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나애심}}}[br]羅愛心 | Na Ae-sim}}}'''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image.newsis.com/2017/12/21/NISI20171221_0000085000_web.jpg|width=100%]]}}} || || '''본명''' ||전봉선 (全鳳仙) || ||<|2> '''출생''' ||[[1930년]] [[9월 5일]] || ||[[평안남도]] 진남포부 (現 [[남포시]]) || || '''본관''' ||[[천안 전씨]] (天安 全氏) || || '''사망''' ||[[2017년]] [[12월 20일]] (향년 87세) || || '''가족''' ||오빠 전오승, 조카 [[전영선]], 딸 [[김혜림(1968)|김혜림]] || || '''신체''' ||162cm || ||<|2> '''데뷔''' ||배우: [[1949년]] || ||가수: [[1953년]] '밤의 탱고'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가수 및 영화배우. 以北 [[평안남도]] 출신의 [[실향민/대한민국]]이다. == 생애 == [[1930년]] [[9월 5일]], [[남포시]]에서 태어났으며, [[1949년]]에 연극배우로, [[1953년]]에 '밤의 탱고' 를 발표하며 가수로 데뷔하였다. 대표곡으로는 '백치 아다다', '미사의 종', '과거를 묻지 마세요', '세월이 가면[* [[한국전쟁]] 이후 문인들의 사랑방이었던 명동쌀롱에 모인 예술가들이 [[박인환(시인)|박인환]]의 시(세상을 떠나기 일주일 전에 지었다.)에 즉석에서 멜로디를 붙여 만든 노래로 소위 '명동 엘레지'로 불리기도 했다. 후에 [[박인희]]가 리메이크 하였다.]' 등이 있다. 이 곡들 중 '백치 아다다' 는 [[문주란]]이 리메이크해서 알려졌던 적도 있다. 1950년대에는 가수 [[심연옥]]과 함께 많은 인기를 누렸으며, 이후에는 [[가요무대]]에 간간이 출연하며 방송 활동을 이어나가다가 시간이 지나자 점차 대중들에게 모습을 덜 보이게 되었다. [[2017년]] [[12월 20일]],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87세.[[https://www.yna.co.kr/view/AKR20171221134751005|#]] == 기타 == * 집안에 연예 분야 관련 직업을 가진 사람들이 많다. 일단 그녀의 오빠인 전오승이 작곡가이며, 그녀의 조카인 [[전영선]]은 영화배우로 활동했으며, 그녀의 딸인 [[김혜림(1968)|김혜림]]은 가수다. == 대표곡 == * [[1953년]] 밤의 탱고 * [[1956년]] 백치 아다다 * [[1956년]] 세월이 가면 * [[1958년]] 과거를 묻지 마세요 * [[1958년]] 미사의 종 [[분류:한국 여가수]][[분류:한국 여배우]][[분류:1930년 출생]][[분류:1949년 데뷔]][[분류:2017년 사망]][[분류:남포시 출신 인물]][[분류:실향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