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000000,#dddddd '''{{{+1 나를 구하지 마세요}}}''' (2020)[br]''Please Don't Save M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나를 구하지 마세요(2020) 포스터.jpg|width=100%]]}}} || || '''{{{#000000,#dddddd 장르}}}''' ||{{{#!wiki style="margin: 0px 10px" 예술, 독립영화, 드라마}}} || || '''{{{#000000,#dddddd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정연경}}} || || '''{{{#000000,#dddddd 제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정상민}}} || || '''{{{#000000,#dddddd 프로듀서}}}''' ||{{{#!wiki style="margin: 0px 10px" 오영림, 유홍준}}} || || '''{{{#000000,#dddddd 주연}}}''' ||{{{#!wiki style="margin: 0px 10px" [[조유하|조서연]], [[최로운]], [[양소민]], 선화, [[이휘종]], 이선희}}} || || '''{{{#000000,#dddddd 촬영}}}'''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형구}}} || || '''{{{#000000,#dddddd 각본}}}''' ||{{{#!wiki style="margin: 0px 10px" 정연경, 주영하}}} || || '''{{{#000000,#dddddd 조명}}}''' ||{{{#!wiki style="margin: 0px 10px" 강대희}}} || || '''{{{#000000,#dddddd 동시녹음}}}''' ||{{{#!wiki style="margin: 0px 10px" 이상준}}} || || '''{{{#000000,#dddddd 미술}}}''' ||{{{#!wiki style="margin: 0px 10px" 강동훈}}} || || '''{{{#000000,#dddddd 의상}}}'''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유선}}} || || '''{{{#000000,#dddddd 분장/헤어}}}''' ||{{{#!wiki style="margin: 0px 10px" 장혜령}}} || || '''{{{#000000,#dddddd 음악}}}''' ||{{{#!wiki style="margin: 0px 10px" 변준섭}}} || || '''{{{#000000,#dddddd 사운드}}}'''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석원}}} || || '''{{{#000000,#dddddd DI/현상}}}'''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지민}}} || || '''{{{#000000,#dddddd 기획}}}''' ||{{{#!wiki style="margin: 0px 10px" 정연경, 김경선}}} || || '''{{{#000000,#dddddd 제작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주)아우라픽처스}}} || || '''{{{#000000,#dddddd 배급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주)리틀빅픽쳐스}}} || || '''{{{#000000,#dddddd 제공}}}'''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주)아우라픽처스}}} || || '''{{{#000000,#dddddd 공동제공}}}'''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주)리틀빅픽쳐스}}} || || '''{{{#000000,#dddddd 개봉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0년 9월 10일}}} || || '''{{{#000000,#dddddd 상영 시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97분}}} || || '''{{{#000000,#dddddd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12세 관람가|[[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12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예고편 == [Youtube(-ALLEJn8-TQ)] == 시놉시스 == || 아빠가 떠난 후 도망치듯 엄마([[양소민]])와 함께 아무도 모르는 곳으로 이사 온 열두 살 소녀 선유([[조유하|조서연]]) 또래보다 일찍 철들어버린 선유는 엄마마저 자신을 떠날까 불안함이 앞선다. 전학 첫날, 말썽쟁이 정국([[최로운]])이는 눈치도 없이 선유 곁을 맴돌고 선유는 명랑한 정국의 모습에 조금씩 웃음을 되찾아 가는데… “우리 아이스크림 먹으러 가자!” 정국의 한 마디는 선유를 구할 수 있을까? || == 등장인물 == === 주연 === * [[조유하]] - 선유 역 * [[최로운]] - 정국 역 * [[양소민]] - 나희 역 * 선화 - 정국 엄마 역 * [[이휘종]] - 담임선생님 역 * 이선희 - 인경 역 * 김건 - 건 역 == 수상 == * 2021년 제9회 서울구로국제어린이영화제 키즈 포커스 배우상 - 조유하[[https://www.instagram.com/p/CROD-00sI06|#]] == 기타 == * 개봉이 몇 번 늦춰졌었다. [[2019년]] [[4월 18일]]에 크랭크인을 하고 5월 30일에 크랭크업을 한 후[[http://videoplus.co.kr/board_view.php?data=idx%3D106795%26pagecnt%3D%26letter_no%3D%26offset%3D%26search%3D%26searchstring%3D%26present_num%3D&code=1225075643&boardIndex=16&psm=1|#]], 같은 해 10월에서 11월 사이로 상영 예정이었으나[[https://cafe.naver.com/bcway/1127|#]], [[전주국제영화제]] 출품 때문인지 개봉이 미뤄져 [[2020년]] [[9월 3일]]로 개봉이 잡혔다. 이것 마저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여파로 [[9월 10일]]로 개봉일이 변경되었다.[[https://isplus.joins.com/2020/08/28/enter/movieweek/23859466.html|#]] * 2016년 [[대구광역시|대구]]에서 발생한 모자(母子)의 자녀 [[살해 후 자살]] 사건을 모녀(母女)로 재구성한 영화이다. 모티브 사건은 대구에서 발생했으나 해당 영화 촬영은 [[부천시]]에 소재한 부천대학로에서 일부 진행되었다. * 정연경 감독은 아이가 '내가 죽거든 색종이와 십자수 책을 종이접기를 좋아하거나 가난한 사람에게 나눠주세요'라는 메모를 남겼단 사실에 '아이가 메모를 남기며 어떤 마음이었을까'라는 심경으로 영화를 제작하였다 밝혔다. [[http://www.kyeongin.com/main/view.php?key=20200902010000399|기사]] 영화 내에서도 선유의 기록이 중요한 소재로 쓰인다. * 여성 소비자 신문 [[http://www.wsobi.com/news/articleView.html?idxno=104859|인터뷰]]에서 영화 제작 과정에서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아동심리상담사, 자살예방 심리상담사 등 여러 분야 종사자들에게 자문을 받으며 그 자살유가족의 고통을 통감했고, 영화에서 그들의 심리적 고통과 사회적 고립에 대해 다루며 위로를 전하고 싶었다고 밝혔다. 영화의 전개는 '위로'의 메세지를 착실히 따라 가기위해 실제 사건과 다르게 다소 극적이고 희망적인 결말을 넣었다.[*스포일러 선유가 나희를 따라 [[살해 후 자살]] 목적으로 선유의 아버지가 자살한 선착장에 갔다는 사실을 평소 선유의 가까이에서 지냈던 정국이 눈치채며 정국의 모친을 대동한 일행이 승용차를 몰고 선착장으로 이동하고, 선착장의 나무 구조물에 서있던 선유와 나희를 발견한 정국이 회유하는 대사를 하자 나희가 심적으로 흔들리던 중 발을 디딘 곳이 무너지며 모녀가 의도치 않게 물에 빠지게 되나, 나희가 선유를 데리고 물속에서 헤엄쳐 올라가 둘 다 생존.] * 남자 주인공의 이름인 '정국'인지라 [[정국(방탄소년단)|동명]]을 이용한 개그씬을 넣은 건지, 담임 선생님이 '노래를 불러보라'고 하자 [[방탄소년단]]의 '봄날'을 잠시 부르는 장면이 나온다. [[분류:나무위키 영화 프로젝트]][[분류:2020년 영화]][[분류:한국의 독립영화]][[분류:한국의 드라마 영화]][[분류:한국의 가족 영화]][[분류:자살을 소재로 한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