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김현수(1988)/선수 경력/두산 베어스)] ||<-5>
'''[[김현수(1988)|{{{#ffffff 김현수}}}]]{{{#ffffff 의 연도별 시즌 일람}}}''' || || [[김현수(1988)/선수 경력/2009년|2009년]] || → || '''{{{#ffffff 2010년}}}''' || → || [[김현수(1988)/선수 경력/2011년|2011년]] || [목차] == 시즌 전 == == [[페넌트레이스]] == === 3월 === ||<-16>
'''{{{#FFFFFF 3월 월간 기록}}}''' || || '''{{{#ffffff 타석}}}''' || '''{{{#ffffff 타수}}}'''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득점}}}''' || '''{{{#ffffff 타점}}}''' || '''{{{#ffffff 볼넷}}}''' || '''{{{#ffffff 삼진}}}''' || '''{{{#ffffff 병살타}}}''' || '''{{{#ffffff 도루}}}''' || '''{{{#ffffff 타율}}}''' || || 14 || 11 || 7 || 1 || 0 || 0 || 4 || 3 || 3 || 0 || 0 || 0 || .636 || === 4월 === ||<-16>
'''{{{#FFFFFF 4월 월간 기록}}}''' || || '''{{{#ffffff 타석}}}''' || '''{{{#ffffff 타수}}}'''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득점}}}''' || '''{{{#ffffff 타점}}}''' || '''{{{#ffffff 볼넷}}}''' || '''{{{#ffffff 삼진}}}''' || '''{{{#ffffff 병살타}}}''' || '''{{{#ffffff 도루}}}''' || '''{{{#ffffff 타율}}}''' || || 100 || 86 || 23 || 3 || 0 || 2 || 13 || 12 || 11 || 10 || 0 || 0 || .267 || === 5월 === ||<-16>
'''{{{#FFFFFF 5월 월간 기록}}}''' || || '''{{{#ffffff 타석}}}''' || '''{{{#ffffff 타수}}}'''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득점}}}''' || '''{{{#ffffff 타점}}}''' || '''{{{#ffffff 볼넷}}}''' || '''{{{#ffffff 삼진}}}''' || '''{{{#ffffff 병살타}}}''' || '''{{{#ffffff 도루}}}''' || '''{{{#ffffff 타율}}}''' || || 107 || 85 || 27 || 5 || 0 || 5 || 19 || 19 || 10 || 20 || 2 || 1 || .284 || === 6월 === ||<-16>
'''{{{#FFFFFF 6월 월간 기록}}}''' || || '''{{{#ffffff 타석}}}''' || '''{{{#ffffff 타수}}}'''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득점}}}''' || '''{{{#ffffff 타점}}}''' || '''{{{#ffffff 볼넷}}}''' || '''{{{#ffffff 삼진}}}''' || '''{{{#ffffff 병살타}}}''' || '''{{{#ffffff 도루}}}''' || '''{{{#ffffff 타율}}}''' || || 104 || 85 || 25 || 7 || 0 || 4 || 11 || 14 || 17 || 11 || 0 || 0 || .294 || === 7월 === ||<-16>
'''{{{#FFFFFF 7월 월간 기록}}}''' || || '''{{{#ffffff 타석}}}''' || '''{{{#ffffff 타수}}}'''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득점}}}''' || '''{{{#ffffff 타점}}}''' || '''{{{#ffffff 볼넷}}}''' || '''{{{#ffffff 삼진}}}''' || '''{{{#ffffff 병살타}}}''' || '''{{{#ffffff 도루}}}''' || '''{{{#ffffff 타율}}}''' || || 85 || 66 || 20 || 6 || 0 || 5 || 17 || 16 || 15 || 5 || 5 || 0 || .303 || === 8월 === ||<-16>
'''{{{#FFFFFF 8월 월간 기록}}}''' || || '''{{{#ffffff 타석}}}''' || '''{{{#ffffff 타수}}}'''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득점}}}''' || '''{{{#ffffff 타점}}}''' || '''{{{#ffffff 볼넷}}}''' || '''{{{#ffffff 삼진}}}''' || '''{{{#ffffff 병살타}}}''' || '''{{{#ffffff 도루}}}''' || '''{{{#ffffff 타율}}}''' || || 88 || 74 || 24 || 3 || 0 || 3 || 12 || 10 || 12 || 11 || 1 || 1 || .324 || === 9월 === ||<-16>
'''{{{#FFFFFF 9월 월간 기록}}}''' || || '''{{{#ffffff 타석}}}''' || '''{{{#ffffff 타수}}}'''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득점}}}''' || '''{{{#ffffff 타점}}}''' || '''{{{#ffffff 볼넷}}}''' || '''{{{#ffffff 삼진}}}''' || '''{{{#ffffff 병살타}}}''' || '''{{{#ffffff 도루}}}''' || '''{{{#ffffff 타율}}}''' || || 67 || 56 || 24 || 4 || 0 || 5 || 12 || 15 || 10 || 7 || 1 || 0 || .429 || == [[한국프로야구/2010년 포스트시즌|포스트시즌]] == 시리즈 전적 1승 2패로 팀이 뒤지던 10월 3일 [[사직 야구장]]에서 열린 [[롯데 자이언츠]]와의 2010년 준플레이오프 4차전에서는 팀이 스코어 3:2로 앞선 9회초 무사 1, 2루에서 희생번트를 대야 했을 정도로 준플레이오프에서 극심한 타격 부진을 겪었다. ~~뒤에 나온 [[정수빈#s-1]]은 쓰리런... 뭔가 바뀐 듯한 기분~~ 김현수는 이날 3타수 무안타를 기록했고, 팀은 9회초에만 8점을 뽑으며 스코어 11:4로 승리했다. ~~점수 못 뽑았으면 역전패당할 뻔...~~ 김현수는 2010년 준플레이오프에서 17타수 2안타 4볼넷 2득점, 타율 .118, 장타율 .176, 출루율 .286를 기록했고, 팀은 2연패 뒤 3연승으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삼성 라이온즈]]와의 플레이오프에서도 부진해 선발에서 제외되기도 했다. 4차전 7회 대타로 나와 [[안지만]]의 높은 공을 때려 2타점 적시타를 만든 것 정도가 인상적인 활약. 김현수는 2010년 플레이오프에서 9타수 1안타 2볼넷 2타점 1득점, 타율&장타율 .111, 출루율 .273를 기록했고, 팀은 시리즈 전적 2승 3패로 탈락했다. 김현수는 2010년 포스트시즌에서 26타수 3안타 6볼넷 2타점 3득점, 타율 .115, 장타율 .154, 출루율 .281를 기록했다. == 총평 == ||<-18>
'''{{{#FFFFFF 2010시즌 기록}}}''' || || '''{{{#ffffff 경기}}}''' || '''{{{#ffffff 타수}}}'''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득점}}}''' || '''{{{#ffffff 타점}}}''' || '''{{{#ffffff 볼넷}}}''' || '''{{{#ffffff 삼진}}}''' || '''{{{#ffffff 병살타}}}''' || '''{{{#ffffff 도루}}}''' || '''{{{#ffffff 타율}}}''' || '''{{{#ffffff 출루율}}}''' || '''{{{#ffffff 장타율}}}''' || '''{{{#ffffff OPS}}}''' || '''{{{#ffffff wRC+}}}''' || '''{{{#ffffff sWAR*}}}''' || || 132 || 473 || '''150[br](3위)''' || 29 || 0 || 24[br](6위) || 88[br](6위) || '''89[br](3위)''' || '''78[br](3위)''' || 64 || 9 || 4 || .317[br](7위) || '''.414[br](5위)''' || .531[br](6위) || '''.945[br](3위)''' || '''152.0[br](2위)''' || '''5.24[br](3위)''' || ||<#182132> [[KBO 골든글러브|[[파일:KBO 골든글러브 로고.svg|height=40]]]] [br] [[KBO 골든글러브 역대 수상자/외야수|'''{{{#b58a5d KBO 골든글러브}}} {{{#ffffff 외야수 부문 수상자 (201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현수10.jpg|width=100%]]}}}|| || '''{{{#white 부진에 빠져있던 플레이오프 4차전 7회말 2사 만루에서 [[손시헌|{{{#white 손시헌}}}]]의 대타로 나와 2타점 적시타를 때려낸 후}}}''' || 시즌 KIA와의 개막전 2연전에서 도합 8타수 7안타를 치면서 역시 김기계라는 평을 들었으나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24530&no=309&weekday=sun|최훈 카툰]] 이후 극도의 부진(?)~~고장~~에 빠지면서 김기계답지 못하게 타율이 2할대까지 떨어졌었다. 이러한 부진(…)의 원인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들이 분분했다. 4번 타자에 배치된 게 심적으로 부담이 됐다거나, 베이징 올림픽과 WBC 이후 유명해지면서 [[이진주(사업가)|펄모씨]]과 얽히면서 멘탈이 망가진 것 아니냐는 카더라도 있었다. [[김경문]] 감독은 이러한 김현수의 부진에 대해 "야구하면서 누구에게나 올 수 있는 부진이다. 계속 잘하기만 하면 얼마나 야구가 쉬워 보이겠는가." 라며 현재의 부진이 더 발전하기 위한 성장통 정도로 생각하는 듯한 발언을 했다. 하지만 3할 20홈런에 90타점 가까이 기록해놓고 부진하다는 소리를 듣고 있으니 어쩌면 김현수 개인에게는 불행한 일일지도 몰랐다.[* 5월 2할대 후반 타율을 기록할 때는 확실히 부진하다 할 만하기는 했다. 그러나 9월에 맹타를 치며 준수한 평균 성적을 기록.] [[씨발|식빵을 자주 입으로 굽는]] 장면이 카메라에 잡히면서, [[야갤]]에서 신나게 까였고, 또한 발전도 없는 새끼가 겉멋만 들었다며 까였다. 그러다보니 기레기라는 별명이 생겼다. 2010 올스타전 홈런더비에서 10개의 홈런을 기록, 역대 최고 기록으로 우승했다. 그런데 이 기록은 2012년 [[김태균]]이 14개의 홈런을 기록하며 깨졌다. 그러나 2014년, 다시 [[김현수(1988)|김현수]]가 14개의 홈런을 기록하며 보란 듯이 타이기록을 기록했다. 이 와중에 8월 5일 잠실 롯데와의 경기에서 사구를 맞자 성질을 내던 모습이 '''제대로 걸렸다'''. 네티즌들의 심한 비난에 직면해 있는 상태이다.[[http://news.nate.com/view/20100806n03228|#]] 후반부에 이르러 어느정도 기량을 되찾아 3할을 회복했으며 결국 20홈런 80타점도 무난하게 달성했다. 최종 성적은 132경기에 출장해 타율 ~~겨우~~ 0.317(리그 7위) 출루율 0.414(리그 5위)[* 2010시즌 출루율 5걸 중에서 유일하게 BB/K 비율이 1.2를 넘어간다.(BB/K 1.31)] 장타율 0.531(리그 6위) OPS 0.945(리그 3위) 88득점(리그 3위) 150안타(리그 3위)[* 이로써 3년 연속으로 150안타 이상을 쳤다. 이는 1999~2001년의 [[이병규(1974)|이병규]], 2001~2003년의 [[장성호]]에 이어 역대 세 번째다.] 24홈런(리그 6위) 89타점(리그 6위) 78볼넷(리그 3위) WAR 5.24(리그 5위, 야수 3위). 2009년에 비해 성적이 크게 하락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대호를 제외하면 리그 최고 타자 수준이었다. 이 해에도 단 1경기만 결장하며 많은 타석을 소화한 덕에 누적 종합 타격 스탯인 wRC는 홍성흔도 제치고 2위였다. --물론 1위가 압도적이어서 큰 의미는 없지만-- 2010년 광저우 아시안게임에서는 준수한 활약을 보여주며 대한민국의 우승에 기여하였다. == 관련 문서 == * [[두산 베어스/2010년]] [각주] [[분류:김현수(1988)/선수 경력]][[분류:두산 베어스/2010년]]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현수(1988)/선수 경력/두산 베어스, version=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