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항공사/오세아니아/플래그 캐리어)] ||<-4> '''{{{#ffffff 나우루항공 [br]Nauru Airlines}}}''' || ||<-4><#ffffff>
[[파일:Nauru_Airlines_logo_2023.jpg|width=100%]] || ||<-2> '''부호''' ||<-2><(>[[항공사]] [[호출 부호]] (AIR NAURU)[br][[IATA#s-3]] (ON) [[ICAO#s-3]] (RON) [[보잉/커스터머 코드|BCC]] (L7) || ||<-2> '''항공권 식별 번호''' ||<-2><(> 123 || ||<-2> '''설립 연도''' ||<-2><(> [[1969년]] [[9월 17일]] || ||<-2> '''운항 개시 연도''' ||<-2><(> [[1970년]] [[2월 14일]] || ||<-2> '''허브 공항''' ||<-2><(> [[나우루 국제공항]] || ||<-2> '''보유 항공기 수''' ||<-2><(> 5 || ||<-2> '''런치 커스터머''' ||<-2><(> [[포커 F28|포커 F28-1000]] || ||<-2> '''취항지 수''' ||<-2><(>7 || ||<-2> '''슬로건''' ||<-2><(> ''' ''{{{#0464B4 Airlines of the Central Pacific}}}'' '''|| ||<-2><|2> '''링크''' ||<-2><(> [[https://www.nauruair.com/|[[파일:Nauru_Airlines_logo_2023.jpg|width=80]]]] || ||<-2>[[https://www.facebook.com/nauruairline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nauruairlines, 크기=25)] [[https://www.instagram.com/nauruairline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https://www.youtube.com/channel/UCIEappnl7uwS8Wgu5POyTi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98796_1647589016.jpg|width=100%]]}}} || || '''[[보잉|{{{#ffffff 보잉}}}]] [[보잉 737 NG#s-3.2|{{{#ffffff 737-79L}}}]]'''[* 구 도장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우루항공_VH-PNI.jpg|width=100%]]}}} || || '''[[보잉|{{{#ffffff 보잉}}}]] [[보잉 737 NG#s-3.1|{{{#ffffff 737-36N}}}]]'''[* 신 도장이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나우루항공은 [[나우루]]의 국영항공사로 주로 [[오세아니아]]에 취항하고 [[허브공항]]은 [[나우루 국제공항]]이 있다.[* 유일하게 나우루에 취항하고 있다.] 본사는 [[나우루]]와 [[브리즈번]]에 있다. 이전 명칭은 아워 항공(Our Airlines) 이다. == 역사 == 1970년 2월 14일에 에어 나우루란 이름으로 설립되어 나우루 ~ 브리즈번까지 등록기호 VH-BIZ, 데설트 팔콘 20 전세기로 부정기 운항을 시작했다. 최초 정기 노선은 1972년에 [[포커 28]] 항공기가 등록기호 C2-RN1로 인도되면서 시작됐다. 1975년 [[보잉 737 오리지널|보잉 737-200]](C2-RN3)기를 사용하기 시작했고, 1976년 6월 16일에 [[보잉 727|보잉 727-100]](C2-RN4)기를 운항하기 시작했다. 1994년 [[보잉 737 클래식|보잉 737-400]]을 도입하여 보잉 737-200을 대체했다. 그러나 [[인광석]]이 고갈되며 [[나우루/경제|나우루의 경제]]가 몰락하자 90년대부터 나우루 정부에 의해 여러번 운항을 당하기 시작했으며 2005년 유일한 비행기였던 보잉 737-400이 압류당하고 말았다. 그 탓에 사람들은 배를 교통 수단으로 써야 했고(…)이듬해인 2006년, 대만 정부의 지원을 받아 사명을 아워 항공으로 바꾼뒤 보잉 737-300을 중고로 도입해 다시 운항을 시작했다. 2014년 8월 1일에 아워 항공 Our Airlines 에서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했다. == 운항노선 == 2023년 1월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5>
'''운행노선 (국제선)''' || || 출발공항 ||<-2> 도착공항 || 운행 횟수 || 항공사 || ||<|8> [[나우루 국제공항]] || [[브리즈번 국제공항]] || [[오스트레일리아]] || 일요일, 1회 ||<|8> 나우루항공 || || [[난디 국제공항]] || [[피지]] || || || 본리키 국제공항(타라와) || [[키리바시]] || || || 마주로 마셜 국제공항 || [[마셜 제도]] || || || 폰페이 국제공항 || [[미크로네시아]] || || || [[호니아라]] 국제공항 || [[솔로몬 제도]] || || 이 항공사는 인광석 호경기 중이었던 한때 오세아니아 전 지역에 취항한 데에 이어 심지어 [[보잉 727]]로 [[첵랍콕 국제공항|홍콩]], [[쑹산 국제공항|대만 타이페이]], [[나하 공항|오키나와]], [[가고시마 공항|일본 가고시마]],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필리핀 마닐라]], [[창이 국제공항|싱가포르]], [[호놀룰루 국제공항|하와이]], [[오클랜드 국제공항|뉴질랜드 오클랜드]], [[사이판 국제공항|사이판]], [[괌 국제공항|괌]], [[멜버른 국제공항|호주 멜버른]]과 [[시드니 국제공항|시드니]]에 이르기까지 사실상 대 태평양 노선에 취항한 엄청난 항공사였다. 이것은 나우루가 작지만 [[오세아니아]]를 이어 주는 나라라는 점을 과시하기 위한 것이었는데, 당연하지만 이렇게 수익성도 검토하지 않고 마구 취항하는 바람에 경영은 엉망이었다. 좌석 점유율은 20%를 넘지 못했고, 항공사 운영에만 년 국가 수입의 절반 가량을 탕진할 정도였다고 하니 어지간한 막장운영은 명함도 못 내밀 지경. 결국 인광석이 고갈된 이후로는 적자 누적을 견디지 못하고 전성기에 다섯 대에 달하던 보잉기도 하나 둘 팔아치우는 신세가 되었다. 마지막 남은 보잉기마저도 [[2005년]] 채권자에게 압류되어 외부와의 항공교통이 두절되는 등 곡절을 겪다가 현재는 [[타이완]] 정부의 지원을 받아 이름을 바꾸고 [[보잉 737 클래식|보잉 737-300]] 2대, 737-300 화물기 2대 및 [[보잉 737 NG|보잉 737-700]] 1대로 근근히 운항하고 있다. 다만 기체 등록번호는 호주식 번호를 부여받았다. 이런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이유는 나우루가 [[대만/외교|대만의 몇 안 되는 수교국]]이기 때문. 주 1회, 일요일 호주 [[브리즈번 국제공항]]에서 나우루행 비행기를 탈 수 있는데, 수요가 적어서 항공료는 꽤 비싼 편. 그나마 정부에서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해 반값 요금을 받고 있는데 그마저도 100만 원이 넘는다. 나우루에 입국하려는 외국인들은 [[브리즈번]] 공항에서 [[비자]]를 받아야 한다. 왕복 항공권 발권 시 입국비자 가능. 다만 한국인의 경우는 EU,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스위스, 일본 등 국적자 등과 더불어 범죄 기록 제출 면제가 가능하다. == 보유 항공기 == [include(틀:하위 문서, top1=나우루항공/보유 기종)] 총 5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모두 보잉 737기이다. == 여담 == [[파일:EeODID5VAAEffTO.jpg|width=100%]] 의외지만 이 항공사가 2020년 12월 3일 [[인천국제공항]]에 코로나 관련 용품을 수급하기위해 방문한 적이 있었다. 방문 당시 737-300의 항속거리로 인해 얍[* [[미크로네시아 연방]]에 있다.]이나 괌을 경유하여 들어왔었다. 2020년 이후로도 아주 가끔씩 인천국제공항에 온다. [[분류:오세아니아의 항공사]][[분류:1970년 기업]][[분류:나우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