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rd1=나주 정씨)] [include(틀:한국의 성씨)] ||<-2>{{{#!wiki style="margin: -15px -10px" || '''{{{#000 {{{+1 羅州 丁氏[br]나주 정씨}}}}}}''' ||}}} || || '''{{{#ece5b6 관향}}}''' ||[[전라남도]] [[나주시]] || || '''{{{#ece5b6 시조}}}''' ||정윤종(丁允宗) || ||<|2> '''{{{#ece5b6 집성촌}}}''' ||[[경기도]] [[광주시]]•[[의왕시]]•[[이천시]] [[전라남도]] [[나주시]]•[[무안군]]•[[신안군]] [[전라북도]] [[전주시]]•[[남원시]]|| ||[[경기도]] [[개풍군]] [[평안남도]] [[덕천시]] || || '''{{{#ece5b6 인구}}}''' ||125,473명^^(2015년)^^ || || '''{{{#ece5b6 웹사이트}}}''' ||[[http://www.xn--910br9bn80auxccqagwu37e.com/|나주정씨대종회]] || [목차] [clearfix] == 개요 == [[전라남도]] [[나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 == 상세 == 나주 정씨 최초의 가첩인 월헌첩[* 월헌 정수강(丁壽崗)의 가첩이다.]에 의하면 고려 중엽 전라도 압해현(壓海縣) 출신의 무신(武臣)으로 검교대장군(檢校大將軍)을 지낸 정윤종(丁允宗)이 시조라 기록되어있고, 대대로 압해현에 살았기 때문에 압해를 본관으로 정했다. 압해가 나주의 속현이었기 때문에 본관을 압해라 쓰기도 하고 나주라 쓰기도 하였는데, 조선 영조 때 나주로 확정했다. 정윤종의 7세손 정원보(丁元甫)가 수도 개경에서 벼슬을 한 것을 기점으로 전국으로 세거지를 확장하게 되었다. == 계파 == || {{{#!folding [ 나주 정씨 족보에서 소개하는 전체 분파도 ] || 1 ||<-99>정윤종[br]丁允宗 || ||<-12> (생략)[* 정윤종부터 정원보까지 단일 파계로 이어진다.] || || 7 ||<-12>원보[br]元甫 || || 8 ||<-7>세[br]世 ||<-2>안서[br]安瑞 ||<-2>광서[br]光瑞 || || 9 ||<-7>안경[br]安景 ||<-2>인경[br]仁景 ||<-2>윤희[br]尹熙 || || 10 ||<-7>연[br]衍 ||율[br]律 ||형[br]衡 ||극충[br]克忠[* [[영광 정씨]] 족보에도 있음.] ||극실[br]克實 || || 11 ||<-7>자급[br]子伋 ||<|99><-3>'''안서광서공파[br]安瑞光瑞公派''' ||사종[br]嗣宗 || || 12 ||수곤[br]壽崑 ||<-6>수강[br]壽崗 ||<|99>'''야은공파[br]野隱公派'''[* 의성 정씨에서 이적하였으나 최근에 돌아갔다.] || || 13 ||<|99>'''교리공파[br]校理公派''' ||옥경[br]玉卿 ||<-4>옥형[br]玉亨 ||옥정[br]玉精 || || 14 ||<|99>'''문화공파[br]文化公派''' ||<-4>응두[br]應斗 ||<|99>'''첨정공파[br]僉正公派''' || || 15 ||윤조[br]胤祚 ||윤희[br]胤禧 ||윤우[br]胤祐 ||윤복[br]胤福 || || ||'''전첨공파[br]典籤公派''' ||'''고암공파[br]顧菴公派''' ||'''초암공파[br]草菴公派''' ||'''대사헌공파[br]大司憲公派''' || }}} || || {{{#!folding [ 압해 정씨 족보에서 소개하는 나주파 분파도 ] || 16 ||<-8>정윤종[br]丁允宗 || || 17 ||<-7>혁재[br]奕材 ||혁광[br]奕光 || ||<-8> (생략)[* 정혁재부터 정원보까지 단일 파계로 이어진다.] ||<|99>'''사간공파[br]司諫公派''' || || 22 ||<-7>원보[br]元甫 || || 23 ||<-3>세[br]世 ||<-4>안서[br]安瑞 || || 24 ||<-3>안경[br]安景 ||<-3>인경[br]仁景 ||현주[br]玄柱 || || 25 ||<-3>연[br]衍 ||율[br]律 ||형[br]衡 ||상[br]象 ||<|99>'''덕천파[br]德川派''' || || 26 ||<-2>자급[br]子伋 ||자중[br]子仲 ||<|99>'''연안부사공파[br]延安府使公派''' ||<|99>'''전적공파[br]典籍公派''' ||<|99>'''참찬공파[br]參贊公派''' || || 27 ||수곤[br]壽崑 ||수강[br]壽崗 ||<|99>'''생원기옹공파[br]生員奇翁公派''' || || ||<|99>'''교리공파[br]校理公派''' ||<|99>'''월헌공파[br]月軒公派''' || }}} || == 집성촌 == == 항렬 == * 대동항렬 [[파일:나주정씨(丁) 항렬도.jpg]] * 덕천파 항렬 || 21세 || 22세 || 23세 || 24세 || 25세 || 26세 || 27세 || || 口성(性) || 창(昌) || 응(應)[br]시(時) || 남(南) || 봉(鳳)[br]口범(範) || 한(漢)[br]명(命) || 계(繼) || == 인물 == ## 나무위키에 문서가 존재하는 인물만을 나열해주시기 바랍니다. ## 세대별로 분류 후 탄생일 순으로 나열해주시기 바랍니다. || 이름 || 생몰년도 || 파 || 비고 || ||<-4> '''22세 이전''' || ||<-4> '''23세''' || || [[정약전]](若銓) || 1758 ~ 1816 || 대사헌공파(大司憲公派)-동원공계(東園公系) || 학자 || || [[정약종]](若鍾) || 1760 ~ 1801 || 대사헌공파(大司憲公派)-동원공계(東園公系) || [[윤지충 바오로와 123위 동료 순교자|순교자]], 학자 || || [[정약용]](若鏞) || 1762 ~ 1836 || 대사헌공파(大司憲公派)-동원공계(東園公系) || 문신, 학자 || ||<-4> '''24세''' || || [[정하상]](夏祥) || 1795 ~ 1839 || 대사헌공파(大司憲公派)-동원공계(東園公系) || [[김대건 안드레아, 정하상 바오로와 101위 동료 순교자|순교자]], 학자 || ||<-4> '''25세''' || || [[정대천]](大天) || 1909 ~ 1991 || 교리공파(校理公派)-사직공계(司直公系) || 정치인 || ||<-4> '''26세''' || || [[정명섭]](明燮) || 1910 ~ 1997 || 사간공파(司諫公派) || 정치인 || || [[정창섭(화가)|정창섭]](昌燮) || 1927 ~ 2011 || 전첨공파(典籤公派)-통덕랑공계(通德郞公系) || 화가 || ||<-4> '''27세''' || || [[정계록]](繼祿) || 1862 ~ ? || 덕천파(德川派) || 독립운동가 || || [[정규원(1897)|정규원]](奎源) || 1897 ~ 1960 || 교리공파(校理公派)-사직공계(司直公系) || 독립운동가 || || [[정규식(1897)|정규식]](奎植) || 1897 ~ 1970 || 기옹공파(奇翁公派)-성암공계(誠菴公系) || 독립운동가 || || [[정래정]](來正) || 1923 ~ 1979 || 사간공파(司諫公派) || 정치인 || || [[정래혁]](來赫) || 1925 ~ 2022 || 사간공파(司諫公派) || 제11대 [[국회의장]], 제18대 [[국방부장관|국방부 장관]], 제17대 [[산업통상자원부장관|상공부 장관]] || || [[정시채]](時采) || 1936 ~ 2023 || 문화공파(文化公派)-참봉공계(參奉公系) || 정치인, 제48대 [[농림축산식품부장관|농림부 장관]], 제2대 [[소방청장]], 족보명 규일(奎一) || || [[정영식(1946)|정영식]](榮植) || 1946 ~ || 교리공파(校理公派)-충순위공계(忠順衛公系) || 제4대 [[행정자치부|행정안전부]] 차관, 제37대 [[압해 정씨]] 대종회장, 족보명 규덕(奎德) || || [[정규수]](奎秀) || 1957 ~ || 부사공파(府使公派) || 배우 || ||<-4> '''28세''' || || [[정태진(1876)|정태진]](泰鎭) || 1876 ~ 1959 || 대사헌공파(大司憲公派)-참봉공계(參奉公系) || 독립운동가 || || [[정덕진]](德鎭) || 1897 ~ 1977 || 초암공파(草菴公派)-감찰공계(監察公系) || 독립운동가 || || [[정태진]](泰鎭) || 1903 ~ 1952 || 고암공파(顧菴公派)-계공랑공계(啓功郞公系) || 독립운동가 || || [[정경진(학원인)|정경진]](庚鎭) || 1930 ~ 2020 || 대사헌공파(大司憲公派)-동원공계(東園公系) || [[종로학원]] 원장 || || [[정육진]](陸鎭) || 1933~1994 || 전첨공파(典籤公派)-별제공계(別提公系) || 군인 || || [[정범진]](範鎭) || 1934 ~ || 대사헌공파(大司憲公派)-사성공계(司成公系) || 제16대 [[성균관대학교]] 총장, 제8, 9대 [[나주 정씨]] 대종회장 || || [[정광진]](廣鎭) || 1937~2023 || 대사헌공파(大司憲公派)-동원공계(東園公系) || 법조인 || || [[정철범]](哲範) || 1940 ~ || 첨정공파(僉精公派) || 종교인 || || [[정채하]](菜夏) || 1948 ~ || 사간공파(司諫公派) || [[정치인]], 군인 || ||<-4> '''29세''' || || [[정진원]](進源) || 1868 ~ 1943 || 덕천파(德川派) || 독립운동가 || || [[정해식]](海植) || 1927 ~ 1977 || 초암공파(草菴公派)-진사공계(進士公系) || 제6대 [[조달청장]], 제15대 [[충청북도지사|충청북도 지사]], 제16대 [[경상남도지사|경상남도 지사]] || || [[정해창]](海昌) || 1937 ~ || 초암공파(草菴公派)-감찰공계(監察公系) || 제36, 37대 [[법무부장관|법무부 장관]], 제16대 [[대통령비서실장]], 제4, 5대 [[나주 정씨]] 대종회장 || || [[정해남]](海南) || 1943 ~ || 첨정공파(僉精公派) || 정치인 || || [[정채륭]](采隆) || 1948 ~ || 초암공파(草菴公派)-감찰공계(監察公系) || 공무원, 족보명 해륭(海隆) || || [[정옥근]](玉根) || 1952 ~ || 초암공파(草菴公派)-진사공계(進士公系) || 제21대 [[해군참모총장]], 족보명 해옥(海玉) || || [[정해구]](海龜) || 1955 ~ || 전첨공파(典籤公派)-별제공계(別提公系) || 공무원, 학자 || || [[정순평]](淳平) || 1958 ~ || 초암공파(草菴公派)-감찰공계(監察公系) || 정치인 || || [[정해원]](海遠) || 1959 ~ || 대사헌공파(大司憲公派)-정랑공계(正郞公系) || 축구선수 || || [[정태영(기업인)|정태영]](太映) || 1960 ~ || 대사헌공파(大司憲公派)-동원공계(東園公系) || [[현대카드]] 부회장 || || [[정재환]](在煥) || 1961 ~ || 전첨공파(典籤公派)-별제공계(別提公系) || 배우, 족보명 해철(海哲) || || [[정해인]](海寅) || 1988 ~ || 대사헌공파(大司憲公派)-동원공계(東園公系) || 배우 || ||<-4> '''30세''' || || [[정영덕(정치인)|정영덕]](英德) || 1963 ~ || 기옹공파(奇翁公派)-성암공계(誠菴公系) || 정치인 || || [[정문성]](文晟) || 1981 ~ || 기옹공파(奇翁公派)-의암공계(毅菴公系) || 배우, 족보명 문영(文榮) || || [[정일우]](一宇) || 1987 ~ || 초암공파(草菴公派)-감찰공계(監察公系) || 배우 || || [[정보근]](保漌) || 1999 ~ || 초암공파(草菴公派)-진사공계(進士公系) || 야구선수 || || [[정나영]](羅榮) || 2001 ~ || 미상(未詳) || 가수 || ||<-4> '''31세''' || || [[정붕익]](鵬翊) || 1872 ~ ? || 덕천파(德川派) || 독립운동가 || || [[정윤경]](允京) || 1967 ~ || 기옹공파(奇翁公派)-성암공계(誠菴公系) || 정치인 || || [[정동호(축구선수)|정동호]](東浩) || 1990 ~ || 교리공파(校理公派)-사직공계(司直公系) || 축구선수 || ||<-4> '''32세''' || ||<-4> '''33세''' || ||<-4> '''미상''' || || [[정수라|정은숙]](銀淑) || 1963 ~ || 미상(未詳) || 가수, 예명 수라(秀羅) || == 여담 == * 조선 후기부터 당(唐)나라에서 재상을 지냈다는 정덕성(丁德盛)이 압해도에 유배되어 정착하고 [[압해 정씨|모든 정(丁)씨]]의 시조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만들어졌다. 그러나 이에 대해서는 중국이나 한국 그 어느 나라의 정사(正史)에도 일언반구의 증거도 찾아볼 수 없는 황당한 날조 행위였다는 것을 약 200년 전에 이미 해좌(海左) 정범조(丁範祖)ㆍ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등 지난날의 선조(先祖) 석학(碩學)들이 너무도 분명히 변증(辨證)해 놓은 바가 있다.[* 사실 조선 후기는 족보 위조가 심했다. 여기서 말하는 족보 위조란, 흔히들 생각하는 '돈 주고 족보 샀다'라는 개념이 아니라 양반들이 자신들의 조상을 드높이기 위해 조상의 관직을 조작하거나, 없는 조상을 만들어내는 부류이다. 정덕성이라는 가공인물은 당대 만연하던 모화사상의 영향으로, 중국에서 건너온 고귀한 신분으로 '설정'된 사람이다.] * [[정약용]] 형제들이 [[천주교]]를 믿다 박해를 당한 것으로 역사적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정약종]]은 [[1801년]] [[신유박해]] 때 순교했다. 그 때문인지 나주 정씨들은 [[가톨릭]] 신자 비율이 다른 집안들에 비해 높다고 알려져 있다. * [[정연제]]의 성씨이다. [[분류:나주 정씨(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