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구 KCR 까우룽역, rd1=홍함역)] {{{+1 九龍站 | Kowloon Station}}} ||<-6><)>[[MTR|[[파일:홍콩철도유한공사 심볼.svg|height=24&align=left]]]][[MTR(기업)|{{{#FFFFFF '''홍콩철도유한공사'''}}}]]|| ||<-6><(>{{{#ffffff,#000000 {{{+2 까우룽}}}[br]{{{+1 九龍 | Kowloon}}}}}}|| ||<-6>|| ||<-6>|| ||<-6>|| ||<:><-2>[[뚱충역(MTR)|{{{-1 {{{#585858,#dddddd 뚱충 방면}}}}}}]][br][[올림픽역|올림픽]][br]← 1.6 ㎞||<-2><:>[[뚱충선|{{{#ffffff 뚱충선}}}]]||<:><-2> [[홍콩역|{{{-1 {{{#585858,#dddddd 홍콩 방면}}}}}}]][br][[홍콩역|홍 콩]][br] 2.6 ㎞ →|| ||<:><-2>[[아시아월드엑스포역|{{{-2 {{{#585858,#dddddd 아시아월드엑스포[br]방면}}}}}}]][br][[칭이역|칭 이]][br]← 8.9 ㎞||<-2><:>[[MTR 공항선|{{{#ffffff 공항선}}}]]||<:><-2> [[홍콩역|{{{-1 {{{#585858,#dddddd 홍콩 방면}}}}}}]][br][[홍콩역|홍 콩]][br] 2.6 ㎞ →|| ||<-6><:>{{{#000080 ●}}} [[홍콩사이까우룽역|징광선강고속철도 이용하기(홍콩사이까우룽역)]][br]{{{#a74c00 ●}}} [[오스틴역|MTR 튄마선 이용하기(오스틴역)]][* 간접환승은 인정이 되나, 외부 통로를 이용해야 하는고로 다소 번거로운 편이다.]|| ||<-6>[include(틀:지도,장소=MTR Kowloon Station,너비=100%,높이=225px)]|| ||<:><-6>{{{#ffffff,#000000 '''주소'''}}}|| ||<:><-6> [[홍콩]] [[구룡반도]] [[야우침몽구]] [[침사추이]][br]1 Austin Road West, Union Square[*한문 香港九龍油尖旺區尖沙咀 柯士甸道西1號 Union Square][*영문 Union Square, 1 Austin Road West, Tsim Sha Tsui, Yau Tsim Mong District, Hong Kong] || ||<:><-6>{{{#ffffff,#000000 '''개업일'''}}}|| ||<:><-2>[[뚱충선|{{{#ffffff 뚱충선}}}]]||<:><-4>[[1998년]] [[6월 22일]]|| ||<:><-2>[[MTR 공항선|{{{#ffffff 공항선}}}]]||<:><-4>[[1998년]] [[7월 6일]] || ||<:><-6>{{{#ffffff,#000000 '''승강장 구조'''}}}|| ||<:><-2>[[뚱충선|{{{#ffffff 뚱충선}}}]]||<:><-4>복선 [[섬식 승강장]]|| ||<:><-2>[[MTR 공항선|{{{#ffffff 공항선}}}]]||<:><-4>복선 [[상대식 승강장]]|| ||[[파일:Kowloon_Waterfront,_Hong_Kong,_2013-08-09,_DD_03.jpg|width=360]]|| ||<:>{{{#ffffff '''[[국제상업센터|{{{#ffffff 유니온스퀘어}}}]]의 까우룽역 출구 구조물.'''}}}|| [목차] [clearfix] == 개요 == [[홍콩]] [[구룡반도]] [[야우침몽구]]에 위치한 [[MTR|MTR]] [[MTR 공항선|공항선]]과 [[뚱충선]]의 [[환승역]]으로, 1998년 6월 22일 [[뚱충선]] 개통과 함께 개업하였다. == 역 정보 == || [[파일:KowloonLayout.jpg|width=540]]|| ||<:>{{{#ffffff '''까우룽역 시설 안내도. [[http://www.mtr.com.hk/archive/ch/services/layouts/kow.pdf|원본(PDF)]]'''}}}|| [[홍콩]] [[침사추이]] 서쪽에 있는 역으로, 1970년대 중반까지는 이 역 인근에 위치한 [[동철선|구광철도]]의 역이 쓰던 이름이었으나, 이후 확장이전을 하게 되고, 1998년 뚱충선과 공항철도의 개업에 맞춰 이 역을 까우룽역으로 개업하는 것이 확정되면서 해당 역은 [[홍함역]]으로 다시 명명되었다.[* 광저우에서 출발하는 도시간 열차는 일부 표기시 종착역이 까우룽(九龙)역이라고 되어 있기도 하나, 실제로는 홍함역이 종착역이다.] 원래 계획대로라면 [[침사추이역]]에 공항선과 뚱충선을 다 구겨넣을 계획이었으나 그렇게 했다간 [[드리프트]]가 극심해지는데다 당시 침사추이의 미친듯한 개발 밀집도를 완화시켜 볼 요량으로 일부러 빅토리아만 서부 횡단 터널 근처에다 역을 박아넣었다. 수요의 중심지인 침사추이에서 꽤 떨어진 곳에 역이 있다 보니 생각보다는 흥하지 못하고 있다. 그래도 일 1만 명이 이용하는 아주 조용하지도 붐비지도 않는 역. 또한 [[홍콩역]]과 더불어 [[도심공항터미널]]의 기능이 있어 [[MTR 공항선#s-4|In-Town Check-in]]이 가능하다. 다만 체크인 카운터에 들어갈 때 공항까지의 비용을 미리 옥토퍼스 카드로 내던가, 유효한 티켓이 있어야 한다. 화장실의 경우 공항선의 양 승강장과 개찰구 외부에만 있으니 이용에 참고 바람. == 승강장 == === [[MTR 뚱충선]] === [[파일:Kowloon_Station_2018_08_part3.jpg|width=500]] ||<-4> ↑ [[올림픽역|올림픽]] || || ㅣ || {{{#ffffff 3}}} || {{{#ffffff 4}}} || ㅣ || ||<-4> [[홍콩역|홍콩]] ↓ || || {{{#ffffff 3}}} ||<|2> [[MTR 뚱충선]] ||[[올림픽역|올림픽]]·[[남청역|남청]]·[[라이킹역|라이킹]]·[[뚱충역(MTR)|뚱충]] 방면|| || {{{#ffffff 4}}} ||[[홍콩역|홍콩]] 방면||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공항선 승강장을 뚫고 지나가는 무지막지하게 긴 직통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내려가야 한다. === [[MTR 공항선]] === [[파일:Kowloon_Station_2017_08_part8.jpg|width=500]] ||<-5> ↑ [[홍콩역|홍콩]] || || {{{#ffffff 2}}} || ㅣ || 벽 || ㅣ || {{{#ffffff 1}}} || ||<-5> [[칭이역|칭이]] ↓ || || {{{#ffffff 1}}} ||<|2> [[MTR 공항선]] ||[[칭이역|칭이]]·[[공항역(홍콩)|공항]]·[[아시아월드엑스포역|아시아월드엑스포]] 방면|| || {{{#ffffff 2}}} ||[[홍콩역|홍콩]] 방면||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고, 가운데가 가로막혀 있다. == 역 주변 안내도 및 주변 정보 == || [[파일:KowloonStreet.jpg|width=540]]|| ||<:>{{{#ffffff '''까우룽역 주변 안내도. 필요할 경우 [[http://www.mtr.com.hk/archive/ch/services/maps/kow.pdf|원본 PDF 파일]]을 보는 것을 권장합니다.'''}}}|| [[튄마선]]의 [[오스틴역]]으로 [[간접환승|걸어서 갈 수는 있지만 게이트를 지나서 가야 한다]]. 조던 지역인지라 조던의 경우는 오스틴역을 거쳐서 그냥 걸어 와도 된다. 그 외에 [[침사추이역]] 및 [[이스트침사추이역]], [[몽콕역]], [[조던역]]도 도보거리 안에는 있으나 역시 걸어서 가기엔 결코 가깝지 않다. [[MTR 공항선|AEL]]을 이용하는 경우 침사추이와 몽콕 지역 웬만한 호텔을 경유하는 각종 AEL 무료셔틀버스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징광선강고속철도|익스프레스 레일 링크]]라는, [[중국철로고속]]과 직통하는 [[고속철도]]를 탈 수 있는 [[홍콩사이까우룽역]][* [[한국]] 정부에서는 공식적으로 [[:파일:wef234tewrgwrgwegf.png|서구룡역]]이라고 쓴다.]이 인근에 위치해 있다. 홍콩 국내선 정거장이 없는 대륙행 직통인 관계로 탑승 시 중국 비자/내륙여행허가가 필요하다. [[분류:MTR 공항선]][[분류:MTR 뚱충선]][[분류:홍콩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1998년 개업한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