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지속 마법]] [[유희왕/OCG]]의 지속 마법 카드. [목차] == 설명 == [[파일:ShiftingShadows-EE3-JP-C.jpg|width=400]] || 한글판 명칭 ||'''꿈틀거리는 그림자'''|| || 일어판 명칭 ||'''うごめく[ruby(影, ruby=かげ)]'''|| || 영어판 명칭 ||'''Shifting Shadows'''|| ||<-2> 지속 마법 || ||<-2>300 라이프 포인트를 지불하는 것으로, 자신 {{{#red 메인 몬스터 존}}}의 뒷면 수비 표시 몬스터를 셔플하고, 다시 뒷면 수비 표시로 바꾸어 나열한다. 이 효과는 1턴에 1번만 사용할 수 있다.|| ||<:>'''에라타 (공통)[br][[https://www.db.yugioh-card.com/yugiohdb/faq_search.action?ope=4&cid=6354|(2017.03.25)]]'''||<-4><(>'''誤 : [텍스트]''' {{{#red 필드 위}}}[br]'''正 : [텍스트]''' {{{#red 메인 몬스터 존}}}|| 뒷면 수비 표시 몬스터의 카드 위치를 재배치하는 효과를 가진 지속 마법. 단순히 섞기만 해서는 교란시키는 의미가 없고, 자신 필드에 수비력 높은 벽 몬스터가 없는 이상 전투 파괴 회피에 쓰기도 힘들다. [[사이클 리버스]] 몬스터의 방어나 [[체인 시스템]] 관련 카드들의 콤보용 트리거로 써먹을 수는 있다. [[스텔스 버드]]처럼 효과는 화끈하지만 수비력이 별로인 카드 같이 앞면으로 뒤집혀도 곤란하고, 파괴되기 쉬운 카드랑 [[천년(유희왕)|천년 방패]]같은걸 섞어놓으면 섣불리 공격하기 어렵다. 예를 하나 들자면 [[카오스 포드]]와 필드에 [[가디언 스핑크스]]가 존재하는데, 상대 필드 위에 상급 몬스터가 있다면 상대방은 고민에 빠지게 될 것이다. 뒷면으로 세트된 카드는 정보 미확인 상태가 기본이기 때문에, [[가변기수 간나드래곤]]처럼 타협 소환한 몬스터나 [[소생 제한 룰]]에 걸리는 몬스터, [[제물이 감춘 폭탄]]의 효과를 받은 몬스터 등의 카드가 해당되지 않는 똑같은 종류의 카드와 동시에 있는 상태에서 발동했을 경우 혼란의 여지가 생긴다.[* 예를들어, [[셰이프스내치]] 한마리를 어드밴스 소환하고, 다른 한마리를 특수 소환 한 뒤, [[개기일식의 서]]로 모두 뒷면 표시가 된 상태라고 생각해보자. 이때 꿈틀거리는 그림자를 발동하면 어느쪽이 어드밴스 소환한 쪽인지 알 수 없게 되어 [[제물이 감춘 폭탄]]의 효과 발동이 애매해진다.] "효과로 1장을 지정했는데 이게 카드 효과로 섞여버리면 어떻게 적용 해야하는가?"와 같은 것이다. 제삼자가 어느 몬스터가 맞거나 아닌 쪽을 따로 외워서 기록하는 등 부정 대책이 필요하지는데, 안 되는 상황이라면 순전히 컨트롤러의 양심에 따른 자진 신고에 달리게 된다. 그에 대한 사무국의 답변은 '''상대의 매너를 믿으세요.''' --캐치프레이즈인 '매너와 룰을 지켜 즐거운 듀얼을 하자'는 이것을 위한 것이었다-- 엑시즈 소재가 남은 엑시즈 몬스터는 뒷면 수비 상태에서 섞어봤자 엑시즈 소재가 그대로 드러나기 때문에 의미가 없어진다. 여담으로 유희왕 공인/비공인 대회에서는 이 카드를 사용할 경우에 한해 메인 덱과 엑스트라 덱의 카드 프로텍터 종류를 일치시켜야 하는 특수 룰을 적용하기도 한다. == 관련 카드 == === [[미라(유희왕)#방황하는 미라|방황하는 미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