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철원군의 읍]][[분류:김화군의 면]] [include(틀:철원군의 읍면)] [include(틀:김화군의 읍면)] ||<-2> '''[[파일:철원군 CI.svg|height=15]] [[철원군|{{{#000000,#dddddd 철원군}}}]]의 [[읍(행정구역)|{{{#000000,#dddddd 읍}}}]]'''[br]'''{{{+1 김화읍}}}'''[br]金化邑 | Gimhwa-eup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철원군 김화읍,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강원특별자치도 || || '''기초자치단체''' || 철원군 || || '''행정표준코드''' || 4301038 || || '''관할 법정리''' || 9리 || || '''하위 행정구역''' || 14행정리 57반 || || '''면적''' || 87.98㎢ || || '''인구''' || 3,279명[* 2023년 5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37.27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4 춘천시·철원군·화천군·양구군 을}}}'''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한기호]] ,,(3선),, || ||<-2> '''강원특별자치도의원 | 제2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엄기호 ,,(초선),, || ||<-2> '''철원군의원 | 나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김광성(1978)|김광성]] ,,(초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박기준 ,,(재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장용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231f20 '''행정복지센터'''}}}]] || 호국로 6510 (학사리 261-1) || || [[https://www.cwg.go.kr/www/contents.do?key=267|김화읍 행정복지센터]] || [목차][clearfix] == 개요 == [[철원군]] 중부에 위치한 [[읍(행정구역)|읍]]이다. 이름대로 [[6.25 전쟁]] 이전에는 [[김화군]]의 군청 소재지였으며[* 현재 [[북한]]에 남은 김화군 소재지는 옛 금성면 지역이다.] 남한에서도 [[1962년]]까지 김화군이 존재하였으나 현재는 행정구역 개편으로 사라졌다. 서쪽과 남쪽으로 [[서면(철원)|서면]], 북쪽으로는 [[근북면]]과 [[북한]] [[평강군]], 동쪽으로 근동면과 근남면에 접한다. 이 지역은 본디부터 강원도 김화군 소속이었기에 김화읍 주민들은 철원군의 경기도 편입을 반대하는 비율이 상당히 높은 편이다.[* 실제로 동송, 갈말 주민들은 경기도 사람 성향에 대체로 가까운 편이나, 김화는 대체로 깐깐하고 상당히 보수적인 편으로 정평이 나 있다. 철원쪽에서 군복무를 한 병사나 간부의 말을 들어봐도 동송, 갈말권 주민들과 김화권 주민들은 정서 자체가 너무도 다르다고 한다.] == 자연 == 동서로 [[한탄강]]의 지류인 화강이 흐른다. 면적의 70%가 군용지이며, 철원 내에서 민간인이 거주하는 읍/면 중 가장 추운 곳이다. === 특산물 === [[옥수수]], [[담배(식물)|담배]], [[콩]] 등이 많이 재배되며, [[철(원소)|철]]도 생산된다. 옛날에는 [[광산]]이 있었다. == 역사 == === [[6.25 전쟁]]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화군/역사)] === 연혁 === [[조선시대]] 김화현이었던 지역을 현내면으로 개칭하였다가, 고종 시기에 군내면이 되고, [[부군면 통폐합]] 시기 몇 개의 [[리(행정구역)|리]]를 근처 면에서 얻는다. 그 후 김화면으로 개칭하였다가 [[1941년]]에 김화읍으로 승격되었다. 광복 이후에는 [[삼팔선|북위 38도선]] 이북 지역으로 공산 치하에 들어갔다가, [[6.25 전쟁]] 이후에 김화읍은 감봉리 일부 지역을 제외한 전역이 수복되었다. [[1963년]]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에 의해 [[철원군]]으로 편입된 후 [[박정희 정부]] 시기인 [[1973년]]에 서면 청양리, 도창리를 편입하고, [[1998년]]에 행정구역 경계 미세 조정으로 [[갈말읍]] 일부를 김화읍으로 편입하였다. == 교통 == [[5번 국도]], [[43번 국도]], [[47번 국도]]가 지나간다. 이 국도를 통해 [[포천시]] 및 [[화천군]]으로 갈 수 있어서 교통은 편리하다. == 시설 == * 관공서 * 김화읍행정복지센터 * [[철원경찰서]] 김화파출소 * [[철원소방서]] 김화119안전센터 * 학교 * 김화초등학교 * 청양초등학교 * 도창초등학교 == 하위 행정구역 == || 법정리 || 행정리 || 비고 || || 학사리 || 학사1리~학사5리 || 현(現) 읍사무소 소재지 || || 생창리 || 생창리 || || || 청양리 || 청양1리~청양7리 ||<|2> [[서면(철원)|서면]]에서 편입 || || 도창리 || 도창리 || || 유곡리 || 유곡리 || [[근북면]]에서 편입 || == 출신 인물 == * [[김소진(소설가)]](학사리) * [[김영관(1925)]] * [[신기복]](읍내리) * [[염보현]] * [[이현종]] * [[채상우]] == 여담 == * 김화읍행정복지센터는 군사분계선과 이북의 [[근북면]]과 근동면의 행정 업무를 대신 수행하며, 근동면은 거주 인구가 없다. * 철원군의 공무원들이 김화읍 출신인 경우가 많다. * 전술했듯이 철원에서 민간인이 거주하는 [[읍(행정구역)|읍]]/[[면(행정구역)|면]] 중 겨울 추위가 가장 심한 편이며, 대한민국에서 가장 추운 지역 중 하나이다. [[정연리]]의 [[AWS#s-2|AWS(자동기상관측장비)]]가 폐지된 이후 김화읍 AWS가 전국 최저 기온을 찍으면 기상예보에 종종 나온다. [[1984년]]에 나온 한 신문 기사에 따르면, 분단 이전인 [[1942년]] [[1월 5일]] 이곳에서 비공식적으로 '''-33.4℃'''가 기록되었다고 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철원군/행정, version=215, paragraph=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