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링네임 || '''長井 満也''' [br] 蛇が井 満也[* 헤비가이 미츠야] [br] ウラジミール長井[* 블라디미르나가이] [br] 魔界5号[* 마계 5호] [br] Mitsuya Nagai [br] Mitsuyaman [br] The Great Tiger || || 본명 || 長井 弘和[* 나가이 히로카즈] || || 생년월일 || [[1968년]] [[11월 10일]]([age(1968-11-10)]세) || || 국적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 출신지 || [[일본]] [[홋카이도]] [[스나가와시]] || || 신장 || 187cm || || 체중 || 106kg || || 입식 전적 || 7전 6패 1무효 || || 종합격투기 전적 || [[https://www.sherdog.com/fighter/Mitsuya-Nagai-3352| 26전 18승 8패]] || || 승 || 4KO, 14SUB || || 패 || 3KO, 3SUB, 2미상 || || 별명 || '''疾風怒濤'''[* 질풍노도] [br] The Great Tiger || || 유형 || [[프로레슬러/유형/경기 스타일/테크니션|테크니션]] + [[프로레슬러/유형/경기 스타일/브롤러|브롤러]] || || 주요 커리어 || [[올 아시아 태그팀 챔피언쉽|올 아시아 태그팀 챔피언]] 3회 [br] 자이언트 바바 메모리얼 컵 우승 (2002년) [br] FMW 월드 스트리트 파이트 8인 태그팀 챔피언 1회 [br] RJPW 레전드 챔피언 2회 [br] 무가 프리미엄 토너먼트 우승 (2006년) [br] PWL 월드 챔피언 1회 [br] HEAT UP 유니버설 챔피언 1회 [br] FUCK! U-30 인터 내츄럴 챔피언 1회 || || [[피니쉬 무브]] || 하이퍼니 공아/쿠우가[* 스완다이브니 어택] [br] 륙아/리쿠가[* 런닝니 리프트] [br] RDO[* 나가이가 사용하는 수직낙하식 마법차 DDT의 기명. 상대의 전면에 서서 왼팔로 상대의 목을 아래에서 잡고 상대의 왼팔을 등으로 돌린 다음 아래쪽에서 자신의 오른팔로 손목을 잡는데, 나가이의 경우는 이상태로 굳힌 후 상대를 메어 수직으로 떨어뜨린다.] [br] 나가이락 [br] 마계 드라이버[* 팔콘 애로우.] [br] 마계 슬리퍼[* 프런트 슬리퍼] [br] 브리징 캡쳐 수플렉스[* 마에다 아키라가 전수해준 기술.] || || 테마곡 || || [목차] == 개요 == [[일본]]의 [[프로레슬러]]이자 [[종합격투기]] 선수. == 격투기 전적 == ※ 종합격투기 * 주요 승: 마크 애시포드, [[야마모토 요시히사]], [[윌리 피터스]](2), 바코우리 고기티제, 니콜라이 조우예프, [[토니 할메]], [[미하일 일류힌]], [[딕 프레이]], [[코사카 츠요시]], [[발렌타인 오브레임]], 안드레 마나트, [[크리스 헤이즈먼]], [[후케 타카쿠]] * 주요 패: [[딕 프레이]], [[볼크 한]], [[타무라 키요시]], 니콜라이 조우예프, [[줍 카스틸]](2), [[야마모토 요시히사]], [[마에다 아키라]] ※ 입식 * 주요 승: 없음 * 주요 패: 나카사코 츠요시, [[얀 노르키아]], 안드레 마나트, [[무사시(1972)|무사시]] == 커리어 == === 종합격투기 === 중학교 졸업 후 슈퍼타이거짐에 입문하면서 강사의 평직행에 따라 1986년부터 슛복싱에서 활약하며 전적은 7전 5승 2패였다. 89년 6월 신생 UWF에 입문하다가 연습중에 목을 부상당해 데뷔할 수 없었다. 동단체 분열 후, UWF 인터내셔널을 거쳐, 91년 5월에 [[마에다 아키라]]가 이끄는 RINGS에 입단하게 된다. 1991년 ~1994년까지 링스에서 활약하며 전적은 6승 4패 1무를 기록했다. 이후는 후배의 대두나 부상등으로 정채가 결여되어 1994년에는 '''링스는 프로레슬링이 아니다'''라는 마에다의 발언에 반발해 '''나는 프로레슬러입니다'''라는 언동이 마에다의 역린을 건드려 히에이산에 수행하러 가게된다. 1995년부터 제대로된 종합격투기 선수로 활약하며 외국인 선수들을 꺾는 모습을 많이 보였고, 1996년 당시에는 [[루드빅 볼가]]로 활동한 토니 할메(Tony Halme)와도 경기를 가져 승리를 거뒀다. 1997년에 전일본 킥복싱 연맹의 라이센스를 취득하고 링스 대표로 Kick Over IX에 참가해 드류 리드를 상대하나 판정패를 당하게 된다. 1997년 11월 20일에 벌어진 WORLD MEGA BATTLE TORNAMENT의 2회전에서 나가이의 스승이기도 한 마에다 아키라와의 경기에서 패한 후, 마에다에게 갑자기 뺨을 맞는 소동이 벌어지고, 이후 나가이는 시합을 실시하지 않고 다음 해 1998년 3월에 링스를 퇴단한다. RINGS를 떠나 K-1과 세이켄도에서 활동하지만 실적이 좋지않아 지는 경기만 생겼다. 2003년에 U-Spirits의 Again에 참가해 오랜만에 프로레슬링이 아닌 경기에 참가해 후쿠 타카쿠와 맞붙지만 패한다. 종합격투기 총 전적은 30승 23패 1무를 기록했다. === 프로레슬링 === 1999년부터 프로레슬러로 전향하면서 이시카와 유키의 프로레슬링 단체인 Battlarts에 입성하고, 프로레슬링 첫 데뷔전에서 마하 준지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는데, 이후로 [[히지카타 류지]]와의 경기에서도 승리를 거두며 라이벌을 형성하고, 나기이 미츠야는 슛복싱에서 배운 실적을 살리면서 킥이나 관절기 외 통상의 프로레슬링 기술도 보이는 것을 물론 악역전문으로 활동하며 더티플레이를 경기내내 보였다. 활동중 [[DDT 프로레슬링]]에 잠시 출연해 고 료마 & 아오야기 마사시와 팀을 이뤄 오리하라 마사히코 & 기무라 코이치로 & 나가사키 켄도를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Battlarts에서 계속 뛰다가 Battlarts가 2000년 11월부터 중단된 후 [[전일본 프로레슬링]]으로 가서 활동하게 되고, 리얼 월드 태그 리그에 출전해 카키하라 마사히토와 팀을 이뤄 참가하지만 패배를 많이하면서 탈락된다. 전일본 프로레슬링에서 활동하다가 2001년에 [[신일본 프로레슬링]]에도 출연해 카키하라 마사히토와 같이 [[나가타 유지]] & [[이이즈카 타카시(프로레슬러)|이이즈카 타카시]]를 상대하지만 패하고, 전일본 VS 신일본 간의 경기에서 이이즈카 타카시를 상대로 심판판정으로 승리를 거두고, G1 월드 2001에선 [[카와다 토시아키]]와 팀을 이뤄 [[코지마 사토시]] & [[텐잔 히로요시]]를 상대하지만 패했다. 전일본 프로레슬링에서 활동을 계속 이어나가며 카키하라 마사히토와 같이 [[마카베 신야]] & 나가타 유지를 꺾고 올 아시아 태그팀 챔피언에 등극하며 첫 챔피언 경력을 만든다. 카와다 토시아키와 같이 리얼 월드 태그 리그에 참가해 결승전까지 진출해 타이요 케아 & [[무토 케이지]]와 맞붙으나 패하면서 우승하는데 실패하고, 2002년에는 자이언트 바바 메모리얼 컵에 참가해 히지카타 류지, 히라이 노부카즈, [[Hi69]], 호사카 히데키, 오쿠마라 시게오를 연달아 꺾으며 결승전에서 아라야 노부타카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며 우승한다. 2003년에 신일본 프로레슬링에 재등장하면서 마계 클럽의 멤버 마계 5호라는 링네임의 정체불면의 가면레슬러로 활동하면서 마계 4호로 활동하는 [[시바타 카츠요리]]와 같이 태그팀 경기에 나선다. 신일본에서 활동하다가 2004년에 오랜만에 전일본 프로레슬랑에서도 경기를 가지며 카와다 토시아키를 상대하나 패하고, 신일본에서 나루세 마사유키와 같이 [[후치 마사노부]] & [[텐류 겐이치로]]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며 통산 2회 올 아시아 태그팀 챔피언에 오르고, 전일본에서 열린 리얼 월드 태그 리그에 출전하면서 카와다 토시아키와 또 팀을 이뤄 나가나 준결승전에도 진출못한 채 탈락된다. 올 아시아 태그팀 챔피언으로 계속 군림하다가 [[불 뷰캐넌]] & 리코에게 패하며 챔피언 자리를 잃는다. 2006년에 신일본 프로레슬링을 퇴단 후 FA가 되면서 ZERO1을 포함해 DDT 프로레슬링, 무가[* 현재는 Dradition.]에서 활동하는 일이 많아지고, 신일본 프로레슬링에도 가끔씩 등장해서 경기를 가지며, 리얼 재팬 프로레슬링, DEP에도 정기적으로 출전한다. 리얼 재팬 프로레슬링에서도 챔피언 경력을 만들며 알렉산더 오오츠카, 수퍼 타이거를 각각 꺾고 통산 2회 레전드 챔피언에 등극하고, 2012년에는 DEP에서 열린 태그팀 챔피언을 가릴 토너먼트에서 하리마오와 팀을 이뤄 결승전에서 [[타카이 켄고]] & 카제야마 미치오를 상대하나 패하면서 챔피언 등극에 실패한다. 2013년에 [[대일본 프로레슬링]]에도 첫 출연하며 [[카와카미 류이치]] & 이시카와 신야와 팀을 이뤄 [[오카바야시 유지]] & [[세키모토 다이스케]] & [[하시모토 카즈키]]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고, 2014년에 다시 전일본 프로레슬링에서 활동하는 일이 늘며 종종 다른단체들과 병행하며 활동하고, 2015년에 미나미노 타케시와 팀을 이뤄 [[미야하라 켄토]] & [[스즈키 코타로]]를 꺾고 통산 3회 올 아시아 태그팀 챔피언에 등극한다. 2017년부터는 [[프로레슬링 NOAH]]에서도 경기를 가지고, [[후지나미 타츠미]] & 레오나와 팀을 이뤄 [[사이토 아키토시]] & [[타니구치 슈헤이|마이바흐 타니구치]] & [[코시나카 시로]]를 상대하지만 패하고, 이후 글로벌 리그에도 출전하나 높은 점수를 기록하지 못하고 탈락된다. 계속 노아에서 활동하다가 2018년에 잠시 전일본 프로레슬링에서 경기를 가지며 레더페이스 & [[지아니 발레타]]와 팀을 이뤄 후치 마사노부 & [[오오모리 타카오]] & [[아키야마 쥰]]을 상대하나 패한다. 2019년 상반기까지 노아에서 활동하다가 하반기부터는 전일본 프로레슬링을 포함한 각 단체를 돌며 경기를 가지고, 2020년에 활동이 뜸하다가 2021년부터는 활발한 활동을 하며 전일본 프로레슬링에 몇차례 등장하며 다른단체들에서 챔피언 경력을 만들어 나간다. == 기타 == * [[마에다 아키라]] & [[카와다 토시아키]] & 타이라 나오유키의 제자이다. * 킥복싱 프로 라이센스 보유자이기도 하다. [[분류:일본의 프로레슬링 선수]][[분류:일본의 종합격투기 선수]][[분류:1968년 출생]][[분류:1991년 데뷔]][[분류:스나가와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