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九龍塘站 | Kowloon Tong Station}}} ||<-6><)>[[MTR|[[파일:홍콩철도유한공사 심볼.svg|height=24&align=left]]]][[MTR(기업)|{{{#FFFFFF '''홍콩철도유한공사'''}}}]]|| ||<-6><(>{{{#ffffff,#000000 {{{+2 까우룽통}}}[br]{{{+1 九龍塘 | Kowloon Tong}}}}}}|| ||<-6>|| ||<:><-2>[[왐포아역|{{{-1 {{{#585858,#dddddd 왐포아 방면}}}}}}]][br][[섹깁메이역|섹깁메이]][br]← 1.3 ㎞||<-2><:>[[쿤통선|{{{#ffffff 쿤통선}}}]]||<:><-2> [[티우켕렝역|{{{-1 {{{#585858,#dddddd 티우켕렝 방면}}}}}}]][br][[록푸역|록 푸]][br] 1.0 ㎞ →|| ||<:><-2>[[애드미럴티역(홍콩)|{{{-1 {{{#585858,#dddddd 애드미럴티 방면}}}}}}]][br][[몽콕이스트역|몽콕이스트]][br]← 1.8 ㎞||<-2><:>[[동철선|{{{#ffffff 동철선}}}]]||<:><-2> [[로우역|{{{-1 {{{#585858,#dddddd 로우}}}}}}]]·[[록마차우역|{{{-1 {{{#585858,#dddddd 록마차우[br]방면}}}}}}]][*이용안내 로우역과 록마차우역은 변경금구 내에 위치한 관계로 두 역에 설치된 홍콩-중국 본토 간 검문소를 이용하는 여행객이나 로우역 인근 거주민 또는 청명절/중양절 한정 공동묘지 참배객 외에는 이용이 금지되어 있으니 이용에 참고 바랍니다.][br][[타이와이역|타이와이]][br] 4.4 ㎞ →|| ||<-6>[include(틀:지도,장소=MTR Kowloon Tong Station,너비=100%,높이=225px)]|| ||<:><-6>{{{#ffffff,#000000 '''주소'''}}}|| ||<:><-6> [[홍콩]] [[구룡반도]] [[구룡성구]] 까우룽통[br]Suffolk Road × To Fuk Road[*한문 香港九龍九龍城區九龍塘 根德道][*영문 Suffolk Road × To Fuk Road, Kowloon Tong, Kowloon City District, Hong Kong] || ||<:><-6>{{{#ffffff,#000000 '''개업일'''}}}|| ||<:><-2>[[쿤통선|{{{#ffffff 쿤통선}}}]]||<:><-4>[[1979년]] [[10월 1일]] || ||<:><-2>[[동철선|{{{#ffffff 동철선}}}]]||<:><-4>[[1982년]] [[5월 4일]] || ||[[파일:까우룽통역 승강장(쿤통선).jpg|width=360]]|| ||<:>{{{#ffffff '''까우룽통역 지하 쿤통선 승강장 모습.'''}}}|| ||[[파일:까우룽통역 승강장(동철선).jpg|width=360]]|| ||<:>{{{#ffffff '''까우룽통역 지상 동철선 승강장 모습.'''}}}|| [목차] [clearfix] == 개요 == [[홍콩]] [[구룡반도]] [[구룡성구]]에 위치한 [[MTR|MTR]] [[동철선]]과 [[쿤통선]]의 [[환승역]]으로, [[1979년]] [[10월 1일]] [[쿤통선]]이 먼저 개업하였고, 이 위로 지나가던 [[동철선]]은 터널 위치 변경 이후인 [[1982년]] [[5월 4일]]에 역이 개업하였다. == 역 정보 == [[쿤통선]]의 최초 개업 구간 중 일부로, 첫 개통 당시에는 위로 [[동철선]]이 지나가긴 했으나, 역이 생길 계획은 없었다. 그러다가, [[동철선]]이 개업한지 70년이 넘어가기도 했고, 노선 자체가 간선철도임에도 불구하고 일부분만 복선화가 되어있다던가, 전철화같은 건 되어있지도 않은 심히 고자스러운 상황이었던지라, [[동철선]] 전철화 및 선형 개선을 위해 현재의 비컨힐 터널을 뚫게 되고, 전철화 완료 이후인 [[1982년]] [[5월 4일]]에 현재의 환승역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동철선]] 북부구간과 [[마온산선]] 연선 주민들로 인해 러시아워만 되면 '''역이 매우 혼잡해진다.''' 한국으로 치면 딱 [[신도림역]] 포지션 되시겠다. 이 역 이북으로는 튄마선 / 동철선 빼고는 버스를 빼고는 철도 노선이 전무해서 이 역으로 자연스레 승객들이 모일 수 밖에 없는 구조. 덕분에 마온산선을 튄마선으로 합쳐버림으로서 동철선을 통해서 시내로 나갈 수밖에 없던 상황을 개선함으로서 혼잡도를 줄이기 위해 열심히 돈을 쏟아가며 공사를 했으나 튄마선 개통이 지연되면서 망해버렸다. 자세한 설명은 [[홍함역]] 참조. 다행이도, 평생 지연될것만 같던 [[튄마선]]의 1단계 구간만을 먼저 개통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실제로 [[타이와이역]] - [[카이탁역]]간 구간이 [[2020년]]에 개통함과 동시에 [[다이아몬드힐역]]이 환승역이 되면서, 마온산선과 일부 동철선 북부구간 연선의 수요가 확 줄었다. 환승 수요 말고도 역 자체의 수요도 많은데, 다른게 아니라 역 바로 코앞이 [[홍콩성시대학]]이기 때문이다. 거기다가, 역 앞에 페스티벌 워크(Festival Walk)라는 매우 [[크고 아름다운]] 쇼핑몰까지 생겨버리면서, 평일 주말 가리지 않고 북새통 확정. == 역 내부 시설 == || [[파일:까우룽통역 안내도.jpg|width=540]]|| ||<:>{{{#ffffff '''까우룽통역 시설 안내도. [[http://www.mtr.com.hk/archive/ch/services/layouts/kot.pdf|원본(PDF)]]'''}}}|| 지하에 쿤통선의 1면 2선 섬식 승강장이 위치하고, 지상으로는 동철선의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이 수직이 되게 지나가는 형태이다. 높은 혼잡도로 인해 총 세개소의 환승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시 미어터져서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려면 줄 서는 것은 필수. 사람들이 서로 많이 미는 편이니, 다치지 않도록 조심하자. 또한, 개찰구 안쪽으로는 전부 연결이 되어 있으나, 개찰구역이 따로 나뉘어 있으니, 미리 나갈 출구를 확인하고 나가는 편이 좋다. 안 그랬다간 에어컨 같은 건 없는 밖에서 땀을 삘삘 흘리다가 목적지에 도착할 즈음엔 [[파김치]] 확정. == 역 주변 안내도 및 주변 정보 == || [[파일:까우룽통역 주변안내도.jpg|width=540]]|| ||<:>{{{#ffffff '''까우룽통역 주변 안내도. 필요할 경우 [[http://www.mtr.com.hk/archive/ch/services/maps/kot.pdf|원본 PDF 파일]]을 보는 것을 권장합니다.'''}}}|| 역 주변으로는 [[한국생산성본부]]에 해당하는 홍콩생산력촉진국(香港生產力促進局), Innocentre라는 [[전시장]] 겸 [[스타트업]] [[쉘터]]가 있으며, 그 외에 중요한 시설로는 [[홍콩성시대학]]과 대형 쇼핑몰인 페스티벌 워크가 위치하고 있으며, 그 앞은 버스환승센터. 지도를 보면 알 수 있겠지만, C2번 출구로 거의 모든 중요한 시설들이 다 모여 있다! == 같이 보기 == * [[섹깁메이역]] * [[홍콩성시대학]] * [[록푸역]] * [[몽콕이스트역]] [[분류:MTR 동철선]][[분류:MTR 쿤통선]][[분류:홍콩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1979년 개업한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