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국의 해물 요리)] || [[파일:꽁치조뤼임.jpg|width=100%]] || || '''{{{+1 {{{#FFFFFF 꽁치조림}}} }}}''' || [목차] [clearfix] == 개요 == [[꽁치]]와 각종 채소를 [[고추가루]] 등의 양념과 함께 [[조림|졸인 음식]]. 고등어조림이나 갈치조림 음식점은 꽤 되는 반면 꽁치조림 음식점은 찾기가 쉬운 편은 아니다. 그러나 가정에서 해먹기 쉬운 음식인 관계로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맛보았을 대중적인 요리다. 고추가루의 알싸한 맛과 간장의 짭쪼름한 맛이 꽁치의 기름기와 어우러져 훌륭한 한국적인 맛을 자아내는 요리다. 다만 꽁치는 잔뼈가 많은 생선이기 때문에 뼈를 발라먹기 귀찮아하는 사람이나 보통의 어린이들에겐 호불호가 갈리는 음식이다. 다만 통조림으로 조리하면 뼈를 발라낼 필요가 없다. 고등어와 함께 꽁치는 대표적인 서민 물고기로써 저렴한 가격으로 단백질을 보충할 수 있는 식재료..였으나 2010년부터 이어진 물가 급등으로 인해 예전만큼 싸진 않다. 물론 다른 생선이나 육류에 비하면 여전히 저렴한 가격이다. 국군 [[전투식량]] 1형의 메뉴로도 들어간다. 볶음김치, 볶음고추장과 함께 높은 평가를 받는 메뉴. 여타 조림메뉴가 그렇듯 꽁치조림도 짭잘한 맛으로 인해 [[밥도둑]]으로 꼽힌다. == 조리법 == 요리법은 매우 간단하다. * 주재료: 꽁치캔 1개, [[배추]][[김치]][* 배추김치 대신 [[무(채소)|무]]를 넣는 방법은 요리의 달인이 아닌 이상 비추하는데, 이유는 어중간한 실력으로 무를 넣고 [[생선]]을 조리면 생선의 비린 맛이 더 세지기 때문이다. 무가 먹기 좋게 푹 무르는 데는 시간이 꽤 거리므로 불 조절, 시간 맞추기도 어렵다. [[고등어]] 조림에도 무 대신 배추김치가 들어가는 경우가 많다. 간단한 해결책은 무 대신 무로 만든 김치를 넣는 것이다. 총각김치, 석박지 추천. 깍두기도 괜찮다.] 적당량 * 양념: 고추가루 1큰술, 미림 혹은 청주 1.5큰술, 진간장 0.5~1큰술, 꽁치캔에 있는 국물(...), 다진 마늘 1큰술 이상, 청양고추 1개, 후추, 파, 참기름 약간, 물 반컵 1. 꽁치캔을 따고 국물을 양념장 만들 그릇에 붓고 위에 열거한 양념재료들을 섞어 양념장을 만들어 둔다. 당연히 [[청양고추]]나 파 등은 잘게 썰어야 한다. 고춧가루도 이 때 넣는다. 1. 배추김치를 먹기 좋은 크기로 썰어 손질한 다음 프라이팬에 볶아준다. 1. 볶아진 배추김치 위로 꽁치를 올린다. 1. 1에서 만들어둔 양념장을 붓는다. 이 때 야채들이 양념장 속에 충분히 잠겨야 잘 익는다. 부족하다면 물을 더 넣자. 1. 센불로 끓이다가 끓기 시작하면 약불로 줄여 익힌다. 국물이 어느정도 쫄아야 하기 때문에 뚜껑을 열고 끓인다. (+ 숟갈이나 국자로 국물을 떠서 위에 끼얹어 가며 조리면 더 좋다.) 꽁치캔을 사용하는 이유는 유통기한이 긴 이유도 있지만, 꽁치캔의 국물이 육수 역할을 충분히 해줘 간단하게 조림맛을 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꽁치캔의 꽁치는 뼈가 과자처럼 으스러지기 때문에 뼈를 발라낼 필요가 없어 더욱 먹기 좋다. [[분류:한국 요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