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마법사족]][[분류:유희왕/OCG/튜너]]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하급 튜너 몬스터 카드. [목차] == 설명 == [[파일:ナイトエンド・ソーサラ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튜너=, 효과=, 한글판 명칭=나이트엔드 소서러, 일어판 명칭=ナイトエンド・ソーサラー, 영어판 명칭=Night's End Sorcerer, 레벨=2, 속성=어둠, 종족=마법사족, 공격력=1300, 수비력=400, 효과1=①: 이 카드가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때\, 상대 묘지의 카드를 2장까지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제외한다.)] 특수 소환 성공시 상대 묘지의 카드를 대상 지정하여 제외하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유발 효과|유발 효과]]를 가진 하급 튜너 효과 몬스터. TCG권에서 [[혼돈의 교차]]를 통해 처음 등장했으며, 이후 OCG에서는 [[엑스트라 팩]] 2에서 등장했다. 레벨 2 마법사족 튜너 중에서는 가장 공격력이 높으며, 레벨 2 전체에서 공격력 최대가 1400이라는 점을 생각해보면 그냥 봐도 상당한 공격력이다. 다만 어디까지나 저레벨 중에서 높다는 것이지, 객관적으로는 낮은 공격력인지라 실제 사용할 때 공격력이 크게 도움이 되는 카드는 아니다. 동레벨에 공격력이 더 높고 좀더 전투에 어울리는 효과를 지닌 [[마그나 드라고]]도 [[튜너 비트]] 덱이라도 아닌 이상 직접 전투에 쓰지는 않는다. 결국 이 카드를 쓴다면 역시 효과를 살리는 것이 중요. 레벨과 공격력이 적당히 낮기 때문에 다행히 특수 소환은 쉽다.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마법사족 덱에서 쓸만한 수단으로는 [[매지컬 컨덕터]], [[매지션즈 서클]], 일부 [[마도서(유희왕)|마도서]], [[블랙 매지션/서포트 카드|매지션즈 내비게이트]], [[흑마족 부활의 관]], [[흑마술의 베일]] 등이 있다. 역시 가장 편한 건 매지컬 컨덕터로, 상대 묘지의 카드를 2장 제거한 후 허약한 이 카드를 노출시키지 않고 [[싱크로 소환]]까지 할 수 있다. 효과가 임의 효과인지라 타이밍을 놓칠 수 있으니 주의. 특히 주의해야 할 것은 [[디멘션 매직]]으로, 디멘션 매직의 파괴효과를 발동해버리면 타이밍을 놓쳐 이 카드의 효과를 쓸 수 없다. 디멘션 매직으로 패에서 꺼낼 만큼 능력치가 좋은 카드가 아니므로 이 카드를 꺼내는 건 어지간하면 자제하자. 그리고 [[더 다크 일루전]] 이후 [[블랙 매지션(유희왕/카드군)|블랙 매지션]] 대회 덱에서 심심찮게 얼굴을 보이고 있다. 매지션즈 내비게이트로 튀어나와 티어덱인 [[푸른 눈]]과 [[DD(유희왕/카드군)|DD]]의 묘지자원을 제거하고, 이후 [[블랙 매지션]]으로 [[하늘빛 눈의 은룡]]을 싱크로 소환해 처리한다. 마법사족 덱 이외에 [[튜너 비트]] 덱이나 어둠 속성 덱에서 묘지 견제용으로 쓰는 방법도 있긴 하다. 튜너 비트 덱에서야 물론 공격력을 이용하고, 어둠 속성 덱에서는 [[킬러 토마토(유희왕)|킬러 토마토]]로 불러오기만 해도 상대 묘지를 날려버릴 수 있다. 사실 굳이 상대 묘지 견제에 신경쓰지 않는다면 다른 마법사족 레벨 2 튜너인 [[매지컬 피시어리스트]]가 더 나을 수도 있다. 매지컬 피시어리스트도 자신의 효과로 이 카드와 동일한 공격력을 얻을 수 있고, 때로는 전혀 도움이 안 될 수도 있는 묘지 견제에 비해 좀더 즉효성이 있고 어느 덱에나 통하는 확실한 이득을 주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하지만 매지컬 피시어리스트와의 가장 큰 차별점은 역시 속성. 블랙 매지션 덱에서 매지션즈 내비게이트와 흑마술의 베일, 흑마족 부활의 관으로 어둠 속성인 이 카드는 꺼낼 수가 있지만 피시어리스트는 빛 속성이기 때문에 소환할 수가 없어서 원할 때 꺼낼 수 있는 즉효성 면에선 이 카드 쪽이 훨씬 좋다고 할 수 있다. 또 상대 묘지 제외가 목적이라도 [[영멸술사 카이쿠]]나 [[파계승 란신]] 등 다른 마법사족들도 있다. 이 카드는 전투를 통하지 않고도 묘지를 견제할 수 있고, [[리빙 데드가 부르는 소리]] 등 프리 체인 소생 효과로 기습적인 묘지 견제가 가능하다는 게 장점이다. 반면 서포트 없이는 정말 이도저도 못 하는 카드라는 점은 저 둘에 비해 딸린다. 같은 팩에서 등장한 [[매직 템피스터]]의 모습은 마치 매지컬 컨덕터와 이 카드를 합쳐 놓은 듯한 모습을 하고 있는데다 실제로 저 둘의 조합으로 싱크로 소환이 가능하기에 뭔가 관련이 있어 보인다. 또 일러스트가 [[령사]]들과 비슷한데 이는 일러스트레이터가 [[후지와라 아키나|같기 때문]]. 심지어는 [[드롤 & 로크 버드]]의 인물이 아닌가 하기도 한다. 노멀 레어라서 일본판으로는 구하기 힘들지만 국내에서는 별로 어렵지 않게 구할 수 있었으나, 등장 팩이 나온 지 오래되고 복각도 되지 않아 구하기가 힘들어졌다. 그나마 일본에서는 [[히든 서머너즈]]에서 노멀로 풀려서 구하기 쉬워졌다. 여담으로 이 카드의 일러스트레이터인 [[후지와라 아키나]]는 [[https://twitter.com/aki_usasan/status/1558163147659169792?t=G136Nd6y5FBy-VjoO3mC8Q&s=19|이 캐릭터의 애정이 깊은지 일러스트를 많이 그리고 있다.]] 심지어 프로필도 이 카드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혼돈의 교차|Crossroads of Chaos]] || CSOC-EN087 || [[슈퍼 레어]] || 미국 || 세계 최초 수록 || || OTS Tournament Pack 3 || OP03-EN023 || [[노멀]] || 미국 || || || [[히든 서머너즈|Hidden Summoners]] || HISU-EN040 || [[슈퍼 레어]] || 미국 ||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Volume 2]] || EXP2-JP028 || [[노멀 레어]] || 일본 || 일본 최초 수록[br]절판 || || [[히든 서머너즈|デッキビルドパック -ヒドゥン・サモナーズ-]] || DBHS-JP040 || [[노멀]][br][[패러렐 레어|패러렐]] [[노멀]] || 일본 || || || [[엑스트라 팩|엑스트라 팩 Volume 2]] || EXP2-KR028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히든 서머너즈|덱 빌드 팩 -히든 서머너즈-]] || DBHS-KR040 || [[노멀]][br][[패러렐 레어|패러렐]] [[노멀]] || 한국 || || == 관련 카드 == === [[나이트엔드 어드미니스트레이터]] === 나이트엔드 소서러를 전용 튜너로 하는 싱크로 몬스터. === [[매직 템피스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