=4, 속성=땅, 종족=식물족, 공격력=1600, 수비력=1200, 효과1=상대가 몬스터의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때\, 턴 종료시까지 이 카드의 공격력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한 몬스터 1장의 레벨 × 100 포인트 올린다. 이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 나츄르 가디언과 비슷한 효과를 가지고 있으나, 특수 소환에도 대응하는 점, 레벨이 높은 몬스터를 소환했다면 상승치도 높은 점 덕분에 사실상 가디언의 상위 호환이다. 물론 그 이외의 가치는 딱히 없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ジェネクスの進撃!!」]] || DT07-JP031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숨겨진 세력]] 4 || HA04-KR02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나츄르 사마귀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7730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나츄르 사마귀, 일어판명칭=ナチュル・マンティス, 영어판명칭=Naturia Mantis, 몬스터=, 효과=, 레벨=4, 속성=땅, 종족=곤충족, 공격력=1700, 수비력=1500, 효과1=①: 상대가 몬스터의 일반 소환에 성공했을 때\, 패에서 "나츄르"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파괴한다.)] [[https://db.yugioh-card-cn.com/card_detail.html?str=4Y5oyFqpoa2k6qWGoindN+l74ykphgRpOwppJ76Op8tr6v8//PTaH/rznyhdlXE4|11기 텍스트(중문판)]] 역시 효과 자체는 우수한 편. 일반 소환이 특수 소환에 비해 중요도가 낮아졌다고는 하나, 초동 몬스터를 일반 소환하는 것으로 전개를 시작하는 경우는 여전히 많으므로 이 카드의 가치는 크다. 코스트로 필드가 아니라 패의 나츄르를 요구하는 점이 특이한데, 몬스터를 추가로 소비할 필요가 없다는 점은 비교적 낫지만 카멜리아로 코스트를 대체할 수 없고 앤트죠나 몰크리켓으로 코스트를 보충해주기 어렵다는 점은 단점이다. 채용 우선 순위는 다른 몬스터에 비해 밀리는데, 몰크리켓의 특수 소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상대가 이미 필드에 몬스터를 낸 상태(보통 일반 소환이 이미 끝난 상태)를 요구하기 때문. 상대의 전개를 방해하는 용도라면 호스트니들로 충분히 대체할 수 있다. 일본판 명칭은 "나츄르 맨티스". 국내판은 [[플라잉 사마귀]] 등의 기존 번역을 고려했는지 나츄르 사마귀로 번역되었는데, 때문에 다른 나츄르 몬스터의 이름과는 이질감이 심해졌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トリシューラの鼓動!!」]] || DT08-JP029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숨겨진 세력]] 4 || HA04-KR049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나츄르 화이트오크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773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나츄르 화이트오크, 일어판명칭=ナチュル・ホワイトオーク, 영어판명칭=Naturia White Oak, 몬스터=, 효과=, 레벨=4, 속성=땅, 종족=식물족, 공격력=1800, 수비력=1400, 효과1=이 카드가 상대 카드의 효과의 대상이 되었을 때\, 필드 위의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레벨 4 이하의 "나츄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2장을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공격 선언을 할 수 없으며\, 자신의 엔드 페이즈시에 파괴된다., )] 발동에 성공만 한다면 이득은 큰 몬스터지만 조건이 굉장히 수동적이다. 사실상 대상 지정 내성을 지닌 몬스터에 불과하며, 채용할 가치를 찾기는 어렵다. 몬스터 2장 특수 소환이 목적이라면 몰크리켓으로 충분할 것이다. 모티브는 [[백참나무]](white oak)로, 이름과는 달리 딱히 하얗지는 않은 나무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トリシューラの鼓動!!」]] || DT08-JP031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숨겨진 세력]] 4 || HA04-KR051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나츄르 펌프킨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1064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나츄르 펌프킨, 일어판명칭=ナチュル・パンプキン, 영어판명칭=Naturia Pumpkin, 몬스터=, 효과=, 레벨=4, 속성=땅, 종족=식물족, 공격력=1400, 수비력=800, 효과1=상대 필드 위에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이 카드가 일반 소환에 성공했을 때\, 패에서 "나츄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할 수 있다., )] 패의 나츄르를 특수 소환해주는 효과 자체는 나쁘지 않으나, 상대 필드에 몬스터가 있어야 하므로 선공 첫 턴에는 효과를 사용하기 어렵다. 일단 초기에 나온 나츄르 중에서는 그나마 전개에 기여를 하는 몬스터라는 장점은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폭풍의 스타스트라이크|Starstrike Blast]] || STBL-JP031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폭풍의 스타스트라이크]] || STBL-KR031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레벨 5 === ==== 나츄르 하이드란지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6909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나츄르 하이드란지, 일어판명칭=ナチュル・ハイドランジー, 영어판명칭=Naturia Hydrangea, 몬스터=, 효과=, 레벨=5, 속성=땅, 종족=식물족, 공격력=1900, 수비력=2000, 효과1=자신 필드 위의 "나츄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의 효과가 발동한 턴에\, 이 카드는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 특수 소환 조건 자체는 간단한 편. 레벨이 높아 [[나츄르 랜드올스]] 등 고 레벨 싱크로 몬스터를 소환하려는 경우 도움이 된다.[* 나츄르 카멜리아의 효과로 나츄르의 신성수를 묻어 하이드란지를 서치하면 바로 특수 소환할 수 있으므로 [[파워 툴 브레이버 드래곤]] 등의 9레벨 싱크로 소환도 가능해진다.] 듀얼 링크스에서는 펌프킨 효과 발동 후 소환해서 카사장의 박살내기로 타점을 순식간에 높여 원턴킬을 하는데 유용하게 쓰인다. 하이드랜지는 [[수국]]을 의미한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疾風のドラグニティ!!」]] || DT06-JP022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듀얼 터미널|デュエルターミナル クロニクルII 「混沌の章」]] || DTC2-JP074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레어]] || 일본 || || || [[숨겨진 세력]] 3 || HA03-KR044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나츄르 대나무 슛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09114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나츄르 대나무 슛, 일어판명칭=ナチュル・バンブーシュート, 영어판명칭=Naturia Bamboo Shoot, 몬스터=, 효과=, 레벨=5, 속성=땅, 종족=식물족, 공격력=2000, 수비력=2000, 효과1="나츄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를 릴리스하고 어드밴스 소환에 성공한 이 카드가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 상대는 마법 / 함정 카드를 발동할 수 없다., )] 조건 충족에만 성공하면 마법 / 함정 양쪽을 완전히 봉쇄할 수 있다. 강력한 효과에 대한 페널티인지 공격력 / 수비력은 낮은 편이므로 오래 유지하려면 [[안전지대(유희왕)|안전지대]] 등의 보조가 필요하다. 우수한 효과긴 하나 다크윙 블래스트 이전의 나츄르는 첫 턴에 이 카드를 어드밴스 소환할 수단이 마땅찮아 말림패가 되기도 쉬웠다. 이후엔 봄화정이나 봄바람과의 연계로 비교적 꺼내기 쉬워졌다. 특이한 경우로 [[인페르노이드]]에서 이 카드를 채용한 적이 있다. 대나무 슛 2장에 신성수 1장을 채용해서, [[몬스터 게이트]]로 첫 번째 대나무 슛을 특수 소환. 이어서 신성수로 두 번째를 서치해 어드밴스 소환하는 용도로 사용했다. 일판/영판 명칭인 뱀부 슛(bamboo shoot)은 [[죽순]]을 의미한다. 한국판에서는 애매하게 번역해서 대나무 슛이 돼버렸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듀얼리스트의 혁명|Duelist Revolution]] || DREV-JP029 || [[슈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듀얼리스트의 혁명]] || DREV-KR029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레벨 6 === ==== 나츄르 스태그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1064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나츄르 스태그, 일어판명칭=ナチュル・スタッグ, 영어판명칭=Naturia Stag Beetle, 몬스터=, 효과=, 레벨=6, 속성=땅, 종족=곤충족, 공격력=2200, 수비력=1500, 효과1=이 카드가 공격을 실행하는 배틀 스텝시 및 데미지 스텝시에 상대가 마법 / 함정 / 효과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했을 때\, 자신의 묘지에 존재하는 "나츄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 선택한 몬스터를 묘지에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 특이하게 배틀 스텝과 데미지 스텝이 명시된 카드. 상급 몬스터임에도 타점이 낮은 편이고, 효과 발동 조건도 너무 한정적인 상황이라 사용하기 어려운 몬스터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폭풍의 스타스트라이크|Starstrike Blast]] || STBL-JP032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폭풍의 스타스트라이크]] || STBL-KR032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융합 몬스터 == === 레벨 10 === ==== [[나츄르 엑스트리오]] ==== ==== [[나츄르 가이아스트라이오]] ==== == 싱크로 몬스터 == === 레벨 5 === ==== [[나츄르 비스트]] ==== === 레벨 6 === ==== [[나츄르 팔키온]] ==== === 레벨 7 === ==== [[나츄르 랜드올스]] ==== === 레벨 9 === ==== [[나츄르 가오드레이크]] ==== == 마법 카드 == === 나츄르의 숲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0914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나츄르의 숲, 일어판명칭=ナチュルの(もり), 영어판명칭=Naturia Forest, 마법=, 필드=, 효과1=상대가 컨트롤하는 카드의 발동을 무효로 했을 경우\, 자신의 덱에서 레벨 3 이하의 "나츄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을 패에 넣을 수 있다., )] [[나츄르 랜드올스]]의 효과 코스트로 인한 패 소모를 사실상 0으로 만들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나츄르 몬스터의 효과를 몬스터 서치로 연결할 수 있다. 다만 상대 입장에서는 퍼미션 몬스터와 나츄르의 숲이 버젓이 앞면 표시로 있는 상태에서 굳이 카드를 소모하지는 않을 것이므로, 실제로 효과를 적용할 기회 자체는 많지 않을 것이다.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싶다면 [[신의 심판]]을 비롯한 카운터 함정을 채용하는 것도 좋다. === 나츄르의 봄바람 === [[파일:ナチュルの春風.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나츄르의 봄바람, 일어판명칭=ナチュルの春風(はるかぜ), 영어판명칭=Naturia Blessing, 마법=, 속공=, 효과1=①: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 효과2=●자신의 패 / 묘지에서 "나츄르" 몬스터 1장을 고르고 특수 소환한다., 효과3=●"나츄르" 몬스터를 포함하는 자신 필드의 몬스터를 소재로서 싱크로 소환한다., 효과4=●자신 필드에서\, 융합 몬스터 카드에 기재된\, "나츄르" 몬스터를 포함하는 융합 소재 몬스터를 묘지로 보내고\, 그 융합 몬스터 1장을 엑스트라 덱에서 융합 소환한다., )] 세 가지 효과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속공 마법 카드. 여느 나츄르 카드와 마찬가지로 같은 카드명 턴 제약이 없어 여러 장 잡혀도 문제 없이 발동할 수 있다. 첫 번째 효과는 패 / 묘지의 나츄르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하는 효과. 단순하게 전개 용도로도 우수한 효과이며, 상대 턴에 묘지의 나츄르 몬스터를 특수 소환해서 퍼미션 효과를 발동하거나 코스트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두 번째 효과는 필드의 나츄르 몬스터로 싱크로 소환을 실행하는 효과. 자신의 턴에는 큰 의미가 없는 효과지만 배틀 페이즈에 발동해서 싱크로 몬스터로 추가타를 넣는 정도는 기대할 수 있다. 상대 턴에는 몰크리켓이나 앤트죠로 특수 소환한 나츄르 몬스터들을 싱크로 소재로 사용하는 것이 기본적인 사용법이다. 소환한 싱크로 몬스터로 새로운 퍼미션 효과를 발동할 수 있음은 물론, 몬스터 존을 비워서 앤트죠의 추가 특수 소환까지 기대할 수 있다. 융합 소환하는 효과로는 일단 [[나츄르 엑스트리오]]를 소환할 수 있기는 하나, 싱크로 몬스터 2장을 소진하기에는 아쉬운 몬스터라 일반적으로는 굳이 사용할 만한 효과는 아니다. 일러스트의 시점은 자세히 알기 어려우나 비슷한 시기에 나온 듀터 초기 테마 지원과 다르게 2기 이후로 추정되는데, [[신수의 수호수-아왕]]이 힘에 둘러싸인 채 포효하고 있고 이를 다른 나츄르의 구성원들이 지켜보고 있는 모습이다. 정황상 [[나츄르 가이아스트라이오]]로 진화하는 모습으로 추정된다. 나츄르 몬스터들은 왼쪽부터 펌프킨, 코스모스비트, 사마귀이며 실제로 이 조합으로 아왕을 정규 싱크로 소환할 수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다크윙 블래스트|DARKWING BLAST]] || DABL-JP064 || [[노멀#s-2]]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다크윙 블래스트]] || DABL-KR064 || [[노멀#s-2]]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함정 카드 == === 나츄르의 신성수 === [[파일:ナチュルの神星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나츄르의 신성수, 일어판명칭=ナチュルの神星樹(しんせいじゅ), 영어판명칭=Naturia Sacred Tree, 함정=, 지속=,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1턴에 1번\, 어느 쪽이든 1개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곤충족 / 땅 속성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레벨 4 이하의 식물족 / 땅 속성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자신 필드의 식물족 / 땅 속성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레벨 4 이하의 곤충족 / 땅 속성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효과3=③: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한다. 덱에서 "나츄르의 신성수" 이외의 "나츄르"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TCG=제한 카드)] [[넥스트 챌린저스]]에 수록된 나츄르의 서포트 카드. 듀얼 터미널 2부 스토리의 핵심 배경 중 하나로 선택되면서 오랜만에 신규 지원을 받았다. ①②효과는 쉽게 말해 땅 속성 곤충족과 식물족을 서로 맞바꾸는 [[리크루트]] 효과. 단순 퍼미션 효과 몬스터로부터 앤트죠, 로즈윕 등 다양한 나츄르 몬스터를 특수 소환해서 활용할 수 있다. 나츄르 몬스터가 아니라도 속성 / 종족이 맞는다면 특수 소환 가능하므로 나츄르 이외의 덱에서도 채용을 고려할 수 있다. 특히 [[충혹마]]는 이 조건에 잘 들어맞는 카드군이라 카드 풀이 좁을 때는 이 카드를 자주 채용하곤 했다. ③의 효과는 묘지로 보내지면 나츄르 카드를 덱에서 패에 넣는 효과. 서치 가능한 범위가 넓고, 묘지로 보내지는 위치를 따지지 않으므로 [[어리석은 부장]]을 서치 카드처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무엇보다 턴 제약이 없으므로 두 번째 신성수를 묻거나, 어떻게든 퍼올리고 다시 묻으면 연속 서치가 가능하다. 스토리에서는 '''DT 행성의 [[세피로트의 나무]]이자, DT 행성의 윤회 체계 그 자체를 상징하는 구조물이다.''' 원래 윤회 시스템에는 '삶'과 '죽음'을 관장하는 윤회가 따로 있었는데, 알 수 없는 이유로 이를 각각 관리하는 [[창성신 sophia]]와 [[창성신 tierra]] 사이에 '신들의 전쟁'이 벌어지고 sophia가 싸움에서 승리하여 tierra와 그 수하인 [[클리포트(유희왕)|클리포트]], [[인페르노이드]]를 봉인하였다. 그러나 tierra는 포기를 못 하고 이 나무에서 생성되는 삶의 에너지를 죽음의 에너지로 바꾸어 부활을 노리고 있었고, 마침 시즌 1 시점에서 사망한 [[젬나이트]] 라피스를 핵으로 삼는다. [[창성신 sophia]]가 [[세이크리드 솜브레스]]와 [[벨즈 케르키온]]의 활약으로 사망한 뒤 tierra는 본격적으로 자신을 부활시키기 위해 활동을 개시한다. 이를 눈치챈 솜브레스와 케르키온은 나츄르 가오드레이크와 [[인벨즈 로치]]를 [[신수의 수호수-아왕]]과 [[여휘사 벨즈뷰트]]로 재탄생시켜 이 나무를 관리할 것을 부탁했지만, 이미 tierra는 크리스타의 잔해를 [[암천사 칸고르곰]]으로 쓰면서 케르키온을 없애버린 뒤 그 힘으로 [[섀도르]]를 탄생시키고, sophia가 강림할 적에 사망한 [[가스타의 무녀 윈다]]를 [[엘섀도르 미도라시]]로 만들고 [[령수]]사 웬을 엘섀도르 웬디고로 타락시킨 뒤 신성수에 접촉시키고, 클리포트를 기동시키고 만다. 이후 클리포트 툴이 미도라시를 흡수하고 그 영향으로 신성수의 핵에 접촉한 미도라시에 의해 인페르노이드가 부활한다. [[세피라 트라 그라마톤]]과 tierra와의 천일천야의 싸움 끝에 신성수는 완전히 불타서 기능을 정지했고, 이로써 기존 DT 행성의 윤회 체계는 완전히 붕괴하였다. tierra가 파멸한 뒤 트라 그라마톤의 잔해에서 나온 크리스타는, 죽은 라피스를 업고 이 신성수의 잔해에서 뿜어 나오는 빛을 향해 떠나며 영원한 안식을 갖는다. 다크윙 블래스트에서는 이걸 즉시 묻어 원하는 나츄르 파츠를 가져올 수 있는 카멜리아가 등장하며 다시금 환경권에 등장한 나츄르의 키 카드로 활약했으며, 이 때문에 TCG에서 2023년 6월 제한 조치를 받았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넥스트 챌린저스|NEXT CHALLENGERS]] || NECH-JP076 || [[노멀#s-2]]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토너먼트 팩|トーナメントパック 2022 Vol.3]] || 22TP-JP315 || [[노멀#s-2]] || 일본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충혹마의 숲|蟲惑魔の森]]- || SD45-JP037 || [[노멀#s-2]] || 일본 || || || [[넥스트 챌린저스]] || NECH-KR076 || [[노멀#s-2]]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관련 카드 == === [[신수의 수호수-아왕]] === 나츄르 가오드레이크의 각성형. === 랜드올스의 반짝이끼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09143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랜드올스의 반짝이끼, 일어판명칭=ランドオルスのヒカリゴケ, 영어판명칭=Landoise's Luminous Moss, 마법=, 일반=, 효과1=자신 필드 위에 "나츄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가 앞면 표시로 존재할 경우만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에 상대의 효과 몬스터는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 [[나츄르 랜드올스]]에 붙어 있는 이끼를 모티브로 한 카드. 랜드올스의 몬스터 효과를 무효로 하는 효과를 반영하여 상대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게 한다. 무난하게 유용한 효과지만 효과를 아예 무효로 하지는 않으므로 지속 효과는 막을 수 없다. 패트랩을 막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무덤의 지명자]]로 대체가 가능하기에 패트랩이 넘쳐흐르는 환경이 아니면 채용은 없을 것이다. === 가오드레이크의 갈기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10691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가오드레이크의 갈기, 일어판명칭=ガオドレイクのタテガミ, 영어판명칭=Leodrake's Mane, 마법=, 일반=, 효과1=자신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나츄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발동한다. 선택한 몬스터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3000 이 되며\, 효과는 무효화된다., )] [[나츄르 가오드레이크]]의 갈기를 모티브로 한 카드. 공격력 3000에 효과가 없는 몬스터인 가오드레이크의 특성을 나츄르에 부여하여, 공격력을 변동시키고 효과를 무효로 한다. 나츄르의 낮은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카드인데, 그 외의 효과는 딱히 없고 강화가 유지되는 시간은 턴 종료 시까지로 끝인 점이 단점. === 팔키온의 비늘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10690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팔키온의 비늘, 일어판명칭=パルキオンのうろこ, 영어판명칭=Barkion's Bark, 마법=, 일반=, 효과1=자신 필드 위에 "나츄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가 앞면 표시로 존재할 경우에만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에 상대는 함정 카드를 발동할 수 없다., )] [[나츄르 팔키온]]의 비늘을 모티브로 한 카드. 팔키온의 함정 카드를 무효로 하는 효과를 반영하여 함정 발동을 틀어막는 효과를 가졌다. 이 카드의 발동에 대해서 함정을 체인할 수 있는 점은 주의가 필요하다. === 엑스트리오의 이빨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6460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엑스트리오의 이빨, 일어판명칭=エクストリオの(きば), 영어판명칭=Exterio's Fang, 함정=, 카운터=, 효과1=자신 필드 위에 "나츄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가 앞면 표시로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가 발동한 마법 / 함정 카드의 발동을 무효로 하고 파괴한다. 그 후\, 자신의 패를 1장 묘지로 보낸다., )] [[나츄르 엑스트리오]]의 이빨을 모티브로 한 카드. 엑스트리오의 마법 / 함정 무효화 효과를 반영하여 상대의 마법 / 함정 발동을 무효로 하는 효과를 지녔다. 나츄르 전용 [[마궁의 뇌물]]이라고 할 수 있는 카드인데, 상대에게 드로우를 주지 않는 대신 자신이 패를 묘지로 보내야 하므로 2:1 교환인 점은 여전하다. 나츄르의 숲이 있다면 패 소모를 커버할 수 있다. == 같이 쓰면 좋은 카드 & 테마군 == 공통적으로 일반 소환권을 사용하지 않거나 대체할 수단이 있으면서, 패를 묘지에 보내는 효과를 가진 카드군이 나츄르 테마와 섞이기가 용이하다. 여기서 2장 이상을 보낼 수 있다면 거의 왠만하면 섞는 덱이 나온다 해도 좋다. * '''[[봄화정]]''' 나츄르 테마의 약점인 패말림과 공격권 부족을 해결해주는 테마군이다. 일소권 없이 패의 땅 속성 몬스터를 계속 전개해줄 수 있어 패에 잡히면 애물단지가 되는 썬플라워, 스틴크버그 등을 필드에 놓을 수 있으며, [[다이너레슬러 판크라톱스]] 등의 다른 땅 속성 상급 몬스터들을 채용하기에도 용이해져 타점과 공격권 부족 문제도 일부분 덜어준다. * '''[[현세와 명계의 역전/서포트 카드|현세와 명계의 역전]]''' 테마군 봄화정 카드군을 섞는다면 대부분 빈 자리에 끼워넣게 되는 테마다. 자신의 덱을 파괴하고 수복하면서 턴 제약이 없는 신성수의 효과를 계속 격발시키고, 동시에 상대를 견제하는 방식. * '''[[티아라멘츠]]''' 티아라멘츠 셰이렌이 몬스터를 1장 버릴 수 있기 때문에 섞는 타입의 덱도 있었다. 티아라멘츠가 일반 소환권을 쓰지 않는 테마는 아니지만, 쓰지 않는 제약 플레이로도 다른 덱을 압살할 체급이 되며, 나츄르 비스트의 퍼미션이 약간의 빈틈을 메워주며, 카멜리아를 잘 활용하면 상대 턴 덤핑도 가능하기 때문에 섞일 수 있었다. * '''[[루닉]]''' 루닉의 날개 후긴이 패를 1장 버릴 수 있기 때문에 운영이 부드러워진다. 타점이 낮다는 나츄르의 단점은 아예 덱 파괴로 승리 플랜을 바꾸면서 상쇄되고, 루닉은 나츄르에게서 부족한 퍼미션을, 나츄르는 루닉에게서 부족한 제거류를 받기에 전체적인 궁합 자체가 매우 좋다. * '''[[퓨어리]]''' 모든 퓨어리 마법 카드가 패를 1장 버릴 수 있다는 점 덕분에 섞인다. 퓨어리 테마도 일반 소환권을 쓰긴 하지만, 쓰지 않아도 전개에 무리가 없는 덕분이다. 신성수를 버리면서 어드밴티지 수급을 꾀할 수 있고, 몰크리캣을 묻어둔 뒤 상대턴에 자체 소생시켜 1~2 퍼미션을 추가시킬 수도 있다. * '''[[호루스(유희왕)]]''' 왕의 관이 패를 4장까지 버릴 수 있다는 점 덕분에 채용된다. 상대적으로 높은 타점과 왕의관의 비대상 제거 효과로 게임을 풀어나가기 용이하고, 일반 소환권을 전혀 쓰지 않기 때문. 타타갤, 딩기르수, 센츄리온 레가티아 등 효과로 나츄르를 지켜줄 수 있는 엑스트라 덱 몬스터를 채용할 수 있는것도 이점이다. * '''[[센츄리온]]''' 필드 마법을 통해 패를 1장 버릴 수 있으며 거기에 카멜리아가 레벨 4의 튜너라서 그대로 빌드로 이을 수 있고, 튜너가 부족한 샌츄리온과 궁합이 좋다. * '''[[죄보]], [[디아벨스타]]''' 디아벨스타가 자기 턴과 상대 턴에 패를 1장씩 버릴 수 있다는 점 덕분에 섞일 수 있다(...) 2,500의 타점과 실비아의 1 퍼미션은 덤. * '''[[생아발론]]''' 메인덱에 들어가는 나츄를 몬스터들이 대부분 레벨 4 이하의 식물족이라는 점으로 인해 생아발론 링크 몬스터를 소환하기 위한 코스트로 쓰일 수 있다. 특히 [[아로마(유희왕)|아로마]]와 [[바르모니카]][* 다만 이쪽은 [[밸리언트 스매셔즈]]라는 비교적 느린 시기에 데뷔해 카드 수가 얼마 없고 티어권 외보다도 더욱 바깥에 있다고 평가받을 정도로 성능이 약한 데다가 아로마처럼 종족이나 속성으로도 엮이지 않기 때문에 추후 해당 카드군이 지원을 받으면 아예 나츄르+생아발론을 쓰지 않을 것이라고 보는 의견도 어느정도 존재한다.]처럼 LP 관련 기믹을 사용하는 카드군들의 트리거가 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카드군에서는 자주 기용하는 조합이다. [각주] [[분류:유희왕/OCG/카드군]][[분류:유희왕/OCG/식물족]][[분류:유희왕/OCG/곤충족]][[분류:유희왕/OCG/암석족]][[분류:유희왕/OCG/융합 소환]][[분류:유희왕/OCG/싱크로 소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