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김훈·최질의 난)] '''金訓''' (? ~ 1015) [목차] == 개요 == [[고려]]의 무신. [[김훈·최질의 난]]의 주모자. == 생애 == 좌우기군의 장군으로 있던 중 1010년에 제2차 [[여요전쟁]]에서 고려군이 [[통주 전투]]에서 크게 패배해 [[요나라]]의 군사가 그대로 진격해오자 김계부, 이원, 신녕한과 함께 완항령에서 군사를 매복해 칼을 쥐고 돌격하여 요군을 잠시 퇴각시키는 전공을 세우게 된다. 하지만 거란의 3차 침공에 대비하던 와중에 중추원의 일직인 [[황보유의]]와 중추원사 장연우[* 참고로 장연우는 거란의 2차 침공으로 [[개경]]이 함락되고 [[현종(고려)|현종]]이 나주까지 도망을치고 있을때 왕을 호종하던 신하들이 대부분 도망치던 와중에도 몇안되게 현종의 곁을 끝까지 지킨 인물이었다.]가 경군의 영업전으로 문관들의 녹봉을 충당하면서 영업전을 빼앗기게 되자 1014년 11월 25일에 [[최질]], 박성, 이협, 이상, 이섬, 석방현, 최가정, 공문, 임맹 등과 함께 반란을 일으켰고, 그대로 군사들을 이끌고 궁궐로 쳐들어간 다음 [[황보유의]]와 장연우를 결박하고 채찍으로 때려 거의 초주검으로 만든 뒤 이들을 귀양보내었고 그 이후 상참관 이상의 무관은 문관을 겸하게 해달라고 [[현종(고려)|현종]]에게 협박성 요구를 해서 결국 이 또한 허락을 받아내게 된다. 그 이후 [[현종(고려)|현종]]에게 어사대(御史臺)와 삼사(三司)를 각각 금오대(金吾臺)와 도정서(都正署)로 바꿔줄것을 요청하여 이마저도 허락을 받아내었고 그렇게 권력까지 모두 장악하게 되었지만, 1015년 4월 5일에 [[현종(고려)|현종]]이 [[이자림]][* 이때 계책을 세운 공으로 왕씨를 사성받아 [[왕가도]]로 개명했다. 참고로 [[이자림]]은 [[덕종(고려)|덕종]]의 2비 경목현비와 [[문종(고려)|문종]] 때 일어난 쿠데타 모의 사건 때 처벌을 받은 사람 중 한 명인 왕무숭의 아버지이기도 하다.]의 계책에 따라 서경(평양)으로 이동하여 [[장락궁]]에서 여러 신하들에게 잔치를 베풀 당시 그 자리에 참석했다가 김훈은 [[최질]] 등 18명과 함께 그대로 주살되었다. 이후 그의 반란에 연좌된 일가친족들은 1016년 3월 20일에 연좌된 자들이 모두 풀려났고, 김훈의 아들, 동복형제는 모두 본관으로 돌아가도록 하면서도 사면에서는 용서받지 못하는 조치를 처분받게 되었다. [[분류:1015년 사망]][[분류:고려의 군인]][[분류:암살된 인물/한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