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하위 문서, top1=김혁규(프로게이머)/선수 경력)] [include(틀:LCK 1000킬 달성 선수)] ||||<:> [[파일:DRX_Deft_2020_Split_1.png|width=100%]] || ||<-2><#5a8dff><:> {{{#ffffff '''DragonX'''[br]'''Deft'''}}} || ||<-2><#fff><:> {{{#2f5ff7 '''김혁규 (Kim Hyeok-gyu)'''}}} || ||<#5a8dff><:> {{{#ffffff '''생년월일'''}}} || [[1996년]] [[10월 23일]] ([age(1996-10-23)]세) || ||<#5a8dff><:> {{{#ffffff '''국적'''}}} || [[파일:대한민국 국기.png|width=30]] [[대한민국]] || ||<#5a8dff><:> {{{#ffffff '''출신지'''}}} || [[서울특별시]] [[강서구(서울)|강서구]] || ||<#5a8dff><:> {{{#ffffff '''신체'''}}} || 178~179cm[* [[스멥]]과 같이 서 있는 모습을 보면 별 다른 차이가 없어 보인다.] || ||<#5a8dff><:> {{{#ffffff '''혈액형'''}}} || O형 || ||<#5a8dff><:> {{{#ffffff '''학력'''}}} || 상암중학교 졸업 [br] [[마포고등학교]] 중퇴 [br] [[고졸]] [[검정고시]] 합격 || ||<#5a8dff><:> {{{#ffffff '''병역'''}}} || [[보충역]],,(고등학교 중퇴),, → [[현역]][* 고졸 검정고시 통과로 인해 역종이 바뀌었다. 본인은 이에 대해서 아예 모르고 있었다고.] || ||<#5a8dff><:> {{{#ffffff '''닉네임'''}}} || Deft[* Deft라는 단어는 '솜씨 좋은', '능숙하다'라는 뜻이 있다. 데프트의 압도적인 메카닉 역량에 잘 어울리는 닉네임.] || ||<#5a8dff><:> {{{#ffffff '''포지션'''}}} || 바텀 || ||<#5a8dff><:> {{{#ffffff '''아이디'''}}} || DRX Deft[[https://www.op.gg/summoner/userName=DRX Deft|#]][* 전 아이디 zebecpoop, KT DEFT, DEFT 00, KZ Deft0] || ||<#5a8dff><:> {{{#ffffff '''티어'''}}} || 시즌 3 챌린저[br]2014~2019 시즌 챌린저[* 2017 시즌 챌린저 1212점 1위] || ||<#5a8dff><:> {{{#ffffff '''별명'''}}} || '''알파카''', 1인 군단, 그 신수, 그 동물, 기프트[* 데프트가 가끔씩 보이는 의아한 쓰로잉이 나올때 나오는 별명.], 딜링머신, 중국 킬러[* LPL 시절 압도적인 기량으로 리그를 제패하고 한국 리턴 이후에도 중국팀만 만나면 압도적인 캐리력을 보여주는것에 대해 붙은 별명],마포고 피바라기[* 인벤에서 [[페이커]]와 데프트가 같은 마포고 출신인걸 소재로 진행한 인터뷰에서 나온 별명.],미숙아 || ||<#5a8dff><:> {{{#ffffff '''소속 팀'''}}} ||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Samsung_Bluelogo_square.png|width=25]] [[삼성 갤럭시 블루|Samsung Galaxy Blue]][br](2013.2.19 ~ 2014.11.1) [br][[파일:EDG_logo_no_background.png|width=35]] [[Edward Gaming]][br](2014.11.11 ~ 2016.11.13)[* 2016 데마시아컵 종료와 탈퇴.] [br][[파일:external/s20.postimg.org/kt_rolster_logo.png|width=35]] [[kt 롤스터/리그 오브 레전드|kt Rolster]][br](2016.12.1 ~ 2018.11.20)[br][[파일:DRX.png|width=25]] [[DragonX/리그 오브 레전드|DragonX]][br](2018.11.26 ~ ) || ||<#5a8dff><:> {{{#ffffff '''링크'''}}} || [[http://www.afreecatv.com/ilku5569|[[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png|width=20]]]] [[https://www.douyu.com/5070834|[[파일:douyutv_logo.png|width=20]]]] || ||<#8A2BE2><-5><:> '''{{{#white 우승 기록 }}}''' || ||<#000000><-5><:> '''{{{#gold 리그 오브 레전드 }}}''' || ||<-5><#FFD700> '''[[LOL 클럽 마스터즈]] 우승[br][[SKT LTE-A LoL 마스터즈 2014]] 우승''' || || 리그 출범 || → || '''MVP'''[br]'''Samsung Galaxy''' || → || 미정 || ||<-5><#FFD700> '''[[HOT6 Champions Spring 2014]] 우승''' || || [[SK텔레콤 T1 K|SK telecom T1 K]] || → || '''Samsung Galaxy Blue''' || → || [[KT 롤스터 애로우즈|kt 롤스터 애로우즈]] || ||<-5><#FFD700> ''' G-League 2014 우승''' || || WE Academy || → || '''Edward Gaming''' || → || IN Gaming || ||<-5><#FFD700> '''[[데마시아 컵|Demacia Cup 2015 Spring]] 우승'''[br]'''[[데마시아 컵|Demacia Cup 2015 Summer]] 우승[br][[데마시아 컵|Demacia Cup 2015 Grand Finals]] 우승[br][[데마시아 컵|Demacia Cup 2016]] 우승''' || || [[Edward Gaming]] || → || '''Edward Gaming''' || → || [[Royal Never Give Up]] || ||<-5><#FFD700> '''[[Tencent LoL Pro League 2015 Spring]] 우승''' || || [[Edward Gaming]] || → || '''Edward Gaming''' || → || [[LGD Gaming]] || ||<-5><#FFD700> '''[[2015 Mid-Season Invitational]] 우승''' || || [[SK텔레콤 T1 K|SK telecom T1 K]][* 2014 올스타전 인비테이셔널 매치가 2015년 MSI로 이전.] || →|| '''Edward Gaming''' || → || [[SK텔레콤 T1/리그 오브 레전드|SK telecomT1]] || ||<-5><#FFD700> '''[[Tencent LoL Pro League 2016 Summer]] 우승''' || || [[Royal Never Give Up]] || → || '''Edward Gaming''' || → || [[Team WE]] || ||<-5><#FFD700><:> '''[[2017 LoL KeSPA Cup]] 우승''' || ||<:> [[ROX Tigers/2017년 이전|ROX Tigers]] || → || '''kt Rolster''' || → || [[Griffin]] || ||<-5><#FFD700><:>'''[[2018 LOL Champions Korea Summer]] 우승''' || || [[KING-ZONE DragonX/리그 오브 레전드|KING-ZONE DragonX]] || → || '''kt Rolster''' || → || [[SK텔레콤 T1/리그 오브 레전드|SK telecom T1]] || ||<-5><#FFD700><:> '''[[2019 리프트 라이벌즈/KR-CN-LMS-VN|2019 리프트 라이벌즈]] 우승''' || || LPL[* 2018 [[Royal Never Give Up|RNG]], [[Edward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EDG]], [[Rogue Warriors|RW]], [[Invictus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IG]]] || → || '''LCK'''[* 2019 [[T1/리그 오브 레전드|SKT]], [[Griffin/리그 오브 레전드|GRF]], KZ, [[담원 게이밍/리그 오브 레전드|DWG]]] ||<:> → ||<:> 미정 || ||<#8A2BE2><-5><:> '''{{{#white 준우승 경력}}}''' || ||<#000000><-5><:> '''{{{#gold 리그 오브 레전드 }}}''' || ||<-5><#BEBEBE><:> [[HOT6 Champions Summer 2014]] 준우승 || || [[나진 화이트 실드|NaJin White Shield]] || → || '''Samsung Galaxy blue''' || → || [[GE Tigers]] || ||<#BEBEBE><-5><:> [[Tencent LoL Pro League 2016 Spring]] 준우승 || || [[Qiao Gu]] || → ||<:> '''Edward Gaming''' || → || [[Royal Never Give Up]] || ||<-5><#BEBEBE><:> [[2017 LOL Champions Korea Spring]] 준우승 || || [[ROX Tigers]] || → || '''kt Rolster''' || → || [[SKT T1/리그 오브 레전드|SK telecomT1]] || ||<-5><#BEBEBE><:> [[2017 리프트 라이벌즈]] 준우승[br][[2018 리프트 라이벌즈]] 준우승 || ||<:> 대회 출범 || → || '''LCK'''[* 2017 [[SK텔레콤 T1/리그 오브 레전드|SKT]], kt, [[삼성 갤럭시(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SSG]], [[MVP(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MVP]]][* 2018 [[KING-ZONE DragonX/리그 오브 레전드|KZ]], [[Afreeca Freecs/리그 오브 레전드|AFs]], KT, [[SK텔레콤 T1/리그 오브 레전드|SKT]]] ||<:> → ||<:> LPL[* 2019 [[Invictus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IG]], [[JD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JDG]], [[FunPlus Phoenix|FPX]], [[Top Esports|TES]]] || ||<#8A2BE2><-5><:> '''{{{#white 수상 기록}}}''' || ||<#000000><-5><:> '''{{{#gold 리그 오브 레전드 }}}''' || ||<-5><#FFD700><:> '''[[Tencent LoL Pro League 2015 Spring|2015 LPL Spring]] 정규시즌 MVP''' || || MVP 유자진[br]([[OMG(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Oh My God]]) || → || '''김혁규[br](Edward Gaming)''' ||<:>→ || [[밍카이]][br]([[Edward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Edward Gaming]]) || ||<-5><#FFD700><:> '''[[Tencent LoL Pro League 2015 Spring|2015 LPL Spring]] 결승 MVP''' || || 결승 MVP 시상 출범 || → || '''김혁규[br](Edward Gaming)''' ||<:>→ || [[구승빈]][br]([[LGD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LGD Gaming]]) || ||<-5><#FFD700><:> '''[[Tencent LoL Pro League 2016 Summer|2016 LPL Summer]] 결승 MVP''' || || [[리위안하오]][br]([[Royal Never Give Up/리그 오브 레전드|Royal Never Give Up]]) || → || '''김혁규[br](Edward Gaming)''' ||<:>→ || [[샹런제]][br]([[Team WE/리그 오브 레전드|Team WE]]) || ||<-5><#FFD700><:> '''[[LPL 연간 어워드]] 2016년 MVP''' || || [[밍카이]][br]([[Edward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Edward Gaming]]) || → || '''김혁규[br](Edward Gaming)''' ||<:>→ || [[리위안하오]][br]([[Royal Never Give Up/리그 오브 레전드|Royal Never Give Up]]) || ||<#FFD700><-5> '''[[LPL 연간 어워드]] 선정''' || || '''2016년 베스트 AD 캐리''' || [목차] [include(틀:-)] == 소개 == ||
<:>[[파일:데프트 MVP 포즈.jpg|width=100%]] || ||<:><#5a8dff> {{{#white '''A ONE-MAN ARMY'''}}}||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現 [[DragonX/리그 오브 레전드|DragonX]] 前 [[삼성 갤럭시 블루|Samsung Galaxy Blue]], [[Edward Gaming]], [[kt 롤스터/리그 오브 레전드|kt Rolster]]의 원거리 딜러. 데뷔했을때 뛰어난 실력과 미친 피지컬을 보유한 삼성 갤럭시 블루의 미친 고딩 [[이다윤|3]][[허원석|인]]방 중 하나였다. 말 그대로 미친 고딩의 면모를 제대로 발휘해 형제 팀인 삼성 갤럭시 화이트의 [[구승빈|임프]]와 더불어 원딜 명가 삼성이라는 평가를 이끌어냈다. 자존심 강한 임프도 데프트만은 자기 이상으로 인정해주며 데프트도 임프를 늘 고평가하는 훈훈한 경쟁 관계. 2014년 솔랭 1, 2위 모두에 자신의 계정을 올리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고, 2014 스프링 시즌 롤챔스와 롤 마스터즈에서 모두 우승하며 선수들 사이에서도 이견이 없는 시즌 4 최고의 원딜 중 한명이었다. 이후 중국 [[LPL]]의 [[Edward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Edward Gaming]]으로 이적해 2년간 LPL 2회 우승, 1회 준우승에 2015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MSI]] 우승 커리어를 남기고 2016 시즌 종료 후 한국으로 복귀해 삼성 시절 동료였던 [[허원석|폰]], [[조세형(프로게이머)|마타]], [[ROX Tigers/2017년 이전|락스 타이거즈]]를 나와 FA 신분이었던 [[송경호|스멥]]과 함께 당시 [[고동빈|스코어]]만 남기고 새로이 로스터를 구성중이던 [[kt 롤스터/리그 오브 레전드|kt]]로 이적해 일명 '슈퍼팀' 을 구성하게 되었다. kt 이적후엔 LCK 1회 우승을 기록하고 2018 시즌 종료 후 [[허원석|폰]]과 함께 [[DragonX/리그 오브 레전드|킹존]]으로 이적했다. 중국으로 가기 전 단점으론 상대적으로 약한 라인전과 멘탈이 뽑혔지만, 중국 진출 이후에는 오히려 라인전이 강력하게 바뀌었으며 멘탈적인 문제점도 많이 개선되었다. 애초에 중국 진출 이전에도 이런 문제들을 피지컬로 커버하고도 남을만했던 선수. 도주기가 없는 챔피언으로도 적의 스킬들을 휙휙 피해버리는 미친 무빙과 원거리 딜러의 극한에 다다랐다고 해도 좋을 끝판왕급 딜링 능력이 데프트를 대표하는 능력이었고 LCK 복귀 이후에는 리그 최고의 원딜이라는 평가를 들으며 라인전부터 압도적인 퍼포먼스를 보여준다. 날카로우면서도 적당히 귀여운 외모와 의문사가 자주 나올정도의 극단적인 공격성 플레이 때문에 인기도 많다. 올스타전 투표때마다 SKT 선수들을 제외하면 항상 상위권에 드는 선수로 원거리 딜러의 로망과도 같은 플레이인 피할 거 다 피하고 딜은 딜대로 다 때려박는 플레이의 극한을 보여주는 선수라서 원딜을 주로 하는 유저들 중에선 데프트를 좋아하는 유저들이 반드시 있을 정도다. == [[/선수 경력|선수 경력]] == *'''[[LOL 클럽 마스터즈]] 우승''' * [[WCG]] 2013 한국 대표 선발전 2위 * [[PANDORA TV Champions Winter 2013-2014]] 8강 * [[ZOTAC NLB Winter 2013-2014]] 3위 * '''[[HOT6 Champions Spring 2014]] 우승''' * '''[[SKT LTE-A LoL 마스터즈 2014]] 우승''' * '''G-League 2014 우승''' * [[HOT6 Champions Summer 2014]] 준우승 * [[리그 오브 레전드 2014 월드 챔피언십]] 4강 * '''2015 Demacia Cup Spring 우승''' * '''[[Tencent LoL Pro League 2015 Spring]] 우승''' * '''[[2015 Mid-Season Invitational]] 우승''' * '''2015 Demacia Cup Summer 우승''' * [[Tencent LoL Pro League 2015 Summer]] 4위 * [[리그 오브 레전드 2015 월드 챔피언십]] 8강 * '''2015 Demacia Cup Grand Finals 우승''' * [[Tencent LoL Pro League 2016 Spring]] 준우승 * '''[[Tencent LoL Pro League 2016 Summer]] 우승''' * [[리그 오브 레전드 2016 월드 챔피언십]] 8강 * '''2016 Demacia Cup 우승''' * [[2017 LOL Champions Korea Spring]] 준우승 * [[2017 리프트 라이벌즈]] 준우승 * [[2017 LOL Champions Korea Summer]] 3위 * '''[[2017 LoL KeSPA Cup]] 우승''' * [[2018 LOL Champions Korea Spring]] 3위 * [[2018 리프트 라이벌즈]] 준우승 * '''[[2018 LOL Champions Korea Summer]] 우승''' * [[리그 오브 레전드 2018 월드 챔피언십]] 8강 * [[2018 LoL KeSPA Cup]] 2라운드 8강 * [[2019 스무살우리 LoL Champions Korea Spring]] 3위 * '''[[2019 리프트 라이벌즈]] 우승''' * [[2019 우리은행 LoL Champions Korea Summer]] 7위 * [[2019 LoL KeSPA Cup ULSAN]] 4강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혁규(프로게이머)/선수 경력)] == 플레이 스타일 == 데뷔 때부터 본인의 말에 따르면 원거리 딜러임에도 불구하고 앞 점멸이나 앞 비전 이동을 자주 쓸 정도로 공격적인 성향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에 걸맞지 않게 삼성 블루시절까지만 해도 데프트-하트 듀오는 라인전이 강하다고 평가하기는 힘들었다. 물론 당시 하트가 라인전에 치중한다기보단 로밍에 치중하는 모습을 꽤나 많이 보였던 것도 한몫 한다. 대신 당시 데프트는 라인전에서 상대에게 밀려 코어템 개수에서부터 대놓고 차이가 나는 상황에서조차 최선의 포지션으로 가장 많은 딜을 넣어 ''''1인 군단'''', 최근에는 ''''딜링 머신''''으로 불리기도 한다. 중국에서도 이런 플레이로 EDG의 수많은 승리를 견인하기도 하였다. 한국 복귀 이후 오랫동안 부딪혀왔던 라이벌 프레이, 뱅과 비교하자면 프레이는 원거리 딜러라는 포지션상의 한계를 뛰어넘는 변수 창출력이, 뱅은 극한의 포지셔닝 능력으로 최대한 죽지않고 최대한 오래 살아남아서 데미지를 넣는 능력이, 데프트는 과감하다 못해 무모할정도로 공격적인 성향과 뛰어난 피지컬을 바탕으로 데미지를 때려박는 능력이 강점이라고 할 수 있겠다. [[박재혁(프로게이머)|룰러]]와 함께 LCK의 대표적인 캐리형 원딜로 분류된다. 하지만 EDG 시절을 거치면서 단점인 라인전이 강해졌다는 평을 받기 시작했다. 16년 롤드컵 8강 당시에도 잘나가던 바텀듀오인 프릴라를 상대로 라인전에서 밀리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며 이를 각인시켰으며, 이후 kt로 이적할 때 팬들이 데프트에 대해 더욱 기대하게 만든 요소였기도 했다. 이 기대에 부응이라도 하듯 한국 복귀 이후에는 공격적인 포지션을 잡고 딜링을 하는 임프와 비슷하게 플레이 스타일이 바뀌어 임프트라는 별명을 획득하였다. 안정적인 카이팅을 하는 것보다 더욱 과감하게 포지션을 잡고 딜링을 최대한으로 끌어내는 공격적인 스타일로 바뀌었다고 보면 된다. 이런 공격적인 스타일에 데프트의 압도적인 피지컬, 여기에 마타의 시팅이 합해지며 kt의 봇라인은 웬만한 봇듀오는 압도할 정도의 강한 라인전을 얻게 되었다. 실제로 2017년 데프트와 마타의 합류 이후 kt가 바텀 라인전이 터져서 패배한 경기는 극히 드물다. 한타 때 원딜로서의 딜링 역시 전성기의 모습이 부럽지 않을 정도. 밀리는 경기에서도 넣을 딜은 착실하게 다 넣어준다. 눈에 확 띄는 활약이 없어도 경기 종료 후 딜 지표를 보면 대체 언제 딜을 넣었는지 팀 내 딜링 1위를 차지하는 경우가 대다수다.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4625&l=1421859|광역 스킬이 어지럽게 쏟아지는 한타]]에서도 스킬샷을 요리조리 피해가며 혼자 상대 팀 다섯 명에게 딜을 때려박는 에이스의 면모를 보여준다. 심지어 팀 적으로 cs나 경험치 투자를 과하게 받는 것도 아니고, 원딜을 보호하기 위한 팀의 희생 플레이가 있는 것도 아닌데 분당 데미지는 LCK 원딜 최상위권을 기록하고 있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leagueoflegends2&no=1064722|그야말로 가성비 끝판왕.]] 2018년 스프링쯤에는 kt의 승리공식에 바텀이 라인전에서 이기고 들어가는 게 첫 번째 전제라고 해설들이 언급할 정도였으니.. 팀에서 데프트마타가 차지하는 비중이 얼마나 컸는지를 짐작할 수 있다. 챔피언 풀도 좋은 편에 속한다. 시그니쳐 픽으로는 [[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루시안]], [[케이틀린(리그 오브 레전드)|케이틀린]], [[이즈리얼]] 등이 꼽히며 스킬형과 평타형 모두 잘 다루는 좋은 밸런스가 장점이다. 데프트 본인이 생각하는 히든 카드는 [[징크스(리그 오브 레전드)|징크스]]로, 40전 37승 3패라는 말도 안되는 승률을 보유하고 있다.[* kt에 있을 당시 롤드컵에서 징크스 스킨을 받고 싶다고 한 적이 있고, 2019년 서머 시즌에 인생챔프 영상을 찍을 때 징크스를 소개 한 것으로 보아 본인이 가장 좋아하는 챔피언인 듯 하다.] 일반적인 원딜 이외에도 [[직스]], [[모데카이저]], [[벨코즈]], [[모르가나(리그 오브 레전드)|모르가나]], [[빅토르(리그 오브 레전드)|빅토르]], [[아트록스(리그 오브 레전드)|아트록스]](?), [[소나(리그 오브 레전드)|소나]] --[[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제이스]]--(흑역사) 등 비원딜 챔피언으로도 승리하기도 했다. [[박도현(프로게이머)|바이퍼]] 이후 바텀 프로게이머가 원거리딜러 챔피언 이외의 픽도 다루는 것이 선택이 아닌 기본 소양으로 정착하면서 드러나는 또다른 강점. 비원딜 메타에서 적응하지 못하고 부진하던 경쟁자들인 [[배준식|뱅]]과 [[김종인(프로게이머)|프레이]], 아예 비원딜을 포기했던 [[박재혁(1998)|룰러]]에 비해서 데프트는 메타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는 편이다. 킹존 코치진은 데프트가 의외로 비원딜을 잘해서 또다른 전략 카드가 되었다며 좋은 평가를 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 강력함이 아깝게 '''멘탈이 약하고 중요할 때 잘 끊긴다'''는 게 데뷔 때부터 꾸준히 약점으로 지목받기도 한다.[* 이는 한 때 임프에게 밀렸을 때도 지적받던 문제점이었다.] 삼성 블루 시절까지만 해도 경기 내 기복도 상당히 심한 편이었으며, 자신이 적 원딜보다 잘 큰 상황에서도 팀이 전반적으로 불리하면 의외로 우왕좌왕하면서 딜도 제대로 못 넣는 모습도 많이 보이며, 팀이 유리한 와중에도 자신이 한 번 끊기기 시작하면 계속 끊기면서 게임이 비벼지는 일 또한 많이 나왔다. 특히 삼성 화이트와의 경기에서 데프트는 끊임없이 먼저 물려서 죽는데 다른 팀원이 넣은 딜과 본인의 코그모가 패시브로 넣은 딜만으로 게임을 이기는 경기도 있었을 정도. 2014 스프링 시즌 삼성 블루의 힐 메타는 이러한 데프트의 멘탈을 그나마 보완해서 기량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냈다는 의견도 있다. 중국 진출 이후 2016년에는 중국 리그를 아예 씹어 먹으며 데프트의 멘탈적인 면은 상당히 보완된 것 아니냐는 의견도 있었지만, 플레이 오프 8강전에서 WE에게 2:0에서 2:2로 쫓겼을 때 데프트의 멘탈은 그야말로 박살난 상태였다. 여기서 파생되는 자잘한 문제점으로, 팀이 쫓기고 있을 때 무리한 페이스 체크를 하는 경향이 있다. 2014 롤챔스 서머 16강 IM 2팀과의 경기처럼 데프트가 혼자 페이스 체크를 하러 가다가 물려 죽으면서 한타를 진 적이 몇 번 있으며 2017 롤챔스 섬머 통신사 1차전 2세트와 3세트에서는 이해할 수 없는 무빙을 하다 잠복해있는 적들에게 연속해서 끊기며 패배의 원흉이 되기도 했다. 2016 시즌 EDG는 원딜 보호에 강점이 있는 선수를 우선 하거나 미드라이너 스카웃조차 데프트를 위해 희생하는 플레이를 자주 했다. 당시에는 다른 선수들의 캐리력이 딸려서 데프트만 믿고 가는 것 아니냐는 평이 지배적이었지만 현재는 데프트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고육지책이 아니었냐는 재평가가 이루어 지고 있다.[* 실제로 데프트보다는 뭔가 좀 부족한 원딜 iBoy와 기량이 하락한 클리어러브, 실력이 여전히 늘지 않은 마우스를 데리고도 EDG는 LPL을 다시 우승하였으며, 희생하는 역할에서 벗어난 스카웃은 포텐이 해방되며 중국 최고의 미드라이너로 성장하였다.] kt에 입단하고 나서도 다소 앞포지션을 잡다가 포지셔닝 실수로 맥없이 끊기는 모습을 종종 보여줬다. 단순히 라인전만 잘하고 한타를 못한다기에는 잘 할 때는 딜링은 딜링대로, 생존은 생존대로 하는 미친 개인기를 선보여서 포지셔닝을 못한다고 평가하기도 난감하고, 못 할 때는 초반 소규모 난전에서부터 이해하기 힘든 스펠 사용, 자신의 메카닉을 과신하는 무모한 전진 등으로 게임이 터지기도 해서 뭐라고 하기가 어렵다. 특유의 두부 멘탈과 공격적인 플레이로 인해 그때 그때의 컨디션에 따른 기복이 심하다고 말하는 것이 적절한 듯.[* 어떻게 보면 프레이의 안티테제에 가깝다고 볼 수도 있다. 둘 다 뛰어난 메카닉을 바탕으로 솔로랭크를 정복한 원딜이지만 프레이는 멀리 내다보는 시야와 훌륭한 설계를 통한 거시적인 플레이에 능하다. 대신 미시적인 한타나 대치구도에서 사고를 쳐서 짤리는 경우가 가끔 있다. 반면, 데프트는 무빙 자체는 후덜덜하고 이를 통해 강력한 라인전과 한타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거시적인 시야와 운영에 약점을 가져서 한 수 앞을 보지 못해 불구덩이로 들어가 자폭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 몇몇 커뮤니티에서 데프트를 고(高)무력 저(低)지능이라고 놀리는 것도 이와 일맥상통한다.] 잘 하다가도 중요한 순간에 피지컬을 과신하다 이상한 포지셔닝으로 쌈싸먹히고 kt 한타 패배의 단초가 되거나 갑분싸를 시전할 때가 있다. 어떤 네티즌은 이러한 데프트를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leagueoflegends1&no=12775487|평소에 얌전하다가 눈 떼면 사고치는 아이에 비유]]하여 많은 공감을 얻었을 정도. 원딜이 후반 한타에서 가지는 위상을 생각하면 kt 특유의 [[대퍼|한타 능력 부족으로 인한 역전패]]의 원인 중 하나이기도 하다. 이러한 하드쓰로잉 플레이가 아이러니하게도 생존기가 강력한 원딜을 잡았을 때 더더욱 돋보이며, 데프트 개인의 챔피언 승률만 비교해봐도 전체적으로 생존기가 없는 원딜이 더 높은 경향을 보인다. 18섬머에는 본인도 이러한 단점을 인지한 것처럼 시간이 갈수록 점차 안정감 있는 플레이가 늘어가고 있고, 18섬머에는 이를 바탕으로 '''후반의 kt'''의 중심이 되어 LCK 우승을 거머쥐기도 했지만.. 그리고 프로 경력을 보면 시간이 흐름으로서 라인전 능력이 계속 강화되었다. 서폿에 따라서 라인전 기량이 매우 바뀌었는데 하트가 서폿이었을 때는 라인전을 안전하게 수행하는 것에만 집중했지만 중국 진출을 하면서 메이코와 듀오를 하게 되면서 강한 라인전을 갖추게 되었고, 한국으로 돌아와 마타랑 듀오를 하게 되면서 강한 라인전 뿐만 아니라 라인전 이득을 통한 스노우볼링도 하게 되면서 파괴적인 초반 기량을 가지게 되었다. 실제로 데프트 선수가 한국으로 돌아온후 KT가 바텀 라인전이 터져서 진 경기는 한화와의 경기에서 나미가 3킬 먹었을 때를 제외하고 없었으며 모든 경기에서 최소 6대4 혹은 7대 3까지 유리하게 이끌었다. 삼블 시절때부터 스크림에서의 파괴력이 대회에서 나오지 않는다고 많은 프로와 관계자들이 안타까워 했지만 경력이 쌓이면서 그 파괴력을 만개해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kt에서의 17섬머 정규시즌과 킹존에서의 19스프링 시즌 등 데프트 팀의 승리 공식이 바텀 라인전 파괴일 정도. == 알파카 == > '''( -ㅅ- )''' > - 데프트 이모티콘 [[http://cfile234.uf.daum.net/image/275F3C4E53B8D93F07F934?.png|비교 짤]] [[http://m.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4625&l=1652853|당신의 데프트를 찾아보세요(데이터 주의)]] 동물 [[알파카]]를 닮은 외모때문에 알파카로 통하고 있다. 본인도 팬들이 지어준 별명이라며 좋다고 한다. 이 별명이 워낙 너무 강렬하기 때문에 데프트의 밈은 이것말고는 없다고 해도 좋을 정도로 지배적이다. 근데 '고작 하나?' 라고 치부하기엔 이 소스가 너무나도 많은 드립의 원천이 되기 때문에 가는 팀마다 어떻게든 엮이는데 이중 가장 알파카밈을 활성화시킨건 KT시절로 대벌레, 강타 못쓰는 정글러, 주님, 오더기계 등 온갖 진귀한 캐릭터들이 모여있는 KT 내부에서도 커뮤니티 지분률이 상위에 속했을정도였다. 일단 KT 경기만 했다하면 롤갤, 인벤 할 것 없이 여기저기에서 온갖 신기한 알파카 짤이 쏟아져나온다. [[http://www.inven.co.kr/mobile/board/powerbbs.php?come_idx=4625&my=chu&l=1412685|이런식으로]] 밈이 점점 발전하면서 '알파카이기 때문에 인간의 말을 잘 못한다' 라는 설정이 추가된다. 그래서 데프트의 대사를 적을 땐 아기들이 말하는 것 같은 혀짧은 발음으로 적는다. 예를 들어 '[[고동빈]] [[승천|가지 마십시오]]' 라는 대사를 한다면 이를 그대로 적는 것이 아니라, '''코돈빈! 가지마심씨오!''' 라고 적는 것이다. 특히 마타를 부를 때에는 ''''맏따'''' 라고 부른다. 그런데 이 밈을 쓸 때 '''욕을 하는 상황'''에서는 정확한 발음을 적는게 암묵의 룰이다(...) (예시: "코돈빈 이번엔 간타 잘쓰셔야함미다. 간타 간타 간타 '''아니 강타쳐박으라고 xxx야'''.") 이는 같은 팀원들에게도 영향을 끼쳤는데, 마타도 덩달아 갈색 알파카로 치부되고, 스코어는 성불드립이 터진 이후로 가장 많이 엮인다. ~~코돈빈!! 이제 풀투졍 안함미다. 제발 가지마심씨오!!~~ 2014 롤챔스 서머 결승 경기 사이의 영상에서도 이 별명이 활용되는데, 본인이 직접 알파카 인형을 들고 '나는 삼성의 알파카'라고 대사도 친다! ~~[[https://www.youtube.com/watch?v=4_8JXoU9zGM|연습실의 알파카]]~~ 2017년부턴 아예 kt 팀원들까지 알파카 취급당하고 있다. 급기야는 알파카 사진이 아닌 데프트 본인의 사진을 올리면 "이분 데프트랑 닮았네. 누구?"라고 말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또한 데프트 본인에 의하면 처음에는 의식하지 않았는데 거울을 보니 알파카가 있었다고 한다. 팀원과 함께 [[강원도]] [[홍천군]]에 있는 알파카월드에 직접 다녀오기도 했다. [[https://www.facebook.com/alpacaworld.co.kr/posts/853402801488271|~~고향 방문~~]] 또한 마타가 올스타전을 너무 원한 나머지 아예 알파카 19금 사진(...)을 공약으로 내세우며 팔리기까지 되었다... --지금 머라는검미까?-- 2018년에는 아예 닉까지 "맏따머함니까"로 바꿨다. 이에 질세라 마타도 "뎁뚜머함니까" 로 바꿨다. [[http://www.inven.co.kr/board/lol/4625/1902357|#]][* 봇듀오끼리 닉을 맞추자고 마타가 제안했다고 한다. ~~마타가 제시한 예시가 이상한 것만 잔뜩이라서~~ 그중에서 저게 양호했다고. 지금은 바꾼 상태.] 그리고 이 알파카 기믹은 [[https://youtu.be/Jb6ZsKg3n8Y|LCK 공식 채널에서도]] [[https://youtu.be/I7ZoiMOT9w8|잘]] [[https://www.youtube.com/watch?v=WkIKPcf4DsY&t=|써먹고]][[https://www.youtube.com/watch?v=o91JDGRyyhU|있]] [[https://youtu.be/zNbETcSHo5o|다.]] 2019년 롤드컵에서 [[고동빈]]이 라이엇 코리아의 제의를 받아 현장 리포터로 활약하는데 프로그램 이름이 '코돈빈의 나혼자간다'다. 현 DRX에서도 이 알파카밈은 씨맥은 물론 영입을 바라는 선수와 엮을정도로 인기가 많다. 보지못한 알파카짤이 나오면 '나만 알파카 없어'라고 적는게 암묵의 룰. 알파카 대형 이모티콘도 있다(!)   / ^____^  \\\ ㅣ (  -ㅅ-  ) ㅣ |               ㅣ ㅣ              ㅣ |                 | ㅣ              ㅣ |               ㅣ == 기타 == * [[https://www.fmkorea.com/2598843216|스카이다이빙(!)을 뛰기도 했다.]] 살면서 한 번쯤 해보고 싶은 일 중 하나였다고. * 말을 하면 잘 하긴 하는데 목소리가 정말 작다. 기본적으로 매우 나긋나긋한 톤인데, 말도 천천히 하는 편이라 목소리가 잘 안들릴때도 많다. * 2013 스프링 때 리빌딩된 MVP Blue 팀에서 유일하게 GSG 소속이 아니었던 인물이다. 2013년 5월 9일에 진행된 [[이엠텍 NLB Spring 2013]] 플래티넘 리그 8강전에 '''본인 명의의 ID가 없어서''' 출전하지 못했다. 그런데 그 경기에서 보여준 舊 GSG 멤버들의 졸렬함을 봐서는 출전 못 한 게 오히려 다행이었을 수도 있다. 소위 룰루, 럼블 평타 사건으로 불리는 블루의 최대 흑역사로부터 자유로운 인물이 되었기 때문이다. 데프트의 결장 덕분에 포지션을 섞고, 당시 서브 정글러였던 [[이다윤|스피릿]]이 땜빵을 하며 이 사건에 대신 얽혀들었다. 다만 스피릿은 이 사건으로 나머지 멤버들만큼 까이지는 않는 편. 당시 멤버 중 에프람 [[김주호(프로게이머)|김주호]]는 프로 생활을 그만두고 입대하며 잊혀졌고, [[이지훈(프로게이머)|이지훈]]은 팀을 옮겨가며 라샤 버금가는 영고라인에 등극해 약간의 까방권이 있는 편이다. 게다가 당시 이지훈은 혼자 cs를 챙기지 않았다. 따라서 당시의 주범이자 이후 먼저 성공한 나머지 [[최천주|두]] [[이관형|사람]]이 주로 이 건으로 까인다. * 서울 강서구의 [[마포고등학교]]에 다녔었다. [[이상혁(프로게이머)|페이커]]와 같은 학교 출신. 2013년 팀에 입단하면서 자퇴했다. ~~롤의 성지 마포고 에이스들의 병림픽~~ [[https://www.youtube.com/watch?v=hlLe86zXQt0|#]] * 2013 WCG 한국 대표 선발전에서 새로운 챔피언인 [[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루시안]]을 방송 경기에서 처음으로 사용했다. 2경기 연속 루시안을 픽하며 팀을 승리로 이끄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당시 출시된 지 얼마 되지 않았던 루시안은 프로게이머들에게 좋지 않은 원딜이라는 평을 받고 있었다. 말이 좋지 않은 원딜이지 쓰레기 취급이나 마찬가지. 데프트도 출시 직후엔 '루시안에게서는 어떠한 희망도 찾을 수 없다'며 매우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지만, 이후엔 유일하게 루시안에게 좋은 평을 내렸다. 데프트는 랭크 게임에서 루시안으로 줄줄이 승리했고, 페북에 루시안으로 꿀을 빨고 있다는 내용도 올렸다. 그리고 이 경기 이후 점차 루시안이 많은 유저들에게 기용되기 시작했다. 가히 루시안을 발굴해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다. * [[PANDORA TV Champions Winter 2013-2014]]에서 KT Bullets의 도움으로 8강 진출을 확정짓자 [[http://pgr21.com/?b=10&n=186655|이런 말]]을 남겼다. ~~그리고 그는 훗날 kt에 몸담게 되는데.~~ * 남자들에게 인기가 많다. ~~응?~~ 형제 팀의 원딜러 [[구승빈|임프]]와 블루의 탑솔러 [[최천주|에이콘]]에게 항상 귀여움을 받고 있으며 MVP 시절 주장 인터뷰에서 [[이관형|하트]]가 무한한 동생 사랑을 늘어놓기도 했고, 랭커 초대석에 출현했을 때도 많은 귀여움을 받았다. SKT T1의 [[배준식|뱅]]과는 프로 팀에 입단하기 전 아마추어 시절부터 친한 사이였다고 한다. ~~뱅 왈 혁규와 사귀라면 사귈 수 있을 거 같다고~~ ~~그래서 진짜 사귄다 뱅과 자유로운 연애 중~~ SKT LTE LoL 마스터즈 2014 진에어와 삼성의 경기 뒤 인터뷰에서는 형제 팀 오존의 서포터 [[조세형(프로게이머)|마타]]가 '동생 자랑을 해 달라'는 질문을 받고는 "일단 나이가 어리고요, --여자친구가 없어요.-- 그리고 너무 귀여워가지고 '''[[Ang|남자들이 많이 좋아해요]]'''."라는 말을 남겼다. 롤챔스 서머 시즌 4강 내전 인터뷰에선 [[구승빈|임프]]가 선수 데프트는 잘해서 싫지만 인간 김혁규는 좋다고 하였다. 그리고 kt에 들어온 이후에는 스멥에게 제일 많이 갈굼당하는 모습을 많이 보여주며 다른 형태의 귀여움을 받았다. ~~스멥: 뭐가 귀여워요 완전 때리고 싶은데~~ DRX에서도 서열 꼴찌인 건 여전한 듯 하다. [[https://www.fmkorea.com/2501537173|최근 독립을 꿈꾸고 있다고 한다(...)]] * MVP 블루 시절 [[이지훈(프로게이머)|이지훈]]과 [[김주호(프로게이머)|에프람]] 등이 있었을 당시는 게임에서 잘못된 판단이 많고 말을 죽어도 안 듣는다는 이유로 팀원들에게 많이 갈굼을 먹었다고 한다. 그때마다 데프트를 감싸고 돈 게 [[이관형|하트]]였고. 덕분에 굉장히 하트를 따르는 모양. 하트가 정글러에서 서포터로 포지션을 변경한 건 이런 영향일지도 모른다. * 2014년 5월 18일에는 본캐 부캐를 솔랭 1, 2위에 올려놓고 자신과의 싸움을 벌였다. ~~솔랭 명가 삼성~~ * 대회 밴픽에서 어째서인지 [[우르곳]]을 띄워놓고 대기할 때가 많다. NLB에서 뜬금없이 우르곳을 꺼냈다 진 적도 있고 이 때문에 우르곳 협회에서 언제나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는 풍문이 있다. * 인벤과의 인터뷰에서 골드에서 플레로 갈 때 거의 우르곳으로 올라갔다고 한다. 그리고 그의 말에 의하면 못생기지 않았으며 딱 자신의 취향이라고. * 2014년 6월 23일 롤갤러로 추정되는 인물에게 챌린저 1위인 본 계정을 해킹당했다. 룬이 죄다 갈려나간 것을 알고 멘탈이 나간 것인지 부 계정으로 폭풍 연패를 시전했다. 라이엇은 룬쏘우를 당한 경우 복구해주지 않기 때문에 데프트도 복구받을 수 없었다. --범인이 우르곳 협회라는 말이 있다-- 이로 인해 본 계정의 챌린저 1위 유지가 힘들 것으로 예상했으나 추측이 무색하게도 17주 연속 1위 수성이라는 대기록을 세웠다. ~~룬은 장식입니다~~ 다만 본계정의 룬은 범인이 남겨놓은 룬들과 남은 ip로 장만한 룬을 섞어 쓰면서 가끔 LP 유지를 위한 게임을 할 뿐 원딜은 못하겠다고 인터뷰에서 밝혔다. 이때 룬페이지 이름이 "(내) (룬) (돌려)(줘) (ㅠ)(ㅠㅠ)(ㅠㅠㅠㅠㅠ)"였다. * [[HOT6 Champions Summer 2014/8강]] 당시 인터뷰에서 [[구승빈|임프]]가 혁규가 잘하게 된 뒤로 예전처럼 자기를 존경해주지 않고 무시하는 것 같다고 불평했는데, 데프트는 무시하는 게 아니라 임프가 자꾸 스킨십을 시도해서 멀리하고 있다고 털어놓았다. 그래도 4강 내전 후 인터뷰에서는 ~~마지못해~~사랑한다고 말해줬다. * 2014 롤챔스 서머 4강 진출과 2014 롤드컵 직행을 확정지은 후 인터넷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농담 삼아 [[http://www.inven.co.kr/webzine/news/?news=115081&site=lol|우르곳 같은 새로운 카드를 준비하겠다]]고 하며 그의 우르곳 사랑을 드러냈다. * 멘탈이 약하다. --마타는 데프트가 임프의 실력이 아닌 멘탈을 배웠다고-- 스프링 우승 후 인터뷰에서도 본인 스스로 자신의 약한 멘탈을 공포 영화를 시청하면서 극복하겠다고 했었으나, 롤챔스 서머 2014 4강 내전 사전 인터뷰에서 [[구승빈|임프]]는 데프트는 라인전에서 죽으면 정글과 탑을 다 부른다며,--버스터 콜-- 같은 팀 탑 라이너인 [[최천주|에이콘]]은 데프트의 멘탈이 완전 깨지기 전에 케어를 해줘야 한다고 했다. 그리고 시즌 4 롤드컵 조별 예선에서 프나틱에게 지자 우는 장면이 포착되었다. * 쇼 미 더 머니를 패러디한 [[http://youtu.be/rzNmpABSaBo|롤챔스 서머 2014 결승전 예고영상 쇼미더 롤챔스]]에서 랩을 했다. 이 영상은 올라온 직후 롤갤 관문 영상이 되었다. * 롤챔스 서머 2014 결승전 3세트 시작 전 특집 영상 '[[http://youtu.be/c-MiAFey4BM|혁규의 일기]]'의 주인공으로 출연했다. 팀이 이겨도 자신이 제 역할을 하지 못했을 때 스트레스를 받는 데프트의 성격을 컨셉으로 한 영상이었는데 데프트를 포함 팀원 모두가 영혼을 담은 연기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이 영상 또한 결승전 당일 '''롤갤 관문 영상'''에 등재되었다. * 유럽 프나틱의 원거리 딜러 [[레클레스]]가 롤드컵 진출을 확정지은 후 한국의 매체와 한 인터뷰에서 데프트의 광팬이라고 밝혔다. 그의 넓은 챔피언 폭과 더불어 챔피언들의 특성을 살린 플레이가 예술이라며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또한 OGN과 한국 전적 사이트 OP.GG를 자주 챙겨본다고 밝혔다. 그의 유럽 부 계정 아이디는 'SAMSUNG B Deft'이다. 그리고 한국 서버 계정 아이디는 European Deft. 그리고 조별 예선에서 프나틱과 삼성 블루가 만나자 아이디를 Group of deft로 바꿨다.~~근데 그 이후에 또 바꿨다~~ 이에 화답하는 의미로 데프트 역시 자신의 계정 중 현재 가장 높은 계정의 아이디를 'Rekk1es'로 바꾸었다. 그리고 시즌 4 롤드컵에서 서로 조별 예선에서 지고 우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우정을 과시했다.[* 그리고 둘 다 똑같이 한바탕 운 후에 LMQ를 안드로메다로 보내버렸다. ~~평행이론 돋네~~] 후에 만나서 포옹을 하기도 했다. [[http://rigvedawiki.net/r1/wiki.php/%EA%B9%80%ED%98%81%EA%B7%9C?action=download&value=twodeftrekk1es.png|링크]] 그리고 국내외를 막론하고 BL 드립이 흥했고, 임프가 대부분 악당 역할을 맡는다. ~~대부는 김몬테~~ 이를 의식한 건지 온게임넷에서도 더블 인터뷰를 진행했다. [[http://youtu.be/_HK44SXC_a4|한국어]][[http://youtu.be/JsrbRoN-BZs|영어]] 프나틱의 조별 예선 탈락이 확정되자 페이스북에 함께 한국 가고 싶었다고 글을 쓰기도 했다. * 프나틱과의 롤드컵 조별 예선 1차전에서 팀이 전체적으로 부진한 와중에서도 딜을 잘 넣었지만 결정적인 논타겟 cc기를 귀신 같이 맞아주며 결국 패배의 원인이 되고 말았는데, 이에 이어진 LMQ와의 경기에서는 그야말로 '''분노의 질주'''가 무엇인지를 보여주었다. '''29분 게임에 챔피언 상대 35700 대미지'''를 넣을 정도로 경기 내내 미친 폭딜을 보여주었다. 경기가 끝난 후 해설자들이 해당 기록표를 보고 충공깽에 빠지는 장면도 일품. [[http://www.youtube.com/watch?v=7UvWZTZPIAI|동영상]] * [[삼성 화이트]]와의 4강전에서 패배한 직후 악수를 하지 않고 자리를 박차고 나가 팬들의 질타를 받았었다. 이후 본인의 페이스북에서 팬들한테 보이기 창피했던 경기력이라 얼른 내려오고 싶어서 그런 거라고 해명했으며 이번을 계기로 더 성숙해지겠다며 사과를 했다. * KBS 다큐1 2015년 7월 17일 방영분 예고편에서 중국으로 넘어간 대표적인 한국 프로게이머로 폰과 함께 소개되었다. [[http://www.kbs.co.kr/1tv/sisa/kbsdocu1/index.html|#]][[https://namu.wiki/w/%ED%8C%8C%EC%9D%BC:KBS%20Documentary%20Pawn%20Deft.png|사진]] ~~정말 짧게 나왔다는 점은 넘어가자~~ * 메이코와 같이 한국 서버에서 하드 트롤을 하며 한동안 잠잠하던 멘탈 문제에 다시 불이 붙었다. 게임이 말리자 데프트는 탈주를 감행했고 메이코는 미드를 달려서 욕을 거하게 먹었다. 이후 페이스북에 사과문을 올렸는데 메이코랑 싸우고 멘탈이 나간 것으로 추정된다. * [[파일:152237146110614.jpg|width=400]] 2017년 초 자신의 페이스북에 글을 남겼는데, 리그 오브 레전드 클라이언트 접속시 나오는 나만의 플레이 리그에 나오는 자신의 얼굴을 볼 때마다 너무 커서 깜짝 놀란다는 내용이었다. ~~대프트~~ [[파일:152237146696885.jpg|width=400]] 이를 본 라이엇은 원하는 대로 해주었다. 2017년 2월 3일 리그 오브 레전드 클라이언트에 접속하면 볼 수 있는 데프트의 모습.~~어깨깡패~~ ~~소프트~~[[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4625&l=773648|링크1]]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4625&l=774331|링크2]] * 2017년 5월 1일 아프리카 방송에서 시청자들이 데프트가 주로 쓰는 아이디들에 들어가 있는 ilku의 뜻을 물어보았다. 그 질문에 대답하기를 데프트 본인의 생각으로는, 자신의 친형 이름이 일규인데 형이 어릴때 영어를 잘 하지 못해서 그런지 아이디를 처음에 저렇게 만든것 같다고 한다. 남동생들이 보통 자기 친형의 아이디를 따라쓰는 경향이 있으니, 데프트도 그렇게 따라쓴 것으로 보인다. * 스맵과의 케미가 엄청나다. 데프트의 개인방송만 봐도 이게 데프트 방송인지 스맵 방송인지 헷갈릴 정도. 7초 남기고 원딜을 픽해달라고 하니 [[킨드레드]]를 뽑지 않나, 둘이 랭에서 상대로 만나면 서로 상대 라인 보느라 정신없지를 않나... kt롤스터 공식 유튜브 채널 편집자들도 이를 의식했는지 데프트와 스맵이 적으로 만나는 방송을 자주 올려준다. --시끄러어어어ㅓㅓㅓ-- * 2017 시즌 솔로랭크 1위를 달성했다. 시즌이 끝나기 전 마지막 랭크게임에서 2위를 적으로 만났지만[* 2위와의 점수차는 15점밖에 차이가 안나기 때문에 지면 1위 안착에 실패한다.] 그 판을 이기고 무사히 솔로랭크 1위를 차지했다. 참고로 그 2위였던 Tar2an은 현 그리핀 정글러 [[이승용|타잔]]이다. [[https://www.fmkorea.com/best/2283315868|문제의 '''그리핀 어뷰징 미수''' 사건이 있었던 판이기도 했다.]] * [[http://fow.kr/find/가나라마아바|2016 시즌 한국 서버 최초로 챌린저 점수 1500점을 돌파했다.]] 이전에 최고 점수였던 [[배준식|뱅]]을 제치고 한국 서버 최고 점수를 기록했다. * 2019년 4월 13일에 검정고시를 봤다. [[https://www.fmkorea.com/2598273305|검정고시를 치면 군대에 가야하는줄 몰랐다고 한다(...).]] * 한국에 돌아와서 [[아프리카 TV]]로 개인방송을 시작했다. 원래는 시즌 중에는 방송을 키지 않았지만, 2019 서머시즌부터는 경기 일정이 없는 주말에 가끔 방송을 키고, 일정이 모두 끝나고 경기가 없는 비시즌 기간에는 요일에 상관없이 방송을 키며, 2019년 시즌종료 후 [[트위치]]에서도 DRXGlobal 채널로 개인방송을 돌리고 있다. * [[스타크래프트]] 전 [[프로게이머]]인 [[이제동]]의 개인방송을 자주 볼 정도로 상당한 팬이다. 본인 방송 방송에서 직접 언급 한 적도 있다 --나도 JD팬인데-- --데프트피셜 : 이제동님 좋아하는사람 치고 안 웃긴 사람 못봤어-- [[http://v.afree.ca/ST/43509948|2시간 40분부터]] * [[이제동]]의 [[아프리카티비|개인 방송]]에 고정매니저가 되어 있다. 데프트 본인이 직접 원딜 꿀팁을 알려주기도 한다. --시청자들도 꽤나 배우고 감-- [[http://v.afree.ca/ST/43739726|8시간 18분부터]] * 로스터가 바뀐 이후 맏형이자 주장이 되었는데도 어째 서열이 낮은 것 같다... [[https://www.fmkorea.com/2501537173|새벽이 두려운 데프트.]] * 천상계 솔랭유저들이 입을 모아 극찬하는 선수다. 솔랭 큐가 잡혔을 때 우리팀 원딜이 데프트면 이미 이긴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고 한다. 매우 높은 확률로 바텀 라인전을 폭파시키는 데다가, 바텀을 박살낸 데프트가 미드로 올라온 순간 게임이 끝났다고 봐도 된다고. 상대방을 처참하게 찍어누르는 스타일, 모든 솔랭형 원딜러의 워너비다. [[분류:프로게이머/LOL]][[분류:1996년 출생]][[분류:강서구(서울) 출신 인물]]