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나주시의 시내버스)] || [[파일:나주 혁신도시 셔틀버스 1066호.jpg|width=100%]] || || [[2023년 나주 시내버스 개편|2023년 개편]] 이전의 셔틀1번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나주시 CI_White.svg|width=30]] {{{#ffffff 나주시 시내버스 셔틀1번}}} || ||<-2> 기점 ||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동(빛가람병원후문) ||<-2> 종점 ||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동(빛가람병원후문) || ||<|2> 종점행 || 첫차 || 06:15 ||<|2> 기점행 || 첫차 || - || || 막차 || 21:20 || 막차 || - || ||<-2> 운수사명 || [[나주교통]] ||<-2> 배차간격 || 15~54분 || ||<-2> 노선 ||<-4> 빛가람병원후문 → 유전저수지 → [[빛가람 코오롱하늘채|코오롱하늘채]] → 우미린 → [[한국전력거래소|전력거래소]] → [[한국농어촌공사]] → LH3단지 → 빛가람초중교 → LH4단지 →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 부영1단지 →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전파진흥원]] → 우정사업본부 → 빛가람병원후문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2023나주셔틀.jpg|width=100%]]}}} || ||<-6> [[파일:나주시 CI_White.svg|width=30]] {{{#ffffff 나주시 시내버스 셔틀2번}}} || ||<-2> 기점 ||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동(빛가람병원후문) ||<-2> 종점 ||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동(빛가람병원후문) || ||<|2> 종점행 || 첫차 || 06:10 ||<|2> 기점행 || 첫차 || - || || 막차 || 21:15 || 막차 || - || ||<-2> 운수사명 || [[나주교통]] ||<-2> 배차간격 || 15~54분 || ||<-2> 노선 ||<-4> '''셔틀1번의 역순으로 운행.''' || == 개요 == 나주시 시내버스 노선 중 하나로,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 개발에 의해 신설된 내부 순환노선이다. == 역사 == * 2014년 3월 10일에 임시 운행을 개시하였으며, 4월 1일부터 정식 운행에 들어갔다. [[http://naju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212015|관련 기사]] * 2019년 7월으로 예정된 [[근로기준법]] 개편을 대비하여 2019년 1월 26일에 버스 노선이 조정되었다. 셔틀3번과 셔틀4번을 없앤 대신에 3대에서 4대로 1대 증차하였고, 노선이 변경되었다. [[https://www.yna.co.kr/view/AKR20190123104500054|관련 기사]] [[파일:190126_나주버스 셔틀 개편.jpg]] * 이에 대비하여 2018년 11월 15일 설명회를 가졌으나 주민과의 갈등이 있었다. [[http://www.jn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13337|관련 기사 1]] [[http://www.jn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13409|관련 기사 2]] * 2020년 3월 16일부터 빛가람병원후문으로 기종점 변경 운행한다. * 2020년 12월 23일 혁신도시 버스 노선 개편으로 공공형 버스인 [[나주 버스 우정1, 우정2|우정1, 우정2]], [[나주 버스 그린1, 그린2|그린1, 그린2번]]이 개통되면서 노선의 굴곡이 조금 줄어들었다.[* 더 이상 사학연금공단, 대방엘리움 1차 및 2차 정류장을 경유하지 않는다. 대신 사학연금공단 정류장은 신설된 공공형 버스 노선 중 우정로와 그린로 노선 모두 경유하며, 대방엘리움 1차와 2차 정류장은 그린로 노선이 경유한다.] 동시에 요금도 공공형 버스와 동일한 성인 700원, 청소년 500원, 어린이 300원으로 인하되었으나, 감차로 인해 배차간격은 다소 불규칙해지고 조금 더 넓어졌고, 첫차 시간은 늦어지고 막차 시간은 빨라졌다.[* 감차된 차량은 개편으로 신설된 [[나주 버스 7003, 7004|7003번과 7004번]]에 투입되었다.] 또한 [[빛가람시외버스정류소]]를 경유하지 않게 되어 시외버스 정류소 바로 앞쪽에는 이용 가능한 시내버스가 전혀 없게 되었다. * 2022년 6월부터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를 경유한다. * 2023년 10월 2일부터 [[2023년 나주 시내버스 개편]]으로 금천면에 위치한 [[빛가람 코오롱하늘채]] 아파트를 경유한다. == 특징 == * 셔틀1번과 2번은 방향만 서로 반대일 뿐, 노선은 같다. * [[나주 버스 순환1, 순환2, 순환3|목사고을 순환버스]]와 함께 시내버스 노선이지만 마을버스 요금을 받는다. * 종전 셔틀버스와 함께 혁신도시 내부 교통을 책임지던 [[나주 버스 7000, 7001, 7002|구 700번]][* 현재의 7000, 7001, 7002번의 전신. [[2023년 나주 시내버스 개편]]으로 신설된 [[나주 버스 700, 701|700번]]과는 다르다.]과 [[나주 버스 1160]]의 노선이 크게 조정되면서 혁신도시 내부 교통을 책임지는 거의 유일한 노선이 되었으며, 아울러 원래 빛가람로만 경유하던 [[광주 버스 좌석02]]와 빛가람로 경유로 신설된 [[나주 버스 급행01|급행01]], [[나주 버스 급행02|급행02번]]을 이용하려는 그린로 및 우정로 주민들을 위한 연계교통편으로 기능하고 있기도 하다. * 첫차, 막차 시간대는 40~50분 간격으로 배차하고 평시에는 24분 간격으로 배차한다. * 공공형 버스 노선과 함께 나주시에서 남평읍은 물론 구시가지보다 인구가 많은 빛가람동 내부 교통을 책임지는 노선이기에 나주시 내에서는 나름 준수한 배차간격을 자랑하지만, 문제는 빛가람동이 걸어서 가로지르는데 40~50분이면 충분할 정도로 그렇게 넓은 행정구역이 아니고, 주민들도 대부분 [[광주광역시]],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등 도시 지역에서 이사한 사람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이 노선의 배차간격이 짧게 느껴지지 않는 것이 비교적 저조한 수요의 원인. 다른 버스 환승 용도로 탄다고 해도 일부 외곽 아파트단지에서도 [[나주 버스 급행01|급행01]], [[나주 버스 급행02|급행02]], [[광주 버스 좌석02|좌석02]] 등을 탈 수 있는 정류장이 도보로 20~30분 정도 떨어져 있어 환승 용도로 타기가 대단히 애매하다. 거기다 다소 긴 배차간격 때문에 시간표가 애매할 경우 타고 가서 다른 버스로 갈아타려고 다시 20분 가량을 기다려야 하는 불상사가 많이 발생하는 편이다. * 종전 4개의 셔틀 노선이 유지되던 때에는 셔틀 노선 및 700번[* [[나주 버스 700, 701|현재의 700번]]과는 무관한 노선이다. [[나주 버스 7000, 7001, 7002|현재 7000, 7001, 7002번]]의 전신.], [[나주 버스 1160|1160번]] 등이 빛가람동주민센터와 호수공원 정류장을 경유하였으나, 셔틀 노선이 1, 2번으로 통합되고 700, 1160번 노선이 개편되면서 그린로, 우정로에서 빛가람동주민센터 방면으로 가는 버스가 사라졌었다.[* 물론 중흥2차 정류장에서 가깝기는 하나, 그린로 지역에서 해당 정류장으로 바로 가는 노선이 일 26회 운행(...)중인 [[나주 버스 1160|1160번]] 뿐이었기 때문에 주민센터 방문 시 시간상 손해는 어쩔 수 없는 부분이었다.] 이후 [[나주 버스 우정1, 우정2|우정1, 우정2]], [[나주 버스 그린1, 그린2|그린1, 그린2번]]이 빛가람로를 경유하는 노선으로 개통되면서 주민센터 접근성 문제가 일단 해결되었으며, 공공형 버스 운행이 중지된 이후에는 [[나주콜버스]]가 그 역할을 대신하고 있으나 콜버스의 문제점 때문에 셔틀 노선을 좀 더 이곳저곳 들르도록 해 달라는 요구가 있다. *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와 코오롱하늘채 구간의 경우 다른 구간과는 다르게 양방향 노선이 모두 같은 정류장을 경유해 나가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의 경우 학교 앞에서 비슷한 이름의 정류장 여러 곳에 정차하므로 확인이 필요하다.[* 더불어 2022년 이후 LH3단지, LH4단지를 비롯한 그린로 남쪽에서 루멘하임(부영1단지)나 빛가람병원후문 방면으로 갈 경우 이 노선은 한전공대를 경유해 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나주 버스 7000, 7001, 7002|7000번, 7001번]], [[나주 버스 998|998번]]과 같은 다른 노선을 타는 것이 좋다. 코오롱하늘채를 경유해 마찬가지로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된 우미린~유전저수지 사이 구간도 마찬가지로 다른 노선을 이용하는 것이 낫다. 물론 다른 버스도 그렇게 자주 오지는 않고, 그나마 자주 오는 7000번, 7001번, 7002번은 요금이 이 노선의 두 배(현금 1400원)이므로 다음 버스가 멀리 있다면 그냥 이거 타고 가자(...).] 안 그래도 이용객이 적은데 [[한국에너지공대]]를 경유하면서 루멘하임(부영1차) 북쪽 구간[* 우정사업정보센터, 빛가람종합병원 등]과 남쪽 구간[* LH3, 4, 5, 6단지, 빛가람초중교 등]을 이동하는 데 상당히 시간적 손해를 입은 탓에 이용객이 더 줄었다. 다만 이와 별개로 금천중학교를 직접적으로 경유해서 평일 등하교 시간대에는 금천중 학생의 통학 수요를 챙겨주고 있다. === 시간표 === [[https://www.naju.go.kr/www/field_info/traffic/citybus/announcement/status|나주시청 시내버스 시간표 안내 페이지]] == 연계 철도역 == 없음. [[분류:나주시의 시내버스]][[분류:2014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